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주자(朱子)의 心은 마음(nous, mind)이 아니라 인간의 심장(heart)을 말한다 1032_heart

인쇄

. [119.194.105.*]

2017-05-14 ㅣ No.1815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5.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中庸章句序 

출처: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F%83%E4%B9%8B%E8%99%9B%E9%9D%88%E7%9F%A5%E8%A6%BA 

(발췌 시작) 

蓋嘗論之:心之虛靈知覺,一而已矣,而以為有人心、道心之異者,則以其或生於形氣之私,或原於性命之正,而所以為知覺者不同,是以或危殆而不安,或微妙而難見耳。然人莫不有是形,故雖上智不能無人心,亦莫不有是性,故雖下愚不能無道心。

 

[사유(思維) 기관(器官)인] 심장(心)(*1)의 허령(虛靈)의 지각(知覺)은 하나일뿐이나, 다만(而)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의 다름(異)이 있는 바로 그것(者, that which)으로 삼는 것인데, 즉, 형기(形氣)의 사(私)에서 발생함 혹은 성명(性命)의 정(正, rectitude)에서 근원함으로써, 지각이 동일하지 않음으로 삼는 바인데, 그 결과로(是以, consequently) 이들은 혹은 위태하여 불안함을 혹은 미묘하여 어려움을 봄으로써일 뿐이니라. 그러므로(然) 인간에게는 바로 이 형(形)이 있지 않음이 없나니, 그러한 까닭에(故) 비록 상지(上智, 보통 사람보다 지혜가 뛰어난 자)에게 인심(人心)이 없음이 가능하지 아니하고, 그리고 [인간에게는] 바로 이 성(性)이 있지 않음이 없나니, 그러한 까닭에 비록 하우(下愚, 어리석고 못난 사람)에게 도심(道心)이 없음이 가능하지 않나니라.

 

-----

(*1)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의 설명 전문을 읽을 수 있다:

출처 1: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7A5ABFB4CC2E6A5F7C1AEAA7F8CEC35&cult=TW&bv=1 

출처 2: http://www.guoxuedashi.com/hydcd/167939q.html 

(발췌 시작)

 

