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2,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06 ㅣ No.1810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0.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2 장   하늘(*0)

  

 1 晴嵐繚繞       청람료요         맑은 기운 요요하고

                                 맑은 이내 둘렀는데/(2017년 7월 8일) 맑은 이내 감도는데

      맑은 날 산 사이에 이내의 기운(晴嵐, 주: 한어대사전 및 한한대사전) 감돌아(繚繞, 주: 한한대사전)

 

주 32-1-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晴嵐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9%B4%E5%B5%9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9%B4%E5%B5%90

 

그리고 晴嵐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9%b4%e5%b2%9a&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晴嵐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8D1E661563CE4593515FBC91197004B&cult=TW&bv=1

(발췌 시작)

晴嵐

 

    【1】晴日山中的霧氣。{明}{劉基}《郁離子·玄豹》:“暖靄晴嵐﹐山蒸澤烘﹐結爲祥雲。”{唐}{鄭谷}《華山》詩:“峭仞聳巍巍﹐晴嵐染近畿。”{宋}{周邦彥}《渡江云》詞:“晴嵐低{楚}甸﹐暖回鴈翼﹐陣勢起平沙。”

(이상, 발췌 끝)

 

주 32-1-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繚繞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더러(즉, 12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9%9A%E7%B9%9E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9%9A%E7%B9%9E

 

그리고 繚繞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c%ad%e7%bb%95&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繚繞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B7ECA9E3EBC401B0D210CE450AFA54D&cult=TW&bv=1

(발췌 시작)

繚繞

 

    【1】引申指糾纏不清。{宋}{王明清}《摭青雜說》:“後半載﹐{賀承信}又以職事到{封州}將領司﹐事務繚繞﹐未得了畢。”【2】纏繞。{清}{紀昀}《閱微草堂筆記·灤陽續錄四》:“二人之髮﹐交結爲一﹐貫穿繚繞﹐猝不可解。”{蕭紅}《生死場》八:“當舉著釣竿經過作浪的麥田時﹐她把竿頭的繩線繚繞起來。”{唐}{元稹}《送崔侍御之嶺南二十韻》:“蛛懸絲繚繞﹐鵲報語詀諵。”【3】曲折圍繞。{宋}{袁褧}《楓窗小牘》卷上:“{汴京}河渠凡四:曰{蔡河}﹐自{陳蔡}由西南{戴樓門}入京城﹐繚繞向東南﹐{陳州門}出。”《宋書·謝靈運傳》:“復有水逕﹐繚繞回圓。”{清}{陳維崧}《滿江紅·江村夏詠》詞之七:“罨畫{銅官}﹐都繚繞吾廬左右。”【4】衣袖飄揚貌。《文選·張衡<南都賦>》:“修袖繚繞而滿庭﹐羅襪躡蹀而容與。”{呂向}注:“繚繞﹐飄颺貌。”【5】回環盤旋。{唐}{孟郊}《古離別》詩:“松山雲繚繞﹐萍路水分離。”《文選·潘岳<射雉賦>》:“周環回復﹐繚繞磐辟。”{徐爰}注:“皆回從往復不正之貌也。”《紅樓夢》第十八回:“只見園中香煙繚繞﹐花彩繽紛……説不盡這太平氣象﹐富貴風流。”

(이상, 발췌 끝)


 2 瞻囑層霄       첨촉층소         층층 하늘 우러르니

                                 높은 하늘 바라보니

                           높은 하늘(層霄) 관찰하니(瞻囑, 주: 한한대사전)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瞻囑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E%BB%E5%9B%9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E%BB%E5%9B%91

 

그러나 瞻囑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한한대사전에 주어진 용례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層霄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두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1%A4%E9%9C%84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1%A4%E9%9C%84

 

그리고 層霄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1%82%e9%9c%84&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繚繞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F1D5C2A37B5276C955E0BA0598C395B&cult=TW&bv=1

(발췌 시작)

層霄

 

    【1】高空。{晉}{庾闡}《游仙詩》之三:“層霄映紫芝﹐潛澗汎丹菊。”{唐}{李白}《大獵賦》:“彼層霄與殊榛﹐罕翔鳥與伏兔。”{明}{徐弘祖}《徐霞客游記·粵西游日記》:“東上入石峽﹐峽兩峰中剖﹐上摩層霄﹐裂罅相距不及丈。”{鄭澤}《讀鈍庵紅薇感舊記作》詩:“金風吹素節﹐陰曀幔層霄。”【2】指云氣。{宋}{蘇軾}《西江月·頃在黃州》詞:“照野瀰瀰淺浪﹐橫空隱隱層霄。”

(이상, 발췌 끝)


 3 霞輝林豔       하휘림염         노을 광채 물들이고

                   노을 빛나고 숲 아름다우며/(2017년 7월 8일) 노을빛의 숲 아름다우며

                             노을빛(霞輝) 수풀()은 아름답고(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霞輝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C%9E%E8%BC%9D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C%9E%E8%BC%9D

 

그리고 霞輝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9c%9e%e8%be%89&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繚繞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83D202E37D0F5307AA171EFE5F2F3BB&cult=TW&bv=1

(발췌 시작)

霞輝

 

    【1】霞光。{宋}{張耒}《舟行即事》詩之一:“霞輝明野色﹐天影戰波光。”{唐}{李紳}《南梁行》:“嗚嗚曉角霞輝粲﹐撫劍當應一長歎。”{巴金}《沉默集·<馬拉﹑哥代和亞當·魯克斯>》:“映著落日的霞輝﹐那個‘健康﹑美麗﹑純潔﹑溫雅﹑勇敢的面貌’占據了{魯克斯}的羅漫諦克的心。”

