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44,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2 ㅣ No.1826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26.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44 장   짐승(*0)


 1 騰祥毓瑞       등상육서         상서로운 기운 높아

                 서기(瑞氣) 높아 번성할 징조니 /(2017년 8월 5일) 상서로운 기운 드높아

  상광(상서로운 빛, 주: 한한대사전)(祥光)을 드러내고()  서기(서응(瑞應)의 기운, 주: 한한대사전)(瑞氣)를 기르니(

 

주 44-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騰祥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8%B0%E7%A5%A5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8%B0%E7%A5%A5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騰祥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85%be%e7%a5%a5&st=3

 

주 44-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毓瑞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AF%93%E7%91%9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AF%93%E7%91%9E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毓瑞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이 단어로 검색을 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2 鳳翥麟遨       봉저린오         봉황 날고 기린 놀며

                                 봉황은 날고 기린 노닐며

               봉황()은 날아 오르고() 기린()은 즐겁게 놀며()

 

주 44-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鳳翥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3%B3%E7%BF%A5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3%B3%E7%BF%A5 1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鳳翥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7%a4%e7%bf%a5&st=3

 

주 44-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麟遨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A%9F%E9%81%A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A%9F%E9%81%A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3 驊騮馳騁       화류치빙         화류 준마 내달리고

                                 화류마(驊騮馬)는 내달리고

                    화류(驊騮)(驊騮)(*)는 질주(疾走)하고(馳騁)

 

-----

(*) 번역자 주: 한한대사전: "화류(驊騮)"는 주(周)나라 목왕(穆王)의 여덟 준마(八駿馬)들 중의 하나 혹은 준마(駿馬)를 두루 이른다.

-----

 

주 44-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驊騮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8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9%8A%E9%A8%AE 12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9%8A%E9%A8%AE 9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驊騮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a%85%e9%aa%9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驊騮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A2468FF25E2C6E2B4590129095F1F615&cult=TW&bv=1

(발췌 시작)

驊騮

 

    亦作“[驊駵]”【1】{周穆王}八駿之一。泛指駿馬。《史記·秦本紀》:“{造父}以善御幸於{周繆王}﹐得驥﹑溫驪﹑驊駵﹑騄耳之駟﹐西廵狩﹐樂而忘歸。”{唐}{耿湋}《上將行》:“櫪下驊騮鼓角﹐門前老將識風雲。”{柳亞子}《叔老病中惠題<羿樓客籍>第一冊次韻奉和》:“搖筆書生盛唱酬﹐天馬行空似驊騮。”{宋}{周必大}《二老堂雜志·井蛙驊騮》:“井蛙不可以語海﹐其見小也;驊騮不可以捕鼠﹐其用大也。小大雖殊﹐其不適用一也。”《荀子·性惡》:“驊騮騹驥纖離緑耳﹐此皆古之良馬也。”{楊倞}注:“皆{周穆王}八駿名。”{清}{李漁}《蜃中樓·義舉》:“恨不得一步驊騮騁到{瀟湘}。”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八駿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7116BBF6B1AFC7AE9F15F1A4EA06F7F&cult=TW&bv=1

(발췌 시작)

八駿

 

    【1】相傳為{周穆王}的八匹名馬。八駿之名﹐說法不一。《穆天子傳》卷一:“天子之駿,{赤驥}﹑{盜驪}﹑{白義}﹑{踰輪}﹑{山子}﹑{渠黃}﹑{華騮}﹑{緑耳}。”{郭璞}注:“八駿,皆因其毛色以爲名號耳。”{晉}{王嘉}《拾遺記·周穆王》:“王馭八龍之駿:一名{絶地},足不踐土;二名{翻羽},行越飛禽;三名{奔霄},夜行萬里;四名{越影},逐日而行;五名{踰輝},毛色炳耀;六名{超光},一形十影;七名{騰霧},乘雲而奔;八名{挾翼},身有肉翅。”{明}{胡應麟}則認為{王嘉}所載,皆一時私意詭撰,不足為征,見《少室山房筆叢》卷三四。后亦用以泛指駿馬。{唐}{杜甫}《驄馬行》:“豈有四蹄疾於鳥﹐不與八駿先鳴。”{明}{徐渭}《贈陳君》詩:“{王良}御八駿﹐技絶物有神。”【2】{明成祖}的八匹名馬。{明}{田藝蘅}《留青日札·大明名馬》:“{龍駒}﹑{赤兔}﹑{烏兔}﹑{飛兔}﹑{飛黃}﹑{銀褐}﹑{棗騮}﹑{黃馬}﹐{成祖}八駿名。”【3】指皇帝的車駕。{宋}{蔡絛}《鐵圍山叢談》卷一:“其後雖八駿忘返﹐然鸞輿竟還矣。”