    《廣韻》息林切,平侵,。【1】臟[심장]。人和脊椎動物體內推動血液循環的肌性器官。《素問·痿論》:“主身之血脈。”《列子·湯問》:“內則肝﹑膽﹑﹑肺﹑脾﹑腎﹑腸﹑胃。”{楊朔}《三千里江山》第五段:“醫生一按電鈕,愛克司光照到他的前胸,他的一上一下跳著。”【2】臟所在的部位。泛指胸部。《莊子·天運》:“其里之醜人,見而美之,歸亦捧而矉其里。”舊題{漢}{李陵}《答蘇武書》:“此{陵}所以仰天椎而泣血也。”{唐}{白居易}《和夢游春詩一百韻》:“捫無愧畏,騰口有謗讟。”【3】指胃部。{元}{朱震亨}《丹溪法·脾痛》:“痛,即胃脘痛。”{明}{陳實功}《外科正宗·潰瘍主治方》:“補中益氣湯……煎一鍾,空熱服。”如:氣痛。【4】古人以為思維器官[고대인들은 심장()으로써 사유(思維, thinking)기관(器官, organ)으로 삼음](#)﹐故后沿用為腦的代稱[따라서 뒤에 계속 이어서 사용하여(沿用) 뇌(腦, brain)를 대신 일컬는 것으로 삼음]。《國語·周語上》:“夫民慮之於,而宣之於口,成而行之,胡可壅也。”《孟子·告子上》:“之官則思。”《素問·靈蘭秘典論》:“者,君主之官也,神明出焉。”{南朝 梁}{劉勰}《文雕龍·知音》:“故之照理,譬目之照形。”【5】思想﹑意念﹑感情的通稱。《易·繫辭上》:“二人同,其利斷金。”《詩·小雅·巧言》:“他人有,予忖度之。”{漢}{鄒陽}《獄中上書自明》:“義不茍取比周於朝,以移主上之。”{唐}{杜甫}《秋興》詩之一:“叢菊兩開他日淚,孤舟一繫故園。”{清}{龔自珍}《己亥雜詩》之二五〇:“誰分江湖搖落後,小屏紅燭話冬。”【6】掛懷,關。{三國 魏}{曹操}《祀故太尉橋玄文》:“奉命東征,屯次鄉里,北望貴土,乃陵墓。”{明}{唐順之}《與呂沃洲巡按書》:“兩公者,一日居乎其位,一日乎其民者也。”{林紓}《贈李拔可舍人序》:“吾不敢謂其即繼武於{杜甫}﹑{元結}之徒,而亦可謂乎國家矣。”【7】本性;性情。《易·復》:“復其見天地之乎?”《韓非子·觀行》:“{西門豹}之性急,故佩韋以自緩;{董安于}之緩,故佩弦以自急。”{陳奇猷}集釋:“性既自而生,故此文緩即性緩也。”{三國 魏}{嵇康}《釋私論》:“物情順通,故大道無違;越名任,故是非無措也。”{宋}{沈作喆}《寓簡》卷一:“誠者,天地之也。人生而皆有之。”【8】思慮;謀劃。《呂氏春秋·精諭》:“{紂}雖多,弗能知矣。”《古今小說·滕大尹鬼斷家私》:“在一日,管一日。替你,替你力。”【9】中﹐中央。《太玄·中》“神戰於玄”{晉}{范望}注:“在中爲。”《南史·孝義傳上·江泌》:“菜不食,以其有生意,唯食老葉而已。”{宋}{陸游}《度浮橋至南臺》詩:“九軌徐行怒濤上,千艘橫繫{大江}。”{聞一多}《畫展》:“前仆后繼的倒斃在街。”【10】指木上的尖刺﹑花蕊或草木的芽尖等。《詩·邶風·凱風》:“凱風自南,吹彼棘。”{前蜀}{薛昭蘊}《浣溪沙》詞:“握手河橋柳似金,蜂鬚輕惹百花,蕙風蘭思寄清琴。”{清}{褚華}《木棉譜》:“苗之去,在伏中晴日,三伏各一次。”【11】指某些點的餡子。如包子﹐餃子。參見“[子]”。【12】我國古代哲學名詞。指人的主觀意識。與“物”相對。唯主義哲學家認為“”是世界的本體。{宋}{陸九淵}《雜說》:“宇宙便是吾,吾即是宇宙。”{明}{王守仁}《傳習錄》卷下:“天下無外之物。”【13】唯物主義哲學家則認為“”離不開“物”,有“物”才有“”,無“物”即無“”。{明}{王廷相}《石龍書院學辯》:“夫固虛靈,而應者必借視聽聰明,會於人事而後靈能長焉。”{清}{王夫之}《讀四書大全說·孟子·盡下》:“言言性,言天言理,俱必在氣上説,若無氣處則俱無也。”【14】佛教語。與“色”相對。佛教把一切精神現象稱為“”,有“三界唯”之說。《俱舍論》卷四:“,意﹑識體一。”【15】星名。二十八宿之一,東方蒼龍七宿的第五宿,有星三顆。《史記·天官書》:“東宮蒼龍,房﹑。”

 

-----

(#) 번역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아는 한, 영어로 "heart"로 번역되는, 그리고 라틴어로 "Cor"로 번역되는, 성경 용어를 사용한 히브리인들, 신약 성경이 저술될 당시의 고대 그리스인들 및 초기 교회 시기의 그리스도인들도, 여기서 말하는 "고대인(the ancient)"들에 포함됨.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중국인들을 위한 "성경사전"에 주어진  의 설명 전문은 다음과 같다:

 

출처: http://books.chinacatholic.net/files/article/html/0/325/15195.html

(발췌 시작)

天主教图书中心-天主教在线->书库首页->圣经辞典

四划 心(Heart, Cor)
    在全部《圣经》上提到「心,心脏,心灵」的地方多至千次左右,《圣经》作者以及整个以色列民族对人身这一器官的重视,由此可见一斑。但「心」在《圣经》上的意义却也非常地广泛。

