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23세 정약용 작 이벽 성조 만사 友人李德操 輓詞

인쇄

. [119.194.105.*]

2017-05-19 ㅣ No.1816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6.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丁若鏞의 友人李德操 輓詞

-1785년 乙巳年, 李檗 聖祖 葬禮에서, 丁若鏞 당시 23세-

 

출처 1: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FD&url=/itkcdb/text/searchAllTotalListIframe.jsp%3Fstartdate=%26enddate=%26setidlist=nOnE%26sugiid=%26suginame=%26dbname=%26gunchaid=%26gunchaname=%26muncheid=%26munchename=%26upperSugiNo=%26chkInDirectory=%26searchInResult=%26chkInjipsu=%26paramSerise=%26bizName=FD%26url=%252Fitkcdb%252Ftext%252FsearchAllListIframe.jsp%26searchSaveChk=Y%26sectionname=total%26extOrEqual=0%26keyword=%25E5%258F%258B%25E4%25BA%25BA%25EF%25A7%25A1%25E5%25BE%25B7%25E6%2593%258D+%25E8%25BC%2593%25E8%25A9%259E+  

(발췌 시작)

友人李德操輓詞

 

仙鶴下人間,軒然見風神。羽翮皎如雪,雞鶩生嫌嗔。鳴聲動九霄,嘹亮出風塵。乘秋忽飛去,怊悵空勞人。

{이상, 발췌 끝)

출처 2: http://chonjinam.org/client/vsound/viw.asp?p_idx=365&cpage=4

 

게시자 주: (1) 바로 위의 출처에 있는 한시(漢詩)는 총 40개의 한자 낱글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g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을 사용하여 이 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어(詩語)들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이들 낱글자들 중의 약 4/5(즉, 80%)가 두 개의 낱글자들로 구성된 약 16개의 시어(詩語)들(주: 필자에 의하여 밑줄이 그어져 있음)임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이 글의 결론 1).

 

(2) (이 글의 결론 2) 따라서, 이들 시어(詩語)들의 정의(definitions)들/의미(meanings)들 우선적으로 올바르게 파악하여야만, 이 한시(漢詩)의 우리말 번역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1. 들어가면서

다음은 이어지는 제2항에서 수행한 시어(詩語)들의 구체적인 파악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번역한, 위의 출처들에 있는 정약용 작  이벽 성조  만사의 우리말 번역문 초벌입니다.

 

(이 글의 결론 3) 이 애도시는, 필자가 생각할 때에, 한 개의 연(聯, stanza)이 대비 형식인 두 개의 절들로 구성된, 총 두 개의 연(聯, stanza)들(1-2, 3-4)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생각입니다:

 

(아래의 제2항에서 발췌 시작)

 1 仙鶴人間 軒然風神 선학하인간 헌연견풍신

 

선학(仙鶴)이 진세(塵世)(人間)에 내려와() 그 의기양양한 모양(주: 한한대사전)(軒然)은 풍모(風貌)와 신채(神采)(주: 한한대사전)(風神)를 드러내었으나()

 

 2 羽翮如雪 鷄鶩嫌嗔 우핵교여설 계목생혐진  

 

그 날개(羽翮)가 하늘에서 내리는 눈[의염(擬鹽), 주: 성교요지 29,6]처럼(如雪) 희어() 닭들과 오리들(鷄鶩)은 분노와 원망(怒怨)(嫌嗔)을 낳았더이다()

 

 3 鳴聲九霄 嘹亮風塵 명성동구소 료량출풍진

 

그 부르짖는 소리(鳴聲)가 하늘의 지극히 높은 곳(九霄)을 감응(感應)하게 하고 그 소리의 맑고 깨끗함(嘹亮)은 속세(俗世, 주: 한한대사전)(風塵)를 벗어났으나(出, 주: 한한대사전)

 

 4 乘秋飛去 怊悵勞人 승추홀비거 초창공로인

 

가을을 타고(乘秋) 홀연() 날아가 버려(飛去) 실심(失心)과 실망(失望)(怊悵)이 근심 걱정하는 사람(勞人)들을 공허하게 하는구료()

