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초정 박제가 작 이벽 성조 애도시 楚亭 朴齊家 作 李德操 蘖 哀悼詩 분석 및 졸역

인쇄

. [119.194.105.*]

2017-05-13 ㅣ No.1814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4.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楚亭 朴齊家 作 李德操 蘖 哀悼詩

초정 박제가 작 이덕조 벽  애도시

 

출처 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M&url=/itkcdb/text/nodeViewIframe.jsp?bizName=MM&seojiId=kc_mm_a583&gunchaId=av002&muncheId=01&finId=180&NodeId=&setid=1742854&Pos=0&TotalCount=11&searchUrl=ok  

출처 2: http://db.itkc.or.kr/itkcdb/text/mvMainListPopup.jsp?bizName=MV&mc=yes&signguboon=mv_s_all&seojititle=&seojiid=kc_mm_a583&gunchaid=av002&muntitleid=01&finid=180&fintitle=&startPage=&endPage=&xmlnodeid=kc_mm_a583-av002-01-180&setid=1742854&Pos=0&TotalCount=11 [원문 이미지]

(발췌 시작)

(이상, 발췌 끝)

출처 3: http://chonjinam.org/client/vsound/viw.asp?p_idx=365&cpage=4

 

게시자 주: (1) 바로 위에 발췌된 한시(漢詩)는 총 100개의 한자 낱글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g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을 사용하여 이 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어(詩語)들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이들 낱글자들 중의 약 4/5(즉, 80%)가 두 개의 낱글자들로 구성된 약 40개의 시어(詩語)들(주: 필자에 의하여 밑줄이 그어져 있음)임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이 글의 결론 1).

 

(2) (이 글의 결론 2) 따라서, 이들 시어(詩語)들의 정의(definitions)들/의미(meanings)들 우선적으로 올바르게 파악하여야만, 이 한시(漢詩)의 우리말 번역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1. 들어가면서

다음은 이어지는 제2항에서 수행한 시어(詩語)들의 구체적인 파악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번역한, 위의 출처들에 있는 초정 박제가 작  이벽 성조  애도시의 우리말 번역문 초벌입니다.

 

(이 글의 결론 3) 이 애도시는, 필자가 생각할 때에, 한 개의 연(聯, stanza)이 대비 형식인 두 개의 절들로 구성된, 총 다섯 개의 연(聯, stanza)들(1-2, 3-4, 5-6, 7-8, 9-10)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생각입니다:

 

(아래의 제2항에서 발췌 시작)

 1 晉人名理淸譚厥世。진인상명리, 청담난궐세

 

진나라 사람(晉人)들은 명리(名理)(*1-1)를 숭상하였고(尙), [그들의] 청담(淸譚)(*1-2)은 그 세대(厥世)(*1-3)를 어지럽혔으나(亂)  

 

-----

(*1-1) 한한대사전: 위(魏)진(晉) [南北朝時代] 이후 청담가(淸譚家)(#)들이 사물의 이름과 이치를 분석하던 이론.

 

(*1-2) "청담(淸譚)"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두산백과에 주어진 설명을 읽을 수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534&cid=40942&categoryId=39994 <----- 필독 권고

 

(*1-3) 바로 위의 (*1-2)에 제시된 설명에 의하면, 중국에서, 후한 말기 이후 세대를 말한다.

-----

 

 2 六合何嘗實際。덕조의육합, 하상이실제

 

덕조[德, 즉, 이벽(李)](*2-1)는 육합(六合, 천지사방)(*2-2)을 의논하였으니, [그대가] 어찌 경험하였겠는가(何嘗) 실제(實際)를 떠남을? 

 

----- 

(*2-1) 번역자 주: 박제가의 애도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벽 성조의 이름은 정확하지 않다. 이벽 성조의 이름에 사용되고 있는 한자 낱글자들은, 

(i) 족보에 기록된 이름,

(ii) 이벽 성조의 무덤 안에서 발견된 지석에 사용된 이름,

(iii)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글들 중에서 사용된 이름, 그리고

(iv) "덕조희필"에서 사용된 이벽 성조 자신이 기록한 자신의 이름, 

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데, 이들 모두는 변기영 몬시뇰께서 사료분석 등을 통하여 직접 고증하신 바이다[출처: 간추린 우리나라 천주교회 창립사, 제7장, 제43절 한국천주교회 창립자 세자 요한 광암 덕조 이벽성조의 인적사항, 제91-96쪽]: 이덕조(李德), 이벽(李).

 

(*2-2) 번역자 주: 이 시의 제4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천문 관측 기구인 "璣衡(기형)", 즉, "璇璣玉衡(선기옥형)", 즉, "渾天儀(혼천의)"의 일부인 "육합의()"를 독자들로 하여금 연상(聯想)하도록 하고자, 이 시어(詩語)를 사용하였다는 생각이다.

-----

 

匹夫時運破屋經濟。필부관시운, 파옥지경제

 

필부(匹夫)는 시대의 풍속(時運)에 관계하고, [그들에게] 무너진 집(破屋)은 경제(經濟)를 뜻하였으나

 

 4 胸中璣衡四海孤詣흉중대기형, 사해일고예

 

[그대의] 심장 가운데(胸中)(*4-1)에는 커다란(大) 기형(璣衡)(*4-2)이 있어, [그대에게] 사해(四海)는 하나의(一) 홀로 닦아 도달한 수양(孤詣)이었더라

 

-----

(*4-1) 번역자 주: "흉중"을 "가슴 가운데"로 번역할 수도 있을 것이나, "심장 가운데"로 번역한 것은,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제목: 주자(朱子)의 心은 마음(nous, mind)이 아니라 인간의 심장(heart)을 말한다] 에서,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心(심장) 에 대한 네 번째 설명에 근거한 것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5.htm <----- 필독 권고

 

(*4-2) 번역자 주: "璇璣玉衡(선기옥형)", 즉, "渾天儀(혼천의)"를 말한다.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 천문 관측 기구에 대한 더 자세한 안내의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4599&cid=40942&categoryId=32286

-----

 

 5 物物性體形形比例。물물유성체, 형형명비례

 

각 사물(物物)은 자신의 본성(性體)을 알려주고(喩, 주: 한한대사전), 각 형상(形形)은 비례(比例)를 밝혀주나(明, 주: 한한대사전) 

 

6 鴻荒諒未開。名言相契。홍황양미개, 명언숙상계

 

가장자리 멀리에 있는 거칠고 궁벽한 땅(鴻荒)이 아직 열리지 않음(未開)을 [그대는] 세심하게 살폈고(諒, 주: 한한대사전), 명언(名言)이 서로 사귀어 깊고 두터워짐(相契)에 [그대는] 익숙하였더라(孰) 

 

 7 天風鸚鵡翻成籠計。천풍취앵무, 번성출농계

 

하늘의 바람(天風)은 재주있는 선비(鸚鵡)를 내뿜고(吹, 주: 한한대사전), [그들의] 춤추며 나는() 성공()은 망라하는() 셈()을 내놓으나(出)

 

 8 遽廬殘夢靑山靈慧。거려파잔몽, 청산장영혜

 

군색한() 오두막집()은 [그대의] 잔몽(殘夢)을 분산시키고(罷), 청산(靑山)은 [그대의] 영묘(靈妙)한 지혜(靈慧)를 장사지내는구나()

 

 9 春秋暫停万化無非逝。춘추부잠정, 만화무비서

 

춘추(春秋)는 잠시라도 정지하지(暫停) 않고(不), 각종 변화(万化)는 지나가지 않음(非逝)이 없으나(無)

 

10 高嘯飛鴻乾坤雙涕。고소송비홍, 건곤암쌍체

 

고성소가(高聲嘯歌)(高嘯)는 [그대] 날아가는 기러기(飛鴻)를 보내고(送), 건곤(乾坤)은 양 눈물(雙涕)을 숨기는구나(暗) 

(이상, 아래의 제2항에서 발췌 끝) 

 

2. 번역 과정 

 

게시자 주 2: 각 절이 우리말로 번역되기 이전에, 이 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어(詩語)들의 구체적인 파악 그리고, 이미 수용(受容)된 그리하여 "한어대사전"에 제시된, 이들 시어(詩語)들 각각의 정의(definition)/의미(meaning)를 구체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주"들에 서술된 작업들, 즉,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선행(先行)되었습니다.(*) 그런 다음에, 각 절의 우리말 번역이, 또한 필자에 의하여, 진행되었습니다.

