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덕조희필 등에 포함된 漢詩 한 수: ... 光風霽月之無邊

인쇄

. [119.194.105.*]

2017-05-29 ㅣ No.1832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32.htm 에 접속하면, 아래의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다음은, "덕조희필" 등의 문헌들에 포함되어 전해오고 있는, 한시(漢詩) 한 수입니다:

(발췌 시작) 

襟懷灑落光風霽月之無邊 (금회쇄락광풍제월지무변)
思慮淸明長天秋水之相暎 (사려청명장천추수지상영)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 바로 위에 발췌된 한시(漢詩)는 총 22개의 한자 낱글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g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을 사용하여 이 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어(詩語)들을 정밀하게 분석한 결과, 이들 낱글자들 중의 약 20/22(즉, 91%)가 두 개의 낱글자들로 구성된 약 10개의 시어(詩語)들(주: 필자에 의하여 밑줄이 그어져 있음)임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이 글의 결론 1).

 

(2) (이 글의 결론 2) 따라서, 이들 시어(詩語)들의 정의(definitions)들/의미(meanings)들 우선적으로 올바르게 파악하여야만, 이 한시(漢詩)의 우리말 번역을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1. 들어가면서

 

(아래의 제2항에서 발췌 시작)

 1 襟懷灑落 光風霽月無邊 (금회쇄락 광풍제월지무변)

 

[그대의] 가슴 속에 품은 회포(懷抱)(주: 한어대사전)(襟懷)가 소탈(疏脫)하고 대범(大汎)함(주: 한한대사전)(灑落)은 비가 지나가고  하늘이 개인 때의 밝고 깨끗한 [산과 물 따위의] 자연계의 아름다운 현상(주: 한어대사전 및 한한대사전)(光風霽月)(*1)의 끝이 닿는 데가 있지 않음(無邊)이고

 

-----

(*1) 번역자 주: (1) "光風霽月"의 전고(典故)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Allusion.aspx?type=Allusion&key=%e5%85%89%e9%a3%8e%e9%9c%81%e6%9c%88

 

[내용 수정 일자: 2017년 6월 6일] 

(2) 여기서 한 개의 시어(詩語)이기도 한 "光風霽月"(#)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두 개의 시어들 "光風"과 "霽月"로 분리하여 해석하지 않은 것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한시들에서 사용된, "光風霽月"을 한 개의 시어로 사용하고 있는 용례들에 대한 정밀한 확인 결과이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5%89%e9%a3%8e%e9%9c%81%e6%9c%88&st=3

 

이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지게 되는 새 화면에는 "광풍"과 "제월" 각각이, "한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이들 각각이 따라서 한 개의 시어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box 표시 안에 등장하나, 그러나, (ii) 예를 들어, 맨 첫 번째 시로서 나열된 한시의 제목 "水调歌头 其一 寿真玉堂" 맨 오른 쪽에 있는 "顯示自動注释"에 접속하면 가지게 되는 새 화면에서, (iii) 실제로 "광풍"을 클릭하거나 혹은 "제월"을 클릭하더라도, "光風霽月"에 대한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이 오른쪽에 pup-up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즉, "光風霽月"이 한 개의 시어로서 제시되고 있다.

 

Remark: 그런데, 바로 이 제시가 혹시라도, 다수의 한시 전문가들에 의한 정확한 판단이 아니고, 사용된 프로그램의 오류의 결과일 수도 있는데, 이 부분은 현재로는 필자가 확인할 수 없음을 한 개의 기록으로 남겨둔다.

[이상, 2017년 6월 6일자 내용 수정 끝]

 

(#) 번역자 주: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光風霽月 에 대한 설명 전문은 아래의 제2항, 주 1-2-1&2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에 발췌되어 있다.

