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교황님의 역할 IV - 사회 정의에 대한 가르침들.. 799_justice [교리학습_정의로움] [교리학습_정의] _831사회교리]

인쇄

. [218.236.113.*]

2009-02-07 ㅣ No.831

 

 

+ 찬미 예수

 

참고: 이 글은, 여기를 클릭하시면 읽으실 수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가르치고 있는 정의(justice)의 정의(definition)에 관한 저의 졸글에 이어지는 글로서, 가톨릭 교회가 가르치고 있는 "사회 정의(social justice)"에 대한 교리적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도움을 드리고자 마련한 글입니다.

 

참고: 가능한 한, 핵심 개념과 연대 순에 따라 쓴 글이므로, 바쁘신 분께서는 가장 최근 문헌인 아래의 제6항을 먼저 읽으신 후에, 제1항을 읽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나중에 좀 한가할 때에 시간을 내어 제1항부터 차근 차근 순서대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1. 우선 용어들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1. 다음은 미국 천주교회 주교회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 실린,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정의되어(defined) 있는 정의(justice)의 한 종류인, 사회 정의(social justice)에 대한 설명입니다.

 

사회 정의는, 위의 파란 색을 클릭하시면 제2-5항에서 말씀드렸던,  상호 정의, 법 정의, 분배 정의 등과 같은, 정의의 적용 예들입니다.

 

SOCIAL JUSTICE: The respect for the human person and the rights which flow from human dignity and guarantee it. Society must provide the conditions that allow people to obtain what is their due, according to their nature and vocation (1928, 1931).

 

사회 정의:  인간의 인격(human person)에 대한 존중(respect, 배려)과, 인간의 존엄성(human dignity)으로부터 흘러나오며 그리고 이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권한들에 대한 존중(배려)을 말한다. 사회는 사람들이, 각자의 본성(nature)과 사명(vocation)에 따라, 각자의 몫(due)인 바를 얻는 것을 허락하는 조건(conditions)들을 제공하여야만 한다(1928, 1931).

 

참고: 위의 괄호 안의 번호들은 관련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항목 번호들입니다.

 

CCC 1928 단체나 개인들이 그들의 본성과 소명에 따라 당연히 받아야 할 것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조건들을 실현할 때, 그 사회는 사회 정의를 보장한다. 사회 정의는 공동선과 공권력 행사와 관계된다.

 

CCC 1928 Society ensures social justice when it provides the conditions that allow associations or individuals to obtain what is their due, according to their nature and their vocation. Social justice is linked to the common good and the exercise of authority.

 

CCC 1931 인격 존중은 다음과 같은 원칙을 존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모든 사람은 저마다 이웃을 어떠한 예외도 없이 또 하나의 자신으로 여겨야 하고 무엇보다도 이웃의 생활을 고려하여 그 생활을 품위 있게 영위하는 데에 필요한 수단들을 보살펴야 한다.” 어떠한 법률도 그 자체의 힘으로 진정 우호적인 사회를 건설하는 데 방해가 되는 공포와 편견, 교만과 이기주의적 태도를 없앨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모든 이를 ‘이웃’ 으로, ‘형제’ 로 보는 사랑이 있어야만 사라진다.

 

CCC 1931 Respect for the human person proceeds by way of respect for the principle that "everyone should look upon his neighbor (without any exception) as 'another self,' above all bearing in mind his life and the means necessary for living it with dignity." No legislation could by itself do away with the fears, prejudices, and attitudes of pride and selfishness which obstruct the establishment of truly fraternal societies. Such behavior will cease only through the charity that finds in every man a "neighbor," a brother.

 

출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28번 및 제1931번으로 바로가기 (클릭하십시요)

 

참고: 따라서 어떠한 경우와 상황에서도, 상대방(you, 너)에 대한 배려(존중)이 없는 주장은 결코 "정의롭다"고 불릴 수가 없습니다.

 

정의(justice)는, 전적으로, 내(ego)가 아닌 너(you)에 대한 배려(respect)의 윤리덕(human virtue, 대인덕, 인간에 대한 덕)이기 때문입니다.

 

1-2. 정의(justice, 의덕) 용어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공식적 정의(definition)은 여기에 있습니다.


정의(justice)의 정의(definition)와 그 적용 예들 (클릭하여 꼭 읽어 보도록 하십시요)  


참고: 아래의 제6항에서 언급하고 있는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첫 회칙에서도 지적하고 있듯이, 사추덕(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하나인, 정의(justice, 의덕)의 정의(definition)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지중해 문화권에 속하지 않는) 한자 문화권의 경우에는 정의(의덕, 정의로움)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잘 학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지중해 문화권의 경우에 있어 정의(정의로움)의 정의는, 예수님께서 공적 사목을 하실 당시에도 이미 널리 보편적으로 잘 알려진 공개념이나, 그러나 한자 문화권의 경우에는 지금까지도 제대로 인식조차 되지 않고 있는 개념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언급은 위의 파란색 글에 있습니다].

---------------------------------

 

2. 너(you)는, 

 

(i) 그리스도교 신자들과

(ii) 그렇지 아니한 자들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지므로, 그리고

 

(iii) 우리는 비신자들과 함께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으므로,

 

가톨릭 교회가 가르치는 정의(justice)의 정의(definition)와 "사회 정의(social justice)"의 정의는 또한 그리스도교 신자가 아닌 분들까지도 동의하지 않으면 아니될 것입니다. 그러지 않고서는, 최후의 날 이전에, 이 세상에 평화의 구현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의와, 그 적용 예들 중의 하나인, 사회 정의에 관한 교회의 가르침에 대하여 잘 이해하는 것은, 이미 그 씨가 이 세상에 뿌려진 하느님 나라를 키워 나감에 있어 매우 중요하기에, 예비신자 교리 교육 과정에서도 또한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여 가르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제196-210쪽).

 

그리고, 다음은 예비신자 교리 교육용 교재(제목: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출판사: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출판년도: 1999년)에서 그 제목들만을 언급하고 있는 문헌들입니다.

  

가톨릭 교회의 사회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문헌들


·새로운 사태(노동 헌장):교황 레오 13세의 회칙, 1891년
·
사십주년:교황 비오 11세의 회칙, 1931년
·하느님이신 구세주:교황 비오 11세의 회칙, 1937년 (클릭하십시요)
·
어머니요 스승:교황 요한 23세의 회칙, 1961년
·
지상의 평화:교황 요한 23세의 회칙, 1963년
·
사목 헌장: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1965년
·
민족들의 발전:교황 바오로 6세의 회칙, 1967년
·팔십주년:교황 바오로 6세의 교서, 1971년 (클릭하십시요)
·세계 정의:세계주교대의원회의 문헌, 1971년 (클릭하십시요)
·현대의 복음 선교:교황 바오로 6세의 권고, 1975년 (클릭하십시요)
·
노동하는 인간: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 1981년 (클릭하십시요)

· 자유의 전갈:해방 신학의 일부 측면에 관한 신앙교리성 훈령, 1984년 (클릭하십시요)

·자유의 자각:그리스도인의 자유와 해방에 관한 신앙교리성 훈령, 1986년 (클릭하십시요)
·
사회적 관심: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 1987년 (클릭하십시요)

·백주년: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 1991년 (클릭하십시요)

 

출처: 다음의 예비신자 교리서 제203쪽: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클릭하십시요)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8월 17일]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제218쪽 (클릭하십시오) [2011년 10월 19일 제2판]

[이상, 내용 추가 끝].
 