 

-----

(*) 게시자 주: 이들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제2단계, 그리고 제3단계 모두는, 설사 한자 낱글자를 전혀 모르는 자이더라도 아무런 어려움을 겪지 않으면서 반복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그야말로, 단순 작업들임에 반드시 주목하라.

 

바로 이 점이, 아래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t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주된 포인트(a main point)임을 또한 반드시 주목하라.

-----

 

 1 晉人名理淸譚厥世。진인상명리, 청담난궐세

 

진나라 사람(晉人)들은 명리(名理)(*1-1)를 숭상하였고(尙), [그들의] 청담(淸譚)(*1-2)은 그 세대(厥世)(*1-3)를 어지럽혔으나(亂) 


-----

(*1-1) 한한대사전: 위(魏)진(晉) [南北朝時代] 이후 청담가(淸譚家)(#)들이 사물의 이름과 이치를 분석하던 이론.

 

(*1-2) "청담(淸譚)"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두산백과에 주어진 설명을 읽을 수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6534&cid=40942&categoryId=39994 <----- 필독 권고

 

(*1-3) 바로 위의 (*1-2)에 제시된 설명에 의하면, 중국에서, 후한 말기 이후 세대를 말한다.

-----


주 1-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晉人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39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22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9%89%E4%BA%BA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9%89%E4%BA%BA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晉人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9%8b%e4%ba%ba&st=3


주 1-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名理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죽,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5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0%8D%E7%90%86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0%8D%E7%90%8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名理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90%8d%e7%90%8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名理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79BFB29A11FE3004F53248652CB9026&cult=TW&bv=1

(발췌 시작)

名理

 

    【1】名稱與道理。{馬王堆}{漢}墓帛書《經法·名理》:“審察名理名冬(終)始……能與(舉)冬始﹐故能循名廏(究)理。”帛書整理小組注:“‘理’下‘名’字疑衍文。”《鹖冠子·泰錄》:“泰一之道﹐九皇之傅﹐請成於泰始之末﹐見不詳事於名理之外。”{清}{王士禛}《池北偶談·談異六·羅漢》:“時癸丑會試舉人題……{米}歎其難。{羅漢}爲闡發傳註﹐名理燦然。”{郭沫若}《釋玄黃》:“焦的內含﹐可兼容黑﹑黃兩色﹐而足下使焦字與黑字相等﹐這恐怕在名理上說不過去吧。”【2】特指{魏}{晉}及其后清談家辨析事物名和理的是非同異。[졸번역: 특히 위(魏)나라와 진(晉)나라의 그리고 그 후의 청담가(清談家)들이 사물의 이름과 이치의 잘잘못과 같고 다름을 변별하고 분석함(辨析)을 일컫는다.] 《三國志·魏志·鍾會傳》:“及壯﹐有才數技藝﹐而博學精練名理。”《晉書·范汪傳》:“博學多通﹐善談名理。”

(이상, 발췌 끝)


주 1-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淸譚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5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8%85%E8%B0%AD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8%85%E8%B0%AD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淸譚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8%85%e8%b0%ad&st=3

 

그리고 清談 가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어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8%85%e8%b0%8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清談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6134EA69817859F6DB7166DA86553D2&cult=TW&bv=1

(발췌 시작)

清談

 

    亦作“[清譚]”【1】泛指一般閑談。{王闿運}《<桂陽州志>序》:“諸{桂陽}方外神怪清譚之資﹐不可闕也。”{沙汀}《困獸記》十一:“這里主要的消遣是清談。內容無所不包﹐上到國家大事﹐下至某節街上忽然發現了一匹老鼠的殘骸。”{清}{沈濤}《<瑟榭叢談> 自序》:“或爨蘇清談﹐閒話風土。”【2】清雅的談論。{清}{昭槤}《嘯亭雜錄·尹文端公》:“公清談干雲﹐而尤長奏對。”{唐}{杜甫}《送高司直尋封閬州》詩:“清談慰老夫﹐開卷得佳句。”{漢}{劉楨}《贈五官中郎將》詩之二:“清談同日夕﹐情盼敘憂勤。”{前蜀}{韋莊}《寄從兄遵》詩:“不將高臥邀{劉主}﹐自吐清談護{漢}儲。”【3】謂{魏}{晉}時期崇尚{老}{莊},空談玄理的風氣。亦稱玄談。清談重心集中在有無﹑本末之辨。始于{三國}{魏}{何晏}﹑{夏侯玄}﹑{王弼}等,至{晉}{王衍}輩而益盛,延及{齊}{梁}不衰。{清}{魏源}《默觚下·治篇十四》:“{魏}{晉}清譚之士林﹐{東漢}禮教節義之士林也。”《晉書·隱逸傳·魯褒》:“京邑衣冠﹐疲勞講肄;厭聞清談﹐對之睡寐。”{宋}{王安石}《謝安》詩:“{謝公}才業自超羣﹐誤長清談助世紛。”{魯迅}《而已集·魏晉風度及文章與藥及酒之關系》:“{東晉}以后﹐不做文章而流為清談﹐由《世說新語》一書里可以看到。”{三國} {魏}{應璩}《與侍郎曹長思書》:“幸有{袁生}﹐時步玉趾﹐樵蘇不爨﹐清談而已。”【4】后世亦泛指一般不切實際的談論。{太平天囯}{洪仁玕}《軍次實錄》:“迄今專以八股六韻﹐徒事清談﹐拋離實事。”{沙汀}《憶邵荃麟同志》:“有人曾妄言{荃麟同志}喜歡‘清談’。不!盡管我們談話不少﹐他卻從未說過空話。”【5】猶清議。談論的內容以對人物﹑時事的批評為主。《三國志·蜀志·許靖傳》:“{靖}雖年逾七十﹐愛樂人物﹐誘納後進﹐清談不倦。”{晉}{葛洪}《抱樸子·疾謬》:“俗間有戲婦之法……然民間行之日久﹐莫覺其非﹐或清談所不能禁﹐非峻刑不能止也。”《梁書·沈約傳》:“自負高才﹐昧於榮利﹐乘時藉世﹐頗累清談。”

(이상, 발췌 끝)

 

주 1-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厥世 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E%A5%E4%B8%96 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E%A5%E4%B8%96 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厥世 가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어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e%a5%e4%b8%96&st=3&page=1

 

 2 六合何嘗實際。덕조의육합, 하상이실제

 

덕조(德操, 즉, 이벽)(*2-1)는 육합(六合, 천지사방)(*2-2)을 의논하였으니, [그대가] 어찌 경험하였겠는가(何嘗) 실제(實際)를 떠남을? 

 

-----

(*2-1) 번역자 주: 박제가의 애도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벽 성조의 이름은 정확하지 않다. 이벽 성조의 이름에 사용되고 있는 한자 낱글자들은, 

(i) 족보에 기록된 이름,

(ii) 이벽 성조의 무덤 안에서 발견된 지석에 사용된 이름,

(iii)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글들 중에서 사용된 이름, 그리고

(iv) "덕조희필"에서 사용된 이벽 성조 자신이 기록한 자신의 이름, 

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데, 이들 모두는 변기영 몬시뇰께서 사료분석 등을 통하여 직접 고증하신 바이다[출처: 간추린 우리나라 천주교회 창립사, 제7장, 제43절 한국천주교회 창립자 세자 요한 광암 덕조 이벽성조의 인적사항, 제91-96쪽]: 이덕조(李德), 이벽(李).

 

(*2-2) 번역자 주: 이 시의 제4절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천문 관측 기구인 "璣衡(기형)", 즉, "璇璣玉衡(선기옥형)", 즉, "渾天儀(혼천의)"의 일부인 "육합의()"를 독자들로 하여금 연상(聯想)하도록 하고자, 이 시어(詩語)를 사용하였다는 생각이다.

