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38,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2 ㅣ No.1820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20.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38 장   옷(*0)

 

 1 葛裘絺綌       갈구치격         여름 베옷 겨울 갖옷

             여름에 갈옷 입고 겨울에 털옷 입으며/(2017년 7월 20일) 여름 베옷 겨울 갖옷

 여름에는 갈의(葛衣) 겨울에는 갖옷(잠승의 털가죽으로 안을 댄 옷)(夏) 그리고 (발을 곱게 짠) 고운 갈포(葛布)()와 (발을 굵게 짠) 거친 갈포()

 

주 38-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葛裘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91%9B%E8%A3%9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91%9B%E8%A3%98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葛裘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91%9b%e8%a3%98&st=3&page=1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中華成語辭海"에 주어진 夏葛冬裘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당나라의 시인 한유(韓愈)가, 이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그의 글의 해당 부분이 발췌 인용되면서, 언급되고 있음에 주목하라: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71213-m300-w001-026&ei=5EE15FC2740914DF95698A50B7B3389E66C909079DDD974425E49E96673E35E9090C8092B5F432A0&cult=TW&bv=1

(발췌 시작)

夏葛冬裘

 

【釋義】:

    夏天穿葛衣,冬天穿皮袍(여름에 천자/제왕은 갈의를 입고 겨울에 천자/제왕은 가죽 도포를 입음)。比喻合乎時宜。唐·韓愈《原道》:“帝之與王,其號名殊,其所以為圣一也,夏葛冬裘,渴飲而饑食,其事殊,其所以為智一也。”也作“冬裘夏葛”。

(이상, 발췌 끝)

 

주 38-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絺綌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5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5%BA%E7%B6%8C 18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5%BA%E7%B6%8C 5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絺綌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5%ba%e7%bb%a4&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絺綌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02DA735789D76ADE0D92301248C60B7&cult=TW&bv=1

(발췌 시작)

絺綌

 

    亦作“[絺]”【1】葛布的統稱。葛之細者曰絺, 粗者曰綌。引申為葛服。{康有為}《上清帝第五書》:“譬凌寒而衣絺綌﹐當涉川而策高車﹐納侮招尤﹐莫此爲甚。”《舊唐書·后妃傳上·玄宗貞順皇后武氏》:“法度在己﹐靡資珩珮﹐躬儉化人﹐率先絺。”{唐}{李白}《黃葛篇》:“閨人費素手﹐採緝作絺綌﹐縫爲絶國衣﹐遠寄{日南}客。”《周禮·地官·掌葛》:“掌葛掌以時徵絺綌之材于山農。”《韓詩外傳》卷一:“〔{孔子}〕抽絺五兩以授{子貢}。”

(이상, 발췌 끝)


 2        잠이탁환         비녀 고리 팔찌 걸고

                 옥비녀 꽂고 팔찌 걸고/(2017년 7월 20일) 비녀와 귀거리 팔찌와 반지에

              비녀와 귀고리(주: 한한대사전)(簪珥) 그리고 팔찌()와 고리/(2017년 7월 20일)반지()

  

주 38-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簪珥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8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5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0%AA%E7%8F%A5 18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0%AA%E7%8F%A5 5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簪珥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0%aa%e7%8f%a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簪珥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7B5330976B4FF321FD4524EA59FDEA8&cult=TW&bv=1

(발췌 시작)

簪珥

 

    【1】發簪和耳飾。古代多為高貴婦女的首飾。《管子·輕重甲》:“簪珥而辟千金者﹐璆琳瑯玕也。”{清}{蒲松齡}《聊齋志異·甄后》:“有美人入﹐簪珥光采;從者皆宮妝。”《史記·外戚世家》:“帝譴責{鉤弋夫人}。夫人脫簪珥叩頭。”{宋}{蘇軾}《以屏山贈歐陽叔弼》詩:“屏山輟贈子﹐莫遣汙簪珥。”

(이상, 발췌 끝)

 

