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이사야 53,11에서 짊어지리이다??? {번역미숙/번역오류] 1122_ 1242_

인쇄

. [121.190.18.*]

2021-10-17 ㅣ No.2289

준비 중입니다.

 

1. 들어가면서

 

1-1.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이사야서 53,11은, 매년 성 금요일 제1독서(이사야 52,13-53,12), 나해 연중 제29주일 제1독서(이사야 53,10-11)에 포함되는, 소위 말하는, 이사야서에 있는 네 편의 "고통받는 종의 노래들" 중의 네 번째 노래에 포함됩니다.

 

1-2. 이번 항 및 이어지는 제1-3항에서는, 예수님의 구속/속량(redemption) 위업의 의미를 학습하기 위하여, 이 위업의 구약 성경 근거인 이사야 52,13-53,12, 네 번째, 고통받는 종의, 노래)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도록 합니다.

 

게시자 주 1-2: 이번 항 및 이어지는 제1-3항에 발췌된 바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상당한 시간을 보내면서 우리말로 번역을 할 만큼 그 내용이 매우 좋습니다만, 그러나, 그 내용이 좋은 만큼 상당히 긴 문제가 있는데, 바쁘신 분들은, 아래의 제1-4항으로 이동하도록 하십시오.

(이상, 게시자 주 1-2 끝)

 

나해 연중 제29주일 전례성경 묵상 동영상(#):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98/나해연중제29주일.mp4

 

A. [우선적으로, 위에 있는 묵상 동영상(#) 주소에 접속하여 02:58; 21:54 그리고 39:56[즉, 2분58초, 21분54초 그리고 39분56초] 각각에서부터 잠깐 동안 먼저 시청/청취하면, 아래의 주소(들)에 안내된 글(들)의 내용을 훨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권고를 드리는 이유는, 진리인 특정 형이상학적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의 의미(meaning)/정의(definition)는 해당 용어가 어떠한 문맥 안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또한 함께 살펴보아야만, 비로소 제대로 이해하고(understand) 그리하여, 필요시에 꺼집어 내어 판단의 기준/잣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기억할(memorize) 수 있기 때문입니다. name="4th_song"]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나해 연중 제29주일 제1독서는, 매년 성 금요일 제1독서(이사야 52,13-53,12, 네 번째, 고통받는 종의, 노래)에 포함되는데,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그리스도교 구속/속량 교의(dogma)의 구약 성경 근거인, 네 번째, 고통받는 종의, 노래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전문[주: 필자에 의한 우리말 번역문 포함]을  읽을 수 있습니다. 교리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내용을 전달하는 해설이어서 그 전문을 필자가 우리말로 번역하였으며,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goodfri.htm <----- 제1독서 해설 전문 필독 권고

(발췌 시작)

52:13-53:12. This fourth Song of the Servant is one of the most commented on passages in the Bible, as regards both its literary structure and its cont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structure, it interrupts the hymn-style of chapter 52 (which is taken up again in chapter 54); the style here is more reflective; the theme, the value of suffering. In terms of content, the song is unusual in that it shows the servant triumphing through his humiliation and suffering. Even more than that -- he makes the pains and sins of others his own, in order to heal them and set them free. Prior to this, the idea of "vicarious expiation" was unknown in the Bible. The passage is original even in its vocabulary: it contains forty words that are not to be found elsewhere in the Bible.

 

52,13-53,12. 바로 이 종의 네 번째 노래는, 그 문학적 구조와 그 내용에 관하여, 성경에 있어 가장 많이 주석된 구절들 중의 하나입니다. 구조의 관점에 있어, 이것은 (제54장에서 또다시 택해지는) 제52장의 찬미가 양식(hymn-style)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며, 그리고 여기서 그 양식은 더욱 더 재귀용법적(reflective)이며 그리고 그 주제는 고통받음(suffering)의 가치입니다. 문맥의 표현에 있어, 이 노래는 이 종이 자신에 대한 모욕과 고통받음을 통하여 승리함을 보여주는 점에 있어 이례적(unusual)입니다. 심지어 이보다 더, 그는 다른 이들의 고유한 고통(pains)들과 죄(sins)들을, 그들을 치유하기 위하여 그리하여 그들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자신의 고유한 것들로 만듭니다. 이것 이전에, [바로 이러한 내용의] "대속(代贖)[대인속죄(代人贖罪), vicarious expiation]"(*)이라는 관념은 성경에 있어 알려져 있지 않았습니다. 이 구절은 심지어 그 어휘에 있어서도 다음과 같이 독창적(original)입니다: 이 구절은 성경에 있어 다른 어떤 곳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40개의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10월 17일]