 

[내용 추가 일자: 2017년 6월 6일] 

(3) "光風霽月"을 두 개의 시어들 "光風"과 "霽月"로 분리하여 이 제1절을 우리말로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도 있을 것이나, 그러나 그러한 번역은 바로 위의 제(2)항에서의 용례 분석 결과와 배치되는,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번역일 수도 있다:

 

[그대의] 가슴 속에 품은 회포(懷抱)(주: 한어대사전)(襟懷)가 소탈(疏脫)하고 대범(大汎)함(주: 한한대사전)(灑落)은 비 그치고 해 나올 때의 화창(和暢)하게 부는 바람(주: 한어대사전)(光風)과 밝은 달빛(주: 한어대사전)(霽月)의 끝이 닿는 데가 있지 않음(無邊)이고

[이상, 2017년 6월 6일자 내용 추가 끝]

----- 

 

 2 思慮淸明 長天秋水相暎 (사려청명 장천추수지상영) 

 

[그대의] 사색(思索)과 고려(考慮)(주: 한어대사전)(思慮)가 맑고 밝음(淸明)은 멀고 넓은 무한히 열린 하늘(天空)(주: 한어대사전)(長天)과 가을의 강 혹은 큰 못(江湖)의 물(주: 한한대사전)(秋水)이 서로서로 반사함(相暎)이더라

(이상, 아래의 제2항에서 발췌 끝) 

 

 2. 번역 과정

 

게시자 주 2: 각 절이 우리말로 번역되기 이전에, 이 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어(詩語)들의 구체적인 파악 그리고, 이미 수용(受容)된 그리하여 "한어대사전"에 제시된, 이들 시어(詩語)들 각각의 정의(definition)/의미(meaning)를 구체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주"들에 서술된 작업들, 즉,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선행(先行)되었습니다.(*) 그런 다음에, 각 절의 우리말 번역이, 또한 필자에 의하여, 진행되었습니다.

 

-----

(*) 게시자 주: 이들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제2단계, 그리고 제3단계 모두는, 설사 한자 낱글자를 전혀 모르는 자이더라도 아무런 어려움을 겪지 않으면서 반복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그야말로, 단순 작업들임에 반드시 주목하라.

 

바로 이 점이, 아래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2017년 3월 중순부터 4월 말 기간 동안에 독자적으로 개발한, 따라서 그 저작권(著作權, Copyritht)이 필자에게 있는,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AI 기반, 한시(漢詩) 표준 해석법 [A Standard Method of Interpretation of Chinese Poems(漢詩), Based on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주된 포인트(a main point)임을 또한 반드시 주목하라.

----- 

 

 1 襟懷灑落 光風霽月無邊 (금회쇄락 광풍제월지무변)

 

[그대의] 가슴 속에 품은 회포(懷抱)(주: 한어대사전)(襟懷)가 소탈(疏脫)하고 대범(大汎)함(주: 한한대사전)(灑落)은 비가 지나가고  하늘이 개인 때의 밝고 깨끗한 [산과 물 따위의] 자연계의 아름다운 현상(光風霽月)(*1)의 끝이 닿는 데가 있지 않음(無邊)이고

 

-----

(*1) 번역자 주: (1) "光風霽月"의 전고(典故)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Allusion.aspx?type=Allusion&key=%e5%85%89%e9%a3%8e%e9%9c%81%e6%9c%88

 

[내용 수정 일자: 2017년 6월 6일] 

(2) 여기서 한 개의 시어(詩語)이기도 한 "光風霽月"(#)을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두 개의 시어들 "光風"과 "霽月"로 분리하여 해석하지 않은 것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한시들에서 사용된, "光風霽月"을 한 개의 시어로 사용하고

있는 용례들에 대한 정밀한 확인 결과이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5%89%e9%a3%8e%e9%9c%81%e6%9c%88&st=3

 

이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지게 되는 새 화면에는 "광풍"과 "제월" 각각이, "한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는 이들 각각이 따라서 한 개의 시어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box 표시 안에 등장하나, 그러나, (ii) 예를 들어, 맨 첫 번째 시로서 나열된 한시의 제목 "水调歌头 其一 寿真玉堂" 맨 오른 쪽에 있는 "顯示自動注释"에 접속하면 가지게 되는 새 화면에서 (iii) 실제로 "광풍"을 클릭하거나 혹은 "제월"을 클릭하더라도, "光風霽月"에 대한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이 오른쪽에 pup-up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즉, "光風霽月"이 한 개의 시어로서 제시되고 있다.

 

Remark: 그런데, 바로 이 제시가 혹시라도, 다수의 한시 전문가들에 의한 정확한 판단이 아니고, 사용된 프로그램의 오류의 결과일 수도 있는데, 이 부분은 현재로는 필자가 확인할 수 없음을 한 개의 기록으로 남겨둔다.

[이상, 2017년 6월 6일자 내용 수정 끝]

 

(#) 번역자 주: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光風霽月 에 대한 설명 전문은 아래의 제2항, 주 1-2-1&2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에 발췌되어 있다.

