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40,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2 ㅣ No.1822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22.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40 장   보물(*0)


 1 寸珠咫璧       촌주지벽          크고 작은 진주 벽옥

                           작은 진주와 큰 구슬/(2017년 8월 5일) 크고 작은 진주와 구슬

일촌(一寸) 크기와 사촌(四寸) 크기의 진주(주: 한어대사전)(寸珠)들과 팔촌(八寸) 크기()의 구슬()들(주: 한한대사전)

 

주 40-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寸珠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AF%B8%E7%8F%A0 4

http://ctext.org/post-han?searchu=%E5%AF%B8%E7%8F%A0 2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寸珠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f%b8%e7%8f%a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寸珠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F823AC0EE27D04800C6AAF5A5A057F6&cult=TW&bv=1

(발췌 시작)

寸珠

 

    【1】直徑一寸的大珠。《三國志·魏志·蘇則傳》:“前破{酒泉}﹑{張掖}﹐西域通使﹐{敦煌}獻徑寸大珠﹐可復求市益得不?”{明}{劉基}《郁離子·九難》:“其重寳﹐則有徑寸之珠﹐方尺之璧。”《韓詩外傳》卷十:“若寡人之小國也﹐尚有徑寸之珠﹐照車前後十二乘者十枚﹐奈何以萬乘之國無寳乎?”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寸珠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655B91A28CFE8D96EE28E66669DDF3C&cult=TW&bv=1

(발췌 시작)

寸珠

 

    【1】古代傳說中的特大珍珠。四寸,指其直徑。{漢}{劉向}《列仙傳·朱仲》:“{魯元公主}復私以七百金從{仲}求珠。{仲}獻四寸珠﹐送置於闕即去。”

(이상, 발췌 끝)

 

주 40-1-2: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咫璧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2%AB%E7%92%A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2%AB%E7%92%A7 0


 2 丹瑚       청단호         푸른 비취 붉은 산호

                                 푸른 비취와 붉은 산호

             푸른빛 나는() 패옥(佩玉)()과 붉은빛 나는() 산호주(珊珠)/(2017년 8월 5일) 산호(珊)

 

주 40-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青衍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D%92%E8%A1%8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D%92%E8%A1%8D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D%92%E7%8F%A9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D%92%E7%8F%A9 0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8C003505CC9B6DC441BE3D881C423FE&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戶庚切,平庚,匣。【1】佩上的橫玉。亦泛指佩玉。《詩·小雅·采采》:“服其命服﹐朱芾斯皇﹐有瑲蔥。”{朱熹}集傳﹕“﹐佩首橫玉也。”《國語·晉語二》:“黃金四十鎰﹐白玉之六雙﹐不敢當公子﹐請納之左右。”{韋昭}注﹕“﹐佩上飾也。形似磬而小。”《後漢書·張衡傳》:“辮貞亮以爲鞶兮﹐雜伎蓺以爲。”{李賢}注﹕“﹐佩玉也。”《梁書·皇后傳·高祖丁貴嬪傳》:“狄綴采﹐珮動雅音。”【2】通“[衡]”。古代的冠飾。即固定冠冕于發髻上的橫簪。《文選·張衡<東京賦>》:“紞紘綖﹐玉笄綦會。”{李善}注引{杜預}曰﹕“維持冠者。”

(이상, 발췌 끝)

 

주 40-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丹瑚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4%B8%B9%E7%91%9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4%B8%B9%E7%91%9A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BDAF91A21D37A5188A9CB344ABCA16F&cult=TW&bv=1

(발췌 시작)

 

    【1】珊瑚制成的珠。古代天子﹑百官用作冠飾,{清}代也用作朝珠。《晉書·輿服志》:“{後漢}以來﹐天子之冕﹐前後旒用真白玉珠。{魏明帝}好婦人之飾﹐改以珊瑚珠。”

(이상, 발췌 끝)


