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5,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06 ㅣ No.1813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3.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5 장   산천(*0)

 

 1 岱嶽嶔嶷       대악금억         우람하게 솟은 태산

                                 태산(泰山)은 높고 험한데다

                     대악[岱嶽, 태산(泰山)]은 험하고 높으며()

 

주 35-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岱嶽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상당히 드물게(즉, 2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2%B1%E5%B6%BD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2%B1%E5%B6%BD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岱嶽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2%b1%e5%b2%b3&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中國地名辭源"에 주어진 岱嶽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0-m300-w001-077&ei=5EE15FC2740914DFF2CDE3795BE8D36C905A0808A9D639E9B04D3228BEDAD99C7398D76D8A8ED964&cult=TW&bv=1

(발췌 시작)

岱岳——泰山

 

    泰山在山東中部。聳立于華北平原上,頗顯高峻。古人云:“山以岳尊,岳為東最。”泰山為“五岳獨尊”,古以為諸山所宗,故有“岱岳”、“岱宗”之稱。

(이상, 발췌 끝)

 

주 35-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嶔嶷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6%94%E5%B6%B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6%94%E5%B6%B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嶔嶷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딘어를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2 渭川迢遞       위천초체         아득히 흐르는 위수

                                 위수(渭水)는 아득히 흐르나니

                  위천[渭川, 위수(渭水)]은 굽이지며 까마득히 멀리 흐르니(迢遞)

 

주 35-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渭川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4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8%AD%E5%B7%9D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8%AD%E5%B7%9D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渭川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8%ad%e5%b7%9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渭川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8BB8077BC64AC536E4CA09BB54B1745&cult=TW&bv=1

(발췌 시작)

渭川

 

    【1】樂曲名。{唐}{鄭處誨}《明皇雜錄》卷四:“{彭年}善舞﹐{鶴年}﹑{龜年}善歌﹐尤妙製《渭川》。”【2】即{渭水}。亦泛指{渭水}流域。{唐}{孟浩然}《登總持寺浮圖》詩:“竹遶{渭川}遍﹐山連{上苑}斜。”《史記·貨殖列傳》:“{陳}{夏}千畝漆;{齊}{魯}千畝桑麻;{渭川}千畝竹……此其人皆與千戶侯等。”{明}{方孝孺}《友筠軒賦》:“{渭川}致乎斯景﹐{黃崗}寓乎此身。”

(이상, 발췌 끝)

 

주 35-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迢遞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더러(즉, 22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F%A2%E9%81%9E%2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F%A2%E9%81%9E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迢遞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f%a2%e9%80%92&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迢遞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3E2A94B26A23D86F9B828968204D916&cult=TW&bv=1

(발췌 시작)

迢遞

 