-----

 

주 2-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六合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가끔(즉, 11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30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5%AD%E5%90%88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5%AD%E5%90%8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六合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5%ad%e5%90%8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六合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8EF1CABA6D60F4F3AD12385D4196766&cult=TW&bv=1

(발췌 시작)

六合

 

    【1】天地四方;整個宇宙的巨大空間。《莊子·齊物論》:“六合之外﹐聖人存而不論;六合之內﹐聖人論而不議。”{成玄英}疏:“六合者﹐謂天地四方也。”{晉}{葛洪}《抱樸子·地真》:“其大不可以六合階﹐其小不可以毫芒比也。”{唐}{韓愈}《忽忽》詩:“安得長翮大翼如雲生我身﹐乘風振奮出六合﹐絶浮塵。”{清}{紀昀}《閱微草堂筆記·如是我聞一》:“惜求諸六合之外﹐失諸眉睫之前也。”{郭沫若}《訪埃雜吟·弄舟尼羅河上》:“晴光彌六合天氣初秋。”【2】天下;人世間。{漢}{賈誼}《過秦論》:“吞二{周}而亡諸侯﹐履至尊而制六合﹐執搞樸以鞭笞天下﹐威振四海。”{唐}{李白}《古風》之三:“{秦王}掃六合﹐虎視何雄哉!”{清}{潘耒}《贈杜于皇》詩:“男兒無家復無國﹐六合飄然一孤客。”{聞一多}《李白之死》:“我呢?不過那戲弄黃土的{女媧}散到六合里來底一顆塵沙!”【3】陰陽家以月建與日辰的地支相合為吉日﹐即子與丑合﹐寅與亥合﹐卯與戌合﹐辰與酉合﹐巳與申合﹐午與未合﹐總稱六合。《南齊書·禮志上》:“五行説十二辰爲六合﹐寅與亥合﹐建寅月東耕﹐取月建與日辰合也。”《玉臺新詠·古詩<為焦仲卿妻作>》:“視曆復開書﹐便利此月內﹐六合正相應﹐良吉三十日。”《新唐書·呂才傳》:“{長平}坑降卒﹐非俱犯三刑;{南陽}多近親﹐非俱當六合。”《隋書·經籍志》有《六合婚嫁歷》。【4】謂一年十二月中﹐各有兩月在季節變化上有相對應的特點﹐名曰合﹐共六合。《淮南子·時則訓》:“六合:孟春與孟秋爲合﹐仲春與仲秋爲合﹐季春與季秋爲合﹐孟夏與孟冬爲合﹐仲夏與仲冬爲合﹐季夏與季冬爲合。孟春始贏﹐孟秋始縮;仲春始出﹐仲秋始內;季春大出﹐季秋大內;孟夏始緩﹐孟冬始急;仲夏至脩﹐仲冬至短;季夏德畢﹐季冬刑畢。”【5】六壬(陰陽五行)占術中的十二神將之一。{宋}{沈括}《夢溪筆談·象數》:“六壬有十二神將﹐以義求之﹐止合有十一神將:貴人爲之主﹐其前有五將﹐謂騰蛇﹑朱雀﹑六合﹑句陳﹑青龍也﹐此木火之神在方左者;其後有五將﹐謂天后太陰真武太常﹑白虎也﹐此金水之神在方右者。”{清}{錢大昕}《十駕齋養新錄·六壬十二神》:“六壬家又有貴人﹑騰虵﹑朱雀﹑六合﹑句陳﹑青龍﹑天空﹑白虎﹑太常﹑玄武﹑太陰﹑天后十二神﹐分布十二方位。攷《論衡·解除篇》云:‘宅中主神有十二焉﹐青龍﹑白虎列十二位。’雖不詳列十二之名﹐當與六壬家不異。”【6】武術用語。少林拳六合門﹐以精﹑氣﹑神為內三合﹐手﹑眼﹑身為外三合﹐統稱六合。又﹐眼與心合﹐心與氣合﹐氣與身合﹐身與手合﹐手與腳合﹐腳與胯合﹐亦稱六合。此外尚有六合槍﹐六合刀﹐同屬六合門。

(이상, 발췌 끝)

 

2-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何嘗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더러(즉, 19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D%95%E5%98%9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何嘗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d%95%e5%b0%9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何嘗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53C651B84D04BBA27DCDA943230E972&cult=TW&bv=1

(발췌 시작)

何嘗

 

    亦作“[何常]”亦作“[何甞]”【1】用反問的語氣表示未曾或并不。{南朝} {梁}{劉勰}《文心雕龍·封禪》:“夫正位北辰﹐嚮明南面﹐所以運天樞﹐毓黎獻者﹐何嘗不經道緯德﹐以勒皇蹟者哉?”{魯迅}《兩地書·致許廣平一〇》:“{江}{浙}的教育﹐表面上雖說發達﹐內情何嘗佳。”《史記·日者列傳》:“自古受命而王﹐王者之興何嘗不以卜筮決於天命哉!”{宋}{蘇軾}《登常山絕頂廣麗亭》詩:“何甞有此樂﹐將去復徘徊。”《西游記》第二七回:“{行者}道:‘弟子亦頗殷勤﹐何常懶惰?’”

(이상, 발췌 끝)

 

2-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實際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F%A6%E9%9A%9B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F%A6%E9%9A%9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實際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e%9e%e9%99%8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實際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499CE415ACB205419F3C3EF6BCBB53E&cult=TW&bv=1

(발췌 시작)

實際

 

    【1】實效;實在的利益。《初刻拍案驚奇》卷十七:“既是賢夫新亡求薦﹐家中必然設立孝堂﹐此須在孝堂內設籙行持﹐方有專功實際。”{清}{李漁}《蜃中樓·點差》:“我想宰相倒是個虛名﹐不如吏部反有些實際。”【2】真實不虛的;合乎事實的。如:這種想法不實際;計劃訂得很實際。{郭沫若}《洪波曲》第九章三:“實際的情形并不是這樣。”{徐懷中}《西線軼事》三:“你到前方去﹐打在腿上﹐這才是實際的紀念哩。”【3】實有的;具體的。{老舍}《駱駝祥子》二二:“想過這些﹐他開始想些實際的:先和{曹先生}支一月的工錢﹐給她買件棉袍﹐齊理齊理鞋腳﹐然后再帶她去見{曹太太}。”{魯迅}《書信集·致內山嘉吉》:“在{中國}﹐版畫雖略有實際應用﹐但所謂創作版畫尚無所知。”【4】客觀存在的事物與情況;事實。{丁玲}《一九三〇年春上海(之二)》六:“她只耽于一些幻想的美夢里﹐她不愿接觸實際。”{鄧小平}《設顧問委員會是廢除領導職務終身制的過渡辦法》:“顧問委員會是個過渡﹐這個過渡是必要的﹐我們選擇了史無前例的這種形式﹐切合我黨的實際。”{清}{李漁}《比目魚·寇發》:“雖不知他實際如何﹐卻使俺這赫赫軍威也被他虛聲所奪。”【5】佛教語。指“真如”﹑“法性”境界。猶言實相。《金光明最勝王經》卷一:“實際之性﹐無有戲論﹐惟獨{如來}證實際法戲論永斷﹐名爲涅槃。”{晉}{王羲之}《為幹和尚進<注仁王經>表》:“實際以無際可示﹐無生以不生相傳。”{宋}{陸游}《周元吉蟠室》詩:“實際正如此﹐切忌錯商量。”《敦煌變文集·維摩詰經講經文》:“證不可説實際﹐解不可説之法門。”

(이상, 발췌 끝)

 

 匹夫時運破屋經濟。필부관시운, 파옥지경제

 

필부(匹夫)는 시대의 풍속(時運)에 관계하고, [그들에게] 무너진 집(破屋)은 경제(經濟)를 뜻하였으나

 

주 3-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匹夫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23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45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C%B9%E5%A4%AB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C%B9%E5%A4%A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匹夫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c%b9%e5%a4%a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匹夫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3B99F1959C01151103650D7AA6F0DA4&cult=TW&bv=1

(발췌 시작)

匹夫

 

    【1】古代指平民中的男子。亦泛指平民百姓。《左傳·昭公六年》:“匹夫爲善﹐民猶則之﹐況國君乎?”《韓非子·有度》:“刑過不避大臣﹐賞善不遺匹夫。”{漢}{班固}《白虎通·爵》:“庶人稱匹夫者﹐匹﹐偶也﹐與其妻爲偶﹐陰陽相成之義也。”{章炳麟}《駁康有為論革命書》:“若國朝之制﹐{滿}{漢}平等﹐{漢}人有才者﹐匹夫以爲宰相。”{唐}{劉德仁}《長門怨》詩:“早知雨露翻相誤﹐只插荊釵嫁匹夫。”【2】詈詞。猶言家伙,東西。常用來指斥無知無識的人。多見于早期白話。《說唐》第十六回:“這老匹夫﹐合當要死﹐待我出去斬了他。”{元}{劉時中}《端正好·上高監司》套曲:“堪笑這沒見識街市匹夫﹐好打那好頑劣江湖伴侶。”《古今小說·臨安里錢婆留發跡》:“匹夫﹐造言欺我﹐合當斬首!”【3】獨夫。多指有勇無謀的人,含輕蔑意味。《孟子·梁惠王下》:“夫撫劍疾視曰:‘彼惡敢當我哉!’此匹夫之勇﹐敵一人者也。”{清}{昭槤}《嘯亭雜錄·書光顯寺戰事》:“余素以豪傑待王﹐今乃知王直匹夫耳!”{宋}{蘇軾}《留侯論》:“匹夫見辱﹐拔劍而起﹐挺身而鬥﹐此不足爲勇也。”【4】指平常的人。{宋}{蘇軾}《潮州修韓文公廟記》:“匹夫而爲百世師﹐一言而爲天下法。”{葉君健}《自由》三:“這倒不是單純為了友誼和對您的敬佩﹐也是為了國家的利益﹐為了桑梓的利益﹐為了匹夫的責任。”《晉書·劉隗傳》:“夫嫡妻長子皆杖居廬﹐故{周景王}有三年之喪﹐既除而宴﹐《春秋》猶譏﹐況{龕}匹夫﹐暮宴朝祥﹐慢服之愆﹐宜肅喪紀之禮。請免{龕}官﹐削侯爵。”