주 38-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0%B2%E7%92%B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0%B2%E7%92%B0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環鐲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中國古玩收藏與鑒賞全書"에 주어진 玉鐲 에 대한 설명 전문인데,  과  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이 주어져 있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516-m300-w001-144&ei=5EE15FC2740914DF4EDD4F4CAE47EF595F49FC32B68CC0394AC525E05E5F67284F407A2F9D952416&cult=TW&bv=1

(발췌 시작)

玉鐲

 

    鐲也稱釧子,是人類最早的裝飾玉之一。鐲與環,形狀基本相同,但是用途有別,鐲是腕飾(은 팔목을 꾸미고),環是佩飾(은 매다는 장식물이다)。常見鐲呈環,亦有筒形鐲、聯環形鐲等。早期玉鐲以環、筒狀素面為主,唐宋以后由于貴婦人戴鐲之風漸興,玉鐲款式漸趨新潮,鑲金玉鐲、竹節形玉鐲、龍紋玉鐲、聯珠紋玉鐲紛紛登場,令人目不暇接。

(이상, 발췌 끝)


 3 繡佩       피수패         비단 걸쳐 치장하니

                                 비단옷에 수놓은 노리개로

 명주실을 풀어(綿)(주: 한한대사전)(*) 수놓은() 노리개()/(2017년 7월 20일) 비단옷 풀어()(주: 한한대사전) 수놓은() 노리개() ???

 

-----

(*) "綿"는 필사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로 보아 바로잡았음.

-----

 

주 38-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綿披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6%BF%E6%8A%A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6%BF%E6%8A%AB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綿披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b%b5%e6%8a%a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披綿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FAA085C1478154CA398F4A3CF4F231A&cult=TW&bv=1

(발췌 시작)

披綿

 

    亦作“[披緜]”【1】脂厚。{宋}{蘇軾}《送牛尾貍與徐使君》詩:“通印子魚猶帶骨,披綿黃惟漫多脂。”{施元之}注:“黃雀出{江西}{臨江軍},土人謂脂厚爲披綿。”亦用以指代黃雀。{宋}{胡繼宗}《書言故事·禽獸比喻》:“黃雀曰披緜。”

(이상, 발췌 끝)

 

주 38-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繡佩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9%A1%E4%BD%A9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9%A1%E4%BD%A9 1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佩繡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D%A9%E7%B9%A1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D%A9%E7%B9%A1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佩繡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d%a9%e7%bb%a3&st=3&page=2


 4 燦爛輝煌       찬란휘황         눈부시게 찬란하네

                                 찬란하고 휘황하도다

     [이들 모두는] 휘황찬란하구나(輝煌燦爛)(광채가 나서 눈부시게 번쩍이구나)

 

주 38-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燦爛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5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7%A6%E7%88%9B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7%A6%E7%88%9B 5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燦爛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81%bf%e7%83%82&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燦爛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7B76556A87B45EAE75F9AA5D8B2BE25&cult=TW&bv=1

(발췌 시작)

燦爛

 

    【1】明亮貌;鮮明貌。《文選·張衡<東京賦>》:“瑰異譎詭﹐燦爛炳煥。”{薛綜}注:“燦爛炳煥﹐絜白鮮明之貌。”{隋}{諸葛潁}《奉和月夜觀星》:“星月滿茲夜﹐燦爛相臨。”《二刻拍案驚奇》卷十三:“微茫幾點疎星﹐戶前相引;燦爛一鈎新月﹐木末來邀。”{浩然}《艷陽天》第二章:“{馬連福}兩手插在衣兜里﹐仍然呆呆地站立在燦爛的陽光下。”【2】華麗;絢麗。{朱德}《和郭沫若春節游廣州花市》:“百花齊放遍城鄉﹐燦爛花光紅滿堂。”{元}{喬吉}《梁州第七·射雁》套曲:“魚尾紅殘霞隱隱﹐鴨頭緑秋水涓涓﹐芙蓉燦爛搖波面。”{明}{何景明}《畫鶴賦》:“錦燦爛兮{金谷}﹐花窈窕兮朱亭。”{晉}{葛洪}《抱樸子·博喻》:“華袞燦爛﹐非隻色之功;{嵩}{岱}之峻﹐非一簣之積。”【3】形容文辭華美。{清}{周亮工}《客索壽母詩即用客韻》:“文辭日燦爛﹐金石日晶熒。”{明}{王世貞}《藝苑卮言》卷五:“余於國朝前輩名家﹐亦偶見一斑……{張文隱}如藥鑄鼎﹐燦爛驚人﹐終乏古雅。”【4】形容事情或事業輝煌;美好。{元}{張琰}《出塞曲》:“忠誠表壯節﹐燦爛千古後。”{毛澤東}《新民主主義論》十五:“{中國}的長期封建社會中﹐創造了燦爛的古代文化。”《後漢書·班固傳下》:“宏亮洪業﹐表相祖宗﹐贊揚迪哲﹐備哉燦爛﹐真神明之式也。”{宋}{司馬光}《同鮮于子駿題和樂亭》詩:“聖人垂大訓﹐燦爛著芳冊。”

