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7,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2 ㅣ No.1819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9.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7 장   집(*0)

 

 1 畫榭雕廊       화사조랑         그림 같은 정자 회랑

            그림 같은 정자(亭子)에 아로새긴 회랑(回廊)/(2017년 7월 20일) 단청한 정자에 아로새긴 회랑(回廊)

      그림으로 장식된() 대사(臺榭)()와 조각이 된() 회랑(廻廊)()들

 

주 37-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畫榭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5%AB%E6%A6%A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5%AB%E6%A6%AD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畫榭 이, 한 글자씩 해석하여야 하는,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94%bb%e6%a6%ad&st=3&page=2

 

주 37-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雕廊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B%95%E5%BB%8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B%95%E5%BB%8A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雕廊 이, 한 글자씩 해석하여야 하는,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2 複堦夾牖       복계협유         두 줄 섬돌 좌우 들창

                                 두 줄의 섬돌 곁으로 들창 내니

         거듭되는() 돌계단/(2017년 7월 20일)돌층계()들과 좁은() 들창()들

 

주 37-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複堦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4%87%E5%A0%A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4%87%E5%A0%A6 0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複階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4%87%E9%9A%8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4%87%E9%9A%8E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複階 이, 한 글자씩 해석하여야 하는,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4%8d%e9%98%b6&st=3&page=1

 

주 37-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夾牖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4%BE%E7%89%9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4%BE%E7%89%96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3 斐檻聯緜       비함련면         빛나는 난간 이어지고

                                 예쁜 난간 이어지며

               문채나는() 난간()들이 연계(聯繫)하여 이어지고(聯緜)

 

주 37-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斐檻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6%90%E6%AA%BB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6%90%E6%AA%BB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37-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聯緜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1%AF%E7%B7%9C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1%AF%E7%B7%9C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聯緜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1%94%e7%bb%b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聯綿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2FA3976B27229B0739532FA8B4BFFF0&cult=TW&bv=1

(발췌 시작)

聯綿

 

    亦作“[聯緜]”【1】連綿。接連不斷。《文選·王褒<洞簫賦>》:“聯緜漂撇﹐生微風兮。”{張銑}注:“聯緜﹐不絶也。”{隋}{江總}《大莊嚴寺碑》:“木密聯綿﹐香泥繚繞。”{唐}{白居易}《病假中龐少尹攜魚酒相過》詩:“宦情牢落年將暮﹐病假聯緜日漸深。”{魯迅}《彷徨·祝福》:“我在蒙朧中﹐又隱約聽到遠處的爆竹聲聯綿不斷。”《醒世恒言·隋煬帝逸游召譴》:“時舳艫相繼﹐連接千里﹐自{大梁}至{淮}口﹐聯綿不絶。”

(이상, 발췌 끝)


 4 綺窗輻輳       기창주         비단 창틀 아름답네

                                 비단 창이 몰려있네

조각, 회화 등으로 장식한 정교하고 아름다운 창문(綺窗, 주: 한한대사전)들이 한데 모여있구나(輻輳竝臻)

 

주 37-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綺窗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4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6%BA%E7%AA%9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6%BA%E7%AA%97 4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綺窗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b%ae%e7%aa%97&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綺窗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CE60B560E9FC6D90916F5991E3B7C9E&cult=TW&bv=1

(발췌 시작)

綺窗

 

    【1】雕刻或繪飾得很精美的窗戶。{宋}{劉子翚}《聞箏作》詩:“月高夜鳴箏﹐聲從綺窗來。”{清}{黃景仁}《減蘭·中秋夜感舊》詞之二:“綺窗人靜﹐露寒今夜無人問。”《文選·左思<蜀都賦>》:“開高軒以臨山﹐列綺窗而瞰江。”{呂向}注:“綺窗﹐彫畫若綺也。”{唐}{李商隱}《瑤池》詩:“{瑤池}{阿母}綺窗開﹐《黃竹》歌聲動地哀。”

(이상, 발췌 끝)

 

주 37-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輻輳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C%BB%E8%BC%B3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C%BB%E8%BC%B3 1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輻輳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e%90%e8%be%8f&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輻輳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F0EA07CE18C4BAA1710789EAF43B2E9&cult=TW&bv=1