-----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한문 문화권 천주교회의 용어들인, 이들 번역 용어들의 출처, 기원 등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53.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247.htm [개정판 가톨릭대사전 오류] <----- 필독 권고 
-----
[이상, 2021년 10월 17일자 내용 추가 끝]


The poem, which is very carefully composed, divides into three stanzas: the first (52:13-15) is put on the Lord's lips and it acts as a kind of overture to what follows --taking in the themes of the triumph of the servant (v. 13), his humiliation and suffering (v. 14), and the stunning effect that this has on his own people and on strangers.

 

매우 신중하게 지어진 이 시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연(聯, stanzas)들로 나누어집니다: 첫 번째(52,13-15)는 주님의 입술들 위에 얹혀지며 그리고 이것은, 그의 모욕 및 고통받음(제14절), 그리고 이것이 그의 고유의 사람들에게 및 이방인들에게 계획 중인 깜짝 놀라게 하는 결과라는, 이 종의 승리의 주제들(제13절) 안에서 작동중인, 뒤따르는 바에 대한 일종의 서장(序章, overture)으로서 역할을 합니다.

The second stanza (53:1-11a) celebrates the servant's trials, and the good effects they produce. This is spoken in the first person plural, standing for the people and the prophet: both feel solidarity with the servant of the Lord. This stanza has four stages to it: first (53:1-3) it describes the servant's noble origins (he grew up before the Lord like a young plant: cf. v. 2) and the low esteem in which he is held as a "man of sorrows". Then we learn that all this suffering is atonement for the sins of others (53:4-6). Traditionally, suffering was interpreted as being a punishment for sins, but here it is borne on behalf of others. This is the first lesson to be learned by those who see him "stricken, smitten by God, and afflicted", and it marks the climax of the poem. Thirdly (53:7-9), the point is made, again that he has freely accepted suffering and meekly, offers himself as a sacrifice of atonement (he is like a lamb, like a sheep). His death is as ignominious as the suffering that precedes it. Finally (vv. 10-11a) we are told how fruitful all this suffering is: like the patriarchs of old (the text seems to imply) the servant will have many offspring and a long life and be a man of great wisdom.

 

두 번째 연(聯, stanzas)(53,1-11ㄱ)은 이 종의 시련(trials)들을, 그리고 이들이 산출하는 선한 결과들을을 경축합니다. 이것은, 이 백성과 이 예언자를 나타내는, 제1인칭 복수로 말해지며, 그리고 둘 다 주님의 종과의 연대(solidarity)를 느낍니다. 이 연은 이 연대를 향하는 다음과 같은 네 개의 단계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로(53,1-3) 이 연은 이 종의 고귀한 태생(origins)을 묘사하며 (그는 주님 앞에서 새싹처럼 자랐다: 제2절을 참조하라) 그리고, 그 안에서 그가 한 명의 "후회/고뇌하는 사람(a "man of sorrows")으로서 유지되는, 바로 그 비천한 평가를 묘사합니다. 그런 다음에 우리는 이러한 고통받음(suffering) 모두가 다른 이들의 죄들에 대한 속죄(atonement)임을 알게 됩니다 (53,4-6). 전통적으로, 고통받음은 죄들에 대한 어떤 벌인 것으로서 해석되었으나, 그러나 여기서 고통받음은 다른 이들을 위하여 거두어들이게 된 것입니다(is borne)(*). 이것이 바로 그를 "벌받은 자, 하느님께 매맞은 자, 천대받은 자" 로 보는 자들이 배우게 될 첫 번째 교훈(lession)이며, 그리고 이것은 이 시의 절정(climax)을 눈에 돋보이게 합니다. 세 번째로(53,7-9), 그가 고통받음이미 자유롭게 받아들였으며 (has freely accepted) 그리고 온순하게, 자기 자신을 한 개의 속죄의 희생 제물(a sacrifice of atonement)로서 [그는 한 마리의 어린 양(a lamb)과 같고, 한 마리의 양(a sheep)과 같습니다] 제공한다는 주안점이, 또다시, 마련됩니다(is made). 그의 죽음은 이 죽음에 앞서는 고통받음만큼이나 치욕적(ignominious)입니다. 끝으로 (제10-11ㄱ)  우리에게 이러한 고통받음 모두가 얼마나 결실이 많은지(fruitful) 다음과 같이 말해집니다:  (이 본문은 다음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옛날의 선조들처럼 이 종이 수많은 후손을 가질 것이고 그리하여 장수할 것이며 그리하여 커다란 지혜의 사람이 될 것입니다. 