    亦作“[迢遞]”亦作“[迢逓]”亦作“[迢遰]”【1】曲折貌。《陳書·江總傳》:“喜園迢遰﹐樂樹扶疎。”{元}{楊載}《詩法家數·七言古詩》:“七言古詩﹐要鋪敍﹐要有開合﹐有風度﹐要迢遞險怪﹐雄俊鏗鏘﹐忌庸俗軟腐。”【2】連綿不絕貌。{唐}{楊巨源}《送絳州盧使君》詩:“朱欄迢遞因高勝﹐粉堞清明欲下遲。”{清}{紀昀}《閱微草堂筆記·如是我聞二》:“山圍草木翠煙平﹐迢遰新城接舊城。”{南朝} {梁}{沈約}《九日侍宴樂游苑》詩:“虹旌迢逓﹐翠華葳蕤。”【3】指思慮悠遠。《初刻拍案驚奇》卷九:“望上林何日得雙棲﹐心迢遞。”{明}{梅鼎祚}《玉合記·詗約》:“當此春景融和﹐不奈鄉心迢遞。”【4】遙遠貌。{三國} {魏}{嵇康}《琴賦》:“指{蒼梧}之迢遞﹐臨迴江之威夷。”{章炳麟}《東夷詩》之三:“三步復五步﹐京市亦迢遰。”{王統照}《牧羊兒》詩:“故鄉迢遞。”{唐}{杜甫}《送樊二十三侍御赴漢中判官》詩:“居人莽牢落﹐遊子方迢遰。”{清}{孫枝蔚}《坐逆風船同趙天醉作》詩:“水程迢逓日將晡﹐風伯顛狂雨又俱。”{元}{劉君錫}《來生債》第二折:“怎熬的程途迢遞﹐更和那風雨瀟疎。”{唐}{歐陽詹}《蜀中將回留辭韋相公》詩:“明晨首鄉路﹐迢逓孤飛翼。”{明}{何景明}《辰溪縣》詩:“蠻音聞漸異﹐迢遞鄉愁。”【5】高峻貌。{晉}{陶潛}《讀<山海經>》詩之三:“迢遞{槐江嶺}﹐是爲{玄圃}丘。”{蘇曼殊}《無題》詩之二:“寄語{麻姑}要珍重﹐鳳樓迢遞燕應迷。”{南朝} {齊}{謝朓}《郡內高齋閑坐答呂法曹》詩:“結構何迢遰﹐曠望極高深。”{南朝} {梁}{王錫}《宿山寺賦》:“延層軒之迢逓﹐屬廣廡之踟躕。”{宋}{司馬光}《王君貺宣徽垂示<嵩山祈雪詩>十章合為一篇以酬之》:“山椒迢遰峻無極﹐行挽枯藤蹋危石。”【6】婉轉貌。{瞿秋白}《赤都心史》二七:“有一人奏攜琴﹐一人奏繁華令相和﹐風雷疾轉﹐泉漏鏗鏘……最動人處卻在抑揚迢遞間寫得人心弦上的言語。”{宋}{丘崈}《夜行船·越上作》詞:“恣樂追涼日暮﹐簫鼓月明人去﹐猶有清歌迢逓﹐聲在芰荷深處。”【7】時間久長貌。{唐}{韋應物}《春宵燕萬年吉少府南館》詩:“河漢上縱橫﹐春城夜迢遞。”{唐}{元稹}《古決絕詞》之三:“一去又一年﹐一年何可徹。有此迢遞期﹐不如死生別!”

(이상, 발췌 끝)


 3 鑿險覓津       착험멱진         험로 뚫고 나루 찾아

         험한 곳에 길 뚫고 나루 찾아내/(2017년 7월 20일) 험한 곳 뚫어 길 내고 나루 찾아

     험하여 가로막힌 곳(, 주: 한한대사전) 뚫고() 나루() 찾아()

 

주 35-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鑿險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1%BF%E9%9A%AA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1%BF%E9%9A%AA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鑿險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7%bf%e9%99%a9&st=3

 

주 35-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覓津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6%93%E6%B4%A5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6%93%E6%B4%A5


 4 陟涉攀躋       척섭반제         산 오르고 물 건너네

                                 오르고 건너느라 매달리고 기었도다

                산 넘고 물 건너 길을 감(陟涉)이 더위잡아 오름(攀躋)일세

 

주 35-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陟涉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9%9F%E6%B6%89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9%9F%E6%B6%8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陟涉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陟涉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B242BD56A21B73B9C5299333E1A656C&cult=TW&bv=1

(발췌 시작)

陟涉

 

    【1】跋涉。{五代}{梁宣帝} 《游七山寺賦》:“承興序而陟涉﹐聊盤桓而騰騁。”

(이상, 발췌 끝)

 

주 35-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攀躋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4%80%E8%BA%8B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4%80%E8%BA%8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攀躋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4%80%e8%b7%b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攀躋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E92C367763900794FD5C8C47AB68E9E&cult=TW&bv=1

(발췌 시작)

攀躋

 

    亦作“[攀隮]”【1】猶攀登。{清}{戴名世}《<野香亭詩集>序》:“余讀相國之詩﹐雄健峭削﹐如長松千尋﹐孤峯萬仞﹐而不可攀躋也。”{唐}{孟郊}《和皇甫判官游瑯琊溪》:“唯當清宵夢﹐髣髴願攀躋。”{宋}{陸游}《宿上清宮》詩:“盤蔬采掇多靈藥﹐閣道攀隮出半空。”{康有為}《大同書》乙部第二章:“自平原以至山巔﹐必經山麓之攀躋乃能登焉。”{三國} {魏}{劉劭}《人物志·體別》:“休動磊落﹐業在攀躋﹐失在疏越。”

(이상, 발췌 끝)


 5 嶂翠排螺       장취배라         소라처럼 펼친 산맥

                                 소라처럼 펼쳐진 푸른 산들

     병풍처럼 늘어진 험준한 산봉우리()들은 비취색() 늘어선() 소라()이고/같고 

 

