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6,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2 ㅣ No.1818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8.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6 장   인간(*0)

 

 1 髫僮耆耈       초동기구         젊은이와 늙은이들

                                 젊은이와 늙은이

       어린아이(幼童)(髫僮)와 나이 많은 명망있는 높은 이(耆耈, 주: 한한대사전)

 

주 36-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髫僮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B%AB%E5%83%A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B%AB%E5%83%AE 0

 

그런데, (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漢典"에 주어진  에 대한 셜명

http://www.zdic.net/z/15/js/50EE.htm

 

그리고 (ii) "한한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에 의하면, 은 옛날 동일한 글자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B%AB%E7%AB%A5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B%AB%E7%AB%A5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93117F6AB8B6057882EE38D297A1105&cult=TW&bv=1

(발췌 시작)

髫童

 

    【1】幼童。{明}{方孝孺}《御書贊》:“髫童鮐叟﹐大訓宏謨。”{唐}{柳宗元}《道州毀鼻亭神記》:“髫童之嚚﹐公實智之。”

(이상, 발췌 끝)

 

주 36-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耆耈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0%86%E8%80%8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0%86%E8%80%87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耆耈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0%86%e8%80%87&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耆耇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BAA357C52F106EFB6FDDFD16296B0CD&cult=TW&bv=1

(발췌 시작)

耆耇

 

    【1】年高望重者。《後漢書·隗囂傳》:“{望}無耆耇之德﹐而猥託賓客之上﹐誠自愧也。”{明}{宋濂}《贈古思平寇詩序》:“三月甲申抵{東陽}﹐公延見耆耇﹐訊以山川險阨與盜出入恒狀。”{漢}{王褒}《四子講德論》:“龐眉耆耇之老﹐咸愛惜朝夕﹐願濟須臾。”

(이상, 발췌 끝)


 2 倜儻俠豪       척당협호         기개 있는 사람들을

                                 대범한 사람과 호걸

           특출한 이(倜儻, 주: 한한대사전)와 호협(豪俠)한 이(俠豪, 주: 한한대사전)

 

36-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倜儻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6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6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0%9C%E5%84%BB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0%9C%E5%84%BB 6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倜儻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0%9c%e5%82%a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倜儻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FD9AE739AC074ED772D2D1A697D0274&cult=TW&bv=1

(발췌 시작)

倜儻

 

    【1】卓異,不同尋常。《資治通鑒·晉惠帝永寧元年》:“〔{劉殷}〕博通經史﹐性倜儻有大志。”{胡三省}注:“倜儻卓異也。”{清}{侯方域}《南省試策二》:“今天內訌外侮﹐誠宜得倜儻非常之人任而使之。”{漢}{司馬遷}《報任安書》:“古者富貴而名摩滅﹐不可勝紀﹐惟倜儻非常之人稱焉。”【2】豪爽灑脫而不受世俗禮法拘束。{清}{蒲松齡}《聊齋志異·云蘿公主》:“{章丘}{李孝廉善遷}﹐少倜儻不泥﹐絲竹詞曲之屬皆精之。”{周而復}《上海的早晨》第四部二九:“他今天不但顯得年輕﹐而且比過去越發英俊了……出落得瀟灑不凡﹐風流倜儻。”《三國志·魏志·阮瑀傳》:“{瑀}子{籍}﹐才藻豔逸﹐而倜儻放蕩。”

(이상, 발췌 끝)

 

36-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俠豪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F%A0%E8%B1%A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E%A0%E8%B1%AA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俠豪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e%a0%e8%b1%aa&st=3


 3 遴薦勵獎       린천여장         천거 권장하는 사람

               선발하고 추천하고 격려하고 권장하는 이/(2017년 7월 20일) 선발하는 이 추천하는 이 격려하는 이 권장하는 이

         선발하는 이(遴薦) 격려하고 권장하는 이(勵獎)

 

36-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遴薦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1%B4%E8%96%A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1%B4%E8%96%A6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다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漢典"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遴薦 은 한 개의 단어/숙어이다:

출처: http://www.zdic.net/c/4/15e/354822.htm

 

36-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勵獎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B%B5%E7%8D%8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B%B5%E7%8D%8E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다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국제퇴계학회 전자자전"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勵獎 은 한 개의 단어/숙어이다:

출처: http://www.hanjadoc.com/dic/read_dic.asp?table=board&page=2&m_no=907&str1=2&str2=%E5%8A%9B-