(이상, 아래의 제2항에서 발췌 끝)

 

2. 번역 과정 

 

게시자 주 2: 각 절이 우리말로 번역되기 이전에, 이 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어(詩語)들의 구체적인 파악 그리고, 이미 수용(受容)된 그리하여 "한어대사전"에 제시된, 이들 시어(詩語)들 각각의 정의(definition)/의미(meaning)를 구체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주"들에 서술된 작업들, 즉,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선행(先行)되었습니다.(*) 그런 다음에, 각 절의 우리말 번역이, 또한 필자에 의하여, 진행되었습니다.

 

-----

(*) 게시자 주: 이들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제2단계, 그리고 제3단계 모두는, 설사 한자 낱글자를 전혀 모르는 자이더라도 아무런 어려움을 겪지 않으면서 반복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그야말로, 단순 작업들임에 반드시 주목하라.

 

바로 이 점이, 아래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t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주된 포인트(a main point)임을 또한 반드시 주목하라.

-----


 1 仙鶴人間 軒然風神 선학하인간 헌연견풍신

 

선학(仙鶴)이 진세(塵世)(人間)에 내려와() 그 의기양양한 모양(주: 한한대사전)(軒然)은 풍모(風貌)와 신채(神采)(주: 한한대사전)(風神)를 드러내었으나()

 

주 1-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仙鶴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B%99%E9%B6%B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B%99%E9%B6%B4 3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仙鶴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b%99%e9%b9%a4&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仙鶴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056653AC73726080CDACD605A6B5D54&cult=TW&bv=1

(발췌 시작)

仙鶴

 

    【1】鳥名。也叫白鶴。{巴金}《探索集·訪問廣島》:“我取下一只藍色硬紙折成的小仙鶴放在袋里帶回{中國}﹐可是今天我卻找不到它了。”{清}{龔自珍}《應天長》詞:“山僧許我移茶竈﹐不用當關仙鶴報。”《二刻拍案驚奇》卷五:“做公的見了做賊的﹐就是仙鶴遇了蛇洞﹐聞風即知。”【2】神話傳說中仙人騎乘和飼養的鶴。《古今小說·張古老種瓜娶文女》:“〔{張公}〕道罷﹐用手一招﹐叫兩只仙鶴。{申公}與{張古老}各乘白鶴﹐騰空而去。”{唐}{王勃}《還冀州別洛下知己序》:“賓鴻逐暖﹐孤飛萬里之中;仙鶴隨雲﹐直去千年之後。”

(이상, 발췌 끝)

 

주 1-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人間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매우 드물게(즉, 4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자주(즉, 157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A%BA%E9%96%93 45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A%BA%E9%96%93 157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人間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a%ba%e9%97%b4&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人間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AA515845E2C14B3EDA4787B92B88085&cult=TW&bv=1

(발췌 시작)

人間

 

    亦作“[人閒]”【1】塵世;世俗社會。{巴金}《春天里的秋天》十九:“難道在天上也和在人間一樣﹐愛情也是不自由的嗎?”{晉}{陶潛}《庚子歲五月中從都還阻風于規林》詩之二:“靜念園林好﹐人間良可辭。”《紅樓夢》第五回:“司人間之風情月債﹐掌塵世之女怨男癡。”《史記·留侯世家》:“願棄人閒事﹐欲從{赤松子}游耳。”{宋}{趙令畤}《侯鯖錄》卷五:“麗質仙娥生月殿。謫向人間﹐未免凡情亂。”{清}{潘榮陛}《帝京歲時紀勝·十二月·稽善惡》:“廿三日送竈上天﹐奏人間一年之善惡。”【2】人類社會。{清}{鄭燮}《寄許生雪江》詩之二:“金紫人間事﹐縹緗我輩需。”《後漢書·卓茂傳》:“凡人之生﹐羣居雜處﹐故有經紀禮義以相交接。汝獨不欲修之﹐寧能高飛遠走﹐不在人閒邪?”《韓非子·解老》:“聾則不能知雷霆之害﹐狂則不能免人間法令之禍。”{宋}{蘇軾}《魚蠻子》詩:“人間行路難﹐踏地出賦租。”{毛澤東}《念奴嬌·昆侖》詞:“橫空出世﹐莽{崑崙}﹐閲盡人間春色。”【3】民間。《後漢書·王昌傳》:“普天率土﹐知朕隱在人間。”《南史·齊高帝紀》:“{明帝}({宋明帝})嫌帝({蕭道成})非人臣相﹐而人間流言﹐帝當爲天子﹐{明帝}愈以爲疑。”《新唐書·杜正倫傳》:“朕年十八﹐猶在人間﹐情僞無不嘗。”{清}{王士禛}《池北偶談·談藝四·吳皇后臨<蘭亭>》:“憲{聖慈烈皇后}嘗臨《蘭亭帖》﹐佚在人間﹐{咸甯}郡王{韓世忠}得之﹐表獻。”

