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베드로의 단죄받을 일? 혹은 비난받을 일? 갈라티아 2,11 [성경번역오류] [교리용어_단죄] <짝연중27수1독서>

인쇄

. [175.126.101.*]

2012-11-07 ㅣ No.1290


질문:

갈라티아서 2:11 바오로가 베드로를 나무라다

2:11 그런데 케파가 안티오키아에 왔을 때 나는 그를 정면으로 반대하였습니다. 그가 단죄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2:12  야고보가 보낸 사람들이 오기 전에는 다른 민족들과 함께 음식을 먹더니, 그들이 오자 할례 받은 자들을 두려워한 나머지 몸을 사리며 다른 민족들과 거리를 두기 시작하였던 것입니다.
:13  나머지 유다인들도 그와 함께 위선을 저지르고, 바르나바까지도 그들과 함께 위선에 빠졌습니다.
2:14  그러나 나는 그들이 복음의 진리에 따라 올바른 길을 걷지 않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 앞에서 케파에게 말하였습니다. “당신은 유다인이면서도 유다인으로 살지 않고 이민족처럼 살면서, 어떻게 이민족들에게는 유다인처럼 살라고 강요할 수가 있다는 말입니까?”
-----

위의 본문에서, 케파가 단죄받을 일을 하였다는 표현이 있는데, 성경 본문의 어디에 베드로가 "단죄받을" 일을 하였다는 언급이 있는지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다음의 주소에 있는, 짝수해 연중 제27주간 수요일 제1독서(Galatians 2:1-2, 7-14)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참고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27_wed.htm <----- 클릭하십시오

----------
원 질문자의 재 질문:

주석 읽어 보아도, 교황이 '단죄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입니다'-에 대한 설명은 없는 것 같습니다.
----------

위의 한줄답변들에 대단히 좋은 해설이 주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또 우리말 번역까지 해 드려야 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그런데... 그동안 좋은 자료들을 찾아서 거기에다 또한 제가 직접 번역도 하여 많이도 전달해 드렸는데..., 여러분들 생각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자의 시간은 아까운 시간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시는지요? 한 번쯤, 대다수의 여러분들과 마찬가지로 시간에 쫓기면서 살아가는 저의 답답한 입장을, "역지사지"하여 생각해 보십시오.

또 몇 시간을 들여, 우리말 번역문을 추가하였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27_wed.htm

(발췌 시작)
11-14. In his dealing with Jews, St Paul sometimes gave way in secondary matters, provided that this did not take from the essence of the Gospel: he had Timothy, whose mother was Jewish, circumcised "because of the Jews that were in those places" (Acts 16:3), and he himself kept to Jewish practices in order to allay suspicion and jealousy (cf. Acts 21:22-26). Similarly, he recommends patience and certain understanding towards those "weak" in the faith, that is, Christians of Jewish origin who held on to some Jewish observances connected with fast days, clean and unclean food and abstinence from the flesh of animals sacrificed to idols (cf. Rom 14:2-6; 1 Cor 10:23- 30). But on the key issue of Christians' freedom from the Mosaic Law, the Apostle was always firm and unambiguous, relying on the decisions of the Council of Jerusalem.
 

11-14. 자신이 유다인들을 대함에 있어, 성 바오로(St. Paul)는 때로는, 만약에 그것이 복음(the Gospel)의 본질로부터 취하였던 것이 아니라면, 부차적인 문제(secondary matters)들에 있어 다음과 같이 양보하였습니다: 그는, 그의 어머니가 유다인이었던, 티모테오(Timothy)로 하여금 할례를 받게 하였는데(circumcised) "[왜냐하면] 그의 아버지가 그리스인이라는 것을 [그 지역의] 유다인들이 모두 알고 있었기 때문"(사도행전 16,3)이며, 그리고 그 자신은 의심(suspicion)과 시기(jealousy)를 진정시키기 위하여 유다인들의 관습들을 지켰습니다(사도행전 21,22-26 참조). 유사하게, 그는 믿음(faith, 신덕)에 있어 "나약한(weak)" 자들, 즉, 단식일들, 깨끗한 그리고 부정한 음식 그리고 우상들에게 희생 제물로 바쳐진 동물들의 고기를 먹지 않음과 관련된, 어떤 유다인들의 관례(Jewish observances)들을 계속 붙잡고 있는 유다인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인내와 구체적인 이해를 권고합니다(로마 14,2-6; 1코린토 10,23-30 참조). 그러나 모세 율법으로부터 그리스도인들의 자유로움에 대한 핵심 사안에 대하여, 이 사도는 항상, 예루살렘 공의회(예루살렘 사도 회의, the Council of Jerusalem, 사도행전 15,1-35)의 결정들에 의존하여, 확고하였으며 그리고 모호하지 않았습니다. 

Paul's correction of Peter did not go against the latter's authority. On the contrary, if it had been just anyone, the Teacher of the Gentiles might have let the matter pass; but because it was Cephas, that is, the "rock" of the Church, he had to take action in order to avoid the impression being given that Christians of Gentile origin were obliged to adopt a Jewish lifestyle.

베드로(Peter)에 대한 바오로(Paul)의 바로잡음은 베드로의 권위에 반하여 나아간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와는 달리, 만약에 그가 단지 어떤 자이었더라면, 이방인들의 스승(Teacher of the Gentiles)이 이 문제를 너그럽게 보아지도록 하였을 수도 있었을 것이나, 그러나 왜냐하면 그가, 교회의 "반석(rock)", 케파(Cephas)였기 때문에, 이방인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유다인들의, 생활 양식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는 인상이 주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그는 조치를 취하여야만 하였습니다. 

Far from undermining the holiness and unity of the Church, this episode demonstrated the great spiritual solidarity among the Apostles, St Paul's regard for the visible head of the Church, and Peter's humility in correcting his behavior. St Augustine comments: "He who was rebuked was worthier of admiration and more difficult to imitate than he who made the rebuke [...]. This episode serves as a fine example of humility, the greatest of Christian teachings, because it is through humility that charity is maintained" ("Exp. in Gal.", 15).

교회의 거룩함과 단일성(unity)을 조금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바로 이 에피소드는 사도(the Apostles)들 사이에 있는 훌륭한 영적 연대성(spiritual solidarity), 교회의 가시적 수장(visible head)에 대한 성 바오로(St. Paul)의 존중(regard), 그리고 자신의 처신을 바로잡는 데에 있어 베드로(Peter)의 겸손을 예증합니다(demonstrate).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는 다음과 같이 주석합니다: "나무람을 받았던 자는, 나무랐던 자보다 더 탄복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이며 그리고 본받는 것이 더 힘든 자입니다. [...]. 바로 이 에피소드는, 그리스도교 가르침들 중에서 가장 훌륭한, 겸손(humility)에 대한 한 개의 훌륭한 본보기(example)인데, 왜냐하면 애덕(charity, 사랑)이 지속되는 것은 겸손을 통하여서이기 때문입니다 "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Exp. in Gal.", 15].

12. When he speaks of these Judaizers as coming "from James", this does not mean that they had been sent by that Apostle. It is, rather, a reference to their coming from Jerusalem, where, after the persecution organized by Herod Agrippa and the forced flight of St Peter (cf. Acts 12-17), St James the Less remained as bishop. But what is probable is that these Christians, who had not given up the Mosaic Law and Jewish observances, made use of that Apostle's name: as "the brother of the Lord", he enjoyed universal veneration and respect12.

