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41,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2 ㅣ No.1823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23.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41 장   음악(*0)

 

 1 噓竹彈絲       허죽탄사         퉁소 불고 현금 타며

                                 피리 불고 현금(玄琴) 타며

                            피리를 붐(噓竹)과 거문고를 탐(彈絲)

 

주 41-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噓竹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9%93%E7%AB%B9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9%93%E7%AB%B9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噓竹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1-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彈絲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D%88%E7%B5%B2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D%88%E7%B5%B2 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彈絲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bc%b9%e4%b8%9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彈絲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8&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CCAB100AF4A719D42FC35A0FAAA3F41&cult=TW&bv=1

(발췌 시작)

彈絲

 

    【1】彈奏弦樂器。{隋}{江總}《宴樂修堂應令》詩:“彈絲琴瑟﹐吹竹動笙簧。”{唐}{元稹}《春六十韻》:“啓齒成編貝﹐彈絲動削蔥。”{明}{劉基}《北嶺將軍廟碑》:“吹竹兮彈絲。”{清}{袁枚}《隨園詩話》卷四:“{阮亭}善爲角徵之聲﹐吹竹彈絲﹐易入人耳。”

(이상, 발췌 끝)


 2 簫韶拊拍       소소부박         장단 맞춰 흥 돋우니

                      소소(簫韶)에다 박자 맞춰/(2017년 8월 5일) 소소(簫韶)에 박자 맞춰

   소소[순(舜) 임금이 만들었다는 음악, 주: 한한대사전](簫韶)와 부()와 박()

 

주 41-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簫韶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8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0%AB%E9%9F%B6 1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0%AB%E9%9F%B6 86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簫韶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ae%ab%e9%9f%b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簫韶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FAFD4432680896997DD09BE95BB21A8&cult=TW&bv=1

(발췌 시작)

簫韶

 

    【1】{舜}樂名。{晉}{葛洪}《抱樸子·安貧》:“萬鈞之爲重﹐衝飈不能移﹐《簫韶》未九成﹐靈鳥不紆儀也。”《書·益稷》:“《簫韶》九成﹐鳳皇來儀。”{明}{汪廷訥}《廣陵月》第二出:“梨園職掌﹐寵倖徼天上﹐論《簫韶》九成奚讓﹐試看彩鳳來儀﹐太平有象。”【2】泛指美妙的仙樂。{唐}{李紳}《憶夜直金鑾殿承旨》詩:“月當銀漢玉繩低﹐深聽簫韶碧落齊。”

(이상, 발췌 끝)

 