참고: 위의 문헌들 중에서 파란색칠을 한 문헌들의 우리말 번역문들은, 다음의 서울대교구 사회사목부 정의평화위원회 홈페이지에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서울대교구 사회사목부 정의평화위원회 제공 사회교리 회칙 모음 (클릭하십시요)

 

이들을 포함하여, 위의 다른 참고 문헌들은 모두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홈페이지 및 http://bomul.paolo.net/doc/ 에 있습니다.

--------------------------

 

3. 다음은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서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 시절인 1991년에 저술하신 책으로, 제가 이 책의 영문본을 구입한 것이 이제 약 5년 정도되었으며, 아직 우리말로 번역이 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매우 좋은 책입니다.

 

1996년 영문본 책 제목: Called to Communion, Understanding the Church Today

 

참고: 특히 이 책은 해방 신학(Liberation Theology)에 대한 교회의 입장을 정리하고 난 후에 저술된 책이기에, 해방신학에 대한 교황님(당시에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의 입장을 어느 정도 담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책의 서문에 의하면, 이 책의 첫 3개의 장들은 1990년 6월 23-27일 동안에 브라질 리오 데 자네이로에서 약 백명의 브라질의 주교님들께 하셨던 신학 강의(theology course)를 위하여 마련되었다고 합니다.

-------------------------

 

4. 1999년에 발행된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는 위의 교회의 사회적 가르침을 담은 문헌들 이외의 출처들을 언급하지 않고 있습니다만,

 

예를 들어, 1997년에 라틴어 정본이 확정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의 유관 항목들에 대한 언급이 이 예비신자 교리서 내에서 전혀 주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참으로 아쉬운 점입니다. 우선적으로 이 예비신자 교리서를 통하여 전반적인 이해를 한 후에, 가톨릭 교회의 문헌들 중의 핵심 문헌들 중의 핵심 문헌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이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을 필히 학습하셔야만 하기 때문입니다.

 

향후 이 예비신자 교리서를 Update할 때에 "이것"은 필히 추가하여야 할 정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1999년 이후에 교황청 발 매우 중요한 문헌들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습니다:

 

5. 2004년 6월 29일에 공포된 간추린 사회 교리(Compendium of the Social Doctrine of the Church)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 영문 전문:
Compendium of the Social Doctrine of the Church (클릭하십시요)

 

참고: 이 문헌은 이미 우리말로 번역되었고 출판되었습니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 우리말 전문: 간추린 사회 교리(클릭하십시요)

 

다음은 위의 문헌에 대한 인터뷰 글(영문) 입니다:

http://www.zenit.org/article-19538?l=english (클릭하십시요)

 

참고:다음은 폭력을 사용하지 말 것에 대한 가르침으로, "간추린 사회 교리" 제496항입니다:

 

496. Violence is never a proper response. With the conviction of her faith in Christ and with the awareness of her mission, the Church proclaims “that violence is evil, that violence is unacceptable as a solution to problems, that violence is unworthy of man. Violence is a lie, for it goes against the truth of our faith, the truth of our humanity. Violence destroys what it claims to defend: the dignity, the life, the freedom of human beings”.[1029]

 

(졸번역)

폭력은 결코 적절한 대응이 아닙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에 대한 교회의 믿음에 대한 확신과 그리고 교회의 사명에 대한 자각과 함께, "폭력은 악이며, 폭력은 문제들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음을, 그리고 폭력은 사람에게 어울리지 않음을 선포합니다. 폭력은 거짓말인데, 이는, 우리의 인류애에 대한 진리라는, 우리의 믿음에 반하여 나아가기 때문입니다. 폭력은 그가 옹호하려고 주장하는 바인 인간들의 품위, 생명, 자유를 파괴합니다".[1029].

 

The contemporary world too needs the witness of unarmed prophets, who are often the objects of ridicule.[1030] “Those who renounce violence and bloodshed and, in order to safeguard human rights, make use of those means of defence available to the weakest, bear witness to evangelical charity, provided they do so without harming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other men and societies. They bear legitimate witness to the gravity of the physical and moral risk of recourse to violence, with all its destruction and death”.[1031]

 

(졸번역)

현대 사회는 또한 비무장 예언자들의 증언을 필요로 하는데, 이들은 자주 조롱의 대상들입니다.[1030]. "폭력과 유혈 사태를 포기하는 자들은, 그리고 인권(human rights)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장 약한 자들에게 허락되는 방어의 방식들을 사용하는 자들은, 그들이 다른 사람들과 사회들의 권리들과 의무들에 해를 끼침없이 행하기만 한다면, 복음적 사랑(evangelical charity)에 대한 증언을 합니다. 그들은, 폭력이 가져다 주는 모든 파괴와 죽음으로써, 폭력에 의지함의 신체적 및 윤리적 위험이라는 대죄(gravity)에 대한 적법한 증언을 합니다".[1031].

 

[1029] John Paul II, Address at Drogheda, Ireland (29 September 1979), 9: AAS 71 (1979), 1081; cf. Paul VI, Apostolic Exhortation Evangelii Nuntiandi, 37: AAS 68 (1976), 29.

[1030] Cf. John Paul II, Address to the Pontifical Academy of Sciences (12 November 1983), 5: AAS 76 (1984), 398-399.

[1031]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306.

--------------------

 

6. 2005년 12월25일에 공포된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첫 회칙인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Deus Caritas Est)" 입니다.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 (여기를 클릭하신 후에 전문을 꼭 읽어 보도록 하십시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 영문본 "Deus Caritas Est"은 여기에 있습니다 (클릭하십시요)

 

참고: 특히 이 회칙의 제26항부터는 정의와 사랑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므로, 위의 제3-5항들에서 언급하고 있는 문헌들을 읽기 전에,  가장 최근의 교황청 문헌인 이 회칙을 먼저 읽어 보실 것을 강력히 권합니다.

 

다음은 이 회칙에 대한 안내글들입니다:

http://en.wikipedia.org/wiki/Deus_Caritas_Est (클릭하십시요)
http://www.zenit.org/article-15085?l=english (클릭하십시요)

 

다음은 "Deus Caritas Est" 회칙의 제26-29항입니다.