그가 이들 유다주의자(Judaizers)들에 대하여 "야고보로부터" 오는 자들로서 말할 때에, 이것은 그들이 바로 그 사도에 의하여 보내어졌다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그것은, 오히려, 헤로데 아그리파(Herod Agrippa)에 의하여 체계화되었던 박해와 성 베드로(St. Peter)의 강제된 도주(사도행전 12-17장 참조) 이후에, 성 야고보 작은 자(St. James the Less)가 주교(bishop)으로서 남아있었던 곳인, 예루살렘으로부터 그들이 왔음에 대한 언급입니다. 그렇지만 가능성이 있는 바는, 모세 율법과 유다인들의 관례들을 포기하지 않았던, 이들 그리스도인들이 바로 이 사도의 이름을 사용하였을 수 있음에 있습니다: "주님의 형제로서", 그는 보편적인 숭상과 존경을 향유하였기(enjoyed) 때문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단죄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 위의 해설 중에, 당연히 이것에 대한 설명은 없으나, 오히려 다음의 언급은 있습니다:

교회의 거룩함과 단일성(unity)을 조금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바로 이 에피소드는 사도(the Apostles)들 사이에 있는 훌륭한 영적 연대성(spiritual solidarity), 교회의 가시적 수장(visible head)에 대한 성 바오로(St. Paul)의 존중(regard), 그리고 자신의 처신을 바로잡는 데에 있어 베드로(Peter)의 겸손을 예증합니다(demonstrate).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는 다음과 같이 주석합니다: "나무람을 받았던 자는, 나무랐던 자보다 더 탄복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이며 그리고 본받는 것이 더 힘든 자입니다. [...]. 바로 이 에피소드는, 그리스도교 가르침들 중에서 가장 훌륭한, 겸손(humility)에 대한 한 개의 훌륭한 본보기(example)인데, 왜냐하면 애덕(charity, 사랑)이 지속되는 것은 겸손을 통하여서이기 때문입니다 "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Exp. in Gal.", 15].
----------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공인 영어본 성경인 NAB(New American Bible) 갈라티아 2,11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And when Kephas came to Antioch, I opposed him to his face because he clearly was wrong.
(이상, 발췌 끝).

"NAB"에서, "because he clearly was wrong(왜냐하면 그가 분명하게 잘못하였기 때문입니다)." 을

"새 번역 성경"에서 "그가 단죄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로

번역을 하였는데, 대신에,

"그가 분명하게 잘못하였기 때문입니다" 혹은 "그가 비난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로 번역하였더라면

더 나은 번역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그리스어 어원을 참고하십시오:

출처: http://biblesuite.com/greek/2607.htm

그리고 왜냐하면,

1950-60년대에, 개신교측과 함께 마련하였던 RSVCE(Revised Standard Version Catholic Edition)의 갈라티아 2,11에서

"because he stood condemned."로 번역되었던 표현을,

1970년에 초판 발행된 NAB(New American Bible) 갈라티아 2,11에서,

"because he clearly was wrong(왜냐하면 그가 분명하게 잘못하였기 때문입니다)." 로

바로 잡았기 때문입니다.

----------
원 질문자의 답변:

 "그가 비난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로 번역하였더라면 더 나은 번역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합니다.-소순태 : 공감합니다.
----------

ㅇㅇㅇ 형제님, 갈라티아 2,9에서 바오로 스스로, 당시에, 야고보(작은 야고보)와 케파(베드로)와 요한(사도 요한)을 교회의 기둥으로 여겨지고 있었다고 말하면서 베드로의 권위를 인정하고 있듯이, 바오로는, 비록 베드로를 비난/책망(공동번역성서)하기는 하였으나, 그러나, 공동체 추방을 의미하는, 베드로를 "단죄(condemnation)"할 권위를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도, "새 번역 성경"에서, 예를 들어, "비난받을 일" 대신에, 왜 "단죄받을 일"이라고 번역하였는지 상당히 의아합니다.

번역 미숙/오류라는 생각입니다.

----------
원 질문자의 답변:

교회에서 성서 번역을 너무 가볍게, 너무 자주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책값도 비싼데...
----------

[교회에서 성서 번역을 너무 가볍게, 너무 자주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책값도 비싼데...]

<----- 비록 아주 간혹 우리말 번역이 의아한 경우들이 있기는 하지만, "새 번역 성경"은 직역 번역에 상당히 충실한 번역이기에, 지금 이 말씀에는 전혀 동의하지 않습니다. 가볍게도 아니고, 너무 자주 번역한 것도 전혀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상, 원 질문자와의 대화 끝.


====================
다른 분 B의 답변:

'그가 단죄받을 일을 하였기 때문이다.' 라는 말은 베드로가 하느님으로부터 단죄받을 일을 했기 때문이다, 즉 하느님께 죄를 지었기 때문이다, 라는 뜻입니다.(송영진 신부)

직역하면 "그는 단죄된 상태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베드로의 처신에 대한 바오로의 판단은 매우 준엄하다.
"단죄된 상태에 있다"라는 동사는 수동태로 단죄하신 분은 하느님이심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200주년 신약성서 주해 977쪽)

바오로가 베드로를 단죄했다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으로부터 단죄받을 일을 했다는 뜻인것 같습니다.

----------

+ 찬미 예수님!

교황님의 교도권을 인정하지 않는 일부 개신교측에서야 그렇게 의도적으로 번역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나 이미 위의 본글의 한줄답변에서 말씀드렸듯이, "단죄(condemnation)"라는 단어 대신에, "비난(blame)"이 훨씬 더 적합한 번역 용어라는 생각입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갈라티아서 2,11

(1) 다음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대중 라틴어 성경 본문: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11 Cum autem venisset Cephas Antiochiam, in faciem ei restiti, quia reprehensibilis erat.

(2)
Clementine 대중 라틴어 성경 본문: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gal002.htm

11 Cum autem venisset Cephas Antiochiam, in faciem ei restiti, quia reprehensibilis erat.

(3) 바로 위의 제 2항의 Clementine 대중 라틴어본 성경을 영어로 번역한 Douay-Rheim Version 영어본 성경 본문: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gal002.htm

11 But when Cephas had come to Antioch, I withstood him to the face, because he was to be blamed.

(4) 1611년 초판 발행의 개신교측의 King James Version 영어 성경 본문:

11 But when Peter was come to Antioch, I withstood him to the face, because he was to be blamed.

등을 들여다 보아도, "condemn", "condemnation" 등으로 번역되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그리고,

1950-60년대에, 1611년 판 King James Version 을 동시대의 어법에 맞도록 Revise한, 개신교측과 함께 마련하였던, RSVCE(Revised Standard Version Catholic Edition)의 갈라티아 2,11에서

"because he stood condemned."로 번역되었던 표현을,

이 표현이 문제가 있다고 가톨릭측에서 판단하여,

1970년에 초판 발행된 교황청 공인 영어본 성경인 NAB(New American Bible) 갈라티아 2,11에서,

"because he clearly was wrong(왜냐하면 그가 분명하게 잘못하였기 때문입니다)." 로

바로 잡았다는 생각입니다.