주 41-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拊拍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B%8A%E6%8B%8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B%8A%E6%8B%8D 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A3FAE059213E95F57B03D9355F06E85&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芳武切,上麌,敷。【1】撫;撫摩。《公孫龍子·堅白論》:“視不得其所堅﹐而得其所白者﹐無堅也;不得其所白﹐而得其所堅者﹐無白也。”{南朝 宋}{謝靈運}《折楊柳行》:“還幼童子﹐顧托兄與嫂。”{宋}{陳師道}《東山謁外大父墓》詩:“少時頭期類我﹐暮年垂淚向西風。”{巴金}《家》二一:“于是一只手著心﹐連續咳了幾聲嗽。”【2】撫慰;安撫。《左傳·宣公十二年》:“王巡三軍﹐而勉之。”{杜預}注:“﹐撫慰勉之。”《新唐書·韋皋傳》:“善士﹐至雖昏嫁皆厚資之。”{宋}{葉適}《高永州墓志銘》:“知{處州}{麗水縣}﹐善以簡靜瘠薄。”{清}{王夫之}《宋論·太祖》:“舉以授之亢衡彊夷之武人﹐使{河}朔以瞰中原﹐則{趙氏}之宗祏危矣。”【3】拍;擊。《左傳·襄公二十五年》:“公楹而歌。”{杜預}注:“﹐拍也。”{唐}{韓愈}《元和圣德詩》:“鳳皇應奏﹐舒翼自。”{清}{紀昀}《閱微草堂筆記·如是我聞四》:“幾有聲﹐聞者悚然而寤。”{郭沫若}《洪波曲》第七章一:“敵人最初的計劃﹐據傳是將采取大迂回的包圍戰略﹐沿{隴海}路西進﹐再奪{平}{漢}線南段以大{武漢}之背。”【4】彈奏。{三國 魏}{曹植}《仙人篇》:“{湘}娥琴瑟﹐{秦}女吹笙竽。”{晉}{張協}《七命》:“吹孤竹﹐{雲和}﹐淵客唱《淮南》之曲﹐榜人奏《采菱》之歌。”【5】古樂器。即搏。《周禮·春官·小師》:“大祭祀﹐登歌擊。”【6】器物柄把。《禮記·少儀》:“刀卻刃授穎﹐削授。”{鄭玄}注:“﹐謂把。”《禮記·少儀》:“弓則以左手屈韣執。”{孔穎達}疏:“﹐弓把也。”{漢}{王褒}《四子講德論》:“其耒耜則弓矢鞌馬﹐播種則扤弦掌。”【7】附著。《史記·扁鵲倉公列傳》:“臣{意}即以寒水其頭﹐刺足陽明脈左右各三所﹐病旋已。”{司馬貞}索隱:“﹐音附。又音撫。”《西游記》第二回:“前日老師父耳低言﹐傳與你的躲三災變化之法﹐可都會嗎?”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7606BE769AB1BCBADF921659F9B6503&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普伯切,入陌,滂。【1】用手掌打。《韓非子·功名》:“一手獨﹐雖疾無聲。”{晉}{郭璞}《游仙詩》之三:“左挹{浮丘}袖﹐右{洪崖}肩。”{唐}{李郢}《酬友人春暮寄枳花茶》詩:“金餅成和雨露﹐玉塵煎出照煙霞。”{張天翼}《兒女們》:“{黑二}把他身上的雪去。”{{孔厥}{袁靜}}《新兒女英雄傳》第五回:“他瞅準了目標﹐罵了聲‘他媽的’﹐連手掌帶鈔票使勁一﹐把桌上的燈火都震得吃驚地一跳。”【2】擊;搏擊。《莊子·天下》:“椎輐斷﹐與物宛轉。”{王先謙}集解:“凡物稍未合﹐以椎重之﹐無不合。”{南朝}{梁元帝}《金樓子·說蕃》:“王奉琥珀盤螭二枚……{後主}怒云:‘琥珀者﹐欲使虎來我也。’”{唐}{張碧}《惜花》詩之二:“老鴉翼盤空疾﹐準擬浮生如瞬息。”{宋}{蘇軾}《念奴嬌·赤壁懷古》詞:“亂石穿空﹐驚濤岸﹐捲起千堆雪。”{毛澤東}《長征》詩:“{金沙}水雲崖暖﹐{大渡}橋橫鐵索寒。”【3】用于擊的器具。如:球;蠅。【4】古兵器名。即竿。《陳書·侯瑱傳》:“將戰﹐有微風至自東南﹐衆軍施縱火。”《陳書·華皎傳》:“{淳于量}﹑{吳明徹}等募軍中小艦﹐多賞金銀﹐先令出當賊艦﹐受其。賊艦發皆盡﹐然後官軍以大艦之﹐賊艦皆碎﹐沒于中流。”【5】親昵;奉承。《後漢書·文苑傳下·趙壹》:“嫗名埶﹐撫豪強。”{李賢}注:“撫﹐相親狎也。”{茅盾}《路》一:“入黨政界罷?不但要人汲引﹐并且也得會會鉆。”【6】充滿。{宋}{魏了翁}《滿江紅·李提刑生日》詞:“水池塘鴻雁聚﹐露濃庭畹芝蘭馥。”{金}{元好問}《滿江紅·三泉醉飲》詞:“《金縷》唱﹐金蕉﹐休直待﹐芳華歇。”【7】掰。《水滸傳》第二七回:“{武松}取一個開看了﹐叫道:‘酒家﹐這饅頭是人肉的?是狗肉的?’”《醒世恒言·施潤澤灘闕遇友》:“〔{喻氏}〕便去拿那兩個饅頭﹐遞與{施復}道:‘你這饅頭開來看。’{施復}不知何意﹐隨手開﹐衹聽得棹上噹的一響。舉目看時﹐乃是一錠紅絨束的銀子。”{{葉英美}等}《虞小玉》:“那一天﹐看見{小玉}在我田里玉米。”【8】樂曲的篇章單位。猶首。《樂府詩集·琴曲歌辭三》有{漢}{蔡琰}《胡笳十八》。{唐}{戎昱}《聽杜山人彈胡笳》詩:“座中爲我奏此曲﹐滿堂蕭飋如窮邊。第一第二﹐淚盡蛾眉沒蕃客。”{唐}{李肇}《唐國史補》卷上:“{王維}畫品妙絶……人有畫《奏樂圖》﹐{維}孰視而笑。或問其故。{維}曰:‘此是《霓裳羽衣曲》卷三疊第一。’”【9】指樂曲的子。{宋}{沈括}《夢溪筆談·樂律一》:“今時杖鼓﹐常時只是打﹐鮮有專門獨奏之妙。”【10】指古樂器的板。{明}{張羽}《席上聽歌妓詩》:“淺按紅牙﹐輕和寶細箏。”【11】吟詠。{唐}{呂巖}《七夕》詩:“父子生來有兩口﹐多好歌笙不好。”原注:“﹐吟也。”【12】說。{明}{湯顯祖}《牡丹亭·如杭》:“話做了兩頭分。”{徐朔方}校注:“分﹐分説。”{柳青}《創業史》第一部第八章:“走吧﹐到你屋里細。”【13】發。{張天翼}《大林和小林》:“于是{平平}市長馬上把電報去了。”【14】攝。{魏巍}《東方》第六部第十三章:“最后在{天安門}前了一張照片﹐作為此行的紀念。”{秦牧}《長街燈語·李時珍精神永放光輝》:“有人為他寫了傳記﹐有人為他了電影。”【15】象聲詞。物體撞擊﹑彈射﹑迸發或落地的聲音。{魯迅}《朝花夕拾·從百草園到三味書屋》:“還有斑蝥﹐倘若用手指按住它的脊梁﹐更會的一聲﹐從后竅噴出一陣煙霧。”{{呂文}{陸壽鈞}}《失去的愛·苗太太臥室》:“把墻上懸掛的她和一個留胡子的胖子合影的照片摘下來﹐‘’地摔到地下。”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拊拍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츨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7606BE769AB1BCB596FBD27B7CD5719&cult=TW&bv=1