(이상, 발췌 끝)

 

주 1-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軒然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B%92%E7%84%B6 2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B%92%E7%84%B6 1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軒然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d%a9%e7%84%b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軒然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7190BE39661D48B2377F48DE77E9C63&cult=TW&bv=1

(발췌 시작)

軒然

 

    【1】高昂貌。{宋}{沈括}《故朝散大夫張公墓志銘》:“公少貧﹐能軒然自持。”{唐}{元稹}《告畬三陽神文》:“軒然神功﹐坐受嘉栗。”{丁玲}《母親》三:“真是出色的三個漂亮孩子……都有著他們母親的明眸和小嘴﹐也都學會了他們父親的軒然氣概。”【2】笑貌。{宋}{蘇軾}《聞公擇過云龍山人輒往從之公擇有詩戲用其韻》:“軒然就一笑﹐猶得好飲力。”{梁斌}《播火記》二二:“{朱老忠}長出一口氣﹐軒然大笑。”{漢}{黃憲}《天祿閣外史·論學》:“{韓王}軒然仰笑而墮冠曰:‘徵君果以{無閭生}爲弟子耶?’”【3】高涌貌。{曾樸}《答胡適書》:“接著便是文言白話的論戰﹐在北方軒然起了大波。”

(이상, 발췌 끝)

 

주 1-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風神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6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2%A8%E7%A5%9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2%A8%E7%A5%9E 6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風神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3%8e%e7%a5%9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風神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4D0BAE2B4B168E1EB59E95685A62F95&cult=TW&bv=1

(발췌 시작)

風神

 

    【1】風采;神態。{明}{謝肇淛}《五雜俎·人部三》:“余見{周昉}﹑{李龍眠}及近代{仇實父}諸美人圖﹐皆穠髮豐肌﹐衣粧稠疊﹐一種風神媚態﹐畧無彷彿。”{王統照}《號聲》:“長葉子的美人蕉在橢圓形的藍色水盂內搖曳著幽媚含笑的姿態﹐也似乎裝點出特有的{日本}婦女婀娜的風神。”《晉書·裴楷傳》:“{楷}風神高邁﹐容儀俊爽﹐博涉羣書﹐特精理義﹐時人謂之‘玉人’。”{宋}{王讜}《唐語林·豪爽》:“上爲皇孫時﹐風神秀異﹐英姿雋邁。”【2】指藝術作品的文采神韻。《南史·褚彥回傳》:“{彥回}援琴奏《別鵠》之曲﹐宮商既調﹐風神諧暢。”{魯迅}《漢文學史綱要》第八篇:“其詞隨語成韻﹐隨韻成趣﹐不假雕琢﹐而意志自深﹐風神或近{楚}《騷》。”{明}{唐順之}《題夏中書畫竹》詩:“中書醉墨滿人間﹐此幅風神更不俗。”

(이상, 발췌 끝)

 

 2 羽翮如雪 鷄鶩嫌嗔 우핵교여설 계목생혐진  

 