(이상, 발췌 끝)

 

주 3-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時運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6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9%82%E9%81%8B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9%82%E9%81%8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時運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7%b6%e8%bf%9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時運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3B07C780B8FC68BCA98EEF68BD04219&cult=TW&bv=1

(발췌 시작)

時運

 

    【1】時代的風氣。{南朝} {梁}{劉勰}《文心雕龍·時序》:“時運交移﹐質文代變。”【2】謂時光流轉,節序變化。《淮南子·要略》:“順時運之應﹐法五神之常。”{晉}{陶潛}《時運》詩:“邁邁時運﹐穆穆良朝。”《太平經》丙部之十二:“天地之運﹐各自有歷。今且案其時運而出之﹐使可常行。”【3】古人迷信,認為人一生的吉兇遭際均由命運決定,并通過時間的運轉表現出來,稱為時運。{元}{金仁杰}《追韓信》第二折:“時運未來君休笑﹐{太公}也作釣魚人。”{老舍}《四世同堂》三七:“時運可以對不起他﹐他可不能對不起自己。”《漢書·王莽傳下》:“其或順指﹐言‘民驕黠當誅’﹐及言‘時運適然﹐且滅不久’﹐{莽}説﹐輒遷之。”

(이상, 발췌 끝)

 

주 3-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破屋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0%B4%E5%B1%8B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0%B4%E5%B1%8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破屋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a0%b4%e5%b1%8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破屋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03B0467A6D7818139F296076EE7AE83&cult=TW&bv=1

(발췌 시작)

破屋

 

    【1】破陋房屋。{唐}{孟郊}《秋懷》詩之四:“秋至老更貧﹐破屋無門扉。一片月落牀﹐四壁風入衣。”{宋}{蘇軾}《紙帳》詩:“錦衾速卷持還客﹐破屋那愁仰見天。”《宋史·隱逸傳下·劉愚》:“〔{徐氏}〕遂歸于{愚}﹐居破屋中﹐一事機杼。”【2】擊穿房屋。{清}{蒲松齡}《聊齋志異·羅剎海市》:“俄頃﹐疾雷破屋﹐女已無矣。”

(이상, 발췌 끝)

 

주 3-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經濟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6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6%93%E6%BF%9F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6%93%E6%BF%9F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經濟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b%8f%e6%b5%8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經濟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F02BD3799A79E7DAD517463BCCF84EF&cult=TW&bv=1

(발췌 시작)

經濟

 

    【1】指一個國家的國民經濟。也指國民經濟的某一部門。如工業經濟﹑農業經濟﹑商業經濟等。【2】指一定歷史時期的社會生產關系的總和。是政治﹑思想意識等上層建筑賴以建立起來的基礎。【3】指財力﹑物力。{丁玲}《母親》二:“{小菡}是一個沒有父親的窮小孩﹐她只能在經濟的可能范圍里讀一點兒書。”{魯迅}《書信集·致何白濤》:“《中國木刻選》要開始付印了﹐共二十四幅﹐因經濟關系﹐只能印百二十本。”【4】謂耗費少而收益多。{郭沫若}《洪波曲》第四章六:“在那時我們認為電影的宣傳效果是很大的﹐打算在{香港}設一個第二制片廠﹐以便在海外容易取材而且經濟。”{魯迅}《書信集·致李霽野》:“倘暫時在{北京}設一分發處(一個人﹐一間屋)…就可以經濟得多了。”{朱自清}《歷史在戰斗中》:“著者是個詩人﹐能夠經濟他的語言﹐所以差不多每句話都有分量。”【5】經世濟民。{唐}{袁郊}《甘澤謠·陶峴》:“{峴}之文學﹐可以經濟;自謂疏脫﹐不謀宦遊。”《晉書·殷浩傳》:“足下沈識淹長﹐思綜通練﹐起而明之﹐足以經濟。”{宋}{梅堯臣}《汴渠》詩:“我實山野人﹐不識經濟宜。”《紅樓夢》第三二回:“{寶玉}聽了﹐大覺逆耳﹐便道:‘姑娘請別的屋裏坐坐罷﹐我這裏仔細腌臢了你這樣知經濟的人!’”【6】指治國的才干。{清}{沈濤}《交翠軒筆記》卷一:“〔{施彥士}〕所著有《海運芻言》﹐論海運始末利害甚悉﹐儒生之有真實經濟者。”《老殘游記》第三回:“聽説{補殘先生}學問經濟都出衆的很。”{清}{孔尚任}《桃花扇·修札》:“寫的激切婉轉﹐有情有理﹐叫他不好不依﹐又不敢不依﹐足見世兄經濟。”

(이상, 발췌 끝)

 

 4 胸中璣衡四海孤詣흉중대기형, 사해일고예

 

[그대의] 심장 가운데(胸中)(*4-1)에는 커다란(大) 기형(璣衡)(*4-2)이 있어, [그대에게] 사해(四海)는 하나의(一) 홀로 닦아 도달한 수양(孤詣)이었더라

 

-----

(*4-1) 번역자 주: "흉중"을 "가슴 가운데"로 번역할 수도 있을 것이나, "심장 가운데"로 번역한 것은,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제목: 주자(朱子)의 心은 마음(nous, mind)이 아니라 인간의 심장(heart)을 말한다] 에서,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心(심장) 에 대한 네 번째 설명에 근거한 것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5.htm <----- 필독 권고


(*4-2) 번역자 주: "璇璣玉衡(선기옥형)", 즉, "渾天儀(혼천의)"를 말한다.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 천문 관측 기구에 대한 더 자세한 안내의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4599&cid=40942&categoryId=32286

-----

 

주 4-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胸中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15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27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3%B8%E4%B8%AD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3%B8%E4%B8%AD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胸中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3%b8%e4%b8%a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胸中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2B53254D07F41FAA0B5424F162C0565&cult=TW&bv=1

(발췌 시작)

胸中

 

    【1】心中。多指人的思想境界或精神狀態。《史記·蘇秦列傳》:“是故明主外料其敵之彊弱﹐內度其士卒賢不肖﹐不待兩軍相當而勝敗存亡之機固已形於胸中矣。”{明}{王守仁}《泛海》詩:“險夷原不滯胸中﹐何異浮雲過太空。”《兒女英雄傳》第一回:“臉上一團正氣﹐胸中自然是一片至誠。”《孟子·離婁上》:“胸中正﹐則眸子瞭焉;胸中不正﹐則眸子眊焉。”

(이상, 발췌 끝)

 

주 4-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璣衡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2%A3%E8%A1%A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2%A3%E8%A1%A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璣衡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8e%91%e8%a1%a1&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璣衡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A2DC1DA9D059B5A12690772D8A62ABA&cult=TW&bv=1

(발췌 시작)

璣衡

 

    【1】北斗七星的泛稱。{宋}{王安石}《謝賜歷日表》:“恭惟陛下躬包曆數﹐政順璣衡﹐齊日月之照臨﹐體乾坤之闔辟。”{明}{楊慎}《柯玉井贈寶劍》詩:“沖霄紫氣璣衡北﹐照夜清光奎壁東。”【2】借指天文學。{清}{梁章鉅}《歸田瑣記·鼓樓刻漏》:“{石堂}名{普}﹐字{尚德}﹐{寧德}人﹐精律呂璣衡之學。”【3】“璇璣玉衡”的省稱。古代觀測天體的儀器。{唐}{楊炯}《登秘書省閣詩序》:“觀星文而考南北﹐大象入於璣衡。”{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言語》:“尺表能審璣衡之度﹐寸管能測往復之氣。”{嚴復}《救亡決論》:“渾天昉于璣衡機器創于{班}{墨}。”