이렇게 여러 번역본들을 함께 비교/검토하여야 하는 이유는, 여러 지역 언어로 번역이 되더라도, 동일한 내용이 보존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더 자세한 말씀은 나중에 추가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글을 읽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전통적 가르침들에 대단히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의 권위를 더 존중하도록 하십시오. 아래의 추가 자료들을 읽고서, 위에 발췌한 이 주석서의 해설을 다시 읽어보면,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은 가톨릭 교회측의 전통적 주석/해설들을 잘 요약한 것임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0주년 신약성서 주석은 참고는 하되, 그리 신뢰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미 여러 번 말씀드렸지만, 200주년 신약성서 주석의 책임자로, 1998년 경에 교황청 유관 부서 및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로부터 제재를 받은, 종교다원주의자인, 그리고 성변화를 인정하지 않는, 그리고 예수님의 신성을 오래 전부터 인정하지 않는다는정양모 신부의 개인적 견해가 주석들 여기 저기에 개입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시간적으로 거꾸로 올라가면서, 갈라티아 2,11에 대한 가톨릭 교회측의 신뢰할 수 있는 주석/해설들을 들여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음의 주소에 있는,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edition갈라티아 2,11에 대한 가톨릭 교회측의 주석들에서 통상적으로, 성 아우구스티노의 견해인, 베드로가 "경솔이라는 소죄의 잘못(a venial fault of imprudence)"를 저질렀음을, 따르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심지어 베드로의 의도만을 고려하면, 베드로가 전혀 죄를 짓지 않았다는 주석도 있습니다:

출처: http://haydock1859.tripod.com/id194.html

(발췌 시작)

Ver. 11. ... Tertullian and most interpreters take notice, that St. Peter's fault was only a lesser or venial sin in his conduct and conversation. Did not St. Paul on several occasions do the like, as what is here laid to St. Peter's charge? that is, practise the Jewish ceremonies: did not he circumcise Timothy after this, an. 52[A.D. 52]? did he not shave his head in Cenchrea, an. 54? did he not by the advice of St. James (an. 58.) purify himself with the Jews in the temple, not to offend them?

St. Jerome, and also St. Chrysostom,[2] give another exposition of this passage. They looked upon all this to have been done by a contrivance and a collusion betwixt these two apostles, who had agreed beforehand that St. Peter should let himself be reprehended by St. Paul, (for this they take to be signified by the Greek text) and not that St. Peter was reprehensible;[3] so that the Jews seeing St. Peter publicly blamed, and not justifying himself, might for the future eat with the Gentiles.

But St. Augustine vigorously opposed this exposition of St. Jerome, as less consistent with a Christian and apostolical sincerity, and with the text in this chapter, where it is called a dissimulation, and that Cephas or Peter walked not uprightly to the truth of the gospel.

After a long dispute betwixt these two doctors, St. Jerome seems to have retracted his opinion, and the opinion of St. Augustine is commonly followed, that St. Peter was guilty of a venial fault of imprudence. In the mean time, no Catholic denies but that the head of the Church may be guilty even of great sins. What we have to admire, is the humility of St. Peter on this occasion, as St. Cyprian observes,[4] who took the reprehension so mildly, without alleging the primacy, which our Lord had given him.

Baronius held that St. Peter did not sin at all, which may be true, if we look upon his intention only, which was to give no offence to the Jewish converts; but if we examine the fact, he can scarce be excused from a venial indiscretion. (Witham)

--- I withstood, &c. The fault that is here noted in the conduct of St. Peter, was only a certain imprudence, in withdrawing himself from the table of the Gentiles, for fear of giving offence to the Jewish converts: but this in such circumstances, when his so doing might be of ill consequence to the Gentiles, who might be induced thereby to think themselves obliged to conform to the Jewish way of living, to the prejudice of their Christian liberty. Neither was St. Paul's reprehending him any argument against his supremacy; for is such cases an inferior may, and sometimes ought, with respect, to admonish his superior. (Challoner)

(이상 발췌 끝)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The Great Biblical Commentary of Cornelius a Lapide갈라티아 2,11에 대한 주석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catholicapologetics.info/scripture/newtestament/galatians12.htm
(발췌 시작)

     Ver. 11.—I withstood him to the face. Erasmus and others interpret this to mean in appearance, outwardly, feignedly, and by previous arrangement. The literal meaning is better: I openly resisted Peter, in order that the public scandal caused by him might he removed by a public rebuke (Augustine, Ambrose, Bede, Anselm, and nearly all other authorities).

     Because he was to be blamed. (1.) Because he had been blamed (κατεγνωσμ?νος) by other brethren, whom Peter had offended by this proceeding, in their ignorance of his true intention and motive, as Chrysostom and Jerome say, or, as Ephrem turns it, “because they were offended in him.” (2.) Theophylact and Œcumenius understand it: Peter had been blamed by the other Apostles because he had eaten with the Gentile Cornelius at Cæsarea. Fearing lest he should be blamed again by them or by other Jews, he withdrew himself from all intercourse with the Gentiles. (3.) The opinion of Ambrose is better. He had fallen under the condemnation of the truth and of Gospel liberty, which sets the Gentiles free from the darkness and slavery of Judaism. (4.) The Vulgate reprehesiblis (in place of reprehensus, as with the authors cited above) is better, and agrees with the context. It gives the reason for resisting Peter, because he was to be blamed for simulating Judaism.

     It may be asked whether Peter was really blameworthy and was actually blamed by Paul. For many years there was a sharp dispute on this point between S. Jerome and S. Augustine, as may be seen in their epistles. Jerome, Chrysostom, Theophylact, Baronius answer in the negative, and hold that the rebuke was only theatrical. They argue that Peter, who had lawfully followed the Jewish customs at Jerusalem among Jews, lived as a Gentile among Gentiles at Antioch; when, however, the Jews arrived who had been sent to Antioch from Jerusalem by James, he withdrew from the Gentiles in favour of the Jews, lest he should offend those who had been the earliest to receive the faith (see ver. 9), and also that he might at the same time give Paul, the Apostle of the Gentiles, an opportunity of rebuking him, that by yielding he might teach the Jews that the time for Judaising was past. On the other side S. Augustine maintains that Peter was really blameworthy, and was blamed by Paul, as the record distinctly declares.

     Out of this arose a dispute between S. Augustine and S. Jerome about simulation and lying. Jerome argued from this action of Peter’s that any similar simulation is lawful. Augustine denied that he did simulate, and laid down the unlawfulness of all lying or simulation, especially in matters of religion. In this second question, however, neither seems to have understood the other’s position. Jerome did not maintain that Peter told a lie, or put on a profession of Judaism while secretly detesting it, as Augustine, by the strength of his language, seems to think that Jerome held. The latter did not say that Peter was right in professing Judaism; if he did, then it would be right for any one of the faithful to make a profession of any false faith or any heresy. But Jerome only held what S. Chrysostom did, viz., that the rebuke administered to Peter by Paul was not really intended, but was merely theatrical, it being arranged between them beforehand that Paul should rebuke Peter, not for simulation, but for thoughtless dissimulation, and that Peter should accept the rebuke thus arranged for, that so the Judaisers might be really rebuked in the specious rebuke given to Peter, and with him might clearly understand that Judaising was forbidden. The lawfulness of such an action is not denied by Augustine, all he denies is that the proceeding was of this nature.