 

[내용 추가 일자: 2017년 6월 6일] 

(3) "光風霽月"을 두 개의 시어들 "光風"과 "霽月"로 분리하여 이 제1절을 우리말로 다음과 같이 번역할 수도 있을 것이나, 그러나 그러한 번역은 바로 위의 제(2)항에서의 용례 분석 결과와 배치되는,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은 번역일 수도 있다:

 

[그대의] 가슴 속에 품은 회포(懷抱)(주: 한어대사전)(襟懷)가 소탈(疏脫)하고 대범(大汎)함(주: 한한대사전)(灑落)은 비 그치고 해 나올 때의 화창(和暢)하게 부는 바람(주: 한어대사전)(光風)과 밝은 달빛(주: 한어대사전)(霽月)의 끝이 닿는 데가 있지 않음(無邊)이고

[이상, 2017년 6월 6일자 내용 추가 끝]

----- 

 

주 1-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襟懷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4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8%A5%9F%E6%87%B7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8%A5%9F%E6%87%B7 4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襟懷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8%a5%9f%e6%80%8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襟懷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3&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B96C71FBB7A8BE103AF8B189D3C6580B&cult=TW&bv=1

(발췌 시작)

襟懷 

 

    【1】胸懷; 懷抱。{晉}{張華}《情》詩之三:“襟懷擁虛景﹐輕衾覆空牀。”{宋}{晏殊}《破陣子》詞:“多少襟懷言不盡﹐寫向蠻牋曲調中﹐此情千萬重。”{明}{高攀龍}《與揭陽諸生書》:“意念高遠﹐襟懷灑落。”{冰心}《往事二》三:“世事從頭減去﹐感悟逐漸侵來﹐已濾就了水晶般清澈的襟懷。” 

(이상, 발췌 끝)

 

주 1-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灑落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1%91%E8%90%BD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1%91%E8%90%BD 3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灑落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4%92%e8%90%bd&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灑落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츨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0&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04105BAEA8EE857028E446908C9BADF&cult=TW&bv=1

(발췌 시작)

灑落

 

    【1】散落。{晉}{潘岳}《秋興賦》:“庭樹槭以灑落兮﹐勁風戾而吹帷。”{唐}{張九齡}《湖口望廬山瀑布泉》詩:“奔飛流雜樹﹐灑落出重雲。”{曹禺}《北京人》第三幕:“一片淡淡的夕陽透過窗子微弱地灑落在桌子上的菊花瓣上。”【2】亦作“[灑樂]”。灑脫飄逸,不拘束。《南史·蕭子顯傳》:“{子顯}風神灑落﹐雍容閑雅﹐簡通賓客﹐不畏鬼神。”{元}{周德清}《一枝花·遺張伯元》套曲:“灑落襟懷﹐一笑乾坤大﹐高談雲霧開。”{明}{汪廷訥}《廣陵月》第一出:“況復襟懷灑樂﹐怕容易霜凋{潘}鬢。”{清}{蒲松齡}《聊齋志異·黃英》:“歸至中途﹐遇一少年﹐跨蹇從油碧車﹐豐姿灑落。”{茅盾}《虹》六:“正是這新發生的你的神經過敏﹐使得你近來變了﹐變成不像從前那樣的伉爽灑落。”【3】指東西雅致不俗。{宋}{司馬光}《和利州鮮于轉運公居八詠·竹軒》:“茲軒最灑落﹐歷歷種瑯玕。”【4】融洽無拘謹。{唐}{杜甫}《公安縣懷古》詩:“灑落君臣契﹐飛騰戰伐名。”{仇兆鰲}注引{胡夏客}曰:“{先主}之待{關}{張}﹐誼同兄弟﹐其得{孔明}﹐歡如魚水﹐所謂‘灑落君臣契’也。”{金}{元好問}《蜀昭烈廟》詩:“君臣灑落知無恨﹐庸{蜀}崎嶇亦可憐。”【5】亦作“[灑樂]”。縱情歡樂。《西游記》第二六回:“那些老兒﹐正然灑樂。”{清}{洪昇}《長生殿·合圍》:“打的鳥獸﹐散給衆軍。就此高坡上﹐把人馬歇息片時。大家炙肉煖酒﹐番姬每歌的歌﹐舞的舞﹐灑落一回者。”{清}{洪昇}《長生殿·罵賦》:“今日聚集百官﹐在{凝碧池}上做個太平筵宴﹐灑樂一回。”【6】放浪,不受拘束。《紅樓夢》第六五回:“{三姐}自己高談闊論﹐任意揮霍﹐村俗流言﹐灑落一陣﹐由著性兒拿他弟兄二人嘲笑取樂。”【7】奚落。數說別人過失或短處。《紅樓夢》第九八回:“{紫鵑}本來深恨{寶玉}﹐見如此﹐心裏已回過來些﹐又有{賈母}﹑{王夫人}都在這裏﹐不敢灑落{寶玉}。”