(이상, 발췌 끝)

 

주 4-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四海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더러(즉, 47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자주(즉, 129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B%9B%E6%B5%B7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B%9B%E6%B5%B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四海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9b%9b%e6%b5%b7&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四海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681726ACC675A24312E64FB54ACC21E&cult=TW&bv=1

(발췌 시작)

四海

 

    【1】古以{中國}四境有海環繞,各按方位為“東海”﹑“南海”﹑“西海”和“北海”,但亦因時而異,說法不一。《書·益稷》:“予決九川﹐距四海。”{孔}傳:“距﹐至也。決九州名川通之至海。”《孟子·告子下》:“{禹}之治水﹐水之道也﹐是故{禹}以四海爲壑。”《淮南子·俶真訓》:“神經於{驪山}﹑{太行}而不能難﹐入於四海﹑九江而不能濡。”{晉}{葛洪}《抱樸子·明本》:“所謂抱螢燭於環堵之內者﹐不見天光之焜爛;侶鮋鰕於跡水之中者﹐不識四海之浩汗。”【2】中醫學認為人有髓海﹑血海﹑氣海和水谷之海,這四者與天下的“四海”相應。見《靈樞經·海論》。【3】指四鄰各族居住的地域。《史記·大宛列傳》:“天子既聞{大宛}及{大夏}﹑{安息}之屬皆大國……且誠得而以義屬之﹐則廣地萬里﹐重九譯﹐致殊俗﹐威德徧於四海。”《爾雅·釋地》:“九夷﹑八狄﹑七戎﹑六蠻﹐謂之四海。”《史記·五帝本紀》:“南撫{交阯}﹑{北發};西﹐{戎}﹑{析枝}﹑{渠廋}﹑{氐}﹑{羌};北﹐{山戎}﹑{發}﹑{息慎};東﹐{長}﹑{鳥夷}。四海之內﹐咸戴{帝舜}之功。”【4】喻指人氣派大,性情豪爽﹑交游很廣泛。《金瓶梅詞話》第七回:“你老人家不知﹐如今知府﹑知縣相公也都來往﹐好不四海。”{周立波}《山鄉巨變》上三:“治安主任{盛清明}很四海地招呼{鄧秀梅}。”《文明小史》第十八回:“這位{四海}兄﹐是{浦東}絲廠裏的總帳房﹐最愛朋友﹐爲人極其四海。”【5】指全世界各處。如:放之四海而皆準。【6】猶言天下,全國各處。《史記·高祖本紀》:“大王起微細﹐誅暴逆﹐平定四海﹐有功者輒裂地而封王侯。”《書·大禹謨》:“文命敷於四海﹐祗承于帝。”{唐}{李紳}《古風》之一:“春種一粒粟﹐秋成萬顆子﹐四海無閑田﹐農夫猶餓死。”{清}{李漁}《玉搔頭·拈要》:“誰想四海雖寬﹐少{西施}而多{嫫母};六宮虛設﹐有粉黛而無姿容。”【7】神祇名。《史記·封禪書》:“而{雍}有日﹑月﹑參﹑辰﹑南北斗﹑熒惑﹑太白﹑歲星﹑填星﹑辰星﹑二十八宿﹑{風伯}﹑{雨師}﹑{四海}﹑{九臣}﹑{十四臣}﹑{諸布}﹑{諸嚴}﹑{諸逑}之屬﹐百有餘廟。”

(이상, 발췌 끝)

 

주 4-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孤詣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D%A4%E8%A9%A3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D%A4%E8%A9%A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孤詣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孤詣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169D9B314CBB3E67CAD23AA4A0E8351&cult=TW&bv=1

(발췌 시작)

孤詣

 

    【1】獨到的修養。多指品德學識。{清}{顧炎武}《贈路舍人澤溥》詩:“絶蹟遠浮名﹐林臯孤詣。”{清}{趙翼}《題陳東浦藩伯<敦拙堂詩集>》詩:“曠代有{東浦}﹐孤詣戞獨造。”{清}{曾國藩}《圣哲畫像記》:“{范希文}﹑{司馬君實}﹐遭時差隆﹐然堅卓誠信﹐各有孤詣。”

(이상, 발췌 끝)

 

 5 物物性體形形比例。물물유성체, 형형명비례

 

각 사물(物物)은 자신의 본성(性體)을 알려주고(喩, 주: 한한대사전), 각 형상(形形)은 비례(比例)를 밝혀주나(明, 주: 한한대사전) 

 

주 5-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物物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7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18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9%A9%E7%89%A9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9%A9%E7%89%A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物物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89%a9%e7%89%a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物物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7461BE232D765D6C6CDD61F93161B83&cult=TW&bv=1

(발췌 시작)

物物

 

    【1】指為外物所役使。{唐}{王維}《謁璿上人》詩序:“色空無得﹐不物物也。”【2】各種物品,各樣事物。{宋}{梅堯臣}《答毛秘校》詩:“曷如握明鏡﹐物物目所逢。”{嚴復}《救亡決論》:“一理之明﹐一法之立﹐必驗之物物事事而皆然﹐而後定之爲不易。”《漢書·王莽傳上》:“物物卬市﹐日闋亡儲。”{顏師古}注:“物物卬市﹐言其衣食所須皆買之於市。”{金}{元好問}《雜著》之一:“萬期流轉不須臾﹐物物觀來定有無。”【3】人人。《新唐書·裴矩傳》:“{矩}遂能廷爭﹐不面從﹐物物若此﹐天下有不治哉?”【4】指人對于萬物的役使﹑支配。{晉}{道支}《逍遙論》:“物物而不物於物﹐則遙然不我得。”《莊子·在宥》:“有大物者﹐不可以物;物而不物﹐故能物物。”{成玄英}疏:“不爲物用而用於物者也。”

(이상, 발췌 끝)

 

주 5-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性體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0%A7%E9%AB%94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0%A7%E9%AB%9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性體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性體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C18773D40100338484BD286615E6709&cult=TW&bv=1

(발췌 시작)

性體

 

    【1】本性,氣質。《朱子語類》卷六八:“問:‘乾者天之性情。’曰:‘此只是論其性體之健。’”《舊唐書·太宗紀下》:“〔{隋文帝}〕雖非性體仁明﹐亦勵精之主也。”《北史·杜弼傳》:“詔又問曰:‘説者妄﹐皆言法性寬﹐佛性狹﹐如何?’{弼}曰:‘在寬成寬﹐在狹成狹﹐若論性體﹐非狹非寬。’”【2】性格,脾氣。{叢深}《百年大計》:“你都二十六啦﹐當了孩子媽啦!還像當姑娘那喒那個性體呢!”【3】指形狀。{宋}{沈括}《夢溪筆談·技藝》:“予伯兄善射﹐自能爲弓。其弓有六善:一者性體少而勁﹐二者和而有力……六者一張便正。”

(이상, 발췌 끝) 

 

주 5-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形形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D%A2%E5%BD%A2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D%A2%E5%BD%A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形形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5-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比例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2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F%94%E4%BE%8B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F%94%E4%BE%8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比例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比例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B42F493F37F1B00AA5F916C307E7BBF&cult=TW&bv=1

(발췌 시작)

比例

 

    【1】謂比照事例﹑條例。{宋}{司馬光}《辭知制誥第三狀》:“夫以資塗用人﹐不問能否﹐比例從事﹐不顧是非﹐此最國家之弊法。”《明史·姜志禮傳》:“繼此而封﹐尚有{瑞}﹑{惠}﹑{桂}三王也﹐倘比例以請﹐將予之乎?不予之乎?”【2】可作比照的事例﹑條例。《南齊書·王僧虔傳》:“世中比例舉眼是﹐汝足知此﹐不復具言。”《紅樓夢》第二二回:“{賈璉}聽了﹐低頭想了半日﹐道:‘你竟糊塗了!現有比例。那{林妹妹}就是例。往年怎麼給{林妹妹}做的﹐如今也照樣給{薛妹妹}做就是了。’”{漢}{王充}《論衡·程材》:“論者以儒生不曉簿書﹐置之於下第。法令比例﹐吏斷決也。文吏治事﹐必問法家。”【3】比擬;比較。{周素園}《貴州民黨痛史》第二編第四章:“觀諸工﹐則洋貨成自機器﹐物美價亷﹐最易暢鋪﹐舊日製造之款式既拙﹐費工且較洋貨尤多﹐不待比例已可決其必敗。”{魯迅}《南腔北調集·談金圣嘆》:“他的‘哭廟’﹐用近事來比例﹐和前年《新月》上的引據三民主義以自辯﹐并無不同。”{田北湖}《論文章源流》:“夫古之作者﹐擇言以對待﹐援義以比例﹐雖在約舉﹐罔不昭灼。”【4】一種事物在整體中所占的分量。如:合唱隊里女學生比例太高﹐要增加男生。【5】兩個同類數相互比較,其中一數是另一數的幾倍或幾分之幾。如:這個牧區﹐成人與兒童的比例約為三比一。【6】指一種事物受他事物影響,而隨之增減升降的關系。{王國維}《<紅樓夢評>論》:“生活之于苦痛﹐二者一而非二﹐而苦痛之度﹐與主張生活之欲之度爲比例。”【7】當兩個比a:b和c:d的比值相等時,稱這四個量a﹑b和c﹑d成比例,記作a:b=c:d。