그 날개(羽翮)가 하늘에서 내리는 눈[의염(擬鹽), 주: 성교요지 29,6]처럼(如雪) 희어() 닭들과 오리들(鷄鶩)은 분노와 원망(怒怨)(嫌嗔)을 낳았더이다()

 

주 2-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羽翮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6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E%BD%E7%BF%AE 17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E%BD%E7%BF%AE 6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羽翮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e%bd%e7%bf%a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羽翮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8935375E67C3B6F8C451684805D064E&cult=TW&bv=1

(발췌 시작)

羽翮

 

    【1】比喻力量。{章炳麟}《秦力山傳》:“{孫公}之在東國﹐羽翮未具﹐{力山}獨先與游。”【2】比喻輔翼或輔佐者。《後漢書·隗囂傳》:“今俊乂並會﹐羽翮並肩。”{南朝} {梁}{劉勰}《文心雕龍·史傳》:“轉受經旨﹐以授於後﹐實聖文之羽翮﹐記籍之冠冕也。”【3】猶飛騰。{宋}{蘇泂}《雨中花·懷劉改之》詞:“十載尊前﹐放歌起舞﹐人間酒戶詩流。盡期君凌厲﹐羽翮高秋。”【4】指翅膀。{李大釗}《平民政治與工人政治》:“若把他的光芒萬丈飛翔上騰的羽翮﹐拘限于狹隘的唯知論者的公式的樊籠中﹐決不能得到他那真正的概念。”{南朝} {梁}{何遜}《仰贈從兄興寧寘南》詩:“相顧無羽翮﹐何由總奮飛。”{唐}{杜甫}《獨坐》詩:“仰羨黃昏鳥﹐投林羽翮輕。”【5】指鳥羽。翮, 羽軸下段不生羽瓣而中空的部分。《周禮·地官·羽人》:“羽人掌以時徵羽翮之政于山澤之農﹐以當邦賦之政令。”{鄭玄}注:“翮﹐羽本。”《荀子·王制》:“南海則有羽翮﹑齒革﹑曾青﹑丹干焉﹐然而中國得而財之。”【6】指翼星。《史記·天官書》:“翼爲羽翮﹐主遠客。”【7】泛指鳥類。《史記·樂書》:“羽翮奮﹐角觡生。”{張守節}正義:“羽翮﹐鳥也。角觡﹐獸也。”{晉}{左思}《魏都賦》:“羽翮頡頏﹐鱗介浮沉。”

(이상, 발췌 끝)

 

주 2-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如雪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15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6%82%E9%9B%AA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6%82%E9%9B%AA 15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如雪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6%82%e9%9b%aa&st=3

 

주 2-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雞鶩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2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B%9E%E9%B6%A9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B%9E%E9%B6%A9 2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雞鶩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b8%a1%e9%b9%9c&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雞鶩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328CFB5970345B1EA3AF045E8E95169&cult=TW&bv=1

(발췌 시작)

雞鶩

 

    【1】雞和鴨。古代以之為贈送禮品。{宋}{曾鞏}《應舉啟》:“仰遵舊禮﹐敢忘桑梓之恭;輒進曼辭﹐庶當雞鶩之贄。”【2】雞和鴨。比喻小人或平庸的人。《楚辭·九章·懷沙》:“鳳皇在笯兮﹐雞鶩翔舞。”{王逸}注:“言賢人困厄﹐小人得志也。”《陳書·蔡景歷傳》:“欲以雞鶩廁鴛鴻於池沼﹐將移瓦礫參金碧之聲價。”{唐}{李白}《送崔度還吳》詩:“胡爲雜凡禽﹐雞鶩輕賤君。”

(이상, 발췌 끝)

 

주 2-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嫌嗔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B%8C%E5%97%9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B%8C%E5%97%9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嫌嗔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b%8c%e5%97%94&st=3&dy=0&pt=All&page=0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嫌嗔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FF59E5ADFEC55655A13EE6E06810E77&cult=TW&bv=1

(발췌 시작)

嗔嫌

 