(이상, 발췌 끝)

 

주 44-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馳騁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86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6%B3%E9%A8%81 8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6%B3%E9%A8%81 9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馳騁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9%b0%e9%aa%8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馳騁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2CB6EC037EA93814BB1084DFD040AD6&cult=TW&bv=1

(발췌 시작)

馳騁

 

    【1】馳射;田獵。《管子·四稱》:“獠獵畢弋﹐暴遇諸父﹐馳騁無度﹐戲樂笑語。”{明}{劉基}《裕軒記》:“歌舞靡漫不爲淫﹐弋獵馳騁不爲荒。”《呂氏春秋·任教》:“君臣擾亂﹐上下不分別﹐雖聞曷聞﹐雖見曷見﹐雖知曷知﹐馳騁而因耳矣。”{高誘}注:“馳騁﹐田獵也。”【2】奔競;追逐。《漢書·薛宣朱博傳贊》:“{博}馳騁進取﹐不思道德﹐已亡可言。”《西湖佳話·葛嶺仙跡》:“我看長兄神情英發﹐當馳騁於仕路中﹐爲何有閒工夫尋山問水﹐做此寂寞之事?”{宋}{曾鞏}《庫部員外郎知臨江軍范君墓志銘》:“而士在閭巷之間者﹐用力於空文﹐居朝廷者﹐馳騁於虛名﹐以譁世取寵。”【3】指在某個領域縱橫自如,能充分發揮才能。{元}{耶律楚材}《和南質張學士敏之見贈》之一:“筆陣文塲寬且綽﹐馳騁看君能矍鑠。”《漢書·司馬遷傳贊》:“亦其涉獵者廣博﹐貫穿經傳﹐馳騁古今﹐上下數千載間﹐斯以勤矣。”{徐遲}《哥德巴赫猜想》四:“他在抽象的領域里馳騁得多么自由自在!”【4】猶奔放。{宋}{葉適}《<巽巖集>序》:“自有文字以來﹐名世數十﹐大抵以筆勢縱放﹐凌厲馳騁爲極功。”{元}{劉祁}《歸潛志》卷五:“{王翰林}{彪}﹐字{武叔}﹐{大興}人﹐{貞祐}五年經義魁也。爲文頗馳騁波瀾。”【5】歷觀;放視。《文選·嵇康<養生論>》:“馳騁常人之域﹐故有一切之壽。”{呂延濟}注:“馳騁﹐猶歷觀也。”{唐}{司空圖}《議華夷》:“而近朝有心於經制者﹐{杜司徒}之治道﹐{李安邑}之地志﹐{元中書}之安邊﹐不謂不馳騁於古今成敗之際也。”【6】縱馬疾馳;奔馳。{魏巍}《東方》第五部第三章:“不管敵機多么猖狂﹐公路上的車輛照舊揚著飛塵不絕地馳騁。”《周禮·考工記·輈人》:“終日馳騁﹐左不楗﹐行數千里﹐馬不契需。”{明}{李夢陽}《獵雪曲》:“馳騁復徊徘﹐掉臂角弓開。”《楚辭·離騷》:“乘騎驥以馳騁兮﹐來吾道夫先路。”{唐}{李絳}《和裴相國答張秘書贈馬詩》:“縱橫逸氣寧稱力﹐馳騁長途定出羣。”{清}{馬維翰}《蚤發侜浦》詩:“首言慎起居﹐次言遠馳騁。”【7】猶役使。《老子》:“天下之至柔﹐馳騁天下之至堅。”【8】顯揚;顯示。{明}{宋濂}《龍門子凝道記下·段干微第一》:“徒以辭章議論馳騁於一時﹐蓋其所失也。”{明}{李贄}《楊修》:“{修}亦每於{操}前馳騁聰明﹐則{修}之不善韜晦﹐自宜取敗。”【9】形容得意。{宋}{曾鞏}《洪渥傳》:“久之﹐乃得官﹐官不自馳騁。”{金}{王若虛}《文辨》:“夫以一日千里之勢﹐隨物賦形之能﹐而理盡輒止﹐未嘗以馳騁自喜。”{金}{王若虛}《進士彭子升墓志》:“忘形莫逆﹐爲兄弟交﹐年壯氣鋭﹐馳騁於一時。”