(이상, 발췌 끝)

 

주 38-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輝煌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3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C%9D%E7%85%8C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C%9D%E7%85%8C 3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輝煌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e%89%e7%85%8c&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輝煌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F0E8E82155913C247470FA9E7A84D4C&cult=TW&bv=1

(발췌 시작)

輝煌

 

    亦作“[輝皇]”【1】謂使光輝燦爛。{李大釗}《研究歷史的任務》:“他們本著迷信為{孔子}﹑{釋迦}﹑{耶穌}作傳﹐輝皇{孔子}﹑{釋迦}﹑{耶穌}為亙古僅有天縱的圣人﹐天生的兒子﹐說出許多怪誕不經的話。”【2】照亮; 照耀。{丁玲}《過年》:“影像前﹐{觀音菩薩}前﹐天井角﹐所有的地方都為蠟燭光輝煌著﹐八盞吊燈也燃起來了。”{魯迅}《集外集拾遺·<梅斐爾德木刻士敏土之圖>序言》:“用火焰輝煌了工廠的昏暗的窗玻璃。”【3】光彩奪目; 光輝燦爛。{清}{吳偉業}《思陵長公主挽詩》:“薤歌雖慘澹﹐汗簡自輝煌。”《警世通言·樂小舍生覓偶》:“〔{樂和}〕見燈燭輝煌﹐香煙繚繞。”{朱德}《寄東北諸將》詩:“勳業輝煌欣共舉﹐名花燦爛喜連枝。”【4】代稱金銀珠寶。{清}{李漁}《蜃中樓·運寶》:“世人嫁女競釵鈿﹐百兩輝煌值甚錢?”

(이상, 발췌 끝)


 5 衒耀襟袖       현요금수         비단 옷깃 자랑하며

                   매무새를 자랑하니/(2017년 7월 20일) 옷 매무새 자랑하니

         옷깃과 소매(주: 한한대사전)(襟袖)를 자랑하고(주: 한한대사전)(衒耀)

 

주 38-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衒耀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1%92%E8%80%8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1%92%E8%80%80 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衒耀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82%ab%e8%80%8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衒耀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97AE5D8F1C391A54A914AB81D7AD0E9&cult=TW&bv=1

(발췌 시작)

衒耀

 

    亦作“[衒曜]”亦作“[衒燿]”【1】賣弄夸耀。《晉書·謝安傳》:“{萬}字{萬石}﹐才器雋秀﹐雖器量不及{安}﹐而善自衒曜﹐故早有時譽。”{明}{謝肇淛}《五雜俎·事部一》:“好書之人有三病:其一﹐浮慕時名﹐徒爲架上觀美﹐牙籤錦軸﹐裝潢衒曜﹐驪牝之外﹐一切不知﹐謂之無書可也。”{晉}{葛洪}《抱樸子·正郭》:“行自衒耀﹐亦既過差。”{清}{平步青}《霞外攟屑·詩話·不嫁惜娉婷》:“至於此篇﹐則顧影裴回﹐衒耀太甚。”{晉}{葛洪}《抱樸子·勤求》:“何其爲道士之人﹐強以不知爲知﹐以無有爲有﹐虛自衒燿﹐以圖奸利者乎?”{洪深}《戲劇導演的初步知識·技巧是手段不是目的》:“念讀臺詞者﹐衒耀其悅耳聲調﹐縱然本身美妙﹐可說與真正的‘傳達’無關。”