     From this it appears how little ground Cassian (Collat. xvii. 17- 25), Origen, Clement, Erasmus, and others (see the passages in Sixtus of Sens, lib. v. annot. 105) had for founding the lawfulness of lying on this passage, or for endorsing the saying of Plato, that, although a lie is an evil thing, yet it is occasionally necessary, just as we use hellebore or some other drug, for this is now an established error condemned by Innocent III. (Tit. de Usuris, cap. super eo.), and by Ecclesiasticus vii. 14. Against it too S. Augustine writes two treatises, one entitled de Mendacio and the other contra Mendacium. Nor is there any exception to be taken here against Jerome and Chrysostom. They only understand and excuse a secret arrangement, whereby no lie was acted, but a rebuke was simulated, and this is a legitimate action, as is evident in military stratagems, when for instance, the enemy feigns to flee, and so draws its foes into an ambush.

     A third question was also disputed between Jerome and Augustine as to the date when the Old Law came to an end, but this is outside the present subject, and it is sufficient therefore to say very briefly that the Old Law, so far as obligation goes, came to an end at Pentecost, when the New Law was promulgated, but that its observance did not wholly cease, it being lawful to observe it for a while, till the Jews had been gradually weaned from it, that so in due time it might receive an honourable burial. In this dispute Augustine seems to have held the stronger position.

     It may be urged that in this act of Peter’s there was at least something sinful, if not actually erroneous in faith, as some have rashly asserted. By his action it may be thought that he thoughtlessly made a profession of Judaism, and so put a stumbling-block in the way of the Gentiles, and tempted them to Judaise with him. He had previously lived with the Gentiles, but he afterwards withdrew from them suddenly, went over to the Jews, and lived with them. From this the Gentiles might properly infer that judaism was necessary to salvation, both for him and themselves, and was binding on Christians; for though the Old Law, with its ceremonies, was not yet the cause of death, and might be preserved so as to secure for itself an honourable burial, and also to draw the Jews to the faith of Christ, yet it was dead, and in one sense death-giving, viz., to any one who should keep it on the supposition that it was binding on Christians. Although Peter, however, did not so regard it, yet his action was so imprudent as to give the Gentiles good reason for thinking that he did.

     The justness of this remark is evident from the two remarks made by Paul: I withstood him to the face, because he was to be blamed; and: When I saw that they walked not uprightly according to the truth of the Gospel, I said unto Peter before them all, Why compellest thou the Gentiles to live as do the Jews?—viz., by your simulation, or what the Greeks call hypocrisy. All this shows that either Peter sinned or that Paul told a lie, which God forbid. See S. Augustine (Ep. 8, 9, and 19 to Jerome), Cyprian (Ep. ad Quintum), Gregory (Hom. 18 in Ezech.), Ambrose, &c.

     To what has been said I add this: This sin of Peter’s was venial, or material only, arising from want of thought, or from want of light and prudence. He seems to have thought that, being the Apostle of the Jews especially, that he ought rather to avoid scandalising them than the Gentiles, and that the Gentiles would readily recognise the rightfulness of this line of action. In so doing he erred, for “although,” as S. Thomas says, “the Holy Spirit who descended an the Apostles at Pentecost established them thereafter in such prudence and grace as to keep them from mortal sins, yet he did not also save them from venial sins.”

     Observe that a lie may consist in deeds as well as in words. For example, if a man lead another to suppose by his conduct that he is a good man or his friend, when he is neither of these, then he is guilty of a lie. This lie by deed is what is properly called hypocrisy. Similarly, if any Christian at Rome wears a yellow cap he acts a lie, by thus giving himself out as a Jew.

     Notice, however, with Cajetan that falsity in deeds is more easily excused than falsity in words. The reason is that words are express signs of mental concepts, but deeds are not, and so admit a wider interpretation. Hence if soldiers feign flight to draw the enemy into an ambush, they are not guilty of hypocrisy, as they would be if they were to say in words: “We flee, 0 enemy, because we are afraid of you.”

     Again, observe the following rule: When there is a just cause of concealing the truth, no falsehood is involved. Peter, in the act under discussion, had partly a just cause, viz., the fear of offending the Jews. His withdrawal from the Gentiles was not a formal declaration that he was a Judaiser, but only tantamount to saying that he preferred to serve the Jews rather than the Gentiles, the just cause of this preference being that he was more an Apostle of the former than of the latter. I say partly, for he was not wholly justified in so acting, inasmuch as he was bound, as universal pastor, to care for the Jews without neglecting the Gentiles. Hence it follows also that in one respect he sinned through want of due consideration. The infirmity of man’s mind, however, is such that he cannot always hit the exact mean, and under complex circumstances benefit one without harming another.

     Some one will object then: Since Paul corrected Peter, he was of equal, if not superior authority; in other words Paul, and not Peter, was the head of the Apostles.

     I deny the consequence. For superiors may, in the interests of truth, be corrected by their inferiors. Augustine (Ep. xix.), Cyprian, Gregory, and S. Thomas lay down this proposition in maintaining also that Peter, as the superior, was corrected by his inferior. The inference from what they say is that Paul was equal to the other Apostles, inferior to Peter, and hence they all were Peter’s inferiors; they were the heads of the whole Church, and Peter was their chief. Gregory (Hom. 18 in Ezech.) says: “Peter kept silence, that the first in dignity might be first in humility;” and Augustine says the same (Ep. xix. ad Hieron.): “Peter gave to those who should follow him a rare and holy example of humility under correction by inferiors, as Paul did of bold resistance in defence of truth to subordinates against their superiors, charity being always preserved.”

     He did eat with the Gentiles. He ate, according to Anselm, of pork and other forbidden meats, without any scruple, to show that the Ceremonial Law was abrogated.

(이상, 발췌 끝).

3.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에 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갈라티아 2,11에 대한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josephkenny.joyeurs.com/CDtexts/SSGalatians.htm#23

--------- 

따라서,
  

  [바오로가 베드로를 단죄했다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으로부터 단죄받을 일을 했다는 뜻인것 같습니다.]

<----- 하느님으로부터 단죄받을 일???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200주년 주석성서의 주석을 읽고 이렇게 생각하시는 듯 합니다만, 그러나 바로 위에서 지금까지 살펴 본 가톨릭 교회측의 신뢰할 수 있는 주석들 어디에도 이런 주장, 즉 베드로가 대죄(mortal sin)를 지었다는 주장 혹은 언급은 없기에, 상당히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제4번제6번에 있는,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 그리고 로마에 위치한 성 바오로 대성전 홈페지 제공의 글에서 발췌한 부분을 잘 읽어 보십시오. 특히 후자는, 
바오로화가 나서, 갈라티아 2,11에서, 베드로에게 그러한 말을 하였다고 명기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제공의 국내의 개신교측의 성경들에서도, "단죄받을" 로 번역하지 않았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클릭한 후에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그러므로, 여태까지 추가적으로 살펴본 바에 근거하여 다시 생각해 보아도, "새 번역 성경" 갈라티아 2,11에서, 예를 들어, "비난받을" 혹은 "책망받을"(공동번역성서)로 번역하지 않고, "단죄받을"로 번역한 것은 번역 미숙/오류라는 생각입니다.