    一、字意的讲法:

    谓人及动物的心脏(撒下18;列下9:24)。以民知道心脏与人及动物生命的重要性,为杀死某人,只要穿透他的心脏就够了(撒上25:37;撒下18:14;列下9:24)。但《圣经》上按字意解释「心」的地方却很少。

    二、寓意讲法:

    (一)、是人物质生命的中心位置,只要人的心脏健康,能心平气和的度日,那么整个的人是健康的(箴14:30;创18:5)。它甚相似犹太人对血液的观念(肋17:11)。食物、饮料、格外是酒,坚强及娱乐人的心(民19:5;列上21:7;咏104:15;德40:20;宗14:16),不过这种说法在《旧约》和《新约》中并不多见。

    (二)、「心」是人在本性及超性方面,心理及精神生活的支柱,《圣经》作者按照他们简单的心理学常识,将「心」描述为心理、感情、意志、明悟、官能的活动中心。

    1. 在心理上:

    「心」是人最深密的部份(伯前3:4),只有天主透澈人心——良心,而人的判断只按外表(撒上16:6;咏7:10;箴21:2;24:12;耶11:20;12:3;17:10;得前2:17)。它扬善斥恶(列上2:44;24:6;约27:6;若一3:20),有它的德行,诸如正直、忠诚、单纯、受教、谦逊等(申5:29;列上11:4;15:14;创20:5,6;列上3:9;9:4;咏131:1),亦有它的毛病:虚荣、轻浮、伪善、不恒等(咏5:10;德19:4;箴28:26;格前12:33)。由人心之情欲而使人心生骄傲、嫉妒、悭吝、爱憎、惧怕、冒失、忧苦及喜乐等。(骄傲:申17:20;则28:2,6;路1:51;嫉妒:箴23:17;雅3:14;悭吝:则33:31;伯后2:14;爱憎:肋19:17;宗7:54;惧怕:咏63:26;列下11:3,4;肋26:36;申1:28;忧苦:耶4:19;撒下17:10;坚决:编下17:6;痛苦:撒上1:8;撒下13:20;箴12:25;25:20;若16:6;宗21:13;喜乐:出4:14;撒上2:1;咏65:14)。

    2. 在感情上:

    心是爱情的象征,故此《圣经》作者多次劝人应「全心」爱天主(申6:5;10:12;11:13;列下23:25;训6:27;7:31-33;玛22:37;谷12:30;路10:27)。

    3. 在意志上:

    人心有愿望、反省及决断的动作(列上8:17;训8:9;38:27;39:6;依10:7;路21:14;格后9:7)。意志决断后的一切外在行动及表示,亦都归于「心」的作用(耶11:20;箴16:1,2;加下1:3)。因为人的意志是自由的,有时竟能违背天主圣意,而自作主张,《圣经》上称之谓「人心的硬化」,或「心灵的顽强」,及意志的不受教化(申15:7;训3:27;依46:12;则3:7;谷16:4)。意志的受教与否,亦以「铁石之心」及「血肉之心」来表示(格后2:3;约23:16;则11:19;36:26)。

    4. 在理智上:

    人的心灵有思想、观念(达2:30;谷2:6,8;路3:15),可以确信,可以怀疑(约34:10),可以受蒙蔽(依6:10;谷3:5;6:52;8:17;格后3:15;弗1:18;罗1:21;伯后1:19)。人心的智慧可以使人幸福长寿(列上3:12,13;箴2:2,10;16:21;23:17;训23:2)。心亦代表记忆的官能(申4:9;8:5;箴4:21;依5:17),故此有将法律或教训「刻在心版上」的说法(箴3:3;7:3;耶17:1)。

    (三)、心灵是伦理及宗教的动力:

    真正宗教敬礼的出发点是人的心灵(撒上12:20)。可以希望善或恶(咏20:5;21:3;箴6:21;训5:2;玛5:28,15:18)。心灵的革新及再生,是宗教生活革新的主要条件(咏51:12;耶24:7;32:38,39;则11:19,20;18:31;36:26),因此有心灵受割损的说法(申10:16;30:6;耶4:4)。诸凡一切的恶愿恶行及善意(罗2:29;玛5:8;15:19),对天主的依恃(箴3:5),忠信、背逆、顽抗(厄下9:8;依29:13;出4:21;7:13)及爱情等(申6:5;谷12:30,33等),都是出自人的心灵。人心亦是圣神的住处(格后1:22;罗5:5;迦4:6)。

    总结:

    按照《圣经》的传统训诲,是人心如何,人的品格、为人亦如何,这亦完全符合中国人的心理、信念,以及表达的方式。

(이상, 발췌 끝)

-----

(이상, 발췌 및 일부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

 

二者雜於方寸之間,而不知所以治之,則危者愈危,微者愈微,而天理之公卒無以勝夫人欲之私矣。精則察夫二者之間而不雜也,一則守其本心之正而不離也。從事於斯,無少閒斷,必使道心常為一身之主,而人心每聽命焉,則危者安、微者著,而動靜云為自無過不及之差矣。

 

이 둘[즉,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은 방촌[方寸, 즉, "한 치 사방(四方)의 심장(心臟)"]의 사이에서 뒤섞이어,(*2) 그리하여 이들을 다스리는 바를 알지 못한즉, 위태로움은 더 위태로워지고, 미묘함은 더 미묘하게 되어, 더욱이(而, moreover) 하늘의 이치의 공변함(公)이 죽어서(卒) 그 때문에(以) 무릇 인욕(人欲)의 사사로움(私)을 이기지 못할 뿐이니라.  정(精)함이란 곧 무릇 이들 둘의 사이를 관찰하여 섞이지 않음을 말하고, 하나(一)란 곧 그 본심의 정(正, rectitude)을 지켜서 떠나지 않음을 말하니라. 이것에 매달려 일함이, 등한히 함과 끊음에 있어, 적음이 없으면, 필히 도심(道心)으로 하여금 항상 한 몸의 주인이 되게 할 것이고, 그리하여 인심(人心)이 매양 [도심(道心)의] 명령을 듣게 될 뿐인즉, 위태로움 바로 그것(者)은 편안하게 되고, 미묘함 바로 그것(者)은 분명하게 나타나, 그리하여 움직임과 고요함이, 스스로 지나침이 없고 미치지 않음이 없음의 다름(差)이 됨에, 다다를(云)뿐이니라.

 

-----

(*2) 번역자 주: 전후 문맥 안에서, 방촌[方寸]"심장(heart)"으로 번역한 근거들은 다음과 같으니,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의 설명 전문을 읽을 수 있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64D87CF8B22CE2521D41E8D98FE1066&cult=TW&bv=1

(발췌 시작)

方寸

 

    【1】一寸見方。{宋}{趙彥衛}《云麓漫鈔》卷十五:“《吳書》亦云﹐‘方圍四寸’﹐則知{秦}璽方寸耳。”{唐}{段成式}《酉陽雜俎·諾皋記上》:“有山蜘蛛垂絲如疋布﹐將及{旻}﹐{旻}引弓射殺之﹐大如車輪。因斷其絲數尺﹐收之。部下有金創者﹐剪方寸貼之﹐血立止也。”《淮南子·說山訓》:“視方寸於牛﹐不知其大於羊;總視其體﹐乃知其大相去之遠。”【2】心[심장()을 가리킴]。腦海。{唐}{劉知幾}《史通·自敘》:“始知流俗之士﹐難與之言。凡有異同﹐蓄諸方寸。”【3】心緒;心思;心得。《魏書·董紹傳》:“老母在{洛}﹐無復方寸﹐既奉恩貸﹐實若更生。”{姚雪垠}《李自成》第二卷第四十章:“你千萬不要再存糊涂念頭﹐亂我方寸。”{清}{鄭燮}《濰縣署中寄舍弟墨第一書》:“讀書以過目成誦爲能﹐最是不濟事。眼中了了﹐心下匆匆﹐方寸無多。”{元}{張可久}《朝天子·春思》曲:“淚粉涕痕﹐傷春方寸﹐飄零寄此身。”{唐}{劉商}《胡笳十八拍》:“遂令邊雁轉怕人﹐絶域何由達方寸?”【4】方始一寸。極言矮小。《孟子·告子下》:“不揣其本﹐而齊其末﹐方寸之木﹐可使高於岑樓。”