(이상, 발췌 끝)

 

주 1-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光風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3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5%89%E9%A2%A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5%89%E9%A2%A8 59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光風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5%89%e9%a3%8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光風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E5077BF3B66BDE8B919CB98F60AD6FC&cult=TW&bv=1

(발췌 시작)

光風

 

    【1】雨止日出時的和風。《楚辭·招魂》:“光風轉蕙﹐氾崇蘭些。”{王逸}注:“光風﹐謂雨已日出而風﹐草木有光也。”{唐}{權德輿}《古樂府》:“光風澹蕩百花吐﹐樓上朝朝學歌舞。”{清}{方文}《元旦試筆》詩:“河邊淑氣微微動﹐漸有光風轉蕙蘭。”【2】指月光照耀下的和風。{宋}{葉適}《潘廣度》詩:“光風自汎靈草碧﹐朗月豈受頑雲吞!”【3】苜蓿的別名。《西京雜記》卷一:“{樂遊苑}自生玫瑰樹﹐樹下多苜蓿。苜蓿一名懷風﹐時人或謂之光風。風在其間常蕭蕭然﹐日照其花有光采﹐故名苜蓿爲懷風。”

(이상, 발췌 끝)

 

주 1-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霽月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5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C%BD%E6%9C%8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C%BD%E6%9C%88 1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霽月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9c%81%e6%9c%8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霽月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F0CBBDE6D964C8945267E753E3BFBB3E&cult=TW&bv=1

(발췌 시작)

霽月

 

    【1】明月。{郭沫若}《文藝論集·兒童文學之管見》:“兒童文學當具有秋空霽月一樣的澄明﹐然而決不像一張白紙。”{明}{何景明}《答潘都諫郊壇見遺之作》詩:“璧壇流霽月銀闕動春星。”

(이상, 발췌 끝)

 

주 1-2-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光風霽月 는 한 단어/숙어로서 사용되지 않아 왔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5%89%E9%A2%A8%E9%9C%BD%E6%9C%88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5%85%89%E9%A2%A8%E9%9C%BD%E6%9C%88 0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러나 光風霽月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5%85%89%e9%a3%8e%e9%9c%81%e6%9c%88&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光風霽月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6&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7E5077BF3B66BDE80B57E0D5C2C0E402&cult=TW&bv=1
(발췌 시작)

光風霽月

 

    【1】雨過天晴時的明凈景象 [한한대사전: 비가 지나가고  하늘이 개인 때의 밝고 깨끗한 산과 물 따위의 자연계의 아름다운 현상]。{宋}{陳亮}《賀周丞相啟》:“長江大河﹐足以流轉墨客光風霽月﹐足以蕩漾英游。”【2】喻清明的政治局面。《宣和遺事》楔子:“上下三千餘年﹐興廢百千萬事﹐大概光風霽月時少﹐陰雨晦冥之時多。”【3】喻人品高潔﹑胸襟開闊。{宋}{黃庭堅}《濂溪詩》序:“{舂陵}{周茂叔}﹐人品甚高﹐胸中灑落如光風霽月。”{陳毅}《哭葉軍長希夷同志》詩:“胸無城府﹐光風霽月﹐令我憶君之天真有如提孩。”

(이상, 발췌 끝)

 

주 1-2-3: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無邊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매우 드물게(즉, 4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드물게(즉, 108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84%A1%E9%82%8A 4

http://ctext.org/post-han?searchu=%E7%84%A1%E9%82%8A 108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無邊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97%a0%e8%be%b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無邊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6D157CABF2BFA409E4840752E4E7382&cult=TW&bv=1

(발췌 시작)

無邊

 