(이상, 발췌 끝)


 4 鸞鶴翔翶       난학상고         난새와 학 비상하네

                                 난새와 학이 높이 나네

                난새와 학()은 빙빙 돌며 날아다니네()

 

주 44-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鸞鶴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8%9E%E9%B6%B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8%9E%E9%B6%B4 8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鸞鶴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a9%b0%e9%aa%8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鸞鶴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16E0A9763A03FFB7114B0D0AD2B8412&cult=TW&bv=1

(발췌 시작)

鸞鶴

 

    亦作“[鸞鸖]”【1】鸞與鶴。相傳為仙人所乘。{清}{高鶚}《題友人山水障子》詩:“林下馬牛閑自放﹐嶺頭鸞鶴了無奇。”{唐}{黃滔}《大唐福州報恩定光多寶塔碑記》:“煙霞蓊蔚於城隅﹐鸞鸖盤旋於林表。”{南朝} {宋}{湯惠休}《楚明妃曲》:“驂駕鸞鶴﹐往來仙靈。”【2】借指神仙。{唐}{白居易}《酬趙秀才贈新登科諸先輩》詩:“莫羨{蓬萊}鸞鶴侶﹐道成羽翼自生身。”{明}{王寵}《旦發胥口經湖中瞻眺》詩:“夙有邱壑向﹐緬懷鸞鶴蹤。”{宋}{趙彥衛}《云麓漫鈔》卷八:“益彰{叔則}鸞鶴之姿﹐轉映{王恭}神仙之狀。”

(이상, 발췌 끝)

 

주 44-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翔翶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F%94%E7%BF%B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F%94%E7%BF%B6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翔翶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f%94%e7%bf%b1&st=3


 5 鷄塒豚柵       계시돈책         둥지의 닭 울안 돼지

                   둥지의 닭 우리 안의 돼지/(2017년 8월 5일) 횃대 위의 닭 우리 안의 돼지

              닭들은 움집()에 있고 돼지들은 울타리() 안에 있으며

 

주 44-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鷄塒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7%84%E5%A1%92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7%84%E5%A1%92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鷄塒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단어를 검생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雞塒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51B85854B7EBB726ECE0AF6A4E056E18&cult=TW&bv=1

(발췌 시작)

雞塒

 

    亦作“[鷄塒]”【1】雞窩。{唐}{王駕}《社日》詩:“{鵝湖山}下稻粱肥﹐豚柵雞塒半掩扉。”一本作“雞棲”。{艾青}《黎明的通知》詩:“請村婦打開她們的雞塒﹐請農夫從畜棚牽出耕牛。”{宋}{王安石}《歌元豐》:“豚柵雞塒晻靄間﹐暮林搖落獻南山。”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塒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FE208AE7748EE034414C4B3777EDE19&cult=TW&bv=1

(발췌 시작)

塒鷄

 

    亦作“[塒雞]”【1】家雞。{南朝} {梁}{劉孝威}《雞鳴篇》:“塒鷄識將曙﹐長鳴高樹巔。”{清}{趙翼}《題吳并山中翰青崖放鹿圖》詩:“君也馴之如擾龍﹐籬狗塒雞一例畜。”

(이상, 발췌 끝)

 

주 44-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豚柵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1%9A%E6%9F%B5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1%9A%E6%9F%B5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豚柵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1%9a%e6%a0%85&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豚柵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4DCFC53458153FFFC3C0C81ECC531DD&cult=TW&bv=1

(발췌 시작)

豚柵

 

    【1】豬圈。{唐}{王駕}《社日》詩:“{鵝湖山}下稻粱肥﹐豚柵雞棲半掩扉。”{宋}{陸游}《老健》詩:“家添豚柵還堪賦﹐路認牛欄每不迷。”

(이상, 발췌 끝)


 6 鴻渚鵲巢      홍저작소         물가 오리 새집 까치

                          물가의 오리 둥지의 까치/(2017년 8월 5일) 물가의 기러기 둥지의 까치

큰기러기는 물가를 따라 날고(주: 한한대사전)(鴻渚) 까치()는 서식(棲息)하여(주: 한한대사전)()

 

주 44-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鴻渚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4%BB%E6%B8%9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4%BB%E6%B8%9A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鴻渚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B21A024B6AA616B743256A52DEFF850&cult=TW&bv=1

(발췌 시작)