 3 洛鐘泗磬       낙종사경          낙양 동종 사천 경쇠

                 낙양의 동종과 사천의 경쇠/(2017년 8월 5일)낙양의 동종과 사수의 경쇠

  낙양(洛陽)에 있는 종(洛鐘)과 경쇠를 만드는 돌(주, 한한대사전)[사수(泗水) 물가의 뜨는 돌](濱浮)/(2017년 8월 5일) 낙양(洛陽)에 있는 종(洛鐘)과 사수(泗水)의 경쇠 

 

주 40-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洛鐘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4%9B%E9%90%9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4%9B%E9%90%98 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洛鐘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4%9b%e9%92%9f&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銅山西崩, 洛鐘東應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0F08786006868DB156FD57E9DFBDAB2&cult=TW&bv=1

(발췌 시작)

銅山西崩, 洛鐘東應

 

    【1】{南朝}{宋}{劉義慶}《世說新語·文學》﹕“{殷荊州}曾問{遠公}﹕‘《易》以何爲體?’答曰﹕‘《易》以感爲體。’{殷}曰﹕‘銅山西崩﹐靈鐘東應﹐便是《易》耶?’”{劉孝標}注引《東方朔傳》﹕“{孝武皇帝}時﹐{未央宮}前殿鐘無故自鳴﹐三日三夜不止。詔問太史待詔{王朔}﹐{牂言恐有兵氣。更問{東方朔}﹐{朔}曰﹕‘臣聞銅者山之子﹐山者銅之母﹐以陰陽氣類言之﹐子母相感﹐山恐有崩弛者﹐故鐘先鳴。《易》曰“鳴鶴在陰﹐其子和之。”精之至也。其應在後五日內。’居三日﹐{南郡}太守上書言山崩﹐延袤二十餘里。”后以“銅山西崩﹐洛鐘東應”表示重大事件彼此互相影響。{清}{紀昀}《閱微草堂筆記·槐西雜志三》:“此義易明﹐銅山西崩﹐{洛}鐘東應﹐不以遠而阻也。”{唐弢}《側面》:“銅山西崩﹐{洛}鐘東應﹐一唱一和﹐互相支持。”{梁啟超}《新民說》十六:“此中消息﹐殆如銅山西崩﹐{洛}鐘東應。感召之機﹐銖黍靡忒。”

(이상, 발췌 끝)

 

주 40-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泗磬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3%97%E7%A3%AC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3%97%E7%A3%AC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泗磬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3%97%e7%a3%ac&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泗石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FF9D31348CC103A2F46F5BD3081D2B8&cult=TW&bv=1

(발췌 시작)

泗石

 

    【1】出于{泗水}之濱的石頭。可以作磬。 語本《書·禹貢》:“ {嶧}陽孤桐,{泗}濱浮磬。”{孔}傳:“ {泗水}涯水中見石,可以爲磬。”{唐}{司空圖}《成均賦》:“孤桐韜響﹐惟均雨露之濡;{泗}石含清﹐未冠雲韶之節。”

(이상, 발췌 끝)

 

다음은 "中國典故大辭典"에 주어진 泗濱友(濱浮)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827-m300-w011-003&ei=5EE15FC2740914DFBDD3E00FE2A1598053B785DF12C7B264EDCEC30773749AF04C61379DF5F291EB&cult=TW&bv=1

(발췌 시작)

泗濱友(濱浮)

 

    《澄懷錄》:“江南李建勛嘗蓄一玉磬,大尺余,以沈香節按柄(節,是助樂時擊節用的拍板之類的東西,沈香節按柄以沈香木制成)叩之,聲極清越。客有談及穢俗之語者,則急起擊玉磬數聲,曰:聊代清耳。名曰‘泗濱友’。”

 

