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3,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06 ㅣ No.1811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1.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3 장   땅(*0)

 

 1 攷究寰區       고구환구         광대한 땅 살펴보면

                                 천하를 자세히 살펴보면

                     천하(寰區)를 고찰(考察)하고 연구(硏究)하니(攷究)

 

주 33-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攷究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4%B7%E7%A9%B6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4%B7%E7%A9%B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攷究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攷究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C818005CF3283DC0A6F90D16F60A501&cult=TW&bv=1

(발췌 시작)

考究

 

    【1】考索研究。《明史·金聲傳》:“政事得失﹐軍民利病……皆與臣工考究於燕閒之間。”《魏書·高允傳》:“先所論者﹐本不注心;及更考究﹐果如君語。”{李一氓}《明天啟本<延慶寺志>》:“1979年秋曾過{常熟}﹐訪{興復寺}﹐正修繕中﹐以未攜《寺志》﹐無法一一考究。”{宋}{費袞}《梁谿漫志·地理指掌圖》:“今世所傳《地理指掌圖》不知何人所作﹐其考究精詳﹐詮次有法﹐上下數千百年一覽而盡﹐非博學洽聞者不能爲。”【2】講求﹐重視。{巴金}《家》二五:“{倩如}拿著剪刀得意地把{文}的頭發修了又修……老密斯倒不像{文}那樣細心考究。”{郭沫若}《沸羹集·怎樣運用文學的語言》:“章節也宜考究﹐大抵輕松的文體宜短﹐沉重抑郁的文字宜長。”【3】精美﹐精致。{夏衍}《復活》第三第二場:“{特米德里}穿著考究的禮服﹐但是神志恍惚不定。”{楊沫}《青春之歌》第一部第四章:“在他們的身邊﹐漂亮的救生圈﹑考究的游泳衣﹑精致的像蘑菇樣的大洋傘和各種花花綠綠的酒瓶子堆了一大片。”

(이상, 발췌 끝)

 

주 33-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寰區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2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F%B0%E5%8D%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F%B0%E5%8D%8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寰區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f%b0%e5%8c%ba&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寰區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2B6284FEE743F916E6A86DA7F21D3DB&cult=TW&bv=1

(발췌 시작)

寰區

 

    【1】天下;人世間。{元}{鄭光祖}《三戰呂布》第四折:“{玄德公}聲播寰區﹐名傳海宇﹐德勝英傑﹐才超俊士。”{清}{戴名世}《<巢青閣集>序》:“{永嘉}山水﹐秀絶寰區。”{唐}{杜甫}《解悶》詩之八:“最傳秀句寰區滿﹐未絶風流相國能。”《後漢書·逸民傳序》:“彼雖硜硜有類沽名者﹐然而蟬蛻囂埃之中﹐自致寰區之外﹐異夫飾智巧以逐浮利者乎!”

(이상, 발췌 끝)


 2 長短闊狹       장단활협         길고 짧고 광활 협착

                                  길고 짧고 넓고 좁으며

            길거나 짧은(長短) 활협(闊狹, 남을 도와주는 데 인색하지 않고 시원스러움)과

 

주 33-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長短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14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자주(즉, 44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5%B7%E7%9F%AD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5%B7%E7%9F%AD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長短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95%bf%e7%9f%a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長短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5EACE7A77DA583A97C24A151BAF6DD5&cult=TW&bv=1

(발췌 시작)

長短

 

