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48,1-8에서 용어들의 출처들과 이에 근거한 해석들

인쇄

. [119.194.105.*]

2017-05-28 ㅣ No.1830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30.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제 48 장   하느님(*0)


 1 矧窺浩蕩       신규호탕         주님 모습 광대하고

                                 하물며 광대함을 엿보면

  더구나/하물며(, much more) 광대광원(廣大曠遠)(주: 한어대사전)/광원면막(曠遠綿邈)(浩蕩)을 관찰하니(주: 한한대사전)/엿보니()

 

주 48-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矧窺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F%A7%E7%AA%B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F%A7%E7%AA%BA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14479DFAF6296FFD521D1FCDEB74F39&cult=TW&bv=1

(발췌 시작)

 

    “[]”的繁體字。《廣韻》去隨切,平支,溪。【1】暗中偷看。《禮記·少儀》:“不密﹐不旁狎﹐不道舊故。”{鄭玄}注:“嫌伺人之私也。密﹐隱曲處也。”《孟子·滕文公下》:“鑽穴隙相﹐踰牆相從﹐則父母國人皆賤之。”《漢書·司馬相如傳上》:“及飲﹐{卓氏}弄琴﹐{文君}竊從戶﹐心説而好之﹐恐不得當也。”{南朝 梁}{沈約}《齊故安陸昭王碑文》:“北狄懼威﹐關塞謐靜。偵諜不敢東﹐駝馬不敢南牧。”{辛雷}《一個愛說夢話的人》:“我了他一眼﹐他是出神地望著上游鉆探船的燈光。”【2】泛指觀看。{漢}{王充}《論衡·別通》:“開戶內光﹐坐高堂之上﹐眇升樓臺﹐四鄰之廷﹐人之所願也。”{唐}{韓愈}《感二鳥賦》:“過{潼關}而坐息﹐黃流之奔猛。”{魯迅}《兩地書·致許廣平四八》:“它(郵亭)就在中途﹐只要伸首一﹐毫不費事。”【3】看透;覺察。《漢書·季布傳》:“夫陛下以一人譽召臣﹐一人毀去臣﹐臣恐天下有識者聞之﹐有以陛下。”{顏師古}注:“見陛下淺深也。”{唐}{韓愈}《順宗實錄四》:“人莫能其意﹐有懷刺譏之者。”{清}{俞樾}《古書疑義舉例·高下相形例》:“後此記載之家﹐但有簿領而無文章﹐莫斯祕。”【4】伺機圖謀;覬覦。{漢}{賈誼}《過秦論上》:“{秦孝公}據{崤}{函}之固﹐擁{雍州}之地﹐君臣固守﹐以{周}室。”{晉}{潘岳}《關中》詩:“蠢爾戎狄﹐狡焉思肆。虞我國眚﹐我利器。”{宋}{蘇軾}《上皇帝書》:“冶戶皆大家﹐藏鏹巨萬﹐常爲盜賊所。”{清}{魏源}《圣武記》卷五:“時貝子{頗羅鼐}懲前敗﹐訓練萬騎﹐又練步兵萬有五千﹐於通{準}夷各路嚴設卡倫﹐{噶爾丹}自是不敢{藏}。”【5】企求。{唐}{韓愈}《唐故相權公墓碑》:“人所憚爲﹐公勇爲之;其所競馳﹐公絶不。”{唐}{封演}《封氏聞見記·銓曹》:“{貞觀}中﹐天下豐饒﹐士子皆樂鄉土﹐不仕進。”【6】回顧;懷念。{前蜀}{尹鶚}《臨江仙》詞之一:“別來虛遣思悠颺。慵往事﹐金鎖小蘭房。”

(이상, 발췌 끝)

 

주 48-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肅雍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9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5%A9%E8%95%A9 5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5%A9%E8%95%A9 9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浩蕩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5%a9%e8%8d%a1&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浩蕩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9ECFE035ED7529AE3B65CDA5F05BDF8&cult=TW&bv=1

(발췌 시작)

浩蕩

 