(이상, 발췌 끝)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林豔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E%97%E8%B1%9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E%97%E8%B1%94


 4 霓彩渡消       예채도소         무지개가 섰다 지네

                      무지개가 사라지네/(2017년 8일) 무지개가 섯다 사라지네

                  무지개() 고운 빛깔()은 건너가다() 사라지네()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霓彩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C%93%E5%BD%A9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C%93%E5%BD%A9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渡消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8%A1%E6%B6%88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8%A1%E6%B6%88


 5 迅雷奮響       신뢰분향         천둥 번개 뒤흔들고

                                 빠른 우레가 메아리치며

                급하게 치는 우뢰(迅雷)는 메아리()를 진동하고()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迅雷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4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F%85%E9%9B%B7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F%85%E9%9B%B7

 

그리고 迅雷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f%85%e9%9b%b7&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迅雷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6A5497AD1B9D3C21C39DD657AC14693&cult=TW&bv=1

(발췌 시작)

迅雷

 

    【1】猶疾雷。{晉}{陸機}《贈尚書郎顧彥先》詩之二:“迅雷中宵激﹐驚電光夜舒。”《禮記·玉藻》:“君子之居恒當戶﹐寢恒東首﹐若有疾風﹑迅雷﹑甚雨﹐則必變。”《明史·李三才傳》:“〔{李三才}〕復疏言:‘乃者迅雷擊陵﹐大風拔木﹐洪水滔天﹐天變極矣。’”{茅盾}《子夜》十三:“這絲廠工人的全區域在大雨和迅雷下異常活動。”

(이상, 발췌 끝)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奮響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5%AE%E9%9F%BF%2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5%AE%E9%9F%BF


 6 疎霜催凋       소상최조         서리 낙엽 재촉하네

                된서리는 시들기를 계속하니/(2017년 7월 8일) 무서리는 시들기를 재촉하네

            무서리()는 시들기()를 재촉하네()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疎霜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6%8E%E9%9C%9C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6%8E%E9%9C%9C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催凋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2%AC%E5%87%8B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2%AC%E5%87%8B


 7 暘霪旱潦       양음한료         햇살 장마 가뭄 홍수

                                 맑은 날과 장마, 가뭄과 홍수

             맑은 날()과 장마(), 가뭄()과 비가 온 뒤의 큰 물(, 주: 한한대사전)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暘霪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A%98%E9%9C%AA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A%98%E9%9C%AA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旱潦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7%B1%E6%BD%A6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7%B1%E6%BD%A6

 

그리고 旱潦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7%b1%e6%bd%a6&st=3


 8 竚覿變調       저적변조         모든 변화 주님 보세

     이 모든 변화와 조리(調理) 서서 바라보리라/(2017년 7월 8일) 이 모든 변조(變調) 우두커니 바라보리라

         동일하지 아니한 심상(尋常)한 격식(變調)들을 우두커니 서서() 보네(覿)

 

주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竚覿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B%9A%E8%A6%BF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B%9A%E8%A6%BF

 

주 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變調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E%8A%E8%AA%BF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E%8A%E8%AA%BF

 

그리고 變調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變調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85FA98275576AC41A01852D5A4613A3&cult=TW&bv=1

(발췌 시작)

變調

 

    【1】變化的曲調。指不受舊律束縛的創新詞調。{姚華}《論文後編·目錄中》:“{南宋}詞人﹐喜爲變調﹐所創特多﹐於時有大曲小曲之別。”{清}{陳廷焯}《白雨齋詞話》卷一:“〔{張惠言}《詞選》〕至以{吳夢窗}爲變調﹐擯之不録﹐所見亦左。”【2】泛指不同尋常的格式。{清}{劉獻廷}《廣陽雜記》卷三:“予爲之先造經緯表一通﹐從橫相遇﹐可合可離﹐亦圖中之變調也。”【3】變更原來的音調,轉調。{唐}{李頎}《聽董大彈胡笳聲兼寄語弄房給事》詩:“幽音變調忽飄灑﹐長風吹林雨墮瓦。”《文選·司馬相如<長門賦>》:“援雅琴以變調兮﹐奏愁思之不可長。”{李周翰}注:“調謂變常調以奏愁思之曲。”【4】指字和字連起來說,有時發生字調和單說時不同的現象。如普通話兩個上聲字相連,前一個上聲變讀為陽平,“寶塔”bǎo tǎ讀為“báo tǎ”。

(이상, 발췌 끛)

 


右節, 就天之可見者, 以驗上主之功有如此.
우절, 취천지가견자, 이험상주지공유여차.


嵐, 天之氣也. 繚繞, 廻環也. 迅, 疾也. 久晴曰, 暘. 久雨曰, 霪.
람, 천지기야. 료요, 회환야. 신, 질야. 구청왈, 양. 구우왈, 음.


不雨而災, 爲旱. 多雨而災, 爲潦. 變, 和變. 調, 調理.
불우이재, 위한. 다우이재, 위료. 변, 화변. 조, 조리.

 

윗절은 하늘의 여러 가지 현상을 통해 하느님의 업적이 이와 같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람(嵐)은 하늘의 기운이며 료요(繚繞)는 둘러침이다. 신(迅)은 빠른 것이며 날이 맑게 갠 것은 양(暘)이라 하고 비가 오래 내리는 것은 음(霪)이라 한다. 비가 오지 않는 재난은 가뭄(旱)이며 비가 많은 재난은 장마(潦)이다. 변(變)은 변화하는 것이며 조(調)는 조화의 이치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3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