    【1】沒有邊際。{晉}{僧朗}《答晉主昌明書》:“大{晉}重基﹐先承孝治﹐惠同天地﹐覆養無邊。”{唐}{杜甫}《登高》詩:“無邊落木蕭蕭下﹐不盡{長江}滾滾來。”{元}{郝經}《沙洲夜泊》詩:“天連平{楚}無邊闊﹐{河}入長{淮}徹底渾。”{艾青}《新的年代冒著風雪來了》詩:“無邊的大地覆蓋著白雪﹐靜靜地靜靜地等待春天。”【2】猶無數,無窮。{元}{馬致遠}《漢宮秋》第二折:“想{漢}家宮中﹐無邊宮女﹐就與俺一個﹐打甚不緊?”

(이상, 발췌 끝)


 2 思慮淸明 長天秋水相暎 (사려청명 장천추수지상영) 

 

[그대의] 사색(思索)과 고려(考慮)(주: 한어대사전)(思慮)가 맑고 밝음(淸明)은 멀고 넓은 무한히 열린 하늘(天空)(주: 한어대사전)(長天)과 가을의 강 혹은 큰 못(江湖)의 물(주: 한한대사전)(秋水)이 서로서로 반사함(相暎)이더라

 

주 2-1-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思慮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127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더러(즉, 291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80%9D%E6%85%AE 127

http://ctext.org/post-han?searchu=%E6%80%9D%E6%85%AE 291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思慮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80%9d%e8%99%91&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思慮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173B7B5A1632377CB3136982D64B3CF2&cult=TW&bv=1

(발췌 시작)

思慮

 

    【1】思索考慮。《楚辭·九章·悲回風》:“曾歔欷之嗟嗟兮﹐獨隱伏而思慮。”{清}{黃遵憲}《雜感》詩:“從古禍患來﹐每在思慮外。”{茅盾}《有志者》:“他挺了挺胸膛﹐覺得自己的思慮真是周密之至。”{漢}{董仲舒}《春秋繁露·正貫》:“夙夜無寤﹐思慮惓心。”【2】猶心智,心思。《墨子·公孟》:“身體強良﹐思慮徇通。”{丁玲}《阿毛姑娘》四:“〔{阿毛}〕從單純的孩提一變而為好用思慮的少女了。”{北齊}{顏之推}《顏氏家訓·勉學》:“人生小幼﹐精神專利;長成已後﹐思慮散逸。固須早教﹐勿失機也。”{宋}{歐陽修}《東齋記》:“官署之東﹐有閣以燕休﹐或曰齋﹐謂閑居平心以養思慮。”{漢}{徐幹}《中論·治學》:“然鄙儒之博學也……無異乎女史誦詩﹐內豎傳令也﹐故使學者勞思慮而不知道﹐費日月而無成功。”

(이상, 발췌 끝)

 

주 2-1-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清明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7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자주(즉, 41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6%B8%85%E6%98%8E 75

http://ctext.org/post-han?searchu=%E6%B8%85%E6%98%8E 413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清明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6%b8%85%e6%98%8e&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清明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39&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46134EA69817859FC6D8857E6A4171B4&cult=TW&bv=1

(발췌 시작)

清明

 