    【1】猶荒唐。《楚辭·離騷》:“怨靈脩之浩蕩兮﹐終不察夫民心。”{姜亮夫}校注:“浩蕩﹐猶今言荒唐耳﹐一聲之轉也。”【2】水壯闊貌。{吳運鐸}《把一切獻給黨·覺悟》:“浩蕩江水奔到{雞頭山}下﹐碰到巖壁下﹐卷起巨大的漩渦。”{晉}{潘岳}《河陽縣作》詩之二:“洪流浩蕩﹐脩芒鬱苕嶢。”{宋}{司馬光}《留別東郡諸僚友》詩:“津涯浩蕩雖難測﹐不見驚瀾曾覆舟。”{清}{錢謙益}《彭城次坡韻》之四:“掉頭終擬隨公等﹐浩蕩春波戲白鷗。”【3】無常不定。{南朝} {梁}{何遜}《入西塞示南府同僚》詩:“年事以蹉跎﹐生平任浩蕩。”【4】廣大曠遠。{唐}{杜甫}《贈虞十五司馬》詩:“凄涼憐筆勢﹐浩蕩問詞源。”{仇兆鰲}注:“浩蕩曠遠也。”{陳毅}《滿江紅·游廣東旋至海南島度假一周記沿途所見》詞之二:“喜東風浩蕩海天寬﹐西風落。”{金}{元好問}《西樓曲》:“去年與郎西入{關}﹐春風浩蕩隨金鞍。”《紅樓夢》第十八回:“如今天恩浩蕩﹐一月許進內省視一次。”《楚辭·九歌·河伯》:“登{崑崙}兮四望﹐心飛揚兮浩蕩。”

(이상, 발췌 끝)


 2 喧奕無邊       훤혁무변         크신 음성 끝없어라

                                 그 덕이 크고 가 없어라

  드러나 빛남(顯赫)(주: 한어대사전)/찬란함(주: 한한대사전)()과 큼(大)(주: 한어대사전)()이 끝이 닿는 데가 있지 않구나(주: 한어대사전)(無邊)

 

주 48-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喧奕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96%A7%E5%A5%95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96%A7%E5%A5%95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7&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EABC2351B400FFB5ABE170D9787FF05&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況袁切,平元,曉。【1】嘈雜吵鬧。{晉}{陶潛}《飲酒》詩之五:“結廬在人境,而無車馬。”{北周}{庾信}《同州還》詩:“{上林}催獵響,{河橋}爭渡。”{宋}{王安石}《金山寺》詩:“夜風一何,大舶夾雙櫓。”【2】指繁雜。{唐}{杜甫}《別李義》詩:“爾克富詩禮,骨清慮不。”【3】顯赫。《禮記·大學》:“赫兮兮者,威儀也。”【4】熱鬧。{趙樹理}《李有才板話》十:“你聽老百姓今天這股高興勁兒!‘干梆戲’唱得多么!”【5】古代西南地區民戶編制名稱。{明}{徐弘祖}《徐霞客游記·滇游日記十一》:“{保山}編戶十里,又城北民曰‘’,共十五;城南民曰‘寨’,共二十八。”

(이상, 발췌 끝)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1E5D8D294CA1DE9B21286EFDC1A0292&cult=TW&bv=1

(발췌 시작)

 

    《廣韻》羊益切,入昔,以。【1】大。{漢}{揚雄}《太玄·格》:“息金消石﹐往小來。”{范望}注:“﹐大也。”《爾雅·釋詁上》:“﹐大也。”【2】姣美。《方言》第二:“﹑僷﹐容也。自{關}而西﹐凡美容謂之﹐或謂之僷。{宋}{衛}曰僷﹐{陳}﹑{楚}﹑{汝}﹑{潁}之間謂之。”{章炳麟}《新方言·嶺外三州語》:“三州謂人貌美曰。”【3】光明。{三國 魏}{何晏}《景福殿賦》:“故其華表則鎬鎬鑠鑠﹐赫章灼﹐若日月之麗天也。”【4】閑習。《詩·商頌·那》:“庸鼓有斁﹐萬舞有。”{毛}傳:“然閑也。”{鄭玄}箋:“其干舞又閑習。”參見“”。一說﹐謂有次序。{朱熹}集傳:“然有次序也。”【5】累,重。參見“[世]”﹑“[代]”。【6】憂愁。參見“[]”。【7】通“[弈]”。《廣雅·釋言》:“圍棊﹐也。”{南朝 梁}{沈約}《齊故安陸昭王碑文》:“思之微﹐{秋}儲無以競巧。”{宋}{葉適}《東塘處士墓志銘》:“牀方三尋﹐平如琢﹐相傳古有異人所爲飲也。”