(발췌 시작)

輻輳

 

    亦作“[輻湊]”【1】集中; 聚集。《文子·微明》:“志大者﹐兼包萬國﹐一齊殊俗﹐是非輻輳﹐中爲之轂也。”《管子·任法》:“羣臣修通輻湊以事其主﹐百姓輯睦聽令道法以從其事。”{南朝} {梁}{劉勰}《文心雕龍·事類》:“衆美輻輳﹐表裏發揮。”{唐}{韓愈}《南山詩》:“或散若瓦解﹐或赴若輻湊。”{宋}{陳亮}《祭妹文》:“三載之間﹐禍患輻輳。”{漢}{班固}《東都賦》:“平夷洞達﹐萬方輻湊。”{清}{李必恒}《謁浮山禹廟次昌黎石鼓韻作歌》:“烝民乃粒玉帛會﹐萬國輻輳車書和。”{{范文瀾}{蔡美彪}等}《中國通史》第三編第七章第八節:“{長安}是文化繁榮的都市﹐也是交通頻繁﹑賓客輻湊的都市。”{梁啟超}《中國學術思想變遷之大勢》第三章第二節:“及{戰國}之末﹐諸侯游士﹐輻輳走集﹐{秦}一一揖而入之。”

(이상, 발췌 끝)


 5 齋塾序庠       재숙서상         재실 서숙 글방 있고

                                 재실(齋室) 서숙(書塾) 학교(學校)

  [그러나] 재사(齋舍)(주: 한한대사전)()들과 숙당(堂)들 그리고 학교(庠序)(序庠)들

 

주 37-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齋塾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D%8B%E5%A1%B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D%8B%E5%A1%BE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37-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序庠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A%8F%E5%BA%A0 3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A%8F%E5%BA%A0 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序庠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a%8f%e5%ba%a0&st=3

 

더 나아가,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庠序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4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5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A%A0%E5%BA%8F 42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A%A0%E5%BA%8F 57

 

그리고 庠序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a%a0%e5%ba%8f&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庠序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17D26F0825E73524C69C10225AE2630&cult=TW&bv=1

(발췌 시작)

庠序

 

    【1】古代的地方學校。后亦泛稱學校。{李大釗}《警告全國父老書》:“學子憤慨于庠序﹐商賈喧噪廛市。”《舊唐書·儒學傳上·蕭德言》:“自{隋}氏版蕩﹐庠序無聞。”《孟子·梁惠王上》:“謹庠序之教﹐申之以孝弟之義。”《漢書·董仲舒傳》:“立大學以教於國﹐設庠序以化於邑。”【2】安詳肅穆。庠,通“詳”。安詳。{蔣禮鴻}《敦煌變文字義通釋·釋容體》:“庠序﹐舉動安詳肅穆的意思。”《後漢書·左雄傳》:“九卿位亞三事﹐班在大臣﹐行有佩玉之節﹐動有庠序之儀。”{唐}{玄奘}《大唐西域記·戰主國》:“僧徒肅穆﹐衆儀庠序。”《敦煌變文集·維摩詰經講經文》:“纖手舉而淡濘風光﹐玉步移而威儀庠序。”

(이상, 발췌 끝)


 6 廩廚厠廐       늠주측구         쌀광 부엌 변소 마구간

                                 곳간 부엌 뒷간 마구간

    주방(廚房)들과 곡창(穀倉)(廩廚, 주: 한한대사전)(廩廚)들 그리고 뒷간()들과 마구간()들이

 

주 37-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廩廚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4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B%A9%E5%BB%9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B%A9%E5%BB%9A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廩廚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그리고 廚廩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廩廚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74E759C6E0B48AF0E6D55258CA3FC3B&cult=TW&bv=1

(발췌 시작)

廚廩

 

    【1】庖廚與倉廩。{唐}{王季友}《寄韋子春》詩:“雀鼠晝夜無﹐知我廚廩貧。”《宋史·孝義傳·胡仲堯》:“構學舍于{華林山}別墅﹐聚書萬卷﹐大設廚廩﹐以延四方遊學之士。”