 

 

특히 이 부분은 "간추린 사회 교리"의 서문 혹은 입문에 해당하는 좋은 내용의 글이라 생각하며모두들 잘 읽어 보실 것을 강력히 권합니다. 아래에 또한 제공해 드리는 영문과 동시에 읽으시면 정확한 의미를 더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정의와 사랑

 

26. 19세기 이래 교회의 사랑 활동에 대한 반대 움직임이 일어났고, 곧이어 가난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은 사랑의 활동이 아니라 정의라는 마르크스주의의 특수한 주장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사랑의 활동 - 자선(eleemosynae) - 이 실제로 부자들이 정의를 위하여 일할 의무를 회피하고 양심의 짐을 더는 수단이 되어, 그들의 지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난한 사람들의 권리를 빼앗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개별적인 자선 활동을 통하여 현상(status quo) 유지에 기여하는 대신, 정의로운 사회 질서를 이룩하여 모든 사람이 세상 재화 가운데 자신의 몫을 받고 더 이상 자선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주장에도 어떤 진리가 없지는 않지만, 오류 또한 많습니다. 정의의 추구가 국가의 근본 규범이 되어야 하며, 정의로운 사회 질서는 보조성의 원칙에 따라 공동체의 재화에서 각 개인의 몫을 보장해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국가에 관한 그리스도교의 가르침과 교회의 사회 교리가 언제나 강조해 온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집단의 정의로운 질서 문제는 19세기 들어 사회가 산업화되면서 새로운 차원을 띠게 되었습니다. 근대 산업의 발전은 낡은 사회 구조를 붕괴시켰으며, 임금 노동자계층의 성장은 사회 조직을 급격히 변화시켰습니다. 이전에는 드러나지 않았던 자본과 노동의 관계가 이제 중요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이제 권력의 새로운 원천이 된 자본과 생산 수단이 소수의 손에 집중되어 노동 계층의 권리를 억압하고 노동자들의 반발을 낳게 되었습니다.

 

27.  교회의 지도자들이 정의로운 사회 구조의 문제에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매우 더디게 깨달았던 사실을 인정하여야 하겠습니다. 그러나 마인츠의 케텔러 주교(† 1877년)와 같은 몇몇 선구자들이 있었으며, 점점 더 많은 집단과 단체, 연맹과 연합, 그리고 특히 빈곤과 질병의 퇴치, 더 나은 교육을 위하여 19세기에 설립된 새로운 수도회들이 구체적인 요구들을 충족시켰습니다. 교황 교도권의 개입으로는 1891년에 발표된 레오 13세의 회칙「새로운 사태」(Rerum novarum) 를 들 수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1931년에는 비오 11세가 회칙「사십주년」 (Quadragesimo anno) 을, 1961년에는 교황 요한 23세 복자가 회칙「어머니요 스승」 (Mater et Magistra) 을 발표하였으며, 바오로 6세는 회칙「민족들의 발전」 (Populorum progressio, 1967년)교황 교서「팔십주년」 (Octogesima adveniens, 1971년) 에서 당시에 특히 라틴 아메리카에서 심각했던 사회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저의 위대한 선임자 요한 바오로 2세께서는 우리에게 사회 회칙 삼부작을 남겨 주셨습니다. 「노동하는 인간」 (Laborem exercens, 1981년) 과「사회적 관심」 (Sollicitudo rei socialis, 1987년) , 마지막으로「백주년」(Centesimus annus, 1991년) 입니다. 새로운 상황과 문제들에 직면하여 가톨릭 사회 교리는 점진적으로 발전하였으며, 교황청 정의평화평의회에서 2004년에 펴낸『간추린 사회 교리』 (Compendium sociale Ecclesiae doctrinae ) 안에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마르크스주의는 세계 혁명과 그 준비를 사회 문제의 만병통치약으로 보았습니다. 혁명과 그에 따른 생산 수단의 집단화는 즉시 더 좋은 세상을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러한 환상은 사라졌습니다. 특히 경제의 세계화를 비롯한 오늘날의 복합적인 상황에서, 교회의 사회 교리는 교회의 영역 밖에서도  유효한 접근법을 제시하는 일련의 기본 지침이 되었습니다. 계속하여 발전해 가는 상황에서, 우리가 살고있는 세상과 인류를 진지하게 걱정하는 모든 이와 함께 대화를 나누는 맥락에서 이 지침들을 제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8.  정의를 위한 투신과 사랑의 봉사의 관계를 더욱 정확하게 정의 내리려면 두 가지 근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가) 국가와 사회의 정의로운 질서는 정치의 핵심 임무입니다. 아우구스티노가 말하였듯이, 정의에 따라 다스리지 않는 국가는 도적 무리에 지나지 않습니다. “정의에서 멀어진 국가란 거대한 강도떼가 아니고 무엇인가(Remota itaque iustitia quid sunt regna nisimagna latrocinia ) ?” 그리스도교는 근본적으로 황제의 것과 하느님의 것을 구분합니다(마태 22,21 참조). 다시 말해, 교회와 국가의 구분 또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표현대로, 현세 사물의 자율성입니다. 국가는 종교를 강요해서는 안 되지만, 종교 자유를 보장하고 여러 종교인들의 화합을 도모하여야 합니다. 또한 교회는 그 나름대로 그리스도 신앙의 사회적 표현으로서 고유한 독립성을 지니며, 국가가 인정하는 하나의 공동체로서 그 신앙의 토대 위에 세워져야 합니다. 이 두 영역은 서로 구분되지만 언제나 서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정의는 모든 정치의 목적이며 고유한 판단 기준입니다. 정치는공공 생활의 규칙을 제정하는 단순한 장치 이상의 것입니다. 정치의 기원과 목적은 정의 안에서 찾을 수 있으며, 정의는 본질상 윤리와 관련됩니다. 국가는‘어떻게 하면 지금 여기에서 정의를 이룰 수 있겠는가?’하는 물음에 필연적으로 직면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의란 무엇인가?’ 라는 훨씬 더 근본적인 물음을 전제로 합니다. 이 문제는 실천 이성에 속하는 것이지만, 이성이 올바르게 작용하려면 끊임없는 정화를 거쳐야 합니다. 이성은 특수한 이해관계와 권력의 현혹으로 야기되는 어떤 윤리적 맹목의 위험에서 결코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바로 여기에서 정치와 신앙이 만납니다. 신앙은 그 고유한 본질에서 살아 계신 하느님을 만나는 것, 곧 이성의 영역을 넘어서 새로운 시야를 열어 주는 만남입니다. 그러나 신앙은 또한 이성 자체를 정화하는 힘이기도 합니다. 하느님의 견지에서, 신앙은 이성을 그 맹점에서 해방시켜 그 자체로 더욱 완전해지도록 도와줍니다. 신앙은 이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고 그 고유한 목적을 더욱 명확히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가톨릭 사회 교리는 바로 이러한 자리에 있습니다. 이는 국가에 대한 권력을 교회에 주려는 것이 아닙니다. 신앙을 공유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신앙의 고유한 사고방식과 행동 양식을 강요하려는 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그 목적은 단지 이성의 정화를 도와 정의로운 것을 지금 여기에서 인정하고 실현하도록 도와주려는 것입니다.