    【1】怒怨。《元典章新集·刑部·燒埋》:“{何丑老}歸家﹐報稱有{鄭舍俚}嗔嫌兄{何雲二}回應言語﹐將刀殺死{何雲二}在{徐幸一}門首。”《古今小說·蔣興哥重會珍珠衫》:“因{興哥}做人有些古怪容易嗔嫌﹐老身輩從不曾上他的堦頭。”

(이상, 발췌 끝)

 

 3 鳴聲九霄 嘹亮風塵 명성동구소 료량출풍진

 

그 부르짖는 소리(鳴聲)가 하늘의 지극히 높은 곳(九霄)을 감응(感應)하게 하고 그 소리의 맑고 깨끗함(嘹亮)은 속세(俗世, 주: 한한대사전)(風塵)를 벗어났으나(出, 주: 한한대사전)

 

주 3-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鳴聲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8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3%B4%E8%81%B2 1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3%B4%E8%81%B2 8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鳴聲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b8%a3%e5%a3%b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鳴聲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78832403041985A0315B55C0379D5DF&cult=TW&bv=1

(발췌 시작)

鳴聲

 

    【1】呼聲;叫聲。{沈從文}《從文自傳·我讀一本小書同時又讀一本大書》:“藏在田塍土穴中大黃喉蛇鳴聲黑暗中魚在水面撥剌的微聲﹐全因到耳邊時分量不同﹐我也記得那么清清楚楚。”{北魏}{賈思勰}《齊民要術·養雞》:“雞棲宜據地爲籠﹐籠內著棧﹐雖鳴聲不朗﹐而安穩易肥。”{宋}{范成大}《次韻唐致遠雨後喜涼》:“竹窗日暮轉蕭瑟﹐春有促織鳴聲悲。”{漢}{王褒}《四子講德論》:“鳴聲相應﹐仇偶相從。人由意合﹐物以類同。”{三國} {魏}{嵇康}《與山巨源絕交書》:“或賔客盈坐﹐鳴聲聒耳。”

(이상, 발췌 끝)

 

주 3-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九霄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7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9%9D%E9%9C%8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9%9D%E9%9C%84 17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九霄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9%9d%e9%9c%84&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九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D97890F53026F62C137984545909F8A&cult=TW&bv=1

(발췌 시작)

九霄

 

    【1】借指帝王。{唐}{包佶}《奉和常閣老晩秋集賢院即事寄贈徐薛二侍郎》詩:“九霄偏眷顧﹐三事早提攜。”{唐}{黃滔}《敷水廬校書》詩:“九霄無詔下﹐何事近清塵?”【2】天之極高處;高空。{徐特立}《言立》詩:“丈夫落魄縱無聊﹐壯志依然九霄。”{晉}{葛洪}《抱樸子·暢玄》:“其高則冠蓋乎九霄﹐其曠則籠罩乎八隅。”{元}{鄭光祖}《梅香》第三折:“庭堦竚立癡心望﹐盼殺{姮娥}下九霄。”{唐}{武衡}《同幕中諸公送李侍御歸朝》詩:“{巴}江暮雨連{三峽}﹐{劍}壁危梁上九霄。”【3】道家謂仙人居處。{宋}{陸游}《長生觀觀月》詩:“獨倚欄桿吹玉笛﹐道人不怕九霄寒。”{唐}{李白}《明堂賦》:“比乎{崑}山之天柱﹐矗九霄而垂雲。”{王琦}注:“按道書﹐九霄之名﹐謂赤霄﹑碧霄﹑青霄﹑絳霄﹑黅霄﹑紫霄﹑練霄﹑玄霄﹑霄也。一説以神霄﹑青霄﹑碧霄﹑丹霄﹑景霄﹑玉霄﹑瑯霄﹑紫霄﹑火霄爲九霄。”《文選·沈約<游沈道士館>詩》:“鋭意三山上﹐託慕九霄中。”{張銑}注:“九霄九天仙人所居處也。”【4】喻皇帝居處。{唐}{杜甫}《臘日》詩:“口脂面藥隨恩澤﹐翠管銀罌下九霄。”

(이상, 발췌 끝)