    【1】偏指長或長度。《水滸傳》第二四回:“便將出那綾綢絹緞來﹐婦人將尺量了長短﹐裁得完備﹐便縫起來。”《齊民要術·薕》引{漢}{楊孚}《異物志》:“薕實雖名三薕﹐或有五六。長短四五寸。”{宋}{蘇軾}《私試策問》之四:“古者坐於席﹐故籩豆之長短﹑簠簋之高下﹐適與人均。”【2】長和短。指距離﹑時間。《孟子·梁惠王上》:“權然後知輕重﹐度然後知長短。”{晉}{向秀}《難嵇叔夜<養生論>》:“若性命以巧拙爲長短﹐則聖人窮理盡性﹐宜享遐期;而{堯}﹑{舜}﹑{禹}﹑{湯}﹑{文}﹑{武}﹑{周}﹑{孔}﹐上獲百年﹐下者七十﹐豈復疏于導養邪?顧天命有限﹐非物所加耳。”{明}{王守仁}《傳習錄》卷中:“夫良知之於節目時變﹐猶規矩尺度之於方圓長短也。”《山海經·大荒西經》:“有人名曰{石夷}﹐來風曰韋﹐處西北隅以司日月之長短。”{巴金}《秋》二九:“它一揚一頓﹐甚至聲音的長短﹐都像是合著節拍的。”【3】猶關系﹑牽涉。{蕭紅}《牛車上》:“人們說是‘告示﹐告示’﹐可是告的什么?我也不懂那一套……‘告示’倒知道是官家的事情﹐與我們做小民的有什么長短!”【4】猶反正﹑終究。【5】長處和短處。{漢}{荀悅}《漢紀·宣帝紀二》:“人各有長短﹐子欲學我亦不能﹐吾欲效子亦敗矣。”{清}{唐甄}《潛書·講學》:“此長短明蔽﹐人各有其一二﹐皆可以相資。”{明}{張居正}《陳六事疏》:“臣竊以爲事無全利﹐亦無全害;人有所長﹐亦有所短。要在權利害之多寡﹐酌長短之所宜﹐委任責成﹐庶克有濟。”【6】指死亡等意外變故。【7】情由﹔情況。《三國演義》第四九回:“{徐盛}從{江}內去﹐{丁奉}從旱路去﹐都到{南屏山}{七星壇}前﹐休問長短﹐拿住{諸葛亮}﹐便行斬首﹐將首級來請功。”{楊沫}《青春之歌》第二部第十三章:“這一回﹐你一來﹐他準是看上你啦﹐老是跟我打聽你的長短。”《金瓶梅詞話》第三八回:“老婆見他漢子來家﹐滿心歡喜﹐一面接了行李﹐與他拂了塵土﹐問他長短。”【8】指長短術。【9】偏指短處﹑錯誤之處。{清}{王士禛}《池北偶談·談藝五·方爾止》:“{劉貢父}平生未嘗議人長短﹐有不韙﹐必面折之。”《史記·酷吏列傳》:“〔{寧成}〕致産數千金﹐爲任俠﹐持吏長短﹐出從數十騎。其使民威重於郡守。”{宋}{蘇軾}《上皇帝書》:“上有監司伺其過失﹐下有吏民持其長短﹐未及按問﹐而差替之命已下矣。”{北齊}{顏之推}《顏氏家訓·後娶》:“子誣母爲妾﹐弟黜兄爲傭﹐播揚先人之辭跡﹐暴露祖考之長短﹐以求直己者﹐往往而有。悲夫!”{柳青}《創業史》第一部第二二章:“而議論鄰居的長短﹐都是婆婆媽媽的惡習。”【10】指長短句。【11】偏指長處﹑正確之處。《漢書·張湯傳》:“有郎功高不調﹐自言﹐{安世}應曰:‘君之功高﹐明主所知。人臣執事﹐何長短而自言乎!’絶不許。”【12】高和下﹐優和劣。{北齊}{顏之推}《顏氏家訓·風操》:“故世號士大夫風操﹐而家門頗有不同﹐所見互稱長短﹐然其阡陌亦自可知。”《北史·獨孤羅傳》:“諸弟見{羅}少長貧賤﹐每輕侮﹐不以兄禮事之。然性長者﹐亦不與諸弟校競長短。后由是重之。”{郭沫若}《女神·女神之再生》:“那么﹐你只好和我較個長短!”【13】攻訐﹔責難。《三國志·魏志·武帝紀》“{郗慮}持節策命公爲{魏公}”{裴松之}注引{晉}{虞溥}《江表傳》:“〔{郗慮}〕遂與{融}互相長短﹐以至不睦。公({曹操})以書和解之。”{元}{徐陽輝}《有情癡》:“好文章中不得時人目﹐開著口隨他長短﹐捏著筆一任批駁。”《北史·虞慶則傳》:“〔{虞慶則}與{楊素}〕遂互相長短。”

(이상, 발췌 끝)

 

주 33-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闊狹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3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7%8A%E7%8B%B9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7%8A%E7%8B%B9

 

그리고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闊狹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220E36DB61523A0206A04F6FA9E111E&cult=TW&bv=1

(발췌 시작)

闊狹

 