    【1】冷肅。《素問·六元正紀大論》:“金發而清明﹐火發而曛味﹐何氣使然?”《醫宗金鑒·運氣要訣·五運郁極乃發歌》:“木發毀折金清明﹐火發曛味有多少。”注:“金發之徵﹐微者爲燥﹐甚爲清明清明﹐冷肅也。”【2】指政治法度,有條理。{宋}{蘇軾}《司馬溫公神道碑》:“上即位之三年﹐朝廷清明﹐百揆時敘﹐民安其生﹐風俗一變。”《詩·大雅·大明》:“肆伐大{商}﹐會朝清明。”{毛}傳:“不崇朝而天下清明。”《漢書·禮樂志》:“〔{世祖}〕即位三十年﹐四夷賓服﹐百姓家給﹐政教清明。”{清}{戴名世}《芝石記》:“獻者踵至﹐以文天下之太平;然是時天下果有道﹐四方皆清明乎?未見其然也。”{夏衍}《秋瑾傳》第一幕:“不把{中國}弄得強盛﹐不把政治弄得清明﹐她們怎能從這黑暗里解放出來吶?”【3】金精;金神。《意林》卷四引{漢}{王逸}《正部》:“山神曰螭﹐物精曰魅﹐土精曰羵羊﹐水精曰罔象﹐木精曰畢方﹐火精曰遊光﹐金精曰清明。”{北魏}{酈道元}《水經注·巨洋水》:“泉溪之上﹐源麓之側﹐有一祠﹐目之爲{冶泉祠}。按《廣雅》﹐‘金神謂之清明’﹐斯地蓋古冶官所在﹐故水取稱焉。”《廣雅·釋天》:“金神謂之清明。”【4】神志清晰;清察明審。{郭沫若}《新華頌·鴨綠江》:“我們的理智是清明的﹐不會跟著狂人們一道發狂。”{唐}{李德裕}《上尊號玉冊文》:“伏惟皇帝陛下﹐清明溥鬯﹐光耿四海。”《淮南子·主術訓》:“夫人主之聽治也﹐清明而不闇﹐虛心而弱志﹐是故羣臣輻湊竝進﹐無愚智賢不肖﹐莫不盡其能。”《禮記·玉藻》:“色容厲肅﹐視容清明。”{鄭玄}注:“察於事也。”【5】聲音清朗。{蕭軍}《五月的礦山》第八章:“但這聲音已經不再那樣清明尖銳了﹐它發出了有些破裂味的沙音。”《禮記·樂記》:“是故清明象天﹐廣大象地。”{鄭玄}注:“清明﹐謂人聲也。”{孔穎達}疏:“人之歌曲清潔顯明以象於天也。”{唐}{羊士諤}《郡中即事》詩之一:“鼓角清明戰壘﹐梧桐搖落似貧居。”【6】節氣名。公歷四月四﹑五或六日。我國有清明節踏青﹑掃墓的習俗。{南朝} {宋}{謝靈運}《入東道路詩》:“屬值清明節﹐榮華歷和韶。”{唐}{薛逢}《君不見》詩:“清明縱便天使來﹐一把紙錢風樹杪。”{明}{徐元}《八義記·宣子勸農》:“節屆寒食清明清明﹐西郊外步踏紅青。”《逸周書·周月》:“春三月中氣﹐驚蟄﹐春分清明。”{朱右曾}校釋引{孔穎達}曰:“清明﹐謂物生清浄明潔。”{冰心}《寄小讀者》二三:“清明掃墓﹐雖不焚化紙錢﹐也可訓練小孩子一種恭肅靜默的對先人的敬禮。”【7】物之輕清者。亦謂清澈明朗。{李大釗}《時》:“‘晨’為日之始﹐新鮮的朝氣﹐清明曙光﹐都隨‘晨’的時光以俱至。”《荀子·解蔽》:“故人心譬如槃水﹐正錯而勿動﹐則湛濁在下而清明在上﹐則足以見鬚眉而察理矣。”{唐}{元稹}《西縣驛》詩:“去時樓上清明夜﹐月照樓前撩亂花。”{宋}{歐陽修}《秋聲賦》:“蓋夫秋之爲狀也﹐其色慘淡﹐煙霏雲歛;其容清明﹐天高日晶。”【8】東南風。《國語·周語下》“如是﹐而鑄之金﹐磨之石﹐繫之絲木﹐越之匏竹﹐節之鼓﹐而行之﹐以遂八風”{三國}{吳}{韋昭}注:“東南曰巽﹐爲木﹐爲清明。”

(이상, 발췌 끝)

 

주 2-2-1: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長天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7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자주(즉, 41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9%95%B7%E5%A4%A9 20

http://ctext.org/post-han?searchu=%E9%95%B7%E5%A4%A9 82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長天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9%95%bf%e5%a4%a9&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長天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5&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6D03765B329F38FD5810A7C97102D961&cult=TW&bv=1

(발췌 시작)

長天

 

    【1】遼闊的天空。{魯迅}《集外集·<無題>詩》:“大野多鈎棘﹐長天列戰雲。”{元}{白樸}《喬木查·對景》套曲:“長天雁字斜﹐秋香次第開徹。”{唐}{王勃}《滕王閣詩序》:“落霞與孤鶩齊飛﹐秋水共長天一色。”{清}{龔自珍}《點絳唇》詞:“目送飛鴻﹐影入長天滅。”【2】猶終日﹑整天。{艾蕪}《流離》:“長天大日頭曬著﹐沒有水喝﹐沒有飯吃﹐晚上還要雙手捆在背后。”