    按:《書·禹貢》有“泗濱浮磬”之語。疏曰:石在水旁,似若水中浮然,此石可以為磬,故謂之浮磬也。

    “泗濱友”,指磬,取《書·禹貢》“泗濱浮磬”之意。李建勛志趣清高,厭惡穢談,故擊玉磬清耳,視磬為友,因此得名。這個典故用以比喻志趣清高。

    《太平御覽》卷三九八引《后周書》:“高琳字秀琳,其先高麗人。母嘗祓禊(音fūxì,古人為消災去邪,常于春秋二季,在水邊作祭祀祈禱)泗濱,臥,遇見一石,光彩朗潤,遂持歸。是夜,夢見一人,衣冠若仙者,謂曰:‘夫人向所持來石,是浮磬之精耳。君受之,必生令子(指賢郎)。’母驚寤,舉身流汗,俄而有娠。及生琳,因以名字焉。”

    北朝北周·庾信《入彭城館》詩:“水流浮磬動,山喧雙翟飛。”唐·白居易《華原磬歌》:“古稱浮磬出泗濱。”宋·蘇軾《題云龍草堂石磬》詩:“殊非濮上音,信是泗濱石。”

(이상, 발췌 끝)


 4 秦鼎唐鑪       진정당로          진의 동정 당의 향로

                                 진나라 솥과 당나라 향로

        진공의 (청동)솥()과 당의 훈로(주: 한한대사전)()

 

주 40-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秦鼎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7%A6%E9%BC%8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7%A6%E9%BC%8E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秦鼎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a7%a6%e9%bc%8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中國青銅器收藏與鑒賞全書"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516-m300-w001-172&ei=5EE15FC2740914DF4EDD4F4CAE47EF595F49FC32B68CC0395D60A70D08DBD014CD657A8040814023&cult=TW&bv=1

(발췌 시작)

 

 

春秋早期

規格:高47厘米,口徑42.3厘米

立耳折沿,淺腹略,獸首蹄足,頸腹飾獸身交連紋,立耳外側飾鱗紋,腹內壁銘文6字,記秦公作此

(이상, 발췌 끝)

 

주 40-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唐鑪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4%90%E9%91%A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4%90%E9%91%AA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薰爐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92D5266AC79F78F49E8CB7F07D3D11C4&cult=TW&bv=1

(발췌 시작)

薰爐

 

    亦作“[薰鑪]”【1】用于熏香等的爐子。{南朝} {宋}{謝惠連}《雪賦》:“燎薰鑪兮炳明燭。”{}{楊炯}《和崔司空傷姬》:“粉匣棲餘淚﹐減舊煙。”{清}{唐孫華}《春日感懷次張蒿園韻》:“薰爐自剪{粵}香烘﹐勝賞難期四美同。”{李劼人}《死水微瀾》第五部分八:“但一般古董家卻說這一只獨角羊原本是{南宋}朝宮中的薰爐﹐在{康熙}年間﹐被{四川}{遂寧}{張鵬翮}大學士從{北京}{琉璃廠}買得﹐后來帶回{成都}﹐施與{青羊宮}的。”

(이상, 발췌 끝)


 5 琳瑯琥玖       임랑호구          밝은 벽옥 검은 호박

                                 임랑과 호구

                     임랑(琳瑯)과 호박(珀) 옥돌()

 

주 40-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琳瑯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0%B3%E7%91%AF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0%B3%E7%91%AF 1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琳瑯 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90%b3%e7%90%8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琳瑯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877C31C57C950ED37AB3516636C6020&cult=TW&bv=1

(발췌 시작)

琳瑯

 