(이상, 발췌 끝)

 

 6 鴻荒諒未開。名言相契。홍황양미개, 명언숙상계

 

가장자리 멀리에 있는 거칠고 궁벽한 땅(鴻荒)이 아직 열리지 않음(未開)을 [그대는] 세심하게 살폈고(諒, 주: 한한대사전), 명언(名言)이 서로 사귀어 깊고 두터워짐(相契)에 [그대는] 익숙하였더라(孰) 

 

주 6-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鴻荒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69)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4%BB%E8%8D%9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4%BB%E8%8D%9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鴻荒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b8%bf%e8%8d%92&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比例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BCDBC8F1DAB61891788AE4F88C14F22&cult=TW&bv=1

(발췌 시작)

鴻荒

 

    【1】太古,混沌初開之世。{南朝} {宋}{鮑照}《石帆銘》:“在昔鴻荒﹐刊啓源陸;表裏民邦﹐經緯鳥服。”{漢}{揚雄}《法言·問道》:“鴻荒之世﹐聖人惡之。”{宋}{陸游}《游武夷山》詩:“巢居寄千仞﹐鴻荒想{羲}{軒}。”{郭沫若}《創造者》:“我要高贊這最初的嬰兒﹐我要高贊這開辟鴻荒的大我。”【2】邊遠荒僻之地。{唐}{李白}《明堂賦》:“點翠綵于鴻荒﹐洞清陰乎羣山。”{王琦}注:“鴻荒﹐大荒也﹐謂曠遠之地也。”

(이상, 발췌 끝)

 

주 6-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名言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0%8D%E8%A8%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0%8D%E8%A8%8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名言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90%8d%e8%a8%8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名言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E32775EABEC89EAAAAED5E9F2DBDB342&cult=TW&bv=1

(발췌 시작)

名言

 

    【1】稱說;描述。《書·大禹謨》:“名言茲在茲﹐允出茲在茲﹐惟帝念功。”{孔}傳:“名言此事﹐必在此義。”{唐}{鄭綮}《開天傳信記》:“{力士}再拜賀曰:‘非常之事也﹐願陛下爲臣一奏之。’其聲寥寥然﹐不可名言也。”{宋}{蘇軾}《賀提刑馬宣德啟》:“其爲喜幸﹐豈易名言。”{清}{錢謙益}《讀杜小箋中·寄張十二山人彪》:“此數句隱顯映帶﹐其妙處未易名言。”【2】著名的言論或話語。{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言語》:“{庾公}嘗入佛圖﹐見臥佛﹐曰:‘此子疲於津梁。’于時以爲名言。”{宋}{歐陽修}《歸田錄》卷一:“公嘗語{尹師魯}曰:‘恩欲歸己﹐怨使誰當?’聞者歎服﹐以爲名言。”{朱自清}《論標語口號》:“格言也罷﹐名言也罷﹐作用其實都在指示人們行動﹐向著某一些目的。”

(이상, 발췌 끝)

 

주 6-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相契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2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B%B8%E5%A5%9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B%B8%E5%A5%9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相契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9b%b8%e5%a5%91&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相契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D37C438A1A1468006D701C4C4BABA07&cult=TW&bv=1

(발췌 시작)

相契

 

    【1】相合;相交深厚。《老殘游記》第九回:“這個人也是個不衫不履的人﹐與家父最爲相契。”{宋}{陳灌}《滿庭芳》詞:“君知我﹐平生心事相契古來希。”{馬敘倫}《古書疑義舉例校錄·古書傳述亦有異同例》:“三機正當三止三觀﹐其意亦與{南嶽智者}所説相契。”{唐}{南卓}《羯鼓錄》:“〔{王皋}〕命取食柈﹐自選其極平者﹐遂置二棬於柈心﹐以油注之棬中﹐棬滿而油不浸漏﹐蓋相契無際也。”

(이상, 발췌 끝)

 

 7 天風鸚鵡翻成籠計。천풍취앵무, 번성출농계

 

하늘의 바람(天風)은 재주있는 선비(鸚鵡)를 내뿜고(吹, 주: 한한대사전), [그들의] 춤추며 나는() 성공()은 망라하는() 셈()을 내놓으나(出)

 

주 7-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天風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128)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4%A9%E9%A2%A8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4%A9%E9%A2%A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天風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4%a9%e9%a3%8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天風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0779762B43A3904F5292FD156CCCB99&cult=TW&bv=1

(발췌 시작)

天風

 

    【1】風。風行天空﹐故稱。{漢}{蔡邕}《飲馬長城窟行》:“枯桑知天風﹐海水知天寒。”{唐}{韓愈}《辛卯年雪》詩:“波濤何飄揚﹐天風吹旛旂。”{郭沫若}《哀時古調》九:“天風吹﹐海浪流。滿懷悲憤事﹐聊以寄箜篌。”{明}{鄭若庸}《玉玦記·賞春》:“好趁天風﹐直上青霄。”

(이상, 발췌 끝)

 

주 7-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鸚鵡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8%9A%E9%B5%A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8%9A%E9%B5%A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鸚鵡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b9%a6%e9%b9%8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鸚鵡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16AEE7BE4751EE4186E1847E0759BE1&cult=TW&bv=1

(발췌 시작)

鸚鵡


    【1】鳥名。頭圓,上嘴大,呈鉤狀,下嘴短小,舌大而軟,羽毛色彩美麗,有白﹑赤﹑黃﹑綠等色。能效人語,主食果實。《禮記·曲禮上》:“鸚鵡能言﹐不離飛鳥。”{唐}{段成式}《酉陽雜俎·羽篇》:“鸚鵡﹐能飛﹐衆鳥趾前三後一﹐唯鸚鵡四趾齊分。凡鳥下瞼眨上﹐獨此鳥兩瞼俱動﹐如人目。”{清}{吳蘭修}《黃竹子傳》:“竹窗晝靜﹐鸚鵡呼茶﹐香奩之福地也。”【2】指{鸚鵡洲}。{宋}{劉過}《沁園春·送王玉良》詞:“看飛鳧仙子﹐張帆直上﹐{周郎}{赤壁}﹐{鸚鵡}汀洲。”{宋}{姜夔}《清波引》詞序:“予久客{古沔}﹐{滄浪}之煙雨﹐{鸚鵡}之草樹﹐{頭陀}﹑{黃鶴}之偉觀﹐{郎官}﹑{大別}之幽處﹐無一日不在心目間。”【3】指鸚鵡杯。{宋}{張元幹}《滿庭芳·壽富樞密》詞:“香檀緩﹐杯傳鸚鵡﹐新月正娟娟。”{元}{劉永之}《池閣獨坐懷周伯寧諸公》詩:“鸚鵡懷深酌﹐空候想緩調。”{南朝}{梁簡文帝}《答張纘謝示集書》:“車渠屢酌﹐鸚鵡驟傾。”【4】比喻有才之士。{唐}{紀唐夫}《送溫庭筠尉方城》詩:“鳳皇詔下雖霑命﹐鸚鵡才高卻累身!”【5】指{漢}{袮衡}所作《鸚鵡賦》。{唐}{杜甫}《奉贈太常張卿垍二十韻》:“健筆凌《鸚鵡》﹐銛鋒瑩鷿鵜。”{仇兆鰲}注:“《後漢書》:{禰衡}在{黃祖}座﹐作《鸚鵡賦》﹐筆不停輟﹐文不加點。”

(이상, 발췌 끝)