 4 諂傲譏嘲       첨오기조         아첨 오만하는 사람

                                 아첨하는 이 오만한 이 놀리는 이 조소하는 이

                아첨하는 이() 오만한 이() 비꼬고 조롱하는 이(譏嘲, 주: 한한대사전)

 

36-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諂傲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B%82%E5%82%B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B%82%E5%82%B2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36-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譏嘲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D%8F%E5%98%B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D%8F%E5%98%B2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譏嘲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ae%a5%e5%98%b2&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譏嘲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4233B7A047D686CA7A11DEA901A48BD&cult=TW&bv=1

(발췌 시작)

譏嘲

 

    【1】譏諷嘲笑。{清}{梁章鉅}《退庵隨筆·躬行》:“君子之文﹐以不磨滅爲幸。非君子則以不磨滅爲不幸;使後人一番瀏覽﹐一番譏嘲﹐不如磨滅之乾浄矣。”{宋}{司馬光}《酬王安之聞罷真率會》:“既處譏嘲地﹐誰爲長厚人。”{艾蕪}《流離》:“有的又現出不滿的樣子﹐譏嘲地說:‘真是!五千元一碗的干飯不吃﹐要出來喝五千元一碗的清米湯!’”

(이상, 발췌 끝)


 5 顢頇伶俐       만안리         어리석음 영리함과

                                 멍청한 이 똑똑한 이

  흐리멍덩한 이(顢頇, 주: 한한대사전) 눈치빠르고 슬기로운 이(伶俐, 주: 한한대사전) 

 

36-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顢頇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1%A2%E9%A0%8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1%A2%E9%A0%87 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顢頇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2%9f%e9%a1%b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顢頇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D763AAEF0963B382EFEAEDC7B67D9D0&cult=TW&bv=1

(발췌 시작)

顢頇

 

    【1】面大貌。{五代}{和疑}《宮詞》之十二:“顢頇冰面瑩池心﹐風刮瑤階臘雪深。”【2】糊涂而馬虎。《紅樓夢》第八一回:“如今{儒老太爺}雖學問也只中平﹐但還彈壓的住這些小孩子們﹐不至以顢頇了事。”{清}{趙翼}《題竹初為袁趙兩家息詞後》詩之二:“各挾雌黃訴到官﹐{閻羅}{包老}也顢頇。”《朱子語類》卷九三:“{居仁}謂{伊川}顢頇語﹐是親見與{病叟}書中説。”{楊沫}《青春之歌》第二部第四十章:“他顢頇地蹲在女兒身邊﹐用大手撫摸著她凌亂的頭發。”

(이상, 발췌 끝)

 

36-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伶俐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9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C%B6%E4%BF%9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C%B6%E4%BF%90 9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伶俐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c%b6%e4%bf%9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伶俐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53AAB56ECC996DBD7D6D3666D2B93E9&cult=TW&bv=1

(발췌 시작)

伶俐

 

    亦作“[伶利]”【1】機靈;靈活。《水滸傳》第四九回:“原來這{樂和}是一個聰明伶俐的人﹐諸般樂品﹐盡皆曉得﹐學著便會。”《朱子語類》卷三二:“仁﹐只似而今重厚底人;知﹐似今伶利底人。”{周而復}《上海的早晨》第一部八:“心里卻喜歡她的活潑伶俐。”【2】輕盈;輕巧。《天雨花》第十一回:“我看你清清秀秀﹐伶俐身材﹐不知你可會些甚麼本事?”{茅盾}《追求》三:“病房外﹐看護婦的伶俐的腳音﹐時遠時近地閣閣地響著。”【3】爽快;干脆。{明}{湯顯祖}《紫釵記·劍合釵圓》:“要你兩頭迴避﹐不如一頭伶俐。”{元}{關漢卿}《五侯宴》第二折:“若是我無你箇孩兒伶俐些﹐那其間方得寧貼。”{魯迅}《三閑集·我和<雨絲>的始終》:“{譚正璧}先生有一句用我的小說的名目﹐來批評我的作品的經過的極伶俐而省事的話道:‘{魯迅}始于“吶喊”而終于“徬徨”。’”【4】正當;清楚;干凈。用于否定形式。{元}{馬致遠}《黃粱夢》第二折:“我和{魏尚書}的兒子{魏舍}﹐有些伶俐的勾當。”《二刻拍案驚奇》卷十五:“疑的是婦人家沒志行﹐敢怕獨自個一個時候極了﹐做下了些不伶俐的勾當。”