====================
다른 분 B의 답변2:

위 주석은 이성근 신부님이시고, 200주년 신약성서 주해는 2001년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위원장이신 장익주교님의 인준을 받은 책이네요...주교회의에서 번역 발간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경을 번역미숙/오류라고 주장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네요...위의 주석에 보면 직역하면 "단죄"라고 되어있는데, 그리스말 원문을 대조해 보면 번역의 오류는 금방 알수 있는 것 같은데 형제님이 그리스어를 아시면 한번 확인해 보면 되지않을까요?

----------

[위의 주석에 보면 직역하면 "단죄"라고 되어있는데, 그리스말 원문을 대조해 보면 번역의 오류는 금방 알수 있는 것 같은데 형제님이 그리스어를 아시면 한번 확인해 보면 되지않을까요?]

<----- 이미 안내해 드렸습니다만,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단죄하다"로 번역된 그리스어는 영어로 "condemn(단죄하다)" 혹은 "blame(비난하다, 책망하다)"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biblesuite.com/greek/2607.htm 

사실,  "condemn" 라는 단어의 의미에는,

(1) 비난하다, 책망하다,

(2) 단죄하다,

등의 의미가 있는데, 우리말 번역 작업 과정에서, 예를 들어, 이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갈라티아 2,11에 대한 가톨릭 교회측의 전통적 해석들을 참고하지 않은 채, "단죄"로 번역하였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다음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condemn" 단어의 사전적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췌 시작)
condemn

Pronunciation: kschwanprimarystressdem
Function: transitive verb
Inflected Form(s): -ed/-ing/-s
Etymology: Middle English condempnen, from Old French condemner, condempner, from Latin condemnare, from com- + -demnare (from damnare to condemn) -- more at DAMN
1 : to pronounce as ill-advised, reprehensible, wrong, or evil typically after definitive judgment and without reservation or mitigation condemned -- J.W.Krutch> <condemn poetry equally with sex as something at best flippant and at worst immoral -- C.D.Lewis>
2 : to declare the guilt of : make manifest the faults of : attest to the guilt of condemn him>
3 a : to pronounce a judicial sentence against : sentence to punishment or to suffering or loss : DOOM -- often used with to condemned in this abhorred deep to utter woe -- John Milton> b : to force, compel, or limit to an action or state condemns him to abstraction>
4 : to consign to perdition : DAMN -- often used imperatively as a mild oath
5 archaic : to pronounce or find guilty : CONVICT -- used with of condemn'd of treason -- Shakespeare>
6 : to adjudge or pronounce to be unfit for use or service : adjudge or pronounce to be forfeited condemn the ship and her cargo>
7 : to block up (as a door) : close permanently
8 : to pronounce to be taken for public use under the right of eminent domain

(이상, 발췌 끝).

     그리고 위에서 이미 말씀드렸지만, 지중해 지역의 가톨릭 교회에서는, 적어도 오래 전인 성 아우구스티노 시절부터, 갈라티아 2,11에 대하여 어떻게 해석해 왔는지를 위의 1, 2, 3항들에서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지중해 지역의 문화권이 신약 성경에서 사용 중인 그리스어에 더 친숙하다는 생각이며, 위에 제시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들에서 "condemnation(단죄)"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확실한 번역 미숙/오류라는 생각입니다.

----------

[위 주석은 이성근 신부님이시고, 200주년 신약성서 주해는 2001년 주교회의 성서위원회 위원장이신 장익주교님의 인준을 받은 책이네요...주교회의에서 번역 발간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성경을 번역미숙/오류라고 주장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네요...]

<----- 200주년 주석성서의 우리말로 된 그 주석의 출처가 구체적으로 주어져 있지 않다면, 신뢰하지 마십시오.

그런데... 형제님 생각에, 우리나라 지역 교회 교도권의 인준을 받기만 하면, 우리말로의 번역 작업 과정에 용어 번역을 잘못하여 발생하는 개념 전달 오류들이, 번역 이전의 원문의 내용을 잘 전달하도록 저절로 바로 잡아진다는 것입니까?

----------

다른 한편으로,

최근의 교황님들이 갈라티아 2,11에 기록된 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말씀하셨는지를 또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 다음은, 1992년 9월 30일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condemn(단죄하다)"이라는 단어의 사용 대신에, "rebuke(비난하다/책망하다/꾸짖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c) Lastly, Christ, "through the wisdom and prudence [of the bishops], directs and guides the people of the New Testament in their pilgrimage toward eternal happiness" (LG 21). Wisdom and prudence belong to the bishops, but they come from Christ who governs the People of God through them.

At this point we should note that the Lord, when he acts through the bishops, does not remove the limitations and imperfections of the human condition, which find expression in temperament, character,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the historical factors of culture and life. In this regard we can also refer to what the Gospel tells us about the apostles chosen by Jesus.

이 시점에서, 주님께서, 당신께서 주교들을 통하여 활동하실 때에, 성격, 개성, 처신과 문화와 삶의 역사적 요소들의 영향 안에서 표현을 발견하는, 인간의 조건(human condition)에 있어서의 한계(limitations)들과 불완미(imperfections, 결함)들을 제거하지 않으심에 우리는 주목하여야만 합니다. 이것과 관련하여 우리는 또한 복음이 예수님에 의하여 선택되었던 사도들에 관하여 우리들에게 말하는 바를 찾아볼 수(refer to) 있습니다.

These men certainly had flaws. During Jesus' public life they argued about the first place, and they all abandoned their Master at the time of his arrest. After Pentecost, with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they lived in a communion of faith and love. But that does not mean that all the weaknesses inherent in the human condition disappeared. We know that Paul rebuked Peter for being too accommodating toward those who wanted to retain in Christianity the observance of the Jewish law (cf. Gal 2:11-14). Paul himself did not have an easy disposition and there was a serious disagreement between him and Barnabas (cf. Acts 15:39), even though the latter was a "good man, filled with the Holy Spirit and faith" (Acts 11:24).

이들 사람들은 확실하게 결함(flaws)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의 공생활 시기 동안에 그들은 첫 번째 자리에 관하여 논쟁하였으며, 그리고 그들 모두는 자신들의 스승을 그의 체포의 시각에 버렸습니다. 성령 강림 이후에, 성령의 은총과 함께, 그들은 신덕(faith, 믿음)과 애덕(love, 사랑)에 의한 하나 됨(친교, 통공, a communion) 안에서 살았습니다. 그러나 바로 이것이 인간의 조건 안에 내재해 있는 나약함들 모두가 사라졌음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그리스도교 안에 유다 율법의 준수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원하였던 자들을 향하여 [베드로가] 너무 적응한다는 이유 떄문에, 바오로(Paul)가 베드로(Peter)를 책망하였다(rebuked, 비난하였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바오로 자신은 관대한 기질(an easy disposition)을 지니고 있지 않았으며 그리하여 그와 바르나바(Barnabas) 사이에, 심지어 후자가 "성령과 신덕(faith, 믿음)으로 채워졌던, 선한 사람"이었음(사도행전 11,24)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불일치가 있었습니다(사도행전 15,39 참조).