(이상, 발췌 끝)

 

주 48-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無邊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9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4%A1%E9%82%8A 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4%A1%E9%82%8A 10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無邊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7%a0%e8%be%b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無邊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6D157CABF2BFA409E4840752E4E7382&cult=TW&bv=1

(발췌 시작)

無邊

 

    【1】沒有邊際。{晉}{僧朗}《答晉主昌明書》:“大{晉}重基﹐先承孝治﹐惠同天地﹐覆養無邊。”{唐}{杜甫}《登高》詩:“無邊落木蕭蕭下﹐不盡{長江}滾滾來。”{元}{郝經}《沙洲夜泊》詩:“天連平{楚}無邊闊﹐{河}入長{淮}徹底渾。”{艾青}《新的年代冒著風雪來了》詩:“無邊的大地覆蓋著白雪﹐靜靜地靜靜地等待春天。”【2】猶無數,無窮。{元}{馬致遠}《漢宮秋》第二折:“想{漢}家宮中﹐無邊宮女﹐就與俺一個﹐打甚不緊?”

(이상, 발췌 끝)


 3 緝熙淵穆       집희연목         감춘 모습 우러르면

        계속해서 밝고 심원하니/(2017년 8월 12일)거침없이 밝으니 심원하고 그윽하도다

환하고 아름답게 빛나고(주: 한한대사전)(緝熙) 지극히 훌륭하니(주: 한한대사전)(淵穆)

 

주 48-3-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緝熙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99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7%9D%E7%86%99 29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7%9D%E7%86%99 3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緝熙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bc%89%e7%86%9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緝熙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CE08C86A206D0AB93AE88CB5E3CF6F33&cult=TW&bv=1

(발췌 시작)

緝熙

 

    【1】《詩·大雅·文王》:“穆穆{文王}, 於緝熙敬止。”{毛}傳:“緝熙, 光明也。”又《周頌·敬之》:“日就月將, 學有緝熙于光明。”{鄭玄}箋:“緝熙, 光明也。”后因以“緝熙”指光明, 又引申為光輝。{明}{歸有光}《孟子敘道統而不及周公顏子》:“{周公}以元聖而受緝熙之傳﹐制禮作樂﹐有身致太平之功。”《漢書·揚雄傳上》:“隃於穆之緝熙兮﹐過《清廟》之雝雝。”{南朝} {梁}{劉勰}《文心雕龍·時序》:“並文明自天﹐緝熙景祚。”{宋}{王禹偁}《天道如張弓賦》:“又嘗觀上聖之姿﹐法天道兮緝熙﹐令先禁于強暴﹐心不忘於惸嫠。”{唐}{李邕}《贈安州都督王仁忠神道碑》:“緝熙遠略﹐繩準嘉言。”

(이상, 발췌 끝)

 

주 48-3-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淵穆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았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7%B5%E7%A9%86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7%B5%E7%A9%86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淵穆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2159003DB05AB34827DCC77CA7A2947&cult=TW&bv=1

(발췌 시작)

淵穆

 

    【1】猶沉默;深沉。{清}{王亹}《次柴桑食和杜于皇》:“白眼古今際﹐沉沉醉鄉杯。{柴桑}淵穆者﹐憤發食詩。”{清}{周亮工}《紀戇叟闕里詩序》:“{戇叟}制筆清渾﹐遊思淵穆﹐若撫彝勺而戞鐘鏞﹐允允乎{漢}人郊廟之章也。”【2】極其美好。《西京雜記》卷四引{漢}{枚乘}《柳賦》:“君王淵穆其度﹐御羣英而翫之。”《文選·班固<典引>》:“有于德不臺淵穆之讓﹐靡號師矢敦奮撝之容。”{蔡邕}注:“淵穆深美之辭也。”

(이상, 발췌 끝)


 4 翹睇鈞顔       교제균안         덕화의 빛 심원하네

                                 그 큰 얼굴 우러러 보아라

   머리를 들어/우러러(주: 한한대사전)() 대안(臺顔)/존안(尊顔)(鈞顔)(*)을 바라보라(주: 한한대사전)()

 

-----

(*) 번역자 주: 여기서 "鈞(균)"은 웃어른이나 상관에게 공경의 뜻으로 붙이는 접두사(주: 한한대사전)이라는 생각이다.