(발췌 시작)

拊拍

 

【1】拍打。《釋名·釋樂器》:“搏拊以韋盛穅﹐形如鼓﹐以手拊拍之也。”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拊搏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A3FAE059213E95FF321265D0F4C3549&cult=TW&bv=1

(발췌 시작)

拊搏

 

    【1】敲擊樂器。{宋}{樂史}《楊太真外傳》卷上:“妃善擊磬﹐拊搏之音泠泠然﹐多新聲﹐雖太常梨園之妓﹐莫能及之。”【2】古代的一種打擊樂器。《禮記·明堂位》:“拊搏﹑玉磬﹑揩擊﹑大琴﹑大瑟﹑中琴﹑小瑟﹐四代之樂器也。”{鄭玄}注:“拊搏﹐以韋爲之﹐充之以穅﹐形如小鼓。”《大戴禮記·禮三本》:“縣一磬而尚拊搏。”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搏拊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83678E2C45FA716BC7A01DAB0E31927&cult=TW&bv=1

(발췌 시작)

搏拊

 

    【1】拍擊。謂鼓掌。{漢}{馬融}《長笛賦》:“失容墜席﹐搏拊雷抃。”【2】古樂器名。《明史·樂志一》:“〔{洪武}〕二十六年又定殿中韶樂:簫十二﹐笙十二……柷一﹐敔一﹐搏拊二。”《釋名·釋樂器》:“搏拊﹐以韋盛糠﹐形如皷﹐以手拊拍之也。”《書·益稷》:“戞擊鳴球﹑搏拊﹑琴瑟以詠。”{孔}傳:“搏拊以韋爲之﹐實之以糠﹐擊之以節樂。”【3】亦作“[搏撫]”。彈奏。{宋}{洪邁}《夷堅丁志·窗欞小婦》:“三僧同榻﹐二僕在門外﹐已滅燭就枕﹐{湍}善鼓琴﹐暗中搏拊不止﹐二僧亦未交睫。”{清}{葆光子}《物妖志·音樂·琴》:“攜古琴過此﹐寳惜甚至﹐因搏撫之際﹐誤觸墜砌下石上。”

(이상, 발췌 끝)