    亦作“[琳瑯]”【1】精美的玉石。{宋}{司馬光}《奉和濟川代書三十韻寄諸同舍》:“琳瑯固無價﹐{燕}石敢沽諸。”{漢}{張衡}《南都賦》:“琢琱狎獵﹐金銀琳瑯。”{明}{何景明}《七述》:“繪若黼黻﹐曄如琳瑯。”【2】玉石相擊聲。{明}{高濂}《玉簪記·重效》:“翠裙搖玉響琳瑯。”《楚辭·九歌·東皇太一》:“撫長劍兮玉珥﹐璆鏘鳴兮琳瑯。”{晉}{摯虞}《思游賦》:“要華電之煜爚兮﹐珮玉衡琳瑯。”【3】借指美好的事物。指優美詩文﹑珍貴書籍。{唐}{李群玉}《自澧浦東游江表》詩:“文襟即{玄圃}﹐筆下成琳瑯。”{晉}{葛洪}《抱樸子·任命》:“崇琬琰於懷抱之內﹐吐琳瑯於毛墨之端。”{寧調元}《感舊集定庵句》詩之六:“{緑珠}不愛珊瑚樹﹐合配琳瑯萬軸身。”{宋}{李昴英}《賀新郎·再用韻餞吳憲》詞:“想胸蟠﹐蕊闕琳瑯笈。真作者﹐世難及。”{清}{秋瑾}《梅十章》之八:“留得琳瑯千萬句﹐錦函雙繫碧絲縚。”【4】借指美好的事物。指優秀人材。{宋}{曾鞏}《寄孫莘老湖州墨妙亭》詩:“好事今推{霅溪}守﹐故開新館集琳瑯。”{南朝} {宋}{劉義慶}《世說新語·容止》:“有人詣{王太尉}﹐遇{安豐}﹑大將軍﹑丞相在坐﹐往別屋見{季胤}﹑{平子}。還語人曰:‘今日之行﹐觸目見琳瑯珠玉。’”{唐}{劉禹錫}《送王師魯協律赴湖南使幕》詩:“素風傳竹帛﹐高價聘琳瑯。”【5】泛指清脆美妙的聲音。{清}{汪懋麟}《祭誥封光祿大夫陳太公文》:“衆賓雜遝﹐笑語琳瑯。”{宋}{沈遼}《宴集》詩:“尤愛簷間竹﹐風來響琳瑯。”《云笈七籤》卷十六:“仰誦洞章﹐嘯詠琳瑯。”

(이상, 발췌 끝)

 

주 40-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琥玖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0%A5%E7%8E%9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0%A5%E7%8E%96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琥珀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11AF1AA793AD94A699181C879CC96EE&cult=TW&bv=1

(발췌 시작)

琥珀

 

    【1】古代松柏樹脂的化石。色淡黃﹑褐或紅褐。摩擦帶電。質優的用作裝飾品,質差的用于制造琥珀酸和各種漆。中醫用為通淋化瘀﹑寧心安神的藥。{晉}{張華}《博物志》卷四:“《神仙傳》云:‘松柏脂入地千年化爲茯苓﹐茯苓化琥珀’﹐琥珀一名江珠。”{元}{貢師泰}《贈天臺李煉師》詩:“歲久松肪琥珀﹐夜深丹氣出芙蓉。”{郭沫若}《瓶》詩之一:“她的發辮上有一個琥珀做的別針﹐幾顆璀璨的鉆珠兒在那針上反映。”{宋}{蘇軾}《南歌子·楚守周豫出舞鬟因作之》詞:“琥珀裝腰佩﹐龍香入領巾。”【2】指美酒。{清}{康瑄}《擬將進酒》詩:“何如小槽滴瀝琥珀濃﹐澆胸頓使金罍空。”{宋}{趙令畤}《侯鯖錄》卷一:“〔{張文潛}詩〕‘尊酒且傾濃琥珀﹐淚痕更著薄胭脂。’”{唐}{李賀}《殘絲曲》詩:“緑鬢年少金釵客﹐縹粉壺中沉琥珀。”

(이상, 발췌 끝)


 6 碼碯碔砆       마노무부          옥색 마노 옥돌 무부

                                 마노와 부무

                          마노(碼碯)와 무부(碔砆)

 

게시자 주: "마노"의 경우, 좌수본의 瑪瑙)는, 전후 문맥을 고려할 때에, 오류로 보임.