(이상, 발췌 끝)

 

주 2-2-2: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秋水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 드물게(즉, 75번) 사용되었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자주(즉, 413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A7%8B%E6%B0%B4 6

http://ctext.org/post-han?searchu=%E7%A7%8B%E6%B0%B4 355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秋水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a7%8b%e6%b0%b4&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秋水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2&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8CDDA48393EF6B1A694AB7605F942C73&cult=TW&bv=1
(발췌 시작)

秋水

 

    【1】秋天的江湖水﹐雨水。《莊子·秋水》:“秋水時至﹐百川灌{河}。”{南朝} {齊}{陸厥}《中山王孺子妾歌》:“歲暮寒飇及﹐秋水落芙蕖。”{唐}{王勃}《滕王閣序》:“落霞與孤鶩齊飛﹐秋水共長天一色。”{宋}{王安石}《散發一扁舟》詩:“秋水瀉明河﹐迢迢藕花底。”{清}{王士禛}《樊圻畫》詩:“蘆荻無花秋水長﹐淡雲微雨似{瀟湘}。”{峻青}《黎明的河邊》:“你聽﹐哇--哇--﹐秋水下來就是這么響。”【2】比喻明澈的眼波。{唐}{白居易}《宴桃源》詞:“凝了一雙秋水。”{元}{趙雍}《人月圓》詞:“別時猶記﹐眸盈秋水﹐淚濕春羅。”{清}{蒲松齡}《聊齋志異·宦娘》:“今日箇蹙損春山﹐望穿秋水。”【3】比喻清朗的氣質。{唐}{杜甫}《徐卿二子歌》:“大兒九齡色清徹﹐秋水爲神玉爲骨。”{宋}{蘇軾}《次韻王定國得潁倅》之一:“仙風入骨已凌雲﹐秋水爲文不受塵。”{趙細瓊}《木蘭花慢·<小螺庵病榻憶語>題詞》詞:“怎秋水文情﹐春山媚嫵﹐都屬氤氳。”【4】形容劍光冷峻明澈。{前蜀}{韋莊}《秦婦吟》:“匣中秋水拔青蛇﹐旗上高風吹白虎。”《京本通俗小說·西山一窟鬼》:“劍橫秋水﹐靴踏狻猊。”{元}{王實甫}《西廂記》第一本第一折:“萬金寳劍藏秋水﹐滿馬春愁壓繡鞍。”【5】比喻明凈的鏡面。{唐}{鮑溶}《古鑒》詩:“曾向春窗分綽約﹐誤迴秋水照蹉跎。”【6】琴曲名。{元}{耶律楚材}《彈秋水》詩:“信意彈《秋水》﹐清商促軫成。”

(이상, 발췌 끝)

 

주 2-2-3: (시어(詩語) 분석 제1단계)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相暎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2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B%B8%E6%9A%8E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B%B8%E6%9A%8E 2

 

그리고 "Chinese Text Project" 홈페이지 제공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 대한 다음의 용례 분석에 의하면, 相映 는 한 단어/숙어로서 한나라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고 그리고 한나라 이후에는 매우 드물게(즉, 47번) 사용되었음:

http://ctext.org/pre-qin-and-han?searchu=%E7%9B%B8%E6%98%A0 0

http://ctext.org/post-han?searchu=%E7%9B%B8%E6%98%A0 47

 

(시어(詩語) 분석 제2단계) 그리고 相暎 가 한 개의 시어(詩語)임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ou-yun.com/QueryPoem.aspx?key=%e7%9b%b8%e6%98%a0&st=3

 

(시어(詩語) 분석 제3단계) 다음은 "한어대사전"에 주어진 相映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art.tze.cn/Refbook/entry.aspx?bi=m.20080419-m300-w001-041&ei=5EE15FC2740914DF1128406E782648B33F1842273081B0AF270C22EA54462872347D6A9B518FB952&cult=TW&bv=1

(발췌 시작)

相映

 

    【1】互相映襯。{唐}{韓愈}《東都遇春》詩:“行逢二三月﹐九州花相映。”{宋}{王安石}《贈吳顯道》詩:“朱顔日夜不如故﹐深感杏花相映紅。”{宋}{劉敞}《睡起》詩:“水木淡相映﹐庭戶清無喧。”

(이상, 발췌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작: 약 5시간.

 



522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