(이상, 발췌 끝)

 

주 38-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襟袖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4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5%9F%E8%A2%9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5%9F%E8%A2%96 4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襟袖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a5%9f%e8%a2%9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襟袖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96C71FBB7A8BE10404D2F3BA942E67F&cult=TW&bv=1

(발췌 시작)

襟袖

 

    【1】衣襟衣袖。亦借指胸懷。{南朝} {宋}{謝惠連}《白羽扇贊》:“揮之襟袖﹐以禦炎熱。”{唐}{杜牧}《秋思》詩:“微雨池塘見﹐好風襟袖知。”{宋}{辛棄疾}《感皇恩·滁州壽范倅》詞:“三山歸路﹐明日天香襟袖。”【2】猶領袖, 比喻地位重要者。{唐}{劉知幾}《史通·斷限》:“夫《尚書》者﹐七經之冠冕﹐百氏之襟袖。凡學者必先精此書﹐次覽羣籍。”

9이상, 발췌 끝)


 6 掩映副鑲       엄영부양         장식물로 몸 감싸고

                                 아른대는 옷 테두리 선

큰머리/어여머리(주: 한한대사전)()의 가선()을 더욱 돋보이게 하나(주: 한한대사전)(掩映)

 

주 38-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掩映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드물게(즉, 80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E%A9%E6%98%A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E%A9%E6%98%A0 8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掩映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8e%a9%e6%98%a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掩映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D3CA199059C12C69DB8CE2985613CCFE&cult=TW&bv=1

(발췌 시작)

掩映

 

    【1】謂或遮或露,時隱時現。{唐}{白居易}《夜泛陽塢入明月灣即事寄崔湖州》詩:“掩映橘林千點火﹐泓澄潭水一盆油。”{宋}{晏殊}《漁家傲》詞:“風颭亂﹐高低掩映千千萬。”{明}{田藝蘅}《留青日札·龍井神女祠》:“時林月漸明﹐隱隱見橘柚影中一美人掩映﹐若隔煙霧。”{郭小川}《茫茫大海中的一個小島》詩:“樓臺殿閣的縮影喲﹐掩映在山頭的云霧之中。”【2】遮蔽;隱蔽。{元}{鄭光祖}《老君堂》第一折:“我在此樹邊掩映著﹐等他出來時﹐著他死於斧下。”{唐}{元稹}《賽神》詩:“採薪持斧者﹐棄斧縱橫奔。山深多掩映﹐僅免鯨鯢吞。”《三國演義》第一〇九回:“〔{司馬昭}〕豈不知兵法?若見地勢掩映﹐必不肯近。”【3】蓋過,壓倒。{唐}{高仲武}《中興間氣集·郎士元》:“‘蕭條夜靜邊風吹﹐獨倚營門向秋月’﹐可以齊衡古人﹐掩映時輩。”{明}{高攀龍}《<朱子節要>序》:“蓋其精神氣力﹐真足以柱石兩間﹐掩映千古。”{清}{黃宗羲}《留別海昌同學序》:“諸子風華掩映千人﹐多廊廟之器。”{唐}{李白}《陳情贈友人》詩:“多君騁逸藻﹐掩映當時人。”【4】遮映襯托。{南唐}{馮延巳}《虞美人》詞:“春山拂拂橫秋水﹐掩映遙相對。”{明}{徐弘祖}《徐霞客游記·游黃山日記》:“宛轉隨溪﹐羣峰環聳﹐木石掩映。”{清}{納蘭性德}《疏影·芭蕉》詞:“小立吹裾﹐常伴春慵﹐掩映繡牀金縷。”{冰心}《寄小讀者》十八:“樹影中湖光掩映﹐極其明媚。”

(이상, 발췌 끝)

 

주 38-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掩映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9%AF%E9%91%B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9%AF%E9%91%B2 0


 7 耄齡限促       모령한촉         죽어가는 끝날까지

                                 늙은 나이에 세월이 촉박한데

  [일흔이 넘어] 정신이 흐린(주: 한한대사전)() 나이()가 한정하고() 재촉하니(

 

주 38-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耄齡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0%84%E9%BD%A1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0%84%E9%BD%A1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耄齡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0%84%e9%be%84&st=3

 

주 38-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限促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9%90%E4%BF%83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9%90%E4%BF%83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限促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8 遑戀裝潢       황련장황         외모 장식 연연하네

                                 외모만 꾸미기에 바쁘구나

  어찌/(2017년 7월 20일) 한가로이() 가리어 위장함(주: 한어대사전)(裝潢)을 그리워하는가()?