 

주 40-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瑪瑙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8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1%AA%E7%91%99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1%AA%E7%91%99 8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瑪瑙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8e%9b%e7%91%9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瑪瑙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5F7EF9F5A22A685EEE8A89ACFA22240&cult=TW&bv=1

(발췌 시작)

瑪瑙

 

    【1】礦物名。玉髓的一種。品類甚多,顏色光美,可制器皿及裝飾品。{三國} {魏}{曹丕}《<瑪瑙勒賦>序》:“瑪瑙﹐玉屬也。出自西域﹐文理交錯﹐有似馬腦﹐故其方人因以名之。”{北周}{庾信}《楊柳歌》:“銜雲酒杯赤瑪瑙﹐照日食螺紫琉璃。”{老舍}《茶館》第一幕:“{龐總管}……連家里打醋的瓶子都瑪瑙作的!”【2】用作藥物。見{明}{李時珍}《本草綱目·金石二·馬腦》。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碼碯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2593601C8E78DDFD9FBD1C4B2CB62C8&bv=1&cult=TW

(발췌 시작)

碼碯

 

    亦作“[碼瑙]”【1】一種似玉而次于玉的寶石。《新唐書·西域傳下·拂菻》:“土多金﹑銀﹑夜光璧﹑明月珠﹑大貝﹑車渠﹑碼碯﹑木難﹑孔翠﹑虎魄。”{宋}{蘇軾}《贈常州報恩長老》詩之一:“碧玉碗盛紅碼瑙﹐井花水養石菖蒲。”{晉}{王嘉}《拾遺記·高辛》:“碼碯﹐石類也﹐南方者爲之勝。”{明}{郎瑛}《七修類稿·奇謔三·異寶》:“嘗讀《春渚紀聞》:‘有人蓄碼碯大硯﹐注水硯間﹐則水中有一小鯽游泳可愛﹐去水則無也。’”

(이상, 발췌 끝)

 

주 40-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碔砆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8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2%94%E7%A0%8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2%94%E7%A0%86 1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碔砆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8f%b7%e7%8e%9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碔砆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3D50CB826FEFBA09BB25A66957EFD4C&cult=TW&bv=1

(발췌 시작)

碔砆

 

    【1】似玉之石。《文選·司馬相如<子虛賦>》:“碝石碔砆。”{李善}注引{張揖}曰:“碝石﹑碔砆﹐皆石之次玉者……碔砆﹐赤地白采﹐蔥蘢白黑不分。”{清}{趙翼}《題陳東浦藩伯<敦拙堂詩集>》詩:“連城有真璧﹐未可碔砆冒。”{宋}{張世南}《游宦紀聞》卷九:“{忠州}{樂磧市}出玉石﹐舟至岸﹐人競持來求售﹐雖光瑩可觀﹐然皆碔砆也。”{明}{吾丘瑞}《運甓記·帥閫賓賢》:“真個是碔砆眩玉﹐魚目疑珠﹐駑驥相猜。”{唐}{陳子昂}《荊州大崇福觀記》:“文彩構檻﹐碔砆砌階。”

(이상, 발췌 끝)


 7 崢嶸璀璨       쟁영최찬          휘황찬란 보석들은

                                 뛰어나게 찬란하니

    [이들 보석들 모두는] 뛰어나고(주: 한한대사전)(崢嶸) 광채가 찬란하니(璀璨)

 

주 40-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崢嶸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더러(즉, 17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4%A2%E5%B6%B8 12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4%A2%E5%B6%B8 17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崢嶸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3%a5%e5%b5%9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全唐詩大辭典"에 주어진 崢嶸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71207-m300-w001-025&ei=5EE15FC2740914DF8AE67DA96A64BA5306F75BDE1E664F179556F4A4561495669F5DF9DC69F5AF98&cult=TW&bv=1

(발췌 시작)

崢嶸

 