----- 

 

주 48-4-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翹睇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BF%B9%E7%9D%8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BF%B9%E7%9D%87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8-4-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鈞顔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88%9E%E9%A1%94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88%9E%E9%A1%94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5 匍匐跣跽       포복선기         허리 굽혀 꿇어앉고

                                 허리 굽혀 맨발로 꿇어앉아

            엎드리고(주: 한한대사전)(匍匐) 맨발()로 꿇어앉아()

 

주 48-5-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匍匐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40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0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C%8D%E5%8C%90 4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C%8D%E5%8C%90 10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匍匐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c%8d%e5%8c%9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匍匐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060BB5C7E8D2C6F44126757C0717CB0&cult=TW&bv=1

(발췌 시작)

匍匐

 

    【1】爬行。《詩·大雅·生民》:“誕實匍匐﹐克岐克嶷﹐以就口食。”{朱熹}注:“匍匐﹐手足並行也。”《漢書·敘傳上》:“昔有學步於{邯鄲}者﹐曾未得其髣髴﹐又復失其故步﹐遂匍匐而歸耳。”{清}{昭槤}《嘯亭雜錄·金川之戰》:“二酋戰慄無人色﹐匍匐而出。”{魏巍}《東方》第五部第十二章:“洞口外十幾個敵人﹐都挾著大炸藥包﹐繼續向坑道口匍匐逼進。”【2】謂倒仆伏地;趴伏。《禮記·問喪》:“孝子親死﹐悲哀志懣﹐故匍匐而哭之。”{鄭玄}注:“匍匐﹐猶顛蹷。”{漢}{王逸}《九思·憫上》:“庇陰兮枯樹﹐匍匐兮巖石。”{唐}{元稹}《寄吳士矩》詩:“強起相維持﹐翻成兩匍匐。”{曹禺}《王昭君》第五幕:“{休勒}衣服破碎﹐頭青臉腫﹐繩捆索綁﹐一下子被推在地上匍匐在單于腳下。”【3】比喻屈服﹐順從。{秦牧}《花城·土地》:“那時候人們匍匐大自然的威力之下﹐風雨雷霆﹐電光野火﹐都曾使他們畏懼顫栗。”{巴金}《亡命》:“我每一想到藍天的{意大利}﹐想到匍匐在法西斯鐵腕下的人民……我的整個心都要燃燒起來了。”【4】盡力。《詩·邶風·谷風》:“凡民有喪﹐匍匐救之。”{鄭玄}箋:“匍匐﹐言盡力也。”{唐}{柳宗元}《叔父殿中侍御史墓表》:“行軍司馬侍御史{韋重規}等﹐匍匐救助﹐事用無闕。”{宋}{蘇軾}《祭歐陽文忠公文》:“聞公之喪﹐義當匍匐往救。”{清}{魏源}《傅巡撫祠碑銘》:“其羞如何?匡我王服﹐紓難毀家﹐救民匍匐。”【5】勞頓;顛沛。{宋}{蘇舜欽}《送韓三子華還家》詩:“{子華}勇此行﹐東下甚匍匐﹐入門未及言﹐相向且慟哭。”{宋}{文天祥}《集杜詩·杜大卿滸序》:“匍匐{淮}甸﹐衛護艱虞﹐忠勞備盡。”{王闿運}《陳景雍傳》:“且{湖北}糜爛﹐再遇寇荼毒﹐羣吏匍匐氣盡。”

(이상, 발췌 끝)

 

주 48-5-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跣跽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7%A3%E8%B7%B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7%A3%E8%B7%BD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6 慙懟胥刪       참대서산         미움 원망 버리고서

            부끄러움과 원망 버리고서/(2017년 8월 12일)부끄러움 원망 모두 버리고

     부끄러움()과 원망()은 서로() 제거하고(주: 한한대사전)()