 

교회의 사회 교리는 이성과 자연법을 토대로, 곧 모든 인간 존재의 본성에 부합하는 것을 토대로 삼아 논의합니다. 교회는 사회 교리에 정치적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이 자신의 임무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보다 교회는 정치 생활에서 양심을 형성하도록 돕고, 정의의 참된 요구에 대한 통찰력을 더욱 키우며, 그 요구가 개인의 이익과 갈등을 빚는 상황에서도 정의에 따라 기꺼이 행동하도록 촉구하고자 합니다. 모든 사람이 각자 자신의 정당한 몫을 받는 정의로운 사회 질서와 국가 질서의 건설은 모든 세대가 새롭게 받아들여야 할 가장 중대한 임무입니다. 이것은 정치적 임무로서 교회의 직접적인 책임이 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인간의 가장 중대한 임무이기 때문에, 교회는 이성의 정화와 윤리 교육을 통하여 정의의 요구를 이해하고 정치 영역에서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자기나름대로 이바지할 의무가 있습니다.

 

교회는 가장 정의로운 사회를 이룩하고자 정치 투쟁을 할 수는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됩니다. 교회는 국가를 대신할 수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됩니다. 그러나 동시에 교회는 정의를 위한 투쟁에서 비켜서 있을 수 없으며 그래서도 안 됩니다. 교회는 이성적인 토론의 길로 그러한 투쟁에 들어서야 하며, 그 정신적인 힘을 다시 일깨워야 합니다. 그러한 힘이 없으면, 언제나 희생을 요구하는 정의는 구현될 수도 없고 진보할 수도 없습니다. 정의로운 사회는 교회가 아닌 정치를 통해 실현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공동선의 요구에 마음을 열고 의지를 불러일으키도록, 교회는 정의 증진을 위한 활동에 커다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나) 사랑 - 카리타스 - 은 언제나 필요하며, 가장 정의로운 사회에서도 필요한 것입니다. 사랑의 봉사가 필요 없을 만큼 정의로운 국가 질서는 없습니다. 사랑을 제거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인간도 그렇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위로와 도움을 찾는 고통은 어디에나 있기 마련입니다. 외로움도 어디에나 있습니다. 구체적인 이웃 사랑의 형태를 통한 도움, 곧 물질적 도움이 필요한 상황도 어디에나 있습니다. 모든 것을 제공해 주겠다고 모든 것을 자신에게 끌어 들이는 국가는 결국 고통받는 사람, 곧 모든 사람이 필요로 하는 인격적인 사랑의 관심을 제공해 줄 수 없는 관료 체제가 되고 말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모든 것을 규제하고 통제하는 국가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보조성의 원칙에 따라 다양한 사회 세력의 활동을 관대하게 인정하고 지원하는 국가가 필요합니다. 그러한 활동으로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더 가까이 다가가 가난한 이들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교회는 그러한 활기찬 세력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성령께서 불러일으키시는 사랑으로 살아갑니다. 이 사랑은 여기에서 사람들에게 물질적인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흔히 물질적 지원보다 훨씬 더 필요한 도움으로 영혼을 돌보고 그 힘을 북돋아 줍이라는 주장의 이면에는 물질주의적인 인간관, 곧 사람이‘빵만으로’ (마태 4,4; 신명 8,3 참조) 살 수 있다는 교만한 생각이 숨어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고유한 모든 속성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29.  우리는 이제 교회 생활에서, 한편으로는 올바른 국가와 사회제도를 만들어야 할 임무와, 다른 한편으로는 조직화된 사랑 실천의 관계를 더욱 적절하게 규명할 수 있습니다. 정의로운 체제의 구축은 교회의 직접적인 의무가 아니라 이성을 자율적으로 활용하는 정치계의 의무임이 드러났습니다. 교회는 이 일에서 간접적인 의무를 지니고 있습니다. 곧, 교회는 이성의 정화에 이바지하고 도덕적 힘을 다시 일깨워야 합니다. 이러한 힘이 없으면, 정의로운 체제가 이루어질 수도 없고 오래 지속될 수도 없습니다.

 

다른 한편, 정의로운 사회 질서를 위하여 일할 직접적인 의무는 평신도들에게 속하는 것입니다. 국민으로서 평신도들은 개인 자격으로 공공 생활에 참여하도록 부름 받습니다. 그러므로 평신도들은 “경제, 사회, 입법, 행정, 문화 등 수없이 많은 여러 분야에서 조직적으로 제도적으로 공동선을 증진시켜야 하는” 참여 의무를 거부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평신도들의 사명은 사회생활의 정당한 자율성을 존중하고 각자의 능력에 따라 자신의 책임을 다하면서 다른 국민들과 협력하는 가운데 올바른 사회생활을 이루어 나가는 것입니다. 교회의 고유한 사랑 실천을 국가 활동과 혼동하여서는 안되지만, 평신도들의 삶 전체와“사회적 사랑”을 실천하는 그들의 정치 활동이 언제나 사랑에 젖어 들어야 한다는 것은 여전히 사실입니다.

 

또한, 교회의 사회 복지 기구들도 교회의 고유한 활동(opus proprium ) 을 합니다. 교회는 곁에서 협력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책임을 지는 주체로서 교회의 본질에 부합하는 활동을 합니다. 교회는 신자들의 조직화된 활동인 사랑의 실천에서 결코 면제될 수 없으며, 다른 한편으로, 그리스도인 각자의 사랑 실천이 불필요한 상황은 결코 없을 것입니다. 인간에게는 정의만이 아니라 사랑이 필요하며, 또 언제나 사랑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Justice and Charity


26.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an objection has been raised to the Church's charitable activity, subsequently developed with particular insistence by Marxism: the poor, it is claimed, do not need charity but justice. Works of charity—almsgiving—are in effect a way for the rich to shirk their obligation to work for justice and a means of soothing their consciences, while preserving their own status and robbing the poor of their rights. Instead of contributing through individual works of charity to maintaining the status quo, we need to build a just social order in which all receive their share of the world's goods and no longer have to depend on charity. There is admittedly some truth to this argument, but also much that is mistaken. It is true that the pursuit of justice must be a fundamental norm of the State and that the aim of a just social order is to guarantee to each person,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his share of the community's goods. This has always been emphasized by Christian teaching on the State and by the Church's social doctrine. Historically, the issue of the just ordering of the collectivity had taken a new dimension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societ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rise of modern industry caused the old social structures to collapse, while the growth of a class of salaried workers provoked radical changes in the fabric of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and labour now became the decisive issue—an issue which in that form was previously unknown. Capital and the means of production were now the new source of power which,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a few, led to the suppression of the rights of the working classes, against which they had to rebel.