Jesus knew the imperfections of those he had chosen and he kept to his choice even when imperfections appeared in serious ways. Jesus wanted to act through imperfect and at times reprehensible men, because the power of grace given by the Holy Spirit would triumph over their weaknesses. It can happen that with their imperfections, or even their faults, bishops too can fail to fulfill the demands of their mission and bring harm to the community. Therefore, we must pray for bishops so that they will always strive to imitate the good shepherd. Indeed, the face of Christ the shepherd has been apparent in many of them and is so in an obvious way.

예수님께서는 당신께서 선택하셨던 자들의 완미하지 않음(imperfections, 결함)들을 알고 계셨으며, 그리고 당신께서는, 심지어 완미하지 않음들이 심각한 방식들로 나타났던 때에도, 당신의 선택을 유지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완미하지 않은(imperfect) 그리하여 때로는 비난할 만한(reprehensible) 사람들을 통하여 활동하는 것을 원하셨는데, 왜냐하면 성령에 의하여 제공되는 은총의 힘이 그들의 나약함을 승리할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주교들 또한, 그들의 불완미함, 혹은 심지어 그들의 잘못(faults)들과 함께, 자신들의 사명의 요구들을 구현하는 데에 실패할 수 있고 그리하여 공동체게 해악을 가져다 줄 수도 있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교들을 위하여, 그들이 선한 목자(the good shepherd)를 본받기 위하여 항상 노력하도록, 기도하여야만 합니다. 정말로, 목자인 예수님의 얼굴이 그들 중의 다수에서 또렷이 보여 왔으며 그리고 어떤 분명한 방식으로 지금도 그러합니다.

-----
(*) 번역자 주: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영어로  "perfection"로 번역되는 용어의 우리말 번역 용어인, "완미(完美)"에 대하여서는, "perfection"으로 번역되는 신학적 용어를 우리말 "완전"으로 번역하는 것이 번역 미숙/오류임을 다루고 있는, 다음의 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4.htm
-----

(이상, 발췌 끝)

5. 다음은 2006년 6월 7일자,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condemnation(단죄)"이라는 단어의 사용 대신에, "criticism(비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His behaviour was considered so decisive that it prompted remarks as well as criticism (cf. Acts 11: 1-18; Gal 2: 11-14).

그[베드로]의 처신은 대단히 결정적이라고(decisive) 간주되었기에 그 결과 그의 처신은 비난뿐만이 아니라 비평(remarks)들을 촉구하였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 다음은 로마에 위치한,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성 베드로 대성전 홈페이지 제공의 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바오로가 화가 나서 갈라티아 2,11에서처럼 처신하였다고 명기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various/basiliche/san_paolo/en/san_paolo/concilio.htm

(발췌 시작)
THE COUNCIL OF JERUSALEM

Around the year 48 an issue arose in Antioch concerning the circumcision of non-Jews, when some Christians coming from Judea claimed their freedom acquired in Christ Jesus (cf. Gal. 2:4), which even Paul and Barnabas invoked so as not to impose this rite of circumcision on pagan converts to Christianity. The community decided to consult the Apostles and Elders of Jerusalem. Thus, it sent Paul and Barnabas together with Titus, their Greek companion, as well as a delegation to accompany them to Jerusalem.

The Apostles and Elders of Jerusalem accepted Titus “uncircumcised”, thus recognizing the validity of Paul’s proclamation concerning the freedom of grace. The Assembly confirmed the main leaders of the Church and recognized the missionary vocation of Peter for the circumcised and that of Paul for the uncircumcised. As a matter of fact, a sort of partitioning of the missionary field occurred: James, Kephas and John were directed towards the Jews, while Paul and Barnabas were sent to preach to the pagans.

THE ANTIOCH INCIDENT

안티오키아 사건

The incident occurred during Peter’s visit to Antioch and it bears witness to the integrity of Paul, who would not allow for any adaptations of the truth of the Gospel. What happened? At that time, a circumcised Jewish Christian could not sit at the same table with a Gentile Christian without falling into impurity. Peter, had always testified to the supreme power of faith in Christ which gathers together within itself all human beings. He continued to do so in Antioch until the arrival of other Christians sent by James, who presided over the community of Jerusalem. It was then that Peter, who had previously eaten with the Gentiles, withdrew and separated himself from them for fear of the circumcision party (thus concealing what he truly believed). Therefore Paul became angry: “I opposed him to his face because he clearly was wrong” (Gal. 2:11).

The compromise agreed upon in Jerusalem protected the existence of the mixed communities of the young Churches of Asia Minor, to whom Paul had preached. Nevertheless full communion between circumcised and uncircumcised was difficult. Therefore, was the salvation in Jesus Christ considered secondary? Paul claimed new life in the faith, the gift of the Spirit and the primacy of the divine promise over the law… The controversy had originally occurred between, on the one side, James and the Church of Jerusalem along with Peter and Barnabas who, although hesitant, allied themselves with James, and on the other side, the same Church of Antioch which in the end approved the compromise reached in Jerusalem (cf. Acts 15:31). Eventually Paul left Antioch to visit the towns where he and Barnabas had previously taught, taking along with him Silas alone, who had been sent back to Antioch with Paul by the Apostles and elders in Jerusalem after the compromise had been reached. After this long novitiate, which endured 15 years, Paul entered into a new phase.

(이상, 발췌 끝).

7.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단죄"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search/View.jsp

(발췌 시작)
단죄 (斷罪)

1. 죄를 처단함.
2. 죄로 단정함.
(이상, 발췌 끝)


다음은, 여기까지 읽으신 분들께 드리는 질문입니다.

질문 1: 갈라티아 2,11의 내용이, 현재의 "새 번역 성경"에 있는 우리말 번역대로라고 한다면,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에 따라, 갈라티아 2,11 전후에서

(i) 성 바오로는 성 베드로의 죄를 처단하고 있습니까? 혹은

(ii) 성 바오로는 성 베드로의 처신을 죄로 단정하고 있습니까?

질문 1에 대한 답변: 이글에서 들여다 본 신뢰할 수 있는 문헌들 및 자료들에 의하면, 둘 다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특히, 짝수해 연중 제27주간 수요일 제1독서(Galatians 2:1-2, 7-14)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잘 읽어 보십시오. 전혀 아니라고 해설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지어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제공의 국내의 개신교측의 성경들 모두의 갈라티아서 2,11에서도 전혀 사용하고 있지 않은, "단죄"라는 단어를,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무슨 이유로 갈라티아서 2,11에서, 예를 들어, "비난" 혹은 "책망"(공동번역성서) 대신에 채택하였는지, 전혀 납득할 수 없습니다.