 

주 38-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遑戀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1%91%E6%88%8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1%91%E6%88%80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38-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裝潢 은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3%9D%E6%BD%A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3%9D%E6%BD%A2 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裝潢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a3%85%e6%bd%a2&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裝潢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FA9E753CF0ECEC9A9C92AD5796B2E29&cult=TW&bv=1

(발췌 시작)

裝潢

 

    亦作“[裝璜]”【1】裝裱字畫。古時裝裱書畫用黃蘗汁染的紙, 即潢紙, 故稱。{南朝}{梁}{沈約}《齊禪林寺尼凈秀行狀》:“又寫集衆經,皆令具足,裝潢染成,悉自然有。”{宋}{姚寬}《西溪叢語》卷下:“《齊民要術》有裝潢紙法云:‘浸蘗汁入潢,凡潢紙滅白便是,染則年久色暗,蓋染黃也。’……寫訖入潢,辟蠹也。”{清}{俞樾}《茶香室三鈔·剪字》:“〔{林文耀}〕中年失明,乃翦紙爲字。勢飛動若龍蛇,點畫不差毫髮。室人裝璜成軸,易薪米以自給,人稱之曰{林翦}。”一本作“裝潢”。一說,潢,猶池。言書畫周邊裝飾綾錦,則緣內如池,裝成卷冊,謂之裝潢。{清}{方以智}《通雅·器用》:“潢﹐猶池也﹐外加緣則內爲池﹐裝成卷冊﹐謂之‘裝潢’﹐即‘表背’也。”【2】裝訂; 裝幀。{宋}{張端義}《貴耳集》卷上:“{南軒}自{桂}帥入朝﹐以平日所著之書並奏議講解百餘冊﹐裝潢以進。”《金史》附錄《進<金史>表》:“謹撰述本紀十九卷﹐志三十九卷﹑表四卷﹑列傳七十三卷﹑目録二卷﹑裝潢成一百三十七帙﹐隨表以聞﹐上塵天覽。”{魯迅}《朝花夕拾·<狗·貓·鼠>》:“{日耳曼}人走出森林雖然還不很久﹐學術文藝卻已經很可觀﹐便是書籍的裝潢﹐玩具的工致﹐也無不令人心愛。”【3】裝飾。《二十年目睹之怪現狀》第七九回:“那洋貨店自歸了他之後﹐他便把門面裝璜得金碧輝煌﹐把些光怪陸離的洋貨﹐羅列在外。”{蘇曼殊}《婆羅海濱遁跡記》:“行至日暮﹐有大盜四人﹐擁一女子﹐盛裝姣服﹐百計裝潢。”{丁玲}《阿毛姑娘》:“寺的命名的意義﹐自然她是不懂得﹐不過那大殿的裝潢﹐那屋宇的高朗﹐她是也會賞鑒的。”【4】猶掩飾。{魯迅}《墳·再論雷峰塔的倒掉》:“這消息﹐可又使我有點暢快了﹐雖然明知道幸災樂禍﹐不像一個紳士﹐但本來不是紳士﹐也沒有法子來裝潢。”

(이상, 발췌 끝)

 


右節, 服飾僅美外觀, 救靈必享永福, 何以戀在外之裝潢,
우절, 복식근미외관, 구령필향영복, 하이연재외지장황,


而不急在內之寶貴乎.
이불급재내지보귀호.

 

윗절은 복식이란 겨우/(2017년 7월 20일) 고작 외관만을 아름답게 할 뿐, 영복을 누리려면 영혼을 구제해야 하는데도 어찌하여 외모의 장식에만 연연하고 내면의 귀한 보배는 급하게 생각하지 않는가를 말한 것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286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