    【1】寬與狹;距離的遠近。《史記·天官書》:“大小有差﹐闊狹有常。”{裴駰}集解引{孟康}曰:“闊狹﹐若三臺星相去遠近。”{北齊}{顏之推}《顏氏家訓·歸心》:“百里之物﹐數萬相連﹐闊狹從斜﹐常不盈縮。”《水滸傳》第四七回:“不問路道闊狹﹐但有白楊樹的轉灣﹐便是活路;沒那樹時﹐都是死路。”【2】猶疏密。《史記·李將軍列傳》:“{廣}訥口少言﹐與人居則畫地爲軍陳﹐射闊狹以飲。”{裴駰}集解引{如淳}曰:“射戲求疏密﹐持酒以飲不勝者。”【3】猶緩急;寬嚴。《漢書·兒寬傳》:“{寛}表奏開六輔渠﹐定水令以廣溉田﹐收租稅﹐時裁闊狹﹐與民相假貸﹐以故租多不入。”{顏師古}注:“謂有貧弱及農要之時不即徵收也。”《資治通鑒·漢武帝元鼎四年》引此文﹐{胡三省}注云:“余謂闊﹐謂征斂稍寛﹑禁防疏闊之時;狹,謂督促迫急之時。闊時不急征收﹐假貸與民﹐使營生業。”一說﹐指寬裕與窘迫。參閱{王先謙}《<漢書>補注》。{唐}{劉禹錫}《砥石賦》:“得既有自﹐失豈無因?{漢}氏以還﹐三光景分。隨道闊狹﹐用之得人。五百餘年﹐{唐}風始振。”【4】指虛實﹑強弱等具體情況。《三國志·吳志·陸遜傳》:“〔{諸葛瑾}〕書與{遜}云:‘大駕已旋﹐賊得{韓扁}﹐具知吾闊狹。且水乾﹐宜當急去。’”《宋書·蕭思話傳》:“下官近在{歷下}﹐始奉國諱﹐所承使人﹐不知闊狹﹐既還在路﹐漸有所聞﹐猶謂人倫無容有此﹐私懷感慨﹐未敢在言。”《資治通鑒·晉安帝隆安元年》:“{魏}騎潰去﹐{崇}亦引還﹐斬首獲生﹐具言敵中闊狹﹐衆心稍振。”

(이상, 발췌 끝)


 3 凸凹崎嶇       철요기구         높고 낮고 깊고 험한

                  꺼지고 솟고 험한데다/(2017년 7월 8일) 솟고 꺼져 험한데다

       솟아오르거나 꺼진(凸凹) 기구(崎嶇, 삶이 순조롭지 못하고 온갖 어려움을 겪음)는

 

주 33-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凸凹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7%B8%E5%87%B9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7%B8%E5%87%B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凸凹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凸凹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81F3C42687BF3020E72A1F67343DEA1&cult=TW&bv=1

(발췌 시작)

凸凹

 

    【1】猶凹凸。高低不平。{宋}{歐陽修}《答謝景山遺古瓦硯歌》:“敗皮弊網各有用﹐誰使鐫鑱成凸凹。”《西游記》第十回:“形多凸凹﹐勢更崎嶇。”《花月痕》第十回:“西北角疊石爲山﹐蒼藤碧蘚﹐斑駁纏護﹐沿山凸凹﹐池水漣漪。”{清}{曹寅}《題電巖塔影樓》詩:“晰喻玻璃似﹐摶空凸凹真。”

(이상, 발췌 끝)

 

주 33-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崎嶇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15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4%8E%E5%B6%8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4%8E%E5%B6%8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崎嶇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4%8e%e5%b2%9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崎嶇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CF3473FC13D59E7CF230151D226917C&cult=TW&bv=1

(발췌 시작)

崎嶇

 