(이상, 발췌 끝)

 

주 37-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厠廐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E%A0%E5%BB%9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E%A0%E5%BB%90 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7 衍慶迓休       연경아휴         잔치 위해 깨끗하되

           장차 경사롭고 길하게 하려기에/(2017년 7월 20일) 늘 경사롭고 아름답게 하고자

 연이어지는 경사(衍慶 주: 한한대사전)를 영접하고자 하면(迓迎休福, 주: 한어대사전 및 한한대사전)(迓休)/(2017년 7월 20일) ???

 

주 37-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衍慶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1%8D%E6%85%B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1%8D%E6%85%B6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衍慶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a1%8d%e5%ba%8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衍慶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39492A856DAA6A14B8246D4915E7FEA&cult=TW&bv=1

(발췌 시작)

衍慶

 

    【1】古代宮殿名。{宋}{周邦彥}《汴都賦》:“其殿則有{天元}﹑{太始}﹑{皇武}﹑{儷極}﹑{大定}﹑{輝德}﹑{熙文}﹑{衍慶}﹑{美成}﹑{繼仁}﹑{治隆}之名。”【2】綿延吉慶。常用作祝頌之詞。{明}{吳承恩}《賀松窗陳孝勇冠帶障詞》:“看它日門庭衍慶寵光重疊。”{明}{吳承恩}《賀松窗陳孝勇冠帶障詞》:“螽斯衍慶。”

(이상, 발췌 끝)

 

주 37-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迓休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F%93%E4%BC%91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F%93%E4%BC%91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迓休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迓迎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0248E09FB525CF1AC24B8B81EBA866D&cult=TW&bv=1

(발췌시작)

迓迎

 

【1】迎接。{宋}{王安石}《上徐兵部書》:“伏惟爲國自壽﹐迓迎休福。”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休福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6C27949F3FFE36AA00B9A2BDBFCE54C&cult=TW&bv=1

(발췌 시작)

休福

 

    【1】吉慶;福瑞。{宋}{王安石}《上徐兵部書》:“伏惟爲國自壽﹐迓迎休福。”《後漢書·皇后紀上·光烈陰皇后》:“異常之事﹐非國休福不得上壽稱慶。”

(이상, 발췌 끝)


 8 楣構       치점미구         한 점 티가 부끄럽네

                 그 집이 때 타는 걸 부끄러워하누나/(2017년 7월 20일) 건물에 때 타는 걸 부끄러워하누나

      상인방()과 서까래()를 욕되게 하고() 이지러지게 하니라()

 

주 37-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恥玷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1%A5%E7%8E%B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1%A5%E7%8E%B7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2017년 7월 28일자로 바로잡음]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37-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楣構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5%A3%E6%A7%8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5%A3%E6%A7%8B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楣構 이, 한 글자씩 해석하여야 하는,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右節, 宮室華美承門祚者, 猶恥玷汚人, 柰何不求心之淸潔哉.
우절, 궁실화미승문조자, 유치점오인, 내하불구심지청결재.


複, 重也. 聯緜, 連接不斷也. 輻輳, 聚集也. 衍, 延, 迓, 延也.
복, 중야. 연면, 연접부단야. 폭주, 취집야. 연, 연, 아, 연야.


休, 吉祥也. 玷, 汚也. 楣, 門. 楣構, 堂構.
휴, 길상야. 점, 오야. 미, 문. 미구, 당구.

 

윗절은 아름답고 화려한 궁실이라도 문 안에 들어서면서 티를 지니고 있다면 부끄러워하는데 어찌 인간의 마음이 깨끗해지기를 구하지 않을까 함이다.


복(複)은 겹이며 연면(聯緜)은 연접하여 끊임이 없음을 말한다. 폭주(輻輳)는 한 곳에 모여 있음이며, 연(衍)은 아름답다는 뜻이다. 아(迓)도 아름답다는 뜻이다. 휴(休)는 길한 것이며, 점(玷)은 더러움이다. 미(楣)는 문이고 미구(楣構)는 집의 구조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7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