주 7-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翻成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5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F%BB%E6%88%9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F%BB%E6%88%90 5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翻成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f%bb%e6%88%90&st=3

 

주 7-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籠計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1%A0%E8%A8%88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1%A0%E8%A8%88

 

 8 遽廬殘夢靑山靈慧。거려파잔몽, 청산장영혜

 

군색한() 오두막집()은 [그대의] 잔몽(殘夢)을 분산시키고(罷), 청산(靑山)은 [그대의] 영묘(靈妙)한 지혜(靈慧)를 장사지내는구나()

 

주 8-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籠計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1%BD%E5%BB%AC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1%BD%E5%BB%AC

 

주 8-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殘夢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4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E%98%E5%A4%A2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E%98%E5%A4%A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殘夢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ae%8b%e6%a2%a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殘夢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C0AD85B07ADB913120A376AC8CBD749&cult=TW&bv=1

(발췌 시작)

殘夢

 

    【1】謂零亂不全之夢。{唐}{李賀}《同沈駙馬賦得御溝水》詩:“別舘驚殘夢﹐停杯泛小觴。”{宋}{陸游}《殘夢》詩:“風雨滿山窗未曉﹐只將殘夢殘燈。”{明}{高濂}《玉簪記·弦里傳情》:“落葉驚殘夢﹐閒步芳塵數落紅。”{魯迅}《野草·頹敗線的顫動》:“我呻吟著醒來……我自己知道是在續著殘夢。”

(이상, 발췌 끝)

 

주 8-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靑山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더러(즉, 76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D%92%E5%B1%B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D%92%E5%B1%B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靑山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9d%92%e5%b1%b1&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靑山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6B51DAD09542EA1F6396EFE64D1DFA2&cult=TW&bv=1

(발췌 시작)

青山


    【1】青蔥的山嶺。《管子·地員》:“青山十六施﹐百一十二尺而至于泉。”{海默}《我的引路人》五:“留得青山在﹐不怕沒柴燒。”《四游記·玉帝起賽寶通明會》:“一見我這裏青山隱隱﹐緑水迢迢﹐便問我借與他居住。”{唐}{徐凝}《別白公》詩:“青山舊路在﹐白首醉還鄉。”【2】指歸隱之處。{嚴復}《送沈濤園備兵淮揚》詩之一:“相看白髮盈頭出﹐長恐青山與願違。”{唐}{賈島}《答王建秘書》詩:“白髮無心鑷﹐青山去意多。”{宋}{范仲淹}《寄石學士》詩:“與君嘗大言﹐定作青山隣。”【3】山名。一名{青林山}。{南朝}詩人{謝朓}曾卜居于此﹐故又稱{謝公山}。在今{安徽省}{當涂縣}東南。{唐}{李白}《題東溪公幽居》詩:“宅近{青山}同{謝朓}﹐門垂碧柳似{陶潛}。”{宋}{楊萬里}《望謝家青山太白墓》詩:“{阿朓}{青山}自一村﹐州民歲歲與招魂。{六朝}陵墓今安在﹐只有詩仙月下墳。”{劉義慶}《世說新語·文學》“{袁宏}始作《東征賦》”{南朝}{梁}{劉孝標}注:“後遊{青山}飲酌﹐既歸﹐公命{宏}同載﹐衆爲危懼。”

(이상, 발췌 끝)

 

주 8-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靈慧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D%88%E6%85%A7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D%88%E6%85%A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靈慧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靈慧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8C901980C5594ABBC3FA9F778BD7B22&cult=TW&bv=1

(발췌 시작)

靈慧


    【1】機靈聰明。{歐陽山}《苦斗》四四:“可是就在這個時候﹐{胡杏}卻顯出那臨危不亂﹐靈慧矯捷的本領來。”{清}{二石生}《十洲春語》卷下:“恬樸如{孫月卿}﹐爲臘梅;靈慧如{李玉香}﹐爲鳳仙。”{葉圣陶}《倪煥之》十六:“這時他似乎另外睜開一雙靈慧的眼睛﹐從‘{璋}固女子’云云的背面看出了含蓄的意義。”【2】神異的智慧。{晉}{張翼}《贈沙門竺法頵》詩之二:“至人如影響﹐靈慧陶億刦。”{北魏}{段承根}《贈李寶》詩之三:“靈慧雖奮﹐祅氛未廓。”

(이상, 발췌 씉)

 

 9 春秋暫停万化無非逝。춘추부잠정, 만화무비서

 

춘추(春秋)는 잠시라도 정지하지(暫停) 않고(不), 각종 변화(万化)는 지나가지 않음(非逝)이 없으나(無)

 

주 9-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春秋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자주(즉, 194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자주(즉, 598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8%A5%E7%A7%8B 1945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8%A5%E7%A7%8B 598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春秋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8%a5%e7%a7%8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春秋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D221151116BE9B5EA8F7DB9C6A38594&cult=TW&bv=1

(발췌 시작)

春秋


    【1】光陰;歲月。《楚辭·遠游》:“春秋忽其不淹兮﹐奚久留此故居。”{郭小川}《登九山》詩:“望一望﹐想一想﹐誰不感到虛度春秋。”《漢書·晁錯傳》:“刻於玉版﹐藏於金匱﹐歷之春秋﹐紀之後世﹐爲帝者祖宗﹐與天地相終。”【2】指褒貶。《春秋》用字,意寓褒貶,因借其意。【3】古編年史的通稱。如{周}之《春秋》,{燕}之《春秋》等。{漢}以后有《楚漢春秋》﹑《吳越春秋》等。亦泛指史冊﹑歷史。《史記·樂毅列傳》:“臣聞賢聖之君﹐功立而不廢﹐故著於春秋。”{唐}{劉知幾}《史通·六家》:“{墨子}曰‘吾見百國春秋’﹐蓋皆指此也。”{康有為}《聞徐子靜侍郎即奉赦免喜倒淚下》詩:“寃獄兩年悲黨錮﹐維新元老記春秋。”{光未然}《英雄鉆井隊》詩:“誓為祖國獻石油﹐甘灑熱血寫春秋。”【4】春季與秋季。{晉}{陶潛}《移居》詩之二:“春秋多佳日﹐登高賦新詩。”{沈從文}《從文自傳·我所生長的地方》:“春秋二季農事起始與結束時﹐照例有老年人向各處人家斂錢﹐給社稷神唱木傀儡戲。”《禮記·王制》:“春秋教以《禮》《樂》﹐冬夏教以《詩》《書》。”【5】{春秋}﹑{戰國}諸子之書﹐也有以“春秋”為名的﹐如《晏子春秋》﹑《呂氏春秋》等。【6】指春秋兩季的祭祀。《國語·楚語上》:“唯是春秋所以從先君者﹐請爲‘靈’若‘厲’。”{韋昭}注:“春秋﹐言春秋禘﹑祫。”【7】年紀;年數。《戰國策·楚策四》:“今{楚王}之春秋高矣﹐而君之封地﹐不可不早定也。”{李廣田}《老渡船》:“他在這種情形中已渡過了五十幾個春秋。”{北魏}{楊衒之}《洛陽伽藍記·永寧寺》:“皇帝晏駕春秋十九。”【8】時代名。{孔子}《春秋》記事,從{周平王}四十九年,至{周敬王}三十九年(公元前722年-前481年)。計二百四十二年,史稱{春秋}時代。今多以{周平王}東遷至{韓}﹑{趙}﹑{魏}三家分{晉}(公元前770年-前476年)共二百九十五年﹐為{春秋}時代。【9】泛指四時。{南朝} {梁}{劉孝標}《辯命論》:“今以其片言﹐辯其要趣﹐何異乎夕死之類﹐而論春秋之變哉。”{漢}{張衡}《東京賦》:“於是春秋改節﹐四時迭代。”《詩·魯頌·閟宮》:“春秋匪解﹐享祀不忒。”{鄭玄}箋:“春秋猶言四時也。”【10】泛指祭祀。《左傳·僖公十三年》:“春秋窀穸之事。”【11】編年體史書名。相傳{孔子}據{魯}史修訂而成。所記起于{魯隱公}元年,止于{魯哀公}十四年,凡二百四十二年。敘事極簡,用字寓褒貶。為其傳者,以《左氏》﹑《公羊》﹑《穀梁》最著。《孟子·滕文公下》:“{孔子}懼﹐作《春秋》。”{{范文瀾}{蔡美彪}等}《中國通史》第一編第四章第十節:“《春秋》是一部編年體的歷史。”{宋}{范仲淹}《近名論》:“{孔子}作《春秋》﹐即名教之書也。善者褒之﹐不善者貶之﹐使後世君臣﹐愛令名而勸﹐畏惡名而慎矣。”