 

27. It must be admitted that the Church's leadership was slow to realize that the issue of the just structuring of society needed to be approached in a new way. There were some pioneers, such as Bishop Ketteler of Mainz († 1877), and concrete needs were met by a growing number of groups, associations, leagues, federations and, in particular, by the new religious orders founded in the nineteenth century to combat poverty, disease and the need for better education. In 1891, the papal magisterium intervened with the Encyclical Rerum Novarum of Leo XIII. This was followed in 1931 by Pius XI's Encyclical Quadragesimo Anno. In 1961 Blessed John XXIII published the Encyclical Mater et Magistra, while Paul VI, in the Encyclical Populorum Progressio (1967) and in the Apostolic Letter Octogesima Adveniens (1971), insistently addressed the social problem, which had meanwhile become especially acute in Latin America. My great predecessor John Paul II left us a trilogy of social Encyclicals: Laborem Exercens (1981), Sollicitudo Rei Socialis (1987) and finally Centesimus Annus (1991). Faced with new situations and issues, Catholic social teaching thus gradually developed, and has now found a comprehensive presentation in the Compendium of the Social Doctrine of the Church published in 2004 by the Pontifical Council Iustitia et Pax. Marxism had seen world revolution and its preliminaries as the panacea for the social problem: revolution and the subsequent collectivization of the means of production, so it was claimed, would immediately change things for the better. This illusion has vanished. In today's complex situation, not least because of the growth of a globalized economy, the Church's social doctrine has become a set of fundamental guidelines offering approaches that are valid even beyond the confines of the Church: in the face of ongoing development these guidelines need to be addressed in the context of dialogue with all those seriously concerned for humanity and for the world in which we live.

 

28. In order to define more accurat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cessary commitment to justice and the ministry of charity, two fundamental situations need to be considered:

 

a) The just ordering of society and the State is a central responsibility of politics. As Augustine once said, a State which is not governed according to justice would be just a bunch of thieves: “Remota itaque iustitia quid sunt regna nisi magna latrocinia?”. Fundamental to Christianity is the distinction between what belongs to Caesar and what belongs to God (cf. Mt 22:21), in other words, the distinc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or, as the Second Vatican Council puts it, the autonomy of the temporal sphere. The State may not impose religion, yet it must guarantee religious freedom and harmony between the followers of different religions. For her part, the Church, as the social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has a proper independence and is structured on the basis of her faith as a community which the State must recognize. The two spheres are distinct, yet always interrelated.

 

Justice is both the aim and the intrinsic criterion of all politics. Politics is more than a mere mechanism for defining the rules of public life: its origin and its goal are found in justice, which by its very nature has to do with ethics. The State must inevitably face the question of how justice can be achieved here and now. But this presupposes an even more radical question: what is justice? The problem is one of practical reason; but if reason is to be exercised properly, it must undergo constant purification, since it can never be completely free of the danger of a certain ethical blindness caused by the dazzling effect of power and special interests.

 

Here politics and faith meet. Faith by its specific nature is an encounter with the living God—an encounter opening up new horizons extending beyond the sphere of reason. But it is also a purifying force for reason itself. From God's standpoint, faith liberates reason from its blind spots and therefore helps it to be ever more fully itself. Faith enables reason to do its work more effectively and to see its proper object more clearly. This is where Catholic social doctrine has its place: it has no intention of giving the Church power over the State. Even less is it an attempt to impose on those who do not share the faith ways of thinking and modes of conduct proper to faith. Its aim is simply to help purify reason and to contribute, here and now, to the acknowledgment and attainment of what is just.

 

The Church's social teaching argues on the basis of reason and natural law, namely, on the basis of what is in accord with the nature of every human being. It recognizes that it is not the Church's responsibility to make this teaching prevail in political life. Rather, the Church wishes to help form consciences in political life and to stimulate greater insight into the authentic requirements of justice as well as greater readiness to act accordingly, even when this might involve conflict with situations of personal interest. Building a just social and civil order, wherein each person receives what is his or her due, is an essential task which every generation must take up anew. As a political task, this cannot be the Church's immediate responsibility. Yet, since it is also a most important human responsibility, the Church is duty-bound to offer, through the purification of reason and through ethical formation, her own specific contribution towards understanding the requirements of justice and achieving them politically.

 

The Church cannot and must not take upon herself the political battle to bring about the most just society possible. She cannot and must not replace the State. Yet at the same time she cannot and must not remain on the sidelines in the fight for justice. She has to play her part through rational argument and she has to reawaken the spiritual energy without which justice, which always demands sacrifice, cannot prevail and prosper. A just society must be the achievement of politics, not of the Church. Yet the promotion of justice through efforts to bring about openness of mind and will to the demands of the common good is something which concerns the Church deeply.

 

b) Love—caritas—will always prove necessary, even in the most just society. There is no ordering of the State so just that it can eliminate the need for a service of love. Whoever wants to eliminate love is preparing to eliminate man as such. There will always be suffering which cries out for consolation and help. There will always be loneliness. There will always be situations of material need where help in the form of concrete love of neighbour is indispensable. The State which would provide everything, absorbing everything into itself, would ultimately become a mere bureaucracy incapable of guaranteeing the very thing which the suffering person—every person—needs: namely, loving personal concern. We do not need a State which regulates and controls everything, but a State which,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generously acknowledges and supports initiatives arising from the different social forces and combines spontaneity with closeness to those in need. The Church is one of those living forces: she is alive with the love enkindled by the Spirit of Christ. This love does not simply offer people material help, but refreshment and care for their souls, something which often is even more necessary than material support. In the end, the claim that just social structures would make works of charity superfluous masks a materialist conception of man: the mistaken notion that man can live “by bread alone” (Mt 4:4; cf. Dt 8:3)—a conviction that demeans man and ultimately disregards all that is specifically human.

 

29. We can now determine more precisely, in the life of the Church,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he just ordering of the State and society on the one hand, and organized charitable activity on the other. We have seen that the formation of just structures is not directly the duty of the Church, but belongs to the world of politics, the sphere of the autonomous use of reason. The Church has an indirect duty here, in that she is called to contribute to the purification of reason and to the reawakening of those moral forces without which just structures are neither established nor prove effective in the long run.

 

The direct duty to work for a just ordering of society, on the other hand, is proper to the lay faithful. As citizens of the State, they are called to take part in public life in a personal capacity. So they cannot relinquish their participation “in the many different economic, social,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cultural areas, which are intended to promote organically and institutionally the common good.”The mission of the lay faithful is therefore to configure social life correctly, respecting its legitimate autonomy and cooperating with other citizen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ompetences and fulfilling their own responsibility. Even if the specific expressions of ecclesial charity can never be confused with the activity of the State, it still remains true that charity must animate the entire lives of the lay faithful and therefore also their political activity, lived as “social charity”.