(이상, 발췌 끝)


 6 縷晰膚毫       루석부호         모발 피부를 헤치고

   실낱처럼 또렷이 피부의 터럭 같거늘/(2017년 7월 20일)피부의 터럭처럼 뚜렷이 구별되거늘

 [이와 같이] 상세하고 명확함(縷晰, 주: 한한대사전)이 피부()의 터럭() 같으니

 

36-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縷晰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8%B7%E6%99%B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8%B7%E6%99%B0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縷晰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C87C29B24DA8C8408D1BF3CF92E83B9&cult=TW&bv=1

(발췌 시작)

縷晰

 

    【1】詳盡而清楚。{清}{林則徐}《批駁余保純等為英商貨船聽候請照開盤會稟》:“此次該牧等承辦夷務﹐疎率不合之處﹐已於前稟縷晰批明矣。”{陳春生}《庚子惠州起義記》:“茲將該土匪勾結起事及調營勦辦詳細情形謹縷晰陳之。”

(이상, 발췌 끝)

 

36-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膚毫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6%9A%E6%AF%A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6%9A%E6%AF%AB 0


 7 胞胚配締       포배배체         그 뱃속에 품은 것이

                  이들을 낳아 짝 짓고 연결하니/(2017년 7월 20일)자손을 두어 짝을 맺게하니

  이들을 낳아서(, 주: 한한대사전) 시초함(, 주: 한한대사전)과 짝 지어() 맺어줌()은(*)

 

------

(*) 유교수 주: 운율을 맞추기 위하여 "배포" 대신에 "포배"로 표현한 것 같다.

----- 

 

36-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胞胚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3%9E%E8%83%9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3%9E%E8%83%9A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36-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配締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5%8D%E7%B7%A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5%8D%E7%B7%A0 0


 8 妙奧頗饒       묘오파요         오묘하고 신비롭다

                                 그 오묘함 자못 풍요롭도다

         그 오묘함(妙奧, 주: 한한대사전)이 생각보다 매우() 넉넉하도다()

 

36-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妙奧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6%99%E5%A5%A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6%99%E5%A5%A7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妙奧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용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妙奧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3158632CAD4A682E3115B16A7F42135&cult=TW&bv=1

(발췌 시작)

妙奧

 

    【1】奧妙。{唐}{元稹}《永福寺石壁法華經記》:“至於佛書之妙奧﹐僧當爲予言。”

(이상, 발췌 끝)

  

36-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頗饒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0%97%E9%A5%9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0%97%E9%A5%92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頗饒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右節, 上主生人, 靈蠢不一, 而締造苦心, 實有奧妙, 非人之所能測也.
우절, 상주생인, 영준불일, 이체조고심, 실유오묘, 비인지소능측야.


倜儻, 卓立也. 遴, 選也. 薦, 進也. 順人而阿附曰, 諂.
척당, 탁립야. 린, 선야. 천, 진야. 순인이아부왈, 첨.


凌人而蔑視之曰, 傲. 微諷以刺人曰, 譏. 曲言以笑人曰, 嘲.
릉인이멸시지왈, 오. 미풍이자인왈, 기. 곡언이소인왈, 조.


頇, 言愚蠢之人, 辦事無眉目也. 縷, 細絲也. 晰, 分也. 締, 造也.
안, 언우준지인, 판사무미목야. 루, 세사야. 석, 분야. 체, 조야.


饒, 多也.
요, 다야.

 

윗절은 상주께서 사람을 태어나게 하실/(2017년 7월 20일)내실 때에 영리하고 우준함이 한결같지 않으나 그 창조하신 고심과 오묘함이 있으니 이는 인간이 능히 측량하지 못할 바임을 말한다. 


척당(倜儻)은 뛰어남이며 인(遴)은 선발이고, 천(薦)은 나아감의 뜻이다. 남에게 순종하며 아첨하는 것을 첨(諂)이라 하고, 남을 능멸하는 것을 오(傲)라 한다. 남을 약간 풍자하는 것/(2017년 7월 20일) 가벼운 풍자로 남을 비판하는 것을 기(譏)라 하며, 남을 비웃음을 조(嘲)라 한다. 안(頇)은 어리석은 사람이 사물을 판별할 때에 요령이 없음을 말하고 루(縷)는 가는 실을 말한다. 석(晰)은 분석이며 체(締)는 만든다는 뜻이고 요(饒)는 많음을 말한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20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