혹시라도, 가톨릭 보편 교회의 첫 번째 교황, 지상에서의 그리스도의 대리자이신, 성 베드로(St. Peter)의 권위를 깎아내리기 위하여, 우리말 번역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그렇게 번역한 것입니까? 당연히 의도적으로 그랬을 리야 없겠지만, 그러나 "새 번역 성경" 갈라티아서 2,11과 전후 문맥을 읽는 독자들 (여기에는 개신교 신자들도 포함됨)은 그러한 오해를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 

      사실, 필자가 직접 파악한 바에 의하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 전체에 걸쳐 사도 바오로"단죄(condemnation, 라틴어 damnatio)"에 관하여 언급한 바를 인용하고 있는 항이 단 한 개 있는데, 바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817항" 입니다. 아래에서,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하였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29.HTM

(발췌 시작)
CCC 817 In fact, "in this one and only Church of God from its very beginnings there arose certain rifts, which the Apostle strongly censures as damnable. But in subsequent centuries much more serious dissensions appeared and large communities became separated from full communion with the Catholic Church - for which, often enough, men of both sides were to blame."269 The ruptures that wound the unity of Christ's Body - here we must distinguish heresy, apostasy, and schism270 - do not occur without human sin:

     Where there are sins, there are also divisions, schisms, heresies, and disputes. Where 
     there is virtue, however, there also are harmony and unity, from which arise the one
     heart and one soul of all believers.271

-----
269 UR 3 # 1.
270 Cf. CIC, can. 751.
271 Origen, Hom. in Ezech. 9, 1: PG 13, 732.
-----

CCC 817 사실, "바로 이 하나이며 유일한 하느님의 교회는 그 맨 초기의 시기들에 특정한 분열들이 일어났는데, 이 분열들을 바오로 사도는 단죄할 만한 것으로서(as damnable) 책망합니다(censures). 그러나 이어지는 세기들에서 훨씬 더 심각한 불화들이 나타났으며 그리하여 다수(多數)의(large, considérables) 공동체들이 가톨릭 교회와의 충만한(full) 하나 됨(communion, 친교, 통공)으로부터 떨어져나가게 되었는데, 이에 대하여, 많은 경우에 충분히(often enough), 양측의 사람들이 비난받아야 합니다."269 여기서 우리가 이단(heresy), 배교(apostasy), 그리고 이교(schism)를 구분하여야만 하는270,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단일성을 상처나게 하는 파열들은 인간의 죄 없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죄들이 있는 곳에, 또한 분파(divisions)들, 이교들, 이단들, 그리고 분쟁들이 있읍니
     다. 그러나 덕(virtue)이 있는 곳에, 또한, 거기로부터 모든 믿는 이들의 한 개의 심장
     (heart, 본심) 그리고 한 개의 영혼(soul)이 비롯되는(arise), 조화(harmony)와 일치
     (unity)가 있습니다.271


-----
269 일치 교령, 3항.
270 교회법 제751조 참조.
271 오리게네스, 「에제키엘서 강론」 , 9, 1: SC 352, 296(PG 13, 732).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번역 미숙/오류) 다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817항 전문입니다. 이 문장과 위에 제시된 필자의 우리말 번역문과 비교/검토해 보시면, 아래의 문장에서는 "사도"가 누구를 말하는지 독자들이 전혀 알 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발췌한 문장에서, 영어로 "divisions(분파들, 분열들)"으로 번역된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817항에서의 multitudo 를, 예를 들어, "폭도(mob)" 혹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중국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817항에서처럼, "분파(分破)들" 로 번역하는 대신에, " 다수(多數)"로 번역하였는데, 이것도 번역 미숙/오류라는 생각입니다.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발생한 이러한 종류의 문제들도 또한 번역 미숙/오류들 이라고 아니할 수 없을 것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817.htm 

(발췌 시작)
817 실제로“하느님의 이 하나이고 유일한 교회에서는 처음부터 이미 분열이 생겨났으며, 사도는 이 분열을 단죄하여야 한다고 엄중히 책망하였다. 후세기에는 더 많은 불화가 생겨, 적지 않은 공동체들이 가톨릭 교회의 완전한 일치에서 갈라졌으며, 어떤 때에는 양쪽 사람들의 잘못이 없지 않았다.” 275)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의 단일성에 상처를 입히는 분열은 분명히 인간들의 죄에서 생겨나는 것이다(이 분열은 이단, 배교, 이교로 구별된다) 276)

     죄가 있는 곳에 다수(多數)가 있고, 이교가 있고, 이단이 있고, 갈등이 있습니다. 덕이 있는 곳에 합일이 있고 모든 믿는 이가 한몸, 한마음을 이루는 일치가 있습니다. 277)

-----
275. 일치 교령, 3항.
276. 교회법 제751조 참조.
277. 오리게네스, 「에제키엘서 강론」 , 9, 1: SC 352, 296(PG 13, 732).
(이상, 발췌 끝).

(이상 게시자 주 끝).
----------

그런데,

질문 2: 이 때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817항"에서의 "단죄"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신약 성경 구절이, 여러분들 생각에 갈라티아서 2,11일 것 같습니까? 

질문 2에 대한 답변: 전혀 아닙니다.

위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817항"에서 발췌 인용하고 있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일치의 재건" 제3항은, 갈라티아서 2,11을 그 성격적 근거 구절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1코린토 1,11과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그리고 1코린토 1,22를 그 성경적 근거 구절들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출처 1: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4ur.htm
출처 2: http://ch.catholic.or.kr/pundang/4/1964ur.htm 

(발췌 시작)
가톨릭 교회와 갈라진 형제들의 관계

3. 하느님의 이 하나이고 유일한 교회에서는 처음부터 이미 분열이 생겨났으며, 15) 사도는 이 분열을 단죄하여야 한다고 엄중히 책망하였다. 16) 후세기에는 더 많은 불화가 생겨, 적지 않은 공동체들이 가톨릭 교회의 완전한 일치에서 갈라졌으며, 어떤 때에는 양쪽 사람들의 잘못이 없지 않았다. 그리고 지금 이러한 공동체들 안에서 태어나 그리스도를 믿게 된 사람들이 분열 죄로 비난받을 수는 없으며, 가톨릭 교회는 그들을 형제적 존경과 사랑으로 끌어안는다. 그리스도를 믿고 올바로 세례를 받은 이들은 비록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분명히 그들과 가톨릭 교회 사이에는 교리나 때로는 규율 문제에서 또는 교회의 조직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차이가 있어, 완전한 교회 일치에 적지 않은 장애가, 때로는 중대한 장애가 가로놓여 있지만, 일치 운동은 바로 그러한 장애를 극복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므로 세례 때에 믿음으로 의화된 그들은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고 17) 마땅히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을 가지며, 가톨릭 교회의 자녀들은 그들을 당연히 주님 안의 형제로 인정한다. 18)

-----
15. 1코린 11,18-19; 갈라 1,6-9; 1요한 2,18-19 참조.
16. 1코린 1,11 이하; 11,22 참조 
17. 피렌체 공의회, 제8회기(1439), 교령 Exsultate Deo, 『공의회 교령집』(Mansi), 31,1055 A 참조.
18. 성 아우구스티노, 「시편 상해」, 32,2,29, 『라틴 교부 총서』(PL), 36,299 참조.
-----
(이상, 발췌 끝).

----------

또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damnation(단죄, 라틴어 damnatio)" 라는 신학적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2932

(발췌 시작)
DAMNATION

The conscious eternal loss of the vision of God. The state of being damned by reason of one's own deliberate estrangement from God. This is the lot of the demons, and of those who die in mortal sin. It is damnation because it is the result of a just sentence pronounced by God on those who are guilty. It is eternal because it is irrevocable, being pronounced to be unending in its consequences (Matthew 25). The condemned are no longer in a state of probation, and no longer able to expiate or repent (Luke 16). (Etym. Latin damnatio, condemnation; from damnum, damage, loss, fine.)