 

주 3-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嘹亮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8%B9%E4%BA%A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8%B9%E4%BA%AE 1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嘹亮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98%b9%e4%ba%a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嘹亮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B94DA702E98D020D3E7DEA3D43FFD1A&cult=TW&bv=1

(발췌 시작)

嘹亮

 

    亦作“[嘹喨]”【1】聲音清脆響亮。《初學記》卷四引{南朝}{梁}{劉孝綽}《三日侍華光殿曲水宴》詩:“妍歌已嘹亮﹐妙舞復紆餘。”{清}{洪昇}《長生殿·舞盤》:“冰絃玉柱聲嘹喨﹐鸞笙象管音飄蕩。”{孔厥}《新兒女英雄續傳》第二十章:“突然﹐嘹亮的軍號響了。”{元}{馬致遠}《漢宮秋》第三折:“猛聽的塞雁南翔﹐呀呀的聲嘹喨。”

(이상, 발췌 끝)

 

주 3-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風塵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더러(즉, 41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2%A8%E5%A1%B5 1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2%A8%E5%A1%B5 41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風塵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3%8e%e5%b0%9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風塵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63234B51F66B4781D026771D5DB1E0A&cult=TW&bv=1

(발췌 시작)

風塵

 

    【1】謂行旅辛苦勞頓。《藝文類聚》卷三二引{漢}{秦嘉}《與妻書》:“當涉遠路﹐趨走風塵。”{唐}{方干}《送喻坦之下第還江東》詩:“風塵辭帝里﹐舟檝到家林。”{何其芳}《樹陰下的默想》:“他更加瘦弱而我則帶著風塵之色。”【2】風月場。指以色相謀生的場所。【3】宦途,官場。{明}{唐順之}《題東石草堂圖贈黃松江》詩:“{松江}太守好靜者﹐跡在風塵心在野。”{晉}{葛洪}《抱樸子·交際》:“馳騁風塵者﹐不懋建德業﹐務本求己。”{宋}{沈遘}《五言送劉泌歸建州》:“東都宦遊客﹐風塵厭已久。”【4】塵事,平庸的世俗之事。{唐}{戴叔倫}《贈殷亮》詩:“山中舊宅無人住﹐來往風塵共白頭。”《紅樓夢》第一回:“今風塵碌碌﹐一事無成﹐忽念及當日所有之女子﹐一一細考較去﹐覺其行止見識皆出我之上。”{北齊}{顏之推}《顏氏家訓·省事》:“而爲執政所患﹐隨而伺察。既以利得﹐必以利治﹐微染風塵﹐便乖肅正。”【5】流言蜚語。《宋書·范曄傳》:“以臣昔蒙{義康}接盼﹐又去歲羣小爲臣妄生風塵﹐謂必嫌懼﹐深見勸誘。”《宋書·劉景素傳》:“故從昏者忌明﹐同枉者毀正﹐搦弦爲鉤﹐張一作百﹐行坐欬嚏﹐皆生風塵。”《南齊書·謝朓傳》:“遂復矯構風塵﹐妄惑朱紫﹐詆貶朝政﹐疑閒親賢。”【6】被風揚起的塵土。{唐}{王昌齡}《從軍行》之五:“大漠風塵日色昏﹐紅旗半捲出轅門。”{漢}{焦贛}《易林·坎之咸》:“風塵暝迷﹐不見南北﹐行人失路﹐復反其室。”{柳青}《創業史》第二部第八章:“遠望{終南山}﹐黑黝黝的。近看{渭河平原}﹐蒼蒼茫茫﹐風塵彌漫。”【7】比喻戰亂;戎事。《後漢書·班固傳下》:“設後北虜稍彊﹐能爲風塵﹐方復求爲交通﹐將何所及?”{王闿運}《陳夷務疏》:“臣竊觀古今史籍所紀﹐及近歲自庚子至於庚申二十年中﹐每有邊竟風塵之憂。”{唐}{李端}《代村中老人答》詩:“{京洛}風塵後﹐村鄉煙火稀。”【8】高風清塵。比喻品格清正崇高。《文選·夏侯湛<東方朔畫贊>》:“天秩有禮﹐神監孔明。彷彿風塵﹐用垂頌聲。”{劉良}注:“言髣髴聞其高風清塵﹐故此用垂頌聲也。”{元}{辛文房}《唐才子傳·杜甫》:“觀{李}{杜}二公﹐踦版蕩之際﹐語語王霸﹐褒貶得失﹐忠孝之心﹐驚動千古……歷世之下﹐想見風塵。”{唐}{劉得仁}《哭翰林丁侍郎》詩:“平生任公直﹐愛弟尚風塵。”【9】塵世,紛擾的現實生活境界。{唐}{皇甫冉}《送朱逸人》詩:“雖在風塵裏﹐{陶潛}身自閒。”{清}{王源}《劉處士墓表》:“落落攝敝衣冠﹐躑躅風塵中。”{晉}{郭璞}《游仙詩》:“高蹈風塵外﹐長揖謝{夷}{齊}。”【10】指妓女。{唐}{李商隱}《雜纂》:“難容:僧道對風塵笑語。”{清}{蒲松齡}《聊齋志異·彭海秋》:“{娟娘}縱體入懷﹐哽咽而言曰:‘仙人已作良媒﹐君勿以風塵可棄﹐遂捨念此苦海人!’”