 

The Church's charitable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constitute an opus proprium, a task agreeable to her, in which she does not cooperate collaterally, but acts as a subject with direct responsibility, doing what corresponds to her nature. The Church can never be exempted from practising charity as an organized activity of believers, and on the other hand, there will never be a situation where the charity of each individual Christian is unnecessary, because in addition to justice man needs, and will always need, love.

----------

 

참고: 다음의 내용 또한 읽어보십시요:

 

31 나) 그리스도인의 사랑 실천은 당파와 이념에서 벗어나 있어야 합니다. 이 사랑 실천은 세상을 이념적으로 변화시키는 수단이 아니며 세상의 전략에 일조하는 것도 아니고, 인간에게 언제나 필요한 사랑을 지금 여기에 현존하게 하는 한 방법입니다. 현대에는, 특히 19세기 이래로 다양한 진보 철학 사조들이 있어 왔으며, 그 가운데 가장 급진적인 형태가 마르크스주의입니다. 마르크스주의의 전략 가운데 하나가 궁핍화 이론입니다. 곧, 불의한 권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선 활동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은, 불의한 제도를 적어도 어느 정도는 견딜 만한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실제로는 그러한 제도에 기여한다는 주장입니다. 이는 혁명 가능성을 더디게 하여, 더 나은 세상을 위한 투쟁을 가로막는다는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자선 활동은 현상 유지를 위한 수단이라는 공격을 받고 거부됩니다. 그러나 이는 참으로 비인간적인 철학입니다. 현재를 사는 사람들이 미래, 그 효과적인 실현이 지극히 의심스러운 미래의‘몰록(Moloch) ’ 에게 희생되고 있습니다. 바로 지금 여기에서 인간답게 행동하기를 거부해서는 더욱 인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없습니다. 당파적인 전략과 원칙에서 벗어나, 기회가 닿는 대로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곳에서 온전히 헌신하여 지금 직접 선행을 할 때에만 우리는 비로소 더 나은 세상을 위하여 무언가 이바지할 수 있습니다. 착한 사마리아인의 원칙이며 예수님의 원칙인 그리스도인의 원칙은‘보는 마음’ 입니다. 이 마음은 사랑의 활동이 필요한 곳이 어디인지 보고 거기에 따라 알맞은 행동을 합니다. 분명한 것은, 교회가 공동체 행위로서 사랑을 실천할 때에는, 개인의 자발성에 더하여 계획과 전망, 다른 비슷한 기관들과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31 b) Christian charitable activity must be independent of parties and ideologies. It is not a means of changing the world ideologically, and it is not at the service of worldly stratagems, but it is a way of making present here and now the love which man always needs. The modern age, particularly from the nineteenth century on, has been dominated by various versions of a philosophy of progress whose most radical form is Marxism. Part of Marxist strategy is the theory of impoverishment: in a situation of unjust power, it is claimed, anyone who engages in charitable initiatives is actually serving that unjust system, making it appear at least to some extent tolerable. This in turn slows down a potential revolution and thus blocks the struggle for a better world. Seen in this way, charity is rejected and attacked as a means of preserving the status quo. What we have here, though, is really an inhuman philosophy. People of the present are sacrificed to the moloch of the future—a future whose effective realization is at best doubtful. One does not make the world more human by refusing to act humanely here and now. We contribute to a better world only by personally doing good now, with full commitment and wherever we have the opportunity, independently of partisan strategies and programmes. The Christian's programme —the programme of the Good Samaritan, the programme of Jesus—is “a heart which sees”. This heart sees where love is needed and acts accordingly. Obviously when charitable activity is carried out by the Church as a communitarian initiative, the spontaneity of individuals must be combined with planning, foresight and cooperation with other similar institutions.

---------------

 

참고: 작년 가을쯤에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세 번째 회칙으로 선포될 예정인, "가톨릭 사회 교리"의 현대 사회의 문제들에의 적용에 대한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가르침(제목: Caritas in Veritate, Love in Truth)은, 아마도 중국어로의 번역 때문인지 혹은 요즈음의 세계 경제의 어려움 때문인지, 지금까지 배포가 미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미 이 세 번째 회칙은 이냐시오 출판사에서 겉표지 및 안내문까지 제공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인쇄도 완료한 상태인 듯 하며, 단지 배포만 미루고 있는 듯 합니다). 다음의 자료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자료 1:

The Pope's Third Encyclical

 

The tentative title of the Pope's third encyclical is “Caritas in Veritate,” “Love In Truth”, reports La Repubblica. It's focus will be on Catholic social teaching, touching on issues as varied as poverty, peace, wars, international cooperation, energy sources, and globalization.

 

According to Cardinal Bertone, the Pope will complete his third encyclical over the European summer, with publication scheduled in the fall:

In his encyclical, the cardinal said, "[Pope Benedict] does not want to repeat obvious truths of Catholic social teaching," but will apply Church teachings to contemporary problems.

Il Giornale's Andrea Tornielli reported last week that the committee working with the Pope on the encyclical includes the Pope's recently named successor as archbishop of Munich and Freising, Reinhard Marx, a specialist in Catholic social teaching, the top two officials of the Pontifical Council for Justice and Peace, Cardinal Renato Martino and Bishop Giampaolo Crepaldi, and Stefano Zamagni, a lay Italian economist.

 출처: http://www.ratzingerfanclub.com/blog/2008_06_01_ratzingerfanclub_archive.html

 

참고 자료 2:

Editorial Reviews

Product Description
Pope Benedict's third encyclical, Love in Truth("Caritas in Veritate"), applies the themes of his first two encyclicals --love and hope (God is Love, Saved in Hope) -- to the world's major social issues. Drawing on moral truths open in principle to everyone (the natural law) as well as on the teaching of the gospel (revelation), Pope Benedict addresses Catholics and non-Catholics alike, challenging us all to recognize and then to confront the social evils of our day.


The first part of the encyclical examines the dynamic teaching of Benedict's predecessors, Pope Paul VI and Pope John Paul II. Both men contributed greatly to the body of doctrine known as "Catholic social teaching". Both men challenged the simplistic division of political perspectives into "conservative" and "liberal", and "right" and "left". Both men were convinced that the natural moral law and the teaching of the Gospel were indispensable for a world in desperate search of hope and meaning.

 

In part two, Benedict surveys the social issues that confront the human race today--assaults on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such as the attack on human life, poverty, issues of war and peace, terrorism, globalization, and environmental concerns. Benedict provides sound moral principles to address thes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and to promote a culture of life and genuine peace.

 

Far from being a partisan political tract, Love in Truth avoids the posturing that dominates so much political discourse, yet without compromising the truth or love. In this outstanding work, Pope Benedict shows us why so many observers regard him as the world's leading moral voice, and one of the most insightful and profound social/political thinkers of our day.