 

주 48-6-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慙懟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5%99%E6%87%9F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5%99%E6%87%9F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주 48-6-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胥刪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83%A5%E5%88%AA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83%A5%E5%88%AA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7 傴僂踧踖       구루축적         삼가하고 공경하면

                                 공경하고 삼가해서

  신체를 구부리고(주: 한어대사전)(傴僂) 공경하고 불안한 얼굴의 모습이면(주: 한어대사전)(踧踖)

 

[내용 추가 일자: 2019년 7월 16일]

7 𨄅(*)踧踖      구루축적         파행(跛行, 즉, 일이나 계획 따위가 순조롭지 못하고 이상하게 진행됨)(𨄅)과 구부림/굽힘(曲, 즉, 올바르지 않음)은() [서로 공경하며] 삼가하고() 부끄러워하면/조심하면()

 

-----

(*) 번역자 주: (1) 좌수본 "성교요지"에는, 낱글자 "" 대신에, 낱글자 "𨄅"이 사용되었음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실증적으로(positively) 최근에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말 번역을 다시 하였는데, 바로 위에 있는 이 번역문이, 전후 문맥 안에서, 전후의 4언절구들과 내용적으로, 예를 들어, 위에 제시된 傴僂踧踖의 우리말 번역문들보다, 훨씬 더 부합함에 반드시 주목하라.

 

(2) 다른 한편으로, 필자가 1981년 봄부터 1894년 봄까지의 기간 동안에 다산 정약용 선생님의 문집인 "여유당전서"에 포함된 "주역사전"을 서울 명륜동 성균관대학교 뒷 동네 소재 한문 서당에서 공부를 하기 위하여, 1981년에 구입하여 지금까지 소장중인, 이상사(理想社) 발행의 1980년 12월 중판 "한한최신실용옥편", 제548쪽에 낱글자 "𨄅"이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으며 그 의미가 "구, 跛行, 절 구"이라고 제시되어 있으나, 그러나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사용할 수 있는 검색 엔진들 어느 것에서도 낱글자 "𨄅"의 검색 자체가 되지 않음[주: 이 검색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방대한 한문 문헌들에서 낱글자 "𨄅"이 전혀 사용되지 않았음을 의미함]을 어제 처음 발견하였는데,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동양고전종합DB]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sillok.history.go.kr/intro/intro_info.jsp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http://sjw.history.go.kr/main.do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PC 버전]

http://sjw.history.go.kr/m/intro.do?mode=1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모바일 버전]

http://db.itkc.or.kr/ [한국고전종합DB

 

어떻게 이러한 일이 있을 수 있고 또 지금까지 방치되어 왔는지, 필자로서는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요즈음 우리나라의 국어(國語)는 우리말이지만, 적어도 20세기 초기의 조선 시대 말까지 우리나라의 국어는, 우리말, 즉, 언문(諺文)이 아니라한문(漢文)이었기 때문이다.

 

(3) 그리고 다음은, 1716년에 초간된 "강희자전"에 주어진 이 낱글자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발췌 시작)

康熙字典·足部·十一𨄅:《集韻》虧于切,音區。《玉篇》跛行也。

(이상, 발췌 끝)

 

(4) 더 나아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다수의 중국의 한문자전들/사전들에 표제어로 제시된 이 낱글자의 설명들을 읽을 수 있다:

http://www.guoxuedashi.com/zidian/z60816y.html 

 

(5) 특히, ""이 "𨄅"의 이체자가 아님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http://yitizi.guoxuedashi.com/ytz.php?id=c14047  

http://yitizi.guoxuedashi.com/ytz.php?id=b00146 

http://yitizi.guoxuedashi.com/ytz.php?id=a04060 

http://yitizi.guoxuedashi.com/ [이체자 검색엔진]

[이상, 2019년 7월 16일자 내용 추가 끝]

 

주 48-7-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傴僂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3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2%B4%E5%83%82 5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2%B4%E5%83%82 3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傴僂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4%bc%9b%e5%81%bb&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傴僂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3421DF43E3385A2C8F9DC4052510A01C&cult=TW&bv=1

(발췌 시작)

傴僂

 