(이상, 발췌 끝)

 

 4 乘秋飛去 怊悵勞人 승추홀비거 초창공로인

 

가을을 타고(乘秋) 홀연() 날아가 버려(飛去) 실심(失心)과 실망(失望)(怊悵)이 근심 걱정하는 사람(勞人)들을 공허하게 하는구료()

 

주 4-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乘秋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9%98%E7%A7%8B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9%98%E7%A7%8B 1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乘秋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9%98%e7%a7%8b&st=3

 

주 4-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飛去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더러(즉, 37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3%9B%E5%8E%BB 13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3%9B%E5%8E%BB 37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飛去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3%9e%e5%8e%bb&st=3

 

주 4-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怊悵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0%8A%E6%82%B5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0%8A%E6%82%B5 1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怊悵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80%8a%e6%80%8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怊悵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25F7CD39B6D01F024F3691A47327421&cult=TW&bv=1

(발췌 시작)

怊悵

 

    【1】猶惆悵。{唐}{皎然}《奉送陸中丞長源詔徵入朝》詩:“歸心復何奈﹐怊悵在江濱。”{清}{王士禛}《池北偶談·談藝八·朝鮮采風錄》引{金質忠}詩:“平生久負凌雲氣﹐怊悵如今半已摧。”《楚辭·九辯》:“心搖悅而日幸兮﹐然怊悵而無冀。”{南朝} {齊}{王儉}《褚淵碑文》:“怊悵餘徽﹐鏘洋遺烈。”

(이상, 발췌 끝)

 

주 4-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勞人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B%9E%E4%BA%BA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B%9E%E4%BA%BA 3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勞人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a%b3%e4%ba%ba&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勞人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73659160E2233F6B77D83B4D9561250&cult=TW&bv=1

(발췌 시작)

勞人

 

    【1】勞苦之人。{宋}{梅堯臣}《秦始皇馳道》詩:“{秦帝}觀滄海﹐勞人何得脩。”《舊五代史·晉書·高祖紀》:“己亥﹐罷{洛陽}﹑{京兆}進苑囿瓜菓﹐憫勞人也。”{魯迅}《花邊文學·論秦理齋夫人事》:“孤兒寡婦﹐貧女勞人之順命而死﹐或雖然抗命﹐而終于不得不死者何限﹐但曾經上誰的口﹐動誰的心呢?”【2】憂傷之人。《詩·小雅·巷伯》:“驕人好好﹐勞人草草。蒼天蒼天!視彼驕人﹐矜此勞人。”{馬瑞辰}通釋:“{高誘}《淮南子》注:‘勞﹐憂也。’‘勞人’即憂人也。”

(이상, 발췌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5시간 

 



262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