(이상, 발췌 및 일부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宋金元明清曲辭通釋"에 주어진  의 설명 전문을 읽을 수 있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219-m300-w001-007&ei=5EE15FC2740914DF176FFD2E96DB60E04F25C78E3AD79AFCB8C3919110189B941749E420576F06FF&cult=TW&bv=1

(발췌 시작)

方寸

 

【例句】:

    金·董解元《西廂記諸宮調》卷一[正宮·萬金臺]:“一日十二個時辰,沒一刻暫離方寸。”

    元·馬致遠《陳摶高臥》二[隔尾]:“俺只待下棋白日閑消困,高枕清風睡殺人,世事無由惱方寸。”

    元·無名氏《碧桃花》一[仙呂·點絳唇]:“則我這杏臉藏春,柳眉標恨,縈方寸。”

    明·湯顯祖《紫釵記》五二[山坡]:“冷清清遭值這般星運,鬧氤氳攪人的方寸。”

    清·李漁《風箏誤》十七[撲燈蛾]:“你騙財真絕倫,有胸沒方寸,只圖第一遭,不顧后來對問也。”

 

【釋義】:

    方寸,指[방촌은 심장()을 가리킴]。心處胸中方寸之間,故稱[심장()은 가슴 가운데에 방촌(한 치의 사방)의 사이에 거처(居處)하며 따라서 그렇게 일컬어짐]。《三國志·蜀書·諸葛亮傳》:“徐庶辭先主而指其心曰:‘本欲與將軍共圖王霸之業者,以此方寸之地也;今已失老母,方寸亂矣。’”晉·袁宏《后漢記·獻帝紀五》:“今失老母,方寸亂矣,無益于事,請從此辭。”唐·白居易《贈元稹》詩:“所合在方寸,心源無異端。”唐·白行簡《李娃傳》:“娃謂姨曰:‘方寸亂矣!……’”宋·王讜《唐語林》卷一“德行”:“陟彼岵兮,孰不瞻父?方寸亂矣,何以事君?”清·黃遵憲《聶將軍歌》:“將軍麾軍方寸亂,將軍部曲已云散。”以上義并同。

(이상, 발췌 끝)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漢典 에 주어진 "方寸"에 대한 설명, "heart(심장)"을 읽을 수 있다:

http://www.zdic.net/c/9/2a/65520.htm

-----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출처: http://ctext.org/text.pl?node=586504&searchu=%E8%99%9B%E9%9D%88%E8%87%AA%E6%98%AF%E5%BF%83%E4%B9%8B%E6%9C%AC%E9%AB%94&searchmode=showall&if=en#result [ -> -> 性情心意等名義]

(발췌 시작)

虛靈自是心之本體,非我所能虛也。耳目之視聽,所以視聽者即其心也,豈有形象。然有耳目以視聽之,則猶有形象也。若心之虛靈,何嘗有物!

 

"허령(虛靈)은, 지금부터 계속하여(自是, from now on)[따라서,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심장(心)의 본체(本體, noumenon)를 말하는 것이지, 내가 능히 비어있을 수 있는 바를 말하는 것이 아니니라. 귀와 눈의 보고 들음에 있어, 그리하여 보고 듣는 바로 그것(者, subject)은, 즉 그 심장(心)이니라. 어찌하여 형상이 있을까? 눈과 귀로써 보고 들은 연후에, 즉 오로지 형상이 있나니라. 심장(心)의 허령(虛靈)이 어떤 물건(有物)을 어떻게 맛보는지는 이와 같으니라(若)!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작성 중입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409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