단죄(damnation, condemnation, 라틴어 damnatio)

하느님을 뵙는 것(직관, the vision of God)에 대한 의식적인 영원한 상실을 말합니다.
하느님으로부터 당사자 고유의 고의적인 소원(疎遠, estrangement)의 이유로 단죄받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것은 악마들, 그리고 대죄(mortal sin) 상태에서 죽은 자들의 운명(lot)입니다. 이 운명은 단죄(damnation)인데 왜냐하면, 그것의 결과들 안에서 영원할 것이라고 선포되었기에(마태오 복음서 25장),  무효화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단죄된 자(the condemned)들은 이미 시련(probation)의 지위에 있는 것이 아니며, 그리하여 이미 속죄하거나(expiate) 혹은 회개할(repent) 수 없습니다(루카 복음서 16장). [어원. Latin damnatio, condemnation(단죄); from damnum, damage, loss, fine.]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1: 라틴어 "damnatio"의 영어 번역 용어가 "damnation/condemnation" 임은,

여기를 클릭하면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다음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의 부록인 주제별 색인"에서도 명기하고 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단죄, 심판, 처벌
(라)Damnatio
(영)Condemnation
권위와, 권위를 거스르는 자들이 받을 심판 1899;
심판의 원인 1037;
낙태에 대한 처벌 2322;
간통에 대한 단죄 2380;
첫째 계명에서 불경에 대한 단죄 2118 ;
죄에 대한 심판 1458;
죄인에 대한 심판 1034;
다신교에 대한 단죄 2112;
교회 안에서 분열에 대한 단죄 817;
거짓 증언과 무죄한 이에 대한 단죄 2476 ;
“먹고 마시는 자신에 대한 심판” 1385 ;
원죄와 인간에 대한 처벌 402;
최후 심판과 단죄 1039.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1611년판 King James Version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인 "damnation"이 요즈음 사용 중인 "condemnation"의 고어임을 또한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KJV1611_words_changed_in_meaning.htm

(발췌 시작)
damnation
-condemnation [단죄], Mt. 23:14; Mk. 12:40; Lk. 20:47; Jn. 5:29; Rom. 3:8; 13:2; 1 Tim. 5:12
-judgment [심판]. 1 Cor. 11:29

damned -condemned, Mk. 16:16; Rom. 14:23; 2 Thes. 2:12
(이상, 발췌 끝)
----------

     지금까지 이글에서 살펴본 바에 근거한 많이 부족한 죄인의 견해입니다만, "새 번역 성경"을 마련하는 과정의 우리말 번역 작업 당시에, 만약에 이글에서 발췌하여 제시하고 있는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보편 교회측의 여러 문헌들의 내용을 우리말 번역 실무자들이 이미 잘 알고 있었더라면, 갈라티아서 2,11에서, "단죄"라는 단어를 번역 용어로서 채택하지 못하였을 것임을 확신합니다.


%%%%%%%%%% 지역 언어로의 번역에 관한 2001년 경신성사성 지침처로부터 발췌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11월 10일]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전례문, 성경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의 지역 언어로의 번역 지침서인,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 [제목: Liturgiam authenticam, 2001년 5월 7일] 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1: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rc_con_ccdds_doc_20010507_la_en.htm

출처 2: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 번역문)

참고 자료: http://ch.catholic.or.kr/pundang/4/va2001trans_guide.htm

(발췌 시작)
41. The effort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the translations be conformed to that understanding of biblical passages which has been handed down by liturgical use and by the tradition of the Fathers of the Church, especially as regards very important texts such as the Psalms and the readings used for the principal celebrations of the liturgical year; in these cases the greatest care is to be taken so that the translation express the traditional Christological, typological and spiritual sense, and manifest the unity and the inter-relatedness of the two Testaments.[34] For this reason:

41. 번역문들이, 전례에서의 사용에 의하여 그리고 교부들의 전통에 의하여 전해 내려오고 있는 성경 구절들에 대한 바로 그 이해에 합치됨(be conformed to), 특히 시편들과 전례력의 주된 경축들을 위하여 사용되는 독서들 등과 같은 대단히 중요한 본문들에 관련하여, 확실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져야 하며, 그리고 이들 경우들에 있어 번역본이 전통적인 그리스도론적(Christological), 예형론적(typological) 및 영성적(spiritual) 의미(sense)를 표현하기 위하여, 그리고 두 계약들(two Testaments)[34]의 단일성(unity)과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하여 최대한의 주의가 취하여져야만 합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a) it is advantageous to be guided by the Nova Vulgata wherever there is a need to choose, from among various possibilities [of translation], that one which is most suited for expressing the manner in which a text has traditionally been read and received within the Latin liturgical tradition;

a) [번역에 있어서의] 다양한 가능성들 사이에서, 그 안에서 어떤 본문이 라틴 전례 전통 안쪽에서 전통적으로 읽혀지고 그리고 받아들여 온 방식을 표현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바로 그 한 개를 선택하여야 할 어떤 필요가 있는 장소 어디에서든, 새 대중 라틴말 성경(the Nova Vulgata)에 의하여 인도되는 것이 유익하다;

 

b) for the same purpose, other ancient versions of the Sacred Scriptures should also be consulted, such as the Greek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commonly known as the “Septuagint”, which has been used by the Christian faithful from the earliest days of the Church;[35]

b)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교회의 가장 초기의 시기들부터 그리스도교의 열심 신자들에 의하여 사용되어 오고 있는, 통상적으로 "칠십인 역"으로서 알려져 있는 구약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 등과 같은, 성경 본문들에 대한 고대 본들은 또한 참고되어져야만 한다;[35] 

 

c) in accordance with immemorial tradition, which indeed is already evident in the above-mentioned “Septuagint” version, the name of almighty God expressed by the Hebrew tetragrammaton (YHWH) and rendered in Latin by the word Dominus, is to be rendered into any given vernacular by a word equivalent in meaning. 

c) 위에서 언급된 "칠십인 역" 본에서 정말로 이미 분명한, 기억에 없는 전통과 일치하여, 히브리어 tetragrammaton (YHWH)에 의하여 표현되는 그리고 라틴어로 Dominus 라는 단어로 옮겨지는, 전능하신 하느님의 이름은, 의미에 있어 동등한 한 개의 단어에 의한, 어떤 정해진 자국어(any given vernacular)로 옮겨져야 한다.  

 

Finally, translators are strongly encourag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that may be drawn from citations of biblical texts in the writings of the Fathers of the Church, and also from those biblical images more frequently found in Christian art and hymnody.

 

끝으로, 번역자들은 교부들의 저술들에 있는 성경 본문들의 인용(citations)들로부터, 그리고 또한 그리스도교 예술(art)과 찬미가(hymnody)에서 더 자주 발견되는 바로 그 성경적 묘사(biblical images)들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는, 해석의 역사(the history of interpretation)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 강하게 독려된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2012년 11 10일자 내용 추가 끝].
%%%%%%%%%%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15시간 (우리말 번역 및 자료 조사 포함)



2,018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