    【1】俯身。{宋}{歐陽修}《醉翁亭記》:“前者呼﹐後者應﹐傴僂提攜﹐往來不絶者﹐{滁}人遊也。”{唐}{施肩吾}《誚山中叟》詩:“天陰傴僂帶嗽行﹐猶向巖前種松子。”{清}{袁枚}《新齊諧·僵尸貪財受累》:“{王}趁其傴僂時﹐儘力推之。”【2】恭敬貌。{漢}{賈誼}《新書·官人》:“柔色傴僂﹐唯諛之行﹐唯言之聽﹐以睚眥之間事君者﹐廝役也。”{唐}{韓愈}《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詩:“升階傴僂薦脯酒﹐欲以菲薄明其衷。”《後漢書·張酺傳》:“公其傴僂﹐勿露所敕。”{李賢}注:“傴僂﹐言恭敬從命也。”{魯迅}《三閑集·路》:“文藝家的眼光要超時代﹐所以到否雖不可知﹐也須先行擁篲清道﹐或者傴僂奉迎。”【3】特指脊梁彎曲,駝背。《舊唐書·吳兢傳》:“{兢}雖衰耗﹐猶希史職﹐而行步傴僂﹐{李林甫}以其年老不用。”{豐子愷}《緣緣堂隨筆·東京某晩的事》:“忽然從橫路里轉出一個傴僂的老太婆來﹐她兩手搬著一塊大東西。”{清}{劉大櫆}《游黃山記》:“峰鋭而小﹐立石如老人傴僂之狀。”《淮南子·精神訓》:“{子求}行年五十有四﹐而病傴僂﹐脊管高于頂﹐下迫頤﹐兩脾在上。”

(이상, 발췌 끝)

 

주 48-7-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踧踖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11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4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B8%A7%E8%B8%96 11

http://ctext.org/post-han?searchu=%E8%B8%A7%E8%B8%96 4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踧踖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b8%a7%e8%b8%96&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踧踖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4&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CE0940EE8DF85042B33B5BF1D573589&cult=TW&bv=1
(발췌 시작)

踧踖

 

    【1】徘徊不進貌。{清}{陳允衡}《江上寄答》詩:“懷刺賓在堂﹐將前還踧踖。”{宋}{司馬光}《上皇太后疏》:“彷徨而不自安﹐踧踖而不敢進。”【2】恭敬而不安的樣子。{冰心}《冬兒姑娘·我們太太的客廳》:“{陶先生}仍舊踧踖的含糊的答應了一聲。”《後漢書·東平憲王蒼傳》:“臣惶怖戰慄﹐誠不自安﹐每會見﹐踧踖無所措置。”《論語·鄉黨》:“君在﹐踧踖如也。”

(이상, 발췌 끝)


 8 冥頑徐悛       명완서전         어둔 마음 깨치리라

     어둡고 완고한 마음 서서히 고쳐야 하리라/(2017년 8월 12일) 어둡고 완고함 서서히 고쳐야 하리라

 [그대들의] 우매(愚昧)와 완고(頑固)(주: 한어대사전)(冥頑)가 천천히() 고쳐질() 것이니라

 

주 48-8-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冥頑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도 매우 드물게(즉, 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6%A5%E9%A0%91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6%A5%E9%A0%91 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冥頑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6%a5%e9%a1%b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冥頑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0F92165E62F46C908EBAFF8A1475A53E&cult=TW&bv=1
(발췌 시작)

冥頑

 

    【1】愚昧頑固。{明}{宋濂}《西天僧禪師誥》:“冥頑而怙惡者﹐爾推報應之説以導之。”{孫中山}《民權主義》第一講:“惜乎尚有冥頑不化之人﹐此亦實在無可如何!”{唐}{韓愈}《祭鱷魚文》:“夫傲天子之命吏﹐不聽其言﹐不徙以避之﹐與冥頑不靈而爲民物害者﹐皆可殺。”【2】指無意識,無知無識。{清}{劉獻廷}《廣陽雜記》卷三:“蓋木有生性﹐較飛潛之物﹐特未脫根於地耳﹐不如金石之冥頑也。”【3】指愚昧頑固的人。{清}{趙翼}《六哀·故公相阿文成公》詩:“幕府一握手﹐商略冥頑。”{董必武}《觀墜機尸影》詩:“無情歷史車輪轉﹐軋出冥頑貉一丘。”【4】謙詞。愚鈍。{宋}{蘇軾}《狀提舉玉局觀謝表》:“而臣獨在幽遠﹐最爲冥頑。”{清}{蒲松齡}《聊齋志異·績女》:“如不以冥頑見棄﹐俾得一闊眼界﹐下願已足。”