주 35-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嶂翠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6%82%E7%BF%A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6%82%E7%BF%A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嶂翠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6%82%e7%bf%a0&st=3

 

주 35-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排螺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E%92%E8%9E%BA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E%92%E8%9E%BA


 6 潮黃駛驥       조황사기         밀려오는 바다 조수

                                 말달리듯 흐르는 누런 강물

 조수처럼 거세게 오르락 내라락함(, 주: 한한대사전)은 누런빛() 달리는() 천리마()이더라(*)

 

-----

(*) (2017년 7월 20일) 유교수 주: "누런빛() 달리는() 천리마()"은 위수를 말한다.

-----

 

주 35-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潮黃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D%AE%E9%BB%83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D%AE%E9%BB%83

 

주 35-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駛驥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7%9B%E9%A9%A5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7%9B%E9%A9%A5


 7 玄幻巧臻       현환교진         현묘함에 눈 미치면

    현묘(玄妙)한 변화가 교묘하기에/(2017년 7월 20일) 현묘(玄妙)한 변화가 지극하기에

    허황하여 추측할 수 없음(玄幻), 주: 한한대사전)이 교묘()의 극치에 달하기에(, 주: 한한대사전)

 

주 35-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玄幻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E%84%E5%B9%BB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E%84%E5%B9%BB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玄幻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7A1220A6409B9EAC6A01B7A3D0FCD00&cult=TW&bv=1

(발췌 시작)

玄幻

 

    【1】虛幻莫測;神奇變幻。{清}{陳確}《與劉伯繩書》:“所謂性而容説者﹐恰好在何處耶?較佛氏之説﹐更加玄幻矣。”{茅盾}《路》三:“忽地他又自己笑了。詫異自己的感念竟會如此玄幻。”【2】指精神活動,想象。{老舍}《二馬》第五段三:“他的世界里只有工作﹐沒有理想;只有男女﹐沒有愛情;只有物質﹐沒有玄幻;只有顏色﹐沒有美術。”

(이상, 발췌 끝)

 

주 35-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巧臻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7%A7%E8%87%BB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7%A7%E8%87%B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8 佳玩攸寄       가완유기         주님 신비 놀라워라

              바라보며 아름다움 구경하노라/(2017년 7월 20일) 바라보며 아름답다 하노라

        아름다움()이 희롱하는() 바()에 부치나니라()

 

주 35-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佳玩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D%B3%E7%8E%A9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D%B3%E7%8E%A9

 

주 35-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攸寄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4%B8%E5%AF%8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4%B8%E5%AF%84

 


右節, 山川之奇幻, 具見匠心, 人當推上主之功能,
우절, 산천지기환, 구견장심, 인당추상주지공능,


勿徒羨佳玩之寄也.
물도선가완지기야.


岱嶽, 泰山名山之宗也. 嶔嶷, 聳立貌. 渭, 水名. 迢遞, 闊也.
대악, 태산명산지종야, 금억, 용립모. 위, 수명. 초체, 활야.


登山曰, 陟. 履水曰, 涉. 排螺, 言諸山排列如螺也.
등산왈, 척. 이수왈, 섭. 배라, 언제산배열여라야.


駛驥, 潮來迅急, 如驥之駛也. 臻, 至也.
사기, 조래신급, 여기지사야. 진, 지야.

 

윗절은 산천의 기기묘묘한 모습을 보며 그 만든 사람/(2017년 7월 20일)의 뜻을 알 수 있듯이/(2017년 7월 20일)있으니 인간은 마땅히 상주의 뛰어난 업적을 추리하되 그 아름다움을 잊지 못하여 지상 보화에만 매혹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대악(岱嶽)은 태산의 다른 이름이며 산의 으뜸이다. 금억(嶔嶷)은 산이 용립한 모양이고, 위(渭)는 물 이름이며, 초체(迢遞)는 멀고 광활함이다. 산에 오르는 것을 척(陟)이라 하고 물을 건넘을 섭(涉)이라 한다. 배라(排螺)는 많은 산의 배열됨이 소라 같음을 말한 것이다. 사기(駛驥)는 조수의 왕래와 빠르고 급함이 마치 천리마가 달리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진(臻)은 이른다/(2017년 7월 20일)지극하다는 뜻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367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