출처: http://www.amazon.com/Love-Truth-Pope-Benedict-XVI/dp/1586172808

[내용 추가 일자: 2010년 12월 17일]

참고 자료 3: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세 번째 회칙 [제목: "진리 안의 사랑 (Caritas in Veritate)"]의 우리말 번역문 전문 및 영어 전문은 다음에 있습니다:

 

우리말 번역문으로 바로가기 (클릭하십시오)
영어본으로 바로가기 (클릭하십시오)

 

다음은 이 회칙의 제6항 및 제7항 전문입니다. 차분히 잘 읽어 보실 것을 적극 권고합니다:

 

6. 진리 안의 사랑은 교회의 사회 교리가 중심으로 삼는 원칙입니다. 이 원칙은 도덕적 행위를 규정하는 기준에서 구체적인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저는 이 원칙 중 특히 두 가지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는 점점 세계화되는 사회에서 발전을 위한 노력에 특별히 적합한 정의와 공동선입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정의입니다. 사회가 있는 곳에 법이 있습니다(Ubi societas, ibi ius) . 모든 사회는 고유한 정의의 제도를 세웁니다. 사랑은 정의를 넘어서는 것입니다. 사랑은 주는 것, 곧‘나의 것’ 을 남에게 내어 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사랑에는 결코 정의가 부족하지 않습니다. 정의는 남에게‘그의 것’, 곧 그의 존재와 행위를 근거로 그가 받아 마땅한 것을 그에게 주는 것입니다. 정의에 따라, 남에게 속한 것을 먼저 그에게 주지 않는다면‘나의 것’ 을 남에게‘줄’수 없습니다. 우리가 자선을 통해 다른 사람을 사랑하면 무엇보다도 우리는 그에게 정의를 실천하는 것입니다. 정의는 사랑과 무관하지 않고, 사랑을 대신하거나 사랑과 병행하는 것이 아닐 뿐 아니라, 정의는 사랑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며, 1) 사랑에 본질적으로 내재하는 것입니다. 정의는 사랑의 첫걸음이고, 바오로 6세의 말씀대로 사랑의“최소 척도” 2)이며, 요한 사도의 권고대로“행동으로 진리 안에서” (1요한 3,18) 하는 사랑의 필수적인 부분입니다. 한편으로 사랑은 정의를 요구합니다. 곧 개인과 민족의 합법적 권리를 인정하고 존중할 것을 요구합니다. 사랑은 법과 정의에 따라 지상의 도시를 건설하려고 노력합니다. 다른 한편으로 사랑은 정의를 초월하여 베풂과 용서의 논리로 정의를 완성합니다. 3) 지상의 도시는 권리와 의무의 관계로 세워질 뿐만 아니라, 감사와 자비와 친교의 관계를 통해서 더 커지고 더 튼튼해집니다. 사랑은 언제나 인간 관계를 통해 하느님의 사랑을 드러내고 이 세상의 정의를 위한 모든 노력에 신학적 구원적 가치를 부여합니다.

 

1) 바오로 6세, 회칙「민족들의 발전」 (Populorum Progressio), 1967.3.26., 22항, 『사도좌 관보』 (Acta Apostolicae Sedis: AAS) 59(1967), 268;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기쁨과 희망」 (Gaudium et Spes), 69항 참조.
2) 바오로 6세, 발전의 날 연설, 1968.8.23., AAS 60(1968), 626-627.
3) 요한 바오로 2세, 2002년 세계 평화의 날 담화, AAS 94(2002), 132-140 참조.

 

7.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하는 또 다른 주제는 공동선입니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일은 그 사람의 선을 바라며, 그 선을 확보하는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입니다. 개인적 선 이외에, 사회생활과 관련된 선, 곧 공동선이 있습니다. 이는 개인, 가정, 중간 집단이 함께 모여 사회를 이루고 있는, ‘우리 모두’ 의 선입니다. 4) 공동선은 자기 자신이 아니라 사회 공동체에 속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추구하는 선입니다. 공동체 안에서만 실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자신의 선을 추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공동선을 바라고 추구하는 것은 정의와 사랑의 요구입니다. 공동선을 위하여 노력하는 것은 사회생활에 법률적,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틀을 마련하여 도시(pólis) 또는‘국가’ 를 형성하는 총체적 제도에 한편으로는 정성을 기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제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우리 이웃의 실질적 요구에 부응하는 공동선을 보장하려는 노력을 하면 할수록 우리는 이웃을 더 효과적으로 사랑하게 됩니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직업과 사회적 역량에 따라 그러한 사랑을 실천하도록 부름 받았습니다. 이는 사랑을 실천하는 제도적인 방법으로서 - 정치적인 방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 국가의 제도적인 중개 없이 이웃에게 직접 실천하는 사랑에 못지않게 탁월하고 효과적인 것입니다. 공동선을 위한 노력이 사랑으로 활성화되면 단순한 세속적 정치적 활동보다 더 값어치 있는 것이 됩니다. 그러한 노력은 정의를 위한 모든 노력과 마찬가지로 현세 활동을 통하여 영원으로 나아가는 길을 닦는 하느님 사랑에 대한 증언이 됩니다. 인간의 지상 활동이 사랑으로 일어나고 유지되면 인류 가족의 역사가 나아가는 목표인 보편적인 하느님 도성의 건설에 기여하게 됩니다. 점점 세계화되는 사회에서 공동선과 이를 위한 노력은 인류 가족 전체, 곧 민족들과 국가들의 공동체 5)라는 차원을 포함하지 않을 수 없으며, 그렇게 하여 일치와 평화 속에서 지상 국가를 이루는 것은 어느 모로 국경이 없는 하느님 도성의 선취와 예형이 됩니다.

 

4) 사목 헌장 26항 참조.
5) 요한 23세,  회칙「지상의 평화」 (Pacem in Terris),  1963.4.11.,  AAS 55(1963), 268-270 참조.

 

6.Caritas in veritate” is the principle around which the Church's social doctrine turns, a principle that takes on practical form in the criteria that govern moral action. I would like to consider two of these in particular, of special relevance to the commitment to development in an increasingly globalized society: justice and the common good.

 

First of all, justice. Ubi societas, ibi ius: every society draws up its own system of justice. Charity goes beyond justice, because to love is to give, to offer what is “mine” to the other; but it never lacks justice, which prompts us to give the other what is “his”, what is due to him by reason of his being or his acting. I cannot “give” what is mine to the other, without first giving him what pertains to him in justice. If we love others with charity, then first of all we are just towards them. Not only is justice not extraneous to charity, not only is it not an alternative or parallel path to charity: justice is inseparable from charity[1], and intrinsic to it. Justice is the primary way of charity or, in Paul VI's words, “the minimum measure” of it[2], an integral part of the love “in deed and in truth” (1 Jn 3:18), to which Saint John exhorts us. On the one hand, charity demands justice: recognition and respect for the legitimate rights of individuals and peoples. It strives to build the earthly city according to law and justice. On the other hand, charity transcends justice and completes it in the logic of giving and forgiving[3]. The earthly city is promoted not merely by relationships of rights and duties, but to an even greater and more fundamental extent by relationships of gratuitousness, mercy and communion. Charity always manifests God's love in human relationships as well, it gives theological and salvific value to all commitment for justice in the world.