(이상, 발췌 끝)

 

주 48-8-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徐悛 은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BE%90%E6%82%9B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BE%90%E6%82%9B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이 인접한 낱글자들이 한 개의 시어(詩語)로 사용되지 않아 왔음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여 이 표현을 검색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

 


右節, 上主之德廣大無名, 上主之功光明可見, 人當沈思邈慮,
우절, 상주지덕광대무명, 상주지공광명가견, 인당침사막려,


若或見之, 則跪拜禱祝, 化其不善之心, 而敬謹恭順感受聖灵,(*)
약혹견지, 즉궤배도축, 화기불선지심, 이경근공순감수성령,


自改其前日之冥頑矣.
자개기전일지명완의.


浩蕩, 廣大貌. 喧奕,宣著盛大之貌. 緝熙, 光明也.
호탕, 광대모. 훤혁, 선저성대지모. 집희, 광명야.


淵穆, 深遠之意. 懟, 怨也. 刪, 除也. 傴僂, 鞠躬也. 踧踖, 恭敬也.
연목, 심원지의. 대, 원야. 산, 제야. 구루, 국궁야. 축적, 공경야.


冥頑, 不靈者也. 悛, 改也.
명완, 불령자야. 전, 개야.

 

윗절은 상주의 덕이 광대하기가 이를 데 없고 상주의 공이 광명함을 볼 것이니, 사람은 마땅히 깊고 아득하게/(2017년 8월 12일) 멀리 생각하며 혹 상주의 덕과 공을 깨달으면 무릎 꿇고 기도하고 축복하며/(2017년 8월 12일) 기도하여, 그 착하지 못한 마음을 고치고 삼가 정성되이(2017년 8월 12일, 삭제) 공경하며 성령의 감응을 받아 그 전일의 명완함을 스스로 뉘우치고 고쳐야 함을 말한 것이다.


호탕(浩蕩)은 광대한 모양, 훤혁(喧奕)은 널리 드러남이 성대한 모양이다. 집희(緝熙)는 광명한 것이고 연목(淵穆)은 뜻이 심원함이다. 대(懟)는 원한이며, 산(刪)은 제거하다의 뜻이다. 구루(傴僂)는 몸소 공경하고 삼가는/(2017년 8월 12일, 몸을 굽히는) 것이며, 축적(踧踖)은 공경하고 삼가는 모양, 명완(冥頑)은 신령스럽지 못한 것이고, 전(悛)은 허물을 뉘우치고 고치는 것이다.

 

-----

(*) 게시자 주: "聖灵", 즉, "靈"(성령)은 1867년 경에 처음 등장하는 개신교 용어임.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별도의 글들에서 자세하게 다루겠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0.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51.htm 

-----
 

 

(*0) 게시자 주: 
(1) 각 장의 제목은 이성배 신부님께서 마련한 것이며, 그리고 이미 총 49개의 단락들 구분되어 전해오고 있는 “성교요지” 본문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성경 본문에서처럼, 49개의 장(章)들과 절(節)들로 구분한 것은 김동원 비오 신부님의 제안을 따른 것이다. 


(2) 위의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서, 첫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김동원 신부님의 번역문이고, 두 번째 줄에 있는 번역문은 유영봉 교수 팀의 번역문이다. 세 번째 줄에 있는 졸번역문은, 바로 위의 두 개의 우리말 번역문들을 십분 참고/반영하면서, 이 글에서 제시하는 "자구 출처"들과 "내용 출처"들에 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마련한 초벌 번역문이다.
(이상, 게시자 주 0 끝)
 

성경 출처들:

 

 

이벽 성조께서 "성교요지"를 작문하시기 전에 이미 학습하셨을 것으로 파악되는 한문본 문헌들의 출처들

 

 

게시자 각주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433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