 3 逸韻鏗鏘       일운갱장         빼어난 운 고운 화음

                            빼어난 운치 돋우니/(2017년 8월 5일) 빼어난 운율 돋우니

일운(빼어나게 아름다운 노래, 주: 한한대사전)(逸韻)과 갱장[금옥(金玉)이나 악기의 소리가 큼, 주: 한한대사전](鏗鏘)

 

주 41-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逸韻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0%B8%E9%9F%B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0%B8%E9%9F%BB 3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逸韻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80%b8%e9%9f%b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逸韻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17FFC831326F2C58DB226AEE9AAF768&cult=TW&bv=1

(발췌 시작)

逸韻

 

    【1】美妙動聽的樂聲﹑歌聲。《宋書·樂志四》:“逸韻騰天路﹐頽響結城阿。”{唐}{李百藥}《雜曲歌辭·火鳳辭》:“嬌嚬眉際斂﹐逸韻口中香。”{清}{王韜}《淞濱瑣話·瑤臺小詠中》:“勒馬英姿颯爽﹐轉喉逸韻蒼涼。”【2】高超的詩歌。{明}{高啟}《三賢堂》詩:“逸韻邁羣流﹐豈將文墨牽。”{清}{曹寅}《游仙詩》之二十:“羨爾居然聳詩骨﹐洞天逸韻不嫌多。”{唐}{劉禹錫}《樂天寄憶舊游因作報白君以答》詩:“酒酣襞牋飛逸韻﹐至今傳在人人口。”{南朝} {梁}{劉勰}《文心雕龍·麗辭》:“麗句與深采並流﹐偶意共逸韻俱發。”【3】高逸的風韻。{宋}{陸游}《梅花絕句》:“高標逸韻君知否?正在層冰積雪時。”{郭沫若}《芍藥及其他·丁東草》:“在深山里﹐崖壑幽靜的泉水邊﹐或許也更有一番逸韻沁人心脾。”《藝文類聚》卷三六引{晉}{庾亮}《翟徵君贊》:“稟逸韻於天陶﹐含沖氣於特秀。”

(이상, 발췌 끝)

 

주 41-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鏗鏘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8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F%97%E9%8F%98 7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F%97%E9%8F%98 6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鏗鏘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93%bf%e9%94%b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鏗鏘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A9036CDD2011DE256FB92F046A03A9E&cult=TW&bv=1

(발췌 시작)

鏗鏘

 

    【1】形容金玉或樂器等聲洪亮。《漢書·張禹傳》:“優人筦弦鏗鏘極樂﹐昏夜乃罷。”{北魏}{楊衒之}《洛陽伽藍記·永寧寺》:“至於高風永夜﹐寶鐸和鳴﹐鏗鏘之聲﹐聞及十餘里。”{明}{徐霖}《繡襦記·厭習風塵》:“裙襯弓鞋入繡房﹐蘭茝生香﹐環珮鏗鏘。”{聞捷}《海燕》:“那聲音很脆﹐很亮﹐使我馬上聯想到列車進站以前﹐有人敲擊那懸掛著的鋼軌所發出的鏗鏘之音。”{唐}{陸龜蒙}《奉和襲美二游詩·徐詩》:“插架幾萬軸﹐森森若戈鋋﹐風吹籤牌聲﹐滿室鏗鏘然。”【2】形容作品音節流暢﹐言語有力。{唐}{孟郊}《答盧仝》詩 :“君文真鳳聲﹐宣隘滿鏗鏘。”{清}{葉廷琯}《鷗陂漁話·吳山尊敏捷》:“{山尊}學士﹐天資敏捷……所作或瑰麗鏗鏘﹐或寄倔排奡﹐無不各得其所。”{元}{辛文房}《唐才子傳·殷堯藩》:“今有集一卷傳世﹐皆鏗鏘藴籍之作也。”【3】形容人聲洪亮或深沉堅定。《舊五代史·周書·盧文紀傳》:“{文紀}形貌魁偉﹐語言高朗﹐占對鏗鏘﹐健於飲啖。”{清}{蒲松齡}《聊齋志異·白秋練 》:“生乘父出﹐執卷哦詩﹐音節鏗鏘。”{晉}{郭璞}《山海經圖贊·西山經·神耆童》:“{顓頊}之子﹐嗣作火正﹐鏗鏘其鳴﹐聲如鐘磬。”{楊沫}《青春之歌》第二部第十八章:“{道靜}的聲音雖然很低﹐然而一字一句卻異常鏗鏘有力。”