    【1】形容人意向詭秘。{唐}{杜甫}《別張十三建封》詩:“眼中萬少年﹐用意盡崎嶇。”{楊倫}箋注:“崎嶇乃倜儻之反﹐謂人情叵測也。”【2】猶輾轉。《梁書·文學傳·任孝恭》:“家貧無書﹐常崎嶇從人假借。”《南齊書·文學傳論》:“或全借古語﹐用申今情﹐崎嶇牽引﹐直爲偶説。”【3】形容情意纏綿或感情委婉曲折。{南朝} {梁}{沈約}《少年新婚為之詠》:“我情已鬱紆﹐何用表崎嶇?”《樂府詩集·清商曲辭六·西烏夜飛五》:“感郎崎嶇情﹐不復自顧慮。臂繩雙入結﹐遂成同心去。”{唐}{孟郊}《旅次湘沅有懷靈均》詩:“《騷》文衒貞亮﹐體物情崎嶇。”【4】形容地勢或道路高低不平。《水滸傳》第六八回:“員外初到山寨﹐未經戰陣﹐山嶺崎嶇﹐乘馬不便﹐不可爲前部先鋒。”{唐}{元結}《宿無為觀》詩:“{九疑}山深幾千里﹐峯谷崎嶇人不到。”{漢}{張衡}《南都賦》:“上平衍而曠蕩﹐下蒙籠而崎嶇。”{峻青}《鄉音》:“這二把手小車﹐在這崎嶇不平的道路上走著﹐發出一陣陣刺耳的尖叫聲。”【5】困厄,歷經險阻。《史記·燕召公世家》:“{燕}外迫蠻貉﹐內措{齊}{晉}﹐崎嶇彊國之間﹐最爲弱小。”{唐}{白居易}《贖雞》詩:“與爾鏹三百﹐小惠何足論。莫學銜環雀崎嶇謾報恩。”{宋}{蘇軾}《書黃子思詩集後》:“{唐}末{司空圖}﹐崎嶇兵亂之間﹐而詩文高雅﹐猶有承平之遺風。”【6】跋涉,奔波。《辛亥革命前十年間時論選集·仇一姓不仇一族論》:“{明}之亡也﹐孤臣義士﹐崎嶇山海間﹐奔走國事﹐而迄無所補。”{宋}{王安石}《諸葛武侯》詩:“崎嶇{巴}{漢}間﹐屢以弱攻強。”《清平山堂話本·藍橋記》:“{藍橋}便是神仙宅﹐何必崎嶇上玉京?”{北齊}{顏之推}《顏氏家訓·雜藝》:“{王褒}地胄清華﹐才學優敏。後雖入關亦被禮遇﹐猶以書工﹐崎嶇碑碣之間﹐辛苦筆硯之役。”{清}{陳維崧}《八聲甘州·南耕齋中食鰣魚作》詞:“謝汝崎嶇萬里﹐把浪花舞破﹐來慰晨飢。”

(이상, 발췌 끝)


 4 幽燕崖峽       유연애협         고요 그윽 벼랑 계곡

       으슥한 곳 편안한 곳에 벼랑에다 계곡이라/(2017년 7월 8일) 으슥한 곳 편안한 곳에 벼랑에다 골짜기라

 [지금의 강북(江北) 북부 및 요녕(遼寧) 일대인] 유연(幽燕, 주: 한어대사전, 한한대사전) 지역의 벼랑()과 골짜기()이구나

 

주 33-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幽燕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9%BD%E7%87%9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9%BD%E7%87%9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幽燕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9%bd%e7%87%9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幽燕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27E05C1C03B674D79703F8D52CFAA80&cult=TW&bv=1

(발췌 시작)

幽燕

 

    【1】古稱今{河北}北部及{遼寧}一帶。{唐}以前屬{幽州},{戰國}時屬{燕國},故名。{唐}{杜甫}《恨別》詩:“聞道{河陽}近乘勝﹐司徒急爲破{幽}{燕}。”{南朝} {宋}{顏延之}《赭白馬賦》:“旦刷{幽}{燕}﹐晝秣{荊}{越}。”{毛澤東}《浪淘沙·北戴河》詞:“大雨落{幽}{燕}﹐白浪滔天。”{鄭觀應}《盛世危言·治河》:“我朝定鼎{幽}{燕}﹐正{河}道敝壞之後﹐潰決頻仍。”

(이상, 발췌 끝)

 

주 33-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崖峽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4%96%E5%B3%BD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4%96%E5%B3%BD


 5 悞崎徑抄       오기경초         갈림길과 지름길에

               갈림길 즐기고 기름길 골라/(2017년 7월 8일) 갈림길 잘못들어 지름길 골라

                     그릇된() 기구()와 간사한() 노략질 행위()는

 

주 55-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悞崎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2%9E%E5%B4%8E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2%9E%E5%B4%8E

 

주 33-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徑抄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E%91%E6%8A%84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E%91%E6%8A%84