(이상, 발췌 끝)


주 9-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暫停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5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A%AB%E5%81%9C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A%AB%E5%81%9C 5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리고 暫停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a%82%e5%81%9c&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暫停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872D3B70A3D82D38504D7562233D5AF&cult=TW&bv=1

(발췌 시작)

暫停


    【1】暫時停止。{晉}{袁宏}《三國名臣序贊》:“亹亹通韻﹐跡不暫停。”{宋}{歐陽修}《黃牛峽祠》詩:“{江}水東流不暫停﹐{黃牛}千古長如故。”{毛澤東}《關于農業合作化問題》八:“有些地方是可以暫停一下﹐從事整頓的。”{唐}{韓愈}《論今年權停舉選狀》:“今若暫停舉選﹐或恐所害實深。”【2】體育運動術語。某些運動項目,如籃球﹑排球﹑手球等,在比賽中,如出現意外情況,或教練員須重新布置戰術時,可按規則通過裁判員暫時中斷比賽,叫做暫停

(이상, 발췌 끝)


주 9-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万化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9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7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87%E5%8C%96 19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87%E5%8C%96 7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万化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8%87%e5%8c%9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万化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9DD40EF7E1D2B459658CEFA88C67575&cult=TW&bv=1

(발췌 시작)

萬化


    【1】萬事萬物; 大自然。《申鑒·政體》:“恕者仁之術也﹐正者義之要也﹐至哉﹐此謂道根﹐萬化存焉爾。”《漢書·京房傳》:“{房}對曰:‘古帝王以功舉賢﹐則萬化成﹐瑞應著。’”{顏師古}注:“萬化萬機之事﹐施教化者也。一曰萬物之類也。”{清}{曾國藩}《復劉霞仙中丞書》:“妃匹有篤恭之德﹐乃足以奉神靈而理萬化。”{唐}{柳宗元}《始得西山宴游記》:“心凝形釋﹐與萬化冥合。”【2】各種變化。{唐}{白居易}《嘆老》詩之一:“萬化成於漸﹐漸衰看不覺。”{明}{王世貞}《藝苑卮言》卷三:“語雖合璧﹐意若貫珠﹐非書窮五車﹐筆含萬化﹐未足云也。”《莊子·大宗師》:“人之形者﹐萬化而未始有極也。”

(이상, 발췌 끝)

 

주 9-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非逝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D%9E%E9%80%9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D%9E%E9%80%9D 0

 

10 高嘯飛鴻乾坤雙涕。고소송비홍, 건곤암쌍체

 

고성소가(高聲嘯歌)(高嘯)는 [그대] 날아가는 기러기(飛鴻)를 보내고(送), 건곤(乾坤)은 양 눈물(雙涕)을 숨기는구나(暗) 

 

주 10-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高嘯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B%98%E5%98%AF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B%98%E5%98%AF 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高嘯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b%98%e5%95%b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高嘯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20863773288052362B2867309A02A6F&cult=TW&bv=1
(발췌 시작)
高嘯

    【1】謂高聲嘯歌。《南齊書·劉善明傳》:“〔陛下〕睿周萬品﹐道洽無垠﹐故能高嘯閑軒﹐鯨鯢自翦。”{晉}{陶潛}《詠二疏》:“高嘯返舊居﹐長揖儲君傅。”【2】高聲嘯聚。《晉書·劉曜載記論》:“是以策馬鴻騫﹐乘機豹變﹐五部高嘯﹐一旦推雄﹐皇枝相害﹐未有與之爭衡者矣。”
(이상, 발췌 끝)
 

 

주 10-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飛鴻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7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3%9B%E9%B4%BB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3%9B%E9%B4%BB 7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飛鴻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3%9e%e9%b8%bf&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飛鴻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038147D8816478347E62F6007DD5192&cult=TW&bv=1

(발췌 시작)

飛鴻

 

    【1】指音信。《二十年目睹之怪現狀》第二二回:“無端天外飛鴻到﹐傳得家庭噩耗來。”{唐}{韓愈}《祭竇司業文》:“自視雛鷇﹐望君飛鴻﹐四十餘年﹐事如夢中。”【2】飛行著的鴻雁。{南朝} {宋}{鮑照}《數詩》:“四牡曜長路﹐輕蓋若飛鴻。”{清}{龔自珍}《點絳唇》詞:“目送飛鴻﹐影入長天滅。”{漢}{馬融}《長笛賦》:“爾乃聽聲類形﹐狀似流水﹐又象飛鴻。”【3】指畫有鴻雁的旗。《禮記·曲禮上》:“前有車騎﹐則載飛鴻。”{孔穎達}疏:“鴻﹐鴻鴈也。鴈飛有行列﹐與車騎相似﹐若軍前忽遙見彼人有多車騎﹐則畫鴻於旌首而載之﹐使衆見而爲防也。”【4】蟲名。《逸周書·度邑》:“{發}之未生﹐至于今六十年﹐夷羊在牧﹐飛鴻過野。”

(이상, 발췌 끝)

 

주 10-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乾坤 이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7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9%BE%E5%9D%A4 56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9%BE%E5%9D%A4 76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乾坤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9%be%e5%9d%a4&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乾坤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CC7206EF202B46EF304ED4C287D887B&cult=TW&bv=1

(발췌 시작)

乾坤

 

    亦作“[乾巛]”【1】稱日月。{唐}{杜甫}《登岳陽樓》詩:“{吳}{楚}東南坼﹐乾坤日夜浮。”{楊倫}箋注引{董斯張}曰:“考《水經注》:{洞庭}湖廣圓五百里﹐日月若出沒其中。”【2】稱天地。《易·說卦》:“乾爲天……坤爲地。”《孔子家語·執轡》:“倮蟲三百有六十而人爲之長﹐此乾巛之美也。”{漢}{班固}《典引》:“經緯乾坤﹐出入三光。”{清}{蒲松齡}《聊齋志異·諭鬼》:“豈乾坤兩大中﹐兇頑任爾。”{金}{元好問}《自題中州集后》詩之三:“萬古騷人嘔肺肝﹐乾坤清氣得來難。”【3】指局勢﹐大局。{清}{秋瑾}《黃海舟中日人索句并見日俄戰爭地圖》詩:“拚將十萬頭顱血﹐須把乾坤力挽回。”{陳毅}《過貴陽》詩:“共慶長征人未老﹐{遵義}會議定乾坤。”【4】指帝﹑后。《後漢書·皇甫規傳》:“{梁太后}臨朝﹐{規}舉賢良方正。對策曰:‘……陛下體乾坤﹐聦哲純茂。’”{王先謙}集解引{胡三省}曰:“以坤母臨朝﹐以君天下﹐行乾之德﹐故曰體兼乾坤。”【5】《易》的乾卦和坤卦。《易·繫辭下》:“{黃帝}{堯}{舜}垂衣裳而天下治﹐蓋取諸《乾》《坤》。”{明}{何楷}《古周易訂詁》卷一:“《周易》首《乾》《坤》。”《大戴禮記·保傅》:“《春秋》之元﹑《詩》之《關雎》﹑《禮》之《冠》《昏》﹑《易》之《乾》《巛》﹐皆慎始敬終云爾。”【6】玄虛;花招。《儒林外史》第二三回:“{牛玉圃}道:‘你放的狗屁﹐你弄的好乾坤哩!’”《黃繡球》第十回:“{黃通理}道:‘你怎樣去了就將近一天?又同那尼姑們弄些什麼乾坤出來?’{黃繡球}拍掌大笑説:‘這個乾坤大著呢!神仙也猜不到的。’”【7】國家;江山;天下。{宋}{楊萬里}《得親老家問》詩之二:“乾坤裂未補﹐簪笏達何榮?”{元}{馬致遠}《陳摶高臥》第一折:“治世聖人生﹐指日乾坤定。”{明}{吳承恩}《寄漁石唐公》詩:“青山已信公真隱﹐肯爲乾坤出野堂。”《敦煌曲子詞·浣溪沙》:“竭節盡忠扶社稷﹐指山爲誓保乾坤。”

(이상, 발췌 끝)

 

주 10-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雙涕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B%99%E6%B6%95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B%99%E6%B6%95 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雙涕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f%8c%e6%b6%95&st=3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우리말 번역 작업 및 기타 작업들에 소요된 시간: 약 12시간

 



647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