(이상, 발췌 끝)


 4 淋鈴裂帛       임령열백         방울소리 노랫소리

                                비단을 찢는 듯한 임령(淋鈴)의 곡조

우림령[雨淋鈴, 당대(唐代)의 교방곡(教坊曲), 주: 한한대사전](淋鈴)과 열백(비단을 찢을 때 나는 맑고 날카로운 소리, 주: 한한대사전)(裂帛)

 

주 41-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淋鈴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7%8B%E9%88%B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7%8B%E9%88%B4 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淋鈴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7%8b%e9%93%83&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淋鈴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99936DECD0EEDCCF4897153C1B12C81&cult=TW&bv=1

(발췌 시작)

淋鈴

 

    【1】即《雨霖鈴》。{唐}教坊曲名,后用為詞牌。雙調一百零三字,仄韻。{元}{王學文}《摸魚兒》詞:“記當年舞衫零亂﹐《淋鈴》忍按新闋。”{唐}{杜牧}《華清宮》詩:“行雲不下{朝元閣}﹐一曲《淋鈴》淚數行。”【2】指雨聲。{前蜀}{韋莊}《宿蓬船》詩:“夜來{江}雨宿蓬船﹐臥聽淋鈴不忍眠。”{清}{秋瑾}《秋雨》詩:“最是淋鈴聞不得﹐{謝娘}減盡舊腰肢。”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雨淋鈴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4D17A5D24F245CE9E2051D5E3DD1FDA&cult=TW&bv=1
(발췌 시작)

雨淋鈴

 

    【1】見“雨霖鈴”。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雨霖鈴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BD3CFA357B5EEC0DB95C2010F2757A9&cult=TW&bv=1

(발췌 시작)

雨霖鈴

 

    亦作“[雨淋鈴]”【1】詞牌名。由{唐}教坊曲演化而成。雙調﹐一百零三字﹐仄韻。{宋}{柳永}始作。{柳永}一生失意潦倒﹐生活漂泊無定。在他離開{汴京}時作此詞﹐以抒發惜別之情。詞中有“今宵酒醒何處?楊柳岸﹑曉風殘月”之句﹐膾炙人口。后用以指代失意潦倒。{清}{陳維崧}《贈歌者陳郎》詩:“憐爾少年非失意﹐逢人也唱《雨霖鈴》。”【2】{唐}教坊曲名。{清}{納蘭性德}《浣溪沙》詞:“信得羽衣傳鈿合﹐悔教羅襪葬傾城﹐人間空唱《雨淋鈴》。”{唐}{鄭處誨}《明皇雜錄補遺》:“{明皇}既幸{蜀}﹐西南行初入{斜谷}﹐屬霖雨涉旬﹐於棧道雨中聞鈴﹐音與山相應。上既悼念{貴妃}﹐採其聲爲《雨霖鈴》曲﹐以寄恨焉。”{唐}{元稹}《琵琶歌》:“因茲彈作《雨霖鈴》﹐風雨蕭條鬼神泣。”{明}{梁辰魚}《紅線女》第一折:“《雨霖鈴》空響人何處﹐只落得渺渺獨愁予。”

(이상, 발췌 끝)

 

주 41-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裂帛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4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3%82%E5%B8%9B 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3%82%E5%B8%9B 14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裂帛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a3%82%e5%b8%9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裂帛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츨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5562C53CA5B317563E48F0FD727A164&cult=TW&bv=1

(발췌 시작)

裂帛

 

    【1】撕裂繒帛。《左傳·昭公元年》:“召使者﹐裂裳帛而與之。”【2】指撕裂繒帛發出的清厲聲。{唐}{白居易}《琵琶行》:“曲終收撥當心畫﹐四絃一聲如裂帛。”《水滸傳》第七一回:“是夜三更時候﹐只聽得天上一聲響﹐如裂帛相似﹐正是西北乾方天門上。”{艾明之}《她和她的歌》十五:“‘爸爸!’{白小玲}發出一聲聲和她年齡不相稱的裂帛似地叫喊。”【3】裁帛作書。《文選·江淹<恨賦>》:“裂帛繫書﹐誓還{漢}恩。”{李善}注:“《漢書》曰:‘{常惠}教{漢}使者謂單于﹐言天子射{上林}中﹐得鴈﹐足有係帛書﹐{蘇武}等在某澤中。’”{唐}{徐彥伯}《擬古》詩之一:“裂帛附雙燕﹐爲予向{遼東}。”【4】指古代的書籍。{南朝} {梁}{劉勰}《文心雕龍·史傳》:“欲其詳悉於體國﹐必閲石室﹐啓金匱﹐抽裂帛﹐檢殘竹﹐欲其博練於稽古也。”