 6 倂程       병정참획         강과 동굴 가로질러

                                 아울러 하천도 건너고 골짝도 지나며/(2017년 7월 8일) 다음에 다시 논의하자

     정도()와 함께() 파서() 열어 제쳐야 하는데(, 주: 한한대사전)

 

주 33-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倂程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0%82%E7%A8%8B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0%82%E7%A8%8B

 

주 33-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塹劃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1%B9%E5%8A%83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1%B9%E5%8A%83


 7 盪彊拓與       탕강척여         넓고 넓은 경계 안에

                                 강토(疆土)를 넓히고 개척해서

  지경(地境)(, 주: 한한대사전)을 이동하여() 넓히고() 가까이하여(, 주: 한한대사전)

 

주 33-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盪彊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B%AA%E5%BD%8A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B%AA%E5%BD%8A

 

주 33-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拓與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B%93%E8%88%87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B%93%E8%88%87


 8 蠻貊       만맥포괄         모든 인간 포용하네

     멀리 오랑캐 땅까지 포괄하였도다/(2017년 7월 8일) 남북의 오랑캐 땅 포괄하였도다

  남방 및 북방의 낙후 부족(蠻貊, 주: 한어대사전, 한한대사전)들이 싸서(도려내는구나(, 주: 한한대사전).

 

[2017년 7월 8일) 주: 여기서 사용된 표현이, 다들 그 의미를 잘 알고 있는, (포괄)이 아님에 반드시 주목하라. 그러나 유교수 왈: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고 하나, 그러나, 예를 들어, "한국고전종합DB" 검색 결과 "0"건임].

 

주 33-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蠻貊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2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4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0%BB%E8%B2%8A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0%BB%E8%B2%8A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蠻貊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9b%ae%e8%b2%8a&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蠻貊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B97DA3C0C0FD2DC5AE79807E2842B03&cult=TW&bv=1

(발췌 시작)

蠻貊

 

    亦作“[蠻貃]”亦作“[蠻貉]”【1】古代稱南方和北方落后部族。亦泛指四方落后部族。{唐}{岑參}《陪狄員外早秋登府西樓因呈院中諸公》詩:“威聲振蠻貊﹐惠化鍾{華陽}。”{漢}{桓寬}《鹽鐵論·通有》:“求蠻貉之物以眩中國﹐徙{卭}{筰}之貨致之東海。”{羅正緯}《灤州革命紀實初稿》:“蠻貃無知﹐沒我恩德﹐虜運將絶﹐腥羶穢朝。”{清}{俞樾}《茶香室叢鈔·包順》:“按{包公}在當日已名動蠻貊如此。”原注:“指{西羌}{于龍}{呵}歸{漢}﹐慕{包拯}名﹐姓{包}事。”《書·武成》:“華夏蠻貊﹐罔不率俾。”

(이상, 발췌 끝)

 

주 33-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包刮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C%85%E5%88%AE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C%85%E5%88%AE

 

[내용 추가 일자: 2017년 7월 8일]

더 나아가, "한국고정종합DB" 제공의 방대한 분량의 국내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용례 분석에 의하면, 包刮 은 심지어 국내애서도 한 단어/숙어로서 전혀 사용되지 않아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db.itkc.or.kr/ [접속 후, "包刮"을 검색하면 용례가 전혀 없음(즉, 검색 결과가 "0"건임)]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이상, 2017년 7월 8일자 내용 추가 끝] 

 


右節, 就地之廣大者, 以驗上主之功有如此.
우절, 취지지광대자, 이험상주지공유여차.


攷, 考同. 究, 察也. 寰區, 四海之內. 高出, 爲凸, 低下, 爲凹.
고, 고동. 구, 찰야. 환구, 사해지내. 고출, 위철, 저하, 위요.


崎嶇, 路不平也. 塹, 坑也. 彊爲天塹.
기구, 로불평야. 참, 갱야. 강위천참.

 

윗절은 광대한 땅 위에서 상주의 공적을 징험하심이 이와 같음을 말한다.


고(攷)는 고(考)와 같고 구(究)는 살핀다는 뜻이다. 환구(寰區)는 사해(四海)이며, 높이 솟은 것을 철(凸), 낮게 패인 것을 요(凹)라 한다. 기구(崎嶇)는 길이 평탄하지 않은 것이며, 참(塹)은 갱(坑)으로, 강(彊)이란 하늘이 만든 참호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8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