 

7. Another important consideration is the common good. To love someone is to desire that person's good and to take effective steps to secure it. Besides the good of the individual, there is a good that is linked to living in society: the common good. It is the good of “all of us”, made up of individuals, families and intermediate groups who together constitute society[4]. It is a good that is sought not for its own sake, but for the people who belong to the social community and who can only really and effectively pursue their good within it. To desire the common good and strive towards it is a requirement of justice and charity. To take a stand for the common good is on the one hand to be solicitous for, and on the other hand to avail oneself of, that complex of institutions that give structure to the life of society, juridically, civilly, politically and culturally, making it the pólis, or “city”. The more we strive to secure a common good corresponding to the real needs of our neighbours, the more effectively we love them. Every Christian is called to practise this charity,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his vocation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fluence he wields in the pólis. This is the institutional path — we might also call it the political path — of charity, no less excellent and effective than the kind of charity which encounters the neighbour directly, outside the institutional mediation of the pólis. When animated by charity, commitment to the common good has greater worth than a merely secular and political stand would have. Like all commitment to justice, it has a place within the testimony of divine charity that paves the way for eternity through temporal action. Man's earthly activity, when inspired and sustained by charity, contributes to the building of the universal city of God, which is the goal of the history of the human family. In an increasingly globalized society, the common good and the effort to obtain it cannot fail to assume the dimensions of the whole human family, that is to say, the community of peoples and nations[5], in such a way as to shape the earthly city in unity and peace, rendering it to some degree an anticipation and a prefiguration of the undivided city of God.
[이상, 내용 추가 끝].

 

-------------------
이 글을 준비하는 데에 소요된 시간: 약 10시간
작성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

 

소순태 (sunsoh) (2009/02/02) :

 

아무에게도 사람의 생명을 좌지우지할 권한은 없다.
사람의 생명은 사람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천주께서 주신 생명이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사람의 생존권은 보장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 인간들이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하여 내세우는 정의"는, 그 동기와 내용이 아무리 순수하다 하더라도, 어떠한 경우에도 결코 정의가 아니고, 오히려 예상 밖의 강도로, 이번의 사태에서와 같이, 악마를 우리들 마음에 불러들이기도 한다는 생각입니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빠져버린 정의는 이미 정의가 아닙니다. 꼭 잊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숨 쉬면서 할 수 있는 일이란게 뭐가 있을까요?] <----- 사람들 사이의 갈등/분열의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통하여 가르치는 정의(justice)의 정의(definition)부터 모두들 잘 학습하셔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정의(justice)의 정의(definition)와 그 적용 예들.. (클릭하십시요)

 

그리고 자유의지 말씀하셨는데,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방향을 우선 잘 아셔야 할 것입니다. 특히 정의(justice)의 정의(definition)에 대한 공감이 없으면, 각자의 자유의지의 발휘 끝에, 이번의 사태보다 더 참혹한 일들도 벌어질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 ... 그외의 모든 정의는 주관이고 해석이겠지요.] <----- 지금 말씀하신 것이 아니라고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분명하게 가르치고 있는데, 위의 파란색 글을 차근 차근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사추덕(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하나인 정의(justice)는 결코 나를 위한, 내 생각, 내 주장의 일리있음을 위한 덕이 아닙니다. 이 부분에 동의만 이루어져도 이 사회에 많은 변화가 뒤따를 것입니다.

 

소순태 (sunsoh) (2009/02/03) : 하루 종일 공사 감독(?)하느라 늦게 들어 왔습니다만, 사제 한 분, 한 분은 신품성사로 성별된(sacred)된 거룩한(holy) 분들이시기에, 소속 교구장님으로부터 부여받지 아니한 직무 분야로서 특히 세속적 갈등이 분출되고 있는 첨예한 문제에 개인의 자격으로라도 지나치게 개입하는 것은, 일치를 매우 중요시 하는 전체 사제들의 성별됨과 거룩함에 훼손을 줄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러나, 설사 실제로 그러한 일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평신자가 일부 사제를 향하여 옷을 벗어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의 윤리덕(대인덕) 중의 하나인, "겸손"이라는 덕과는 싱딩힌 거리가 있기에, 매우 곤란하다는 생각입니다.

 

무엇인가 답답한 것이 있으면 상대방과 대화를 하여야 하는데, 건전한 대화란, 일리가 있는 것은 받아들이고 일리가 없는 것은 받아들이지 않는 대화일 것입니다. 그리고 건전하지 않은 대화란, 일리가 있더라도 받아들이지 않고 또 일리가 없다 싶으면 약점으로 계속 말꼬리를 잡는 대화일 것입니다. 그런데 요즈음 이곳 자게판에서는, 지내 놓고 보면 시간 낭비였다는 것을 알게 될, 건전하지 않은 대화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 같아, 상당히 아쉽습니다. 그리고 대화는 어떠한 경우에도 단죄가 아닌데.., 자꾸 그런 해서는 안되는 극언을 하시는 분들도 계셔,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소속 본당 주임신부님께 여쭈면, "교형 자매에게 그런 말, 표현을 하면 안된다"고 말씀하실 그러한 말, 표현들을 이곳 자게판에서 굳이 애용하시는 분들도 계시는 것 같습니다.

 

자신이 생각없이 던진 좋지 않은 말과 글이 자신의 마음에 나쁜 형상을 만들기에, 매우 조심하여야 할 것입니다. 자신의 마음에 새겨진 나쁜 형상을 닦아내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닐 것이기 때문입니다.

 

소순태 (sunsoh) (2009/02/06) :
요한 1서 3,14 우리는 형제들을 사랑하기 때문에 우리가 이미 죽음에서 생명으로 건너갔다는 것을 압니다. 사랑하지 않는 자는 죽음 안에 그대로 머물러 있습니다.

 

요한 1서 3,15 자기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모두 살인자입니다. 그리고 여러분도 알다시피, 살인자는 아무도 자기 안에 영원한 생명을 지니고 있지 않습니다.

 

요한 1서 4,20 누가 “나는 하느님을 사랑한다.” 하면서 자기 형제를 미워하면, 그는 거짓말쟁이입니다. 눈에 보이는 자기 형제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보이지 않는 하느님을 사랑할 수는 없습니다.

 

요한 1서 4,21 우리가 그분에게서 받은 계명은 이것입니다.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람은 자기 형제도 사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04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