(이상, 발췌 끝)


 5 湍激峯廻       단격봉회         물결소리 산 메아리

                           여울 치듯 산 굽어돌듯/(2017년 8월 5일) 여울물 치듯 산 굽어돌듯

물살이 사나움(주: 한한대사전)(湍激)과 구불구불한 산세를 따라 길이 에돌아 굽이짐(峯迴路轉, 주: 한한대사전)(峯廻)

 

주 41-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湍激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9%8D%E6%BF%8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9%8D%E6%BF%80 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湍激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9%8d%e6%bf%8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湍激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8BB8077BC64AC5336ECA40D8B9880F5&cult=TW&bv=1

(발췌 시작)

湍激

 

    【1】水流猛急。{沙汀}《一個秋天的晩上》:“這是一個冷僻的所在﹐背負著大山﹐前面又是湍激奔騰的河流。”《宋史·河渠志二》:“若趨深走下﹐湍激奔騰﹐惟有刮除﹐無由淤積﹐不至上煩聖慮。”{唐}{獨孤及}《慧山寺新泉記》:“使瀑布下鍾﹐甘溜湍激﹐若釃醴乳噴。”

(이상, 발췌 끝)

 

주 41-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峯廻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3%AF%E5%BB%B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3%AF%E5%BB%BB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峯廻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9%8d%e6%bf%80&st=3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峯迴路轉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2F109DCCEEBA4A1DC61B770D5A5DA4F&cult=TW&bv=1

(발췌 시작)

峯迴路轉

 

    亦作“[峯回路轉]”【1】今常以喻事情經歷曲折后,出現新的轉機。【2】謂山勢曲折,道路隨之迂回。{葉圣陶}《從西安到蘭州》:“我們坐在火車里就象坐在江船里一樣﹐峰回路轉﹐景象刻刻變換﹐讓你目不暇接。”{清}{弇山草衣}《幽夢續影》:“山之妙在峯回路轉﹐水之妙在風起波生。”{宋}{歐陽修}《醉翁亭記》:“峯迴路轉﹐有亭翼然臨於泉上者﹐{醉翁亭}也。”

(이상, 발췌 끝)


 6 霆轟電掣       정굉전체         우렁차고 힘차도다

                             천둥 치고 번개 치듯/(2017년 8월 5일) 천둥 울리고 번개 치듯

                 천둥()의 울림()과 번개()의 끌어당김()

 

주 41-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霆轟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C%86%E8%BD%9F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C%86%E8%BD%9F 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霆轟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1-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電掣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C%86%E8%BD%9F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C%86%E8%BD%9F 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電掣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94%b5%e6%8e%a3&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電掣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BD86AD87DC06C7105E1938F9594834B&cult=TW&bv=1

(발췌 시작)

電掣

 

    【1】電光急閃而過。喻迅速﹑轉瞬即逝。{金}{元好問}《惡雨》詩:“霆轟冰墖碎﹐電掣玉繩連。”{南朝}{梁簡文帝}《金錞賦》:“野曠塵昏﹐星流電掣。”{宋}{姜特立}《霜天曉角·為夜游湖作》詞:“歡娛電掣﹐何況輕離別。”{葉圣陶}《四三集·逃難》:“他又電掣一般溫習了一回加減法的心算。”

(이상, 발췌 끝)


 7 賡詠翕諧       갱영흡해         시를 읊어 조화되니

                                 노래 이어가 잘 어울리니

  [이들 모두는] 서로 이어서 화답하며 읆음(주: 한한대사전)(賡詠)이 화합하고() 조화하니()

 

주 41-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賡詠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3%A1%E8%A9%A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3%A1%E8%A9%A0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賡詠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賡詠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577B32A84691616F879F16CA7BDAAC8&cult=TW&bv=1