    ①高峻盧綸《綸吉侍郎中孚》:“繚垣逶迤,水殿崢嶸。”亦高峻山峰。柳宗元《韋道安》:“掛弓所往,趫捷超崢嶸。”②高曠;深遠貌。杜甫《畫鶻》:“乾坤崢嶸,粉墨蕭瑟。”③郁深沉貌。杜甫《京赴奉詠懷五百字》:“疾風高岡裂,天衢崢嶸。”齊己熱行》:“火崢嶸焚泬寥,東皋老農腸焦。”④盛興;眾多。岑參《送史司馬赴崔相公幕》:“崢嶸丞相府,清鳳皇池。”貫休田》:“上留田,蝥賊。徒陟岡,崢嶸。”⑤凜冽。羅隱霽》:“南山晴,寒氣崢嶸。”⑥枯槁貌;瘦削貌。杜甫《枯柟》:“梗柟枯崢嶸,鄉黨皆記。”⑦形容波濤洶涌。王昌齡敷谷龍潭祠》:“波沸崢嶸,深處不可。”⑧形容歲月逝去。杜甫《敬贈鄭諫議十》:“筑居縹緲,旅食歲崢嶸。”

(이상, 발췌 끝)

 

주 40-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璀璨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8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confucianism?searchu=%E7%92%80%E7%92%A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2%80%E7%92%A8 2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璀璨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92%80%e7%92%a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璀璨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5057A1561862BE6EFD603297B6BA0D9&cult=TW&bv=1

(발췌 시작)

璀璨

 

    亦作“[璀粲]”【1】光彩絢麗。{漢}{王延壽}《魯靈光殿賦》:“汩磑磑以璀璨﹐赫燡燡而爥坤。”{清}{蒲松齡}《聊齋志異·香玉》:“牡丹高丈餘﹐花時璀璨似錦。”《文選·曹植<洛神賦>》:“披羅衣之璀粲兮﹐珥瑤碧之華琚。”{張銑}注:“璀粲﹐明浄貌。”{冰心}《寄小讀者》十六:“最美的是冰珠串結在野櫻桃枝上﹐紅白相間﹐晶瑩向日﹐覺得人間珍寶﹐無此璀璨。”【2】光彩絢麗之物。指珠玉珍寶。{宋}{葉適}《齊云樓》詩:“王公占上腴﹐邸觀角奇致;是邦聚璀璨﹐四顧盡憔悴。”

(이상, 발췌 끝)


 8 韞孕含娛       온잉함오          아름다움 감추었네

                                 감춰두고 좋아하네

           감추어() 품어() 속에 지니면서 즐거워하도록 하라()

 

주 40-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韞孕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confucianism?searchu=%E9%9F%9E%E5%AD%95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F%9E%E5%AD%95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0-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含娛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 드물게(즉, 8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0%AB%E5%A8%9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0%AB%E5%A8%9B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含娛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ad%95%e5%90%ab&st=3&page=1

 


右節, 珍奇之物, 猶聖道也. 珍奇秘於庫藏, 聖道寓於人心,
우절, 진기지물, 유성도야. 진기비어고장, 성도우어인심,


含孕韞藏, 尙其永寶.
함잉온장, 상기영보.


八寸曰, 咫. 洛鐘, 銅鐘之寶貴者. 泗磬, 石磬之能浮者.
팔촌왈, 지. 락종, 동종지보귀자. 사경, 석경지능부자.

 

琳瑯琥玖, 美玉之名. 瑪瑙碔砆, 皆寶石也. 崢嶸, 高峻貌.
임랑호구, 미옥지명. 마노무부, 개보석야. 쟁영, 고준모.


璀璨, 玉光也. 韞, 藏也.
최찬, 옥광야. 온, 장야.

 

윗절은 진기한 보물들이 聖道와 같은 것임을 말한다. 진기한 보물은 창고에 비장하지만 마음 안에 깃들이는 聖道는 오히려 영원한 보배로 마음에 고이 간직해야 하는 것이다.


여덟 치를 지(咫)라 한다. 낙양의 종은 구리로 된 종중에서 가장 귀한 보배이고 사천의 경쇠는 경쇠 중에서 뜰 수 있는 것이다. 임랑호구(琳瑯琥玖)는 아름다운 옥의 이름이고, 마노무부(瑪瑙碔砆)도 다 보석들이다. 쟁영(崢嶸)은 산 높고 험준한 모양, 최찬(璀璨)은 옥의 빛깔, 온(韞)은 감춘다는 뜻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2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