鴻渚

 

    【1】《詩·豳風·九罭》:“鴻飛遵渚,公歸無所,於女信處。”{毛}傳:“鴻不宜循渚也。”{鄭玄}箋:“鴻,大鳥也,不宜與鳬鷖之屬飛而循渚。比喻{周公}今與凡人處東都之邑,失其所也。”后因以“鴻渚”謂鵠循渚而飛。{唐}{黃滔}《狎鷗賦》:“因嗤鴻渚﹐蓋春去以秋來;飜笑鵲河﹐竟離長而會促。”【2】美稱達官﹑偉人之下臨。{清}{黃六鴻}《福惠全書·稟啟附<迎東兗李道臺>》:“天與厚緣﹐欣覩鳳綸之自北;蔭思廣廈﹐漸看鴻渚之遵東。”

(이상, 발췌 끝)

 

주 44-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鵲巢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9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B5%B2%E5%B7%A2 17

http://ctext.org/post-han?searchu=%E9%B5%B2%E5%B7%A2 9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鵲巢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b9%8a%e5%b7%a2&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鵲巢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62B33BF570D69A84D7E831B2F359ACD&cult=TW&bv=1

(발췌 시작)

鵲巢

 

    【1】鵲的巢穴。【2】《詩·召南》篇名。《詩·召南·鵲巢序》:“鵲巢﹐夫人之德也。國君積行累功﹐以致爵位﹐夫人起家而居有之﹐德如鳲鳩﹐乃可以配焉。”后遂以“鵲巢”指婦人之德。{宋}{廖行之}《鷓鴣天·壽叔祖母》詞:“生指李﹐壽方瞳﹐雲仍今有鵲巢風。”{宋}{蘇軾}《荊王新婦王氏潭國夫人制》:“《易》稱中饋﹐爲家人之正吉;《詩》美羔羊﹐蓋鵲巢之功致。”{唐}{陸贄}《冊杞王妃文》:“明章婦順﹐虔奉姆儀﹐克茂鵲巢之規﹐葉宣麟趾之美。”

(이상, 발췌 끝)


 7 饈餌敷豫       수이부예         각기 먹이 넉넉한데

                                 먹이 제각각 넉넉하거늘

    맛 좋은 식품(주: 한한대사전)()과 음식물(주: 한한대사전)()이 널리(주: 한한대사전)() 예비(豫備)되어 있으니(주: 한한대사전)()

 

주 44-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饈餌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A5%88%E9%A4%8C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A5%88%E9%A4%8C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4-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敷豫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95%B7%E8%B1%A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95%B7%E8%B1%AB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8 詎亟烹庖       거극팽포         어찌 양식 걱정하나

     어찌하여 부엌에서 요리를 서두르는가/(2017년 8월 5일) 어찌하여 부엌에서 요리에 급급한가?

                     자주() 삶는 것(烹庖)을 멈추도록 하라()

 

주 44-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詎亟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9%8E%E4%BA%9F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9%8E%E4%BA%9F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4-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烹庖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3%B9%E5%BA%96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3%B9%E5%BA%96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烹庖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단어를 검생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烹庖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2FC5C0EED6D5361C5D4A55680310D88&cult=TW&bv=1

(발췌 시작)

烹庖

 

    【1】烹治;烹煮。{宋}{張九成}《食苦筍》詩:“烹庖入盤俎﹐點醬真味足。”{明}{陸采}《明珠記·江會》:“龍王留我吃酒﹐百般海味烹庖。”{康有為}《大同書》戊部第一章:“奴非有他﹐供服役﹑掃除﹑烹庖之事﹐謂之奴云爾。”

(이상, 발췌 끝)

 


右節, 鳥獸之微, 上主猶備餌以養其生,
우절, 조수지미, 상주유비이이양기생,


人何憂衣食之不足, 而徒烹庖之爲亟哉.
인하우의식지부족, 이도팽포지위극재.

 

翥, 飛也. 遨, 遊也. 敷豫, 足也.
저, 비야. 오, 유야. 부예, 족야.

 

윗절은 미미한 새나 짐승이라도 상주께서 오히려 먹이를 갖추어서 그 목숨을 기르시거늘, 사람이 어찌하여 의식의 부족을 걱정하며 부질없이 부엌 끓일 것에 급급한가를 말한 것이다.


저(翥)는 날다라는 뜻, 오(遨)는 놀다의 뜻, 부예(敷豫)는 넉넉하다는 뜻이다.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5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