(발췌 시작)

賡詠

 

    【1】相繼詠和。《清史稿·理密親王允礽傳》:“太子通{滿}{漢}文字﹐嫺騎射﹐從上行幸﹐賡詠斐然。”{宋}{陳巖肖}《庚溪詩話》卷上:“君臣會遇﹐形於賡詠﹐此與{唐}{虞}賡載﹐事雖異而意同也。”

(이상, 발췌 끝)

 

주 41-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翕諧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F%95%E8%AB%A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F%95%E8%AB%A7 0


 8 濫竽羞測       남우수측         부끄러움 모르도다

                                 악기 못다루면 부끄러운 법이라오

남우(참다운 재주나 학문이 없는 자, 주: 한한대자전)(濫竽)는 헤아림()을 부끄러워할지니라()

 

주 41-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濫竽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F%AB%E7%AB%B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F%AB%E7%AB%BD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濫竽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b%a5%e7%ab%b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濫竽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5008C9016009367583614ACA23201F4&cult=TW&bv=1

(발췌 시작)

濫竽

 

    【1】《韓非子·內儲說上》:“{齊宣王}使人吹竽,必三百人。{南郭處士}請爲王吹竽,{宣王}説之,廩食以數百人。{宣王}死,{湣王}立,好一一聽之,處士逃。”后以“濫竽”比喻沒有真才實學的人。有時也表示自謙。{南朝}{梁簡文帝}《答湘東王和受試詩書》:“使夫懷鼠知慙﹐濫竽自恥。”{明}{張景}《飛丸記·權門狼狽》:“我是曳白菲才﹐濫竽入金街。”{清}{陳康祺}《郎潛紀聞》卷八:“濫竽作吏﹐曠職懷慚。”【2】比喻以劣充優。{郭沫若}《文藝論集·兒童文學之管見》:“審定務求嚴格﹐凡無藝術價值﹐不合兒童文學本質者不使濫竽。”

(이상, 발췌 끝)

 

주 41-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羞測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E%9E%E6%B8%AC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E%9E%E6%B8%AC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右節, 音迭奏宮商克諧,(해석 ?) 不知樂者, 不能和聲也.
우절, 음질주궁상극해, 부지락자, 불능화성야.


聖敎廣播 遠近交孚, 不知道者, 不能行善也.
성교광파 원근교부, 부지도자, 불능행선야.


簫韶, 古樂名. 拊, 撫同. 鏗鏘, 樂之節奏. 淋鈴, 曲名.
소소, 고악명. 부, 무동. 갱장, 락지절주. 임령, 곡명.


裂帛, 樂聲也. 湍激, 水流之疾. 峯廻, 山勢之紆, 譬樂聲之徐速也.
열백, 악성야. 단격, 수류지질. 봉회, 산세지우, 비악성지서속야.


濫竽, 有竽之名, 而不能吹者也.
남우, 유우지명, 이불능취자야.

 

윗절은 음악이 궁상각치우의 오음이 화음을 이루는 데서 나오니, 음악을 모르는 자는 능히 아름다운 소리를 낼 수 없다. 이와 같이 성교가 널리 전파되어 원근 사람들은 서로 믿지만/(2017년 8월 5일) 믿어야 하는데 道를 알지 못하는 자는 능히 善을 행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소소(簫韶)는 옛 음악 이름. 부(拊)는 무(撫)와 같고, 갱장(鏗鏘)은 음악의 가락이다. 임령(淋鈴)은 곡명이고, 열백(裂帛)은 노랫소리이다/(2017년 8월 5일) 악기소리이다. 단격(湍激)은 물의 흐름이 빠른 것이고, 봉회(峯廻)는 산세가 얽혀 도는 것으로 노랫소리의 빠르고 느림을 비유한다. 남우(濫竽)는 생황은 있으나 능히 불지 못하는 자를 말한다.

 

* 남우(濫竽)는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척하는 것을 이르는 말로서, 제나라의 선왕(宣王)이 우(竽, 큰 생황)를 좋아하여 악사 300명을 불러 우(竽)를 불게 했을 때 남곽(南郭)이라는 사람이 우(竽)를 불 줄 모르면서도 여러 사람에 끼어 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갔다는 고사에서 나왔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35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