 

-----
(*) 번역자 주: 영어본 성경들의 이샤야서 53,11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어로 "bear"로 번역되는 용어의 우리말 번역 표현, "거두어들인다" 에 대한 더 자세한 고찰은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1.htm <----- 필독 권고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있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홀수해 연중 제3주간 월요일 제1독서(히브리 9,15.24-28)의 해설도 또한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_mon.htm <----- 필독 권고 
-----


In the third stanza (53:11b-12) the Lord speaks again, finally acknowledging that his servant's sacrifice is truly efficacious: he will cause many to be accounted "righteous", that is, he will win their salvation (v. 11) and will share in the Lord's spoils (v. 12).

 

세 번째 연(聯, stanzas)(53,11ㄴ-12)에서 주님께서는 또다시 말씀하시는데, 당신의 종의 희생이 진실로 효능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최종적으로 인정하십니다: 그는 많은 이들로하여금 "의로운(righteous)" 자들로서 셈하여지도록(be accounted) 할 것입니다, 즉, 그는 그들의 구원을 획득할 것이며 (제11절) 그리고 주님의 전리품(spoils)들에 함께 할 것입니다 (제12절).

The fourth song of the servant of the Lord was from very early on interpreted as having a current application. When the Jews of Alexandria made the Greek translation of the Old Testment (the Septuagint) around the second century BC, they tinkered a little with the text to indicate that the servant in the poem stood for the people of Israel in the diaspora. Those Jews, who encountered huge obstacles in their effort to maintain their identity in that Hellenistic and polytheistic environment, found comfort in the hope that they would emerge enhanced, just like the servant. 

 

주님의 종에 대한 이 네 번째 노래는 매우 일찍부터 어떤 현재의 적용을 가지는 것으로서 해석되었습니다. 알렉산드리아의 유다인(the Jews of Alexandria)들이 기원전 2세기경에 구약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칠십인 역)을 만들었을 따에, 그들은 이 시에 있어서의 종이 디아스포라(diaspora)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을 나타냄을 암시하기 위하여 이 본문을 약간 어설프게 고쳤습니다. 헬레니즘적 및 다신교적 환경에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그들의 노력들에 있어 커다란 장애들에 직면하였던 이들 유다인들은, 이 종과 꼭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강화되어 나타날 것이라는 희망에서 위안을 찾았습니다.

Jews of Palestine identified the victorious servant with the Messiah, but they reinterpreted the sufferings described here to apply them to the pagan nations. The Dead Sea Scrolls interpret this song in the light of the ignominy xperienced by the Teacher of Righteousness, the probable founder of the group that established itself at Qumran.

 

팔레스티나의 유다인들은 이 승리를 거둔 종을 메시아(Messiah)와 동일시하였으나, 그러나 그들은 여기에 묘사되어 있는 고통들을, 다신교 민족들에게 그들을 적용하기 위하여, 재해석하였습니다. 사해 문서(the Dead Sea Scrolls)은, 꿈란(Qumrarn)에 스스로 설립하였던 집단의 개연적인(probable) 설립자인, 의로움의 스승(the Teacher of Righteousness)에 의하여 경험하게 되었던 불명예(ignominy)에 비추어 이 노래를 해석합니다. 2) 


-----
(2) 번역자 주: 따라서 이것으로부터, 기원전 약160년-기원후 68년의 기간 동안에 예루살렘 동쪽의 사해  주변에 존재하였던 유다교의 한 분파인 꿈란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지 않았을 것임을 우리가 추론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

Jesus revealed his redemptive mission to be that of the suffering servant prophesied by Isaiah here. He referred to him on a number of occasions -- in his reply to the request made by the sons of Zebedee ("the Son of man came not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Mt 20:28 and par.); at the Last Supper, when he announced his ignominious death among transgressors, quoting 53:12 (Lk 22:37); in some passages in the fourth Gospel (Jn 12:32, 37-38); etc. He also seems to refer to it in his conversation with the disciples of Emmaus (Lk 24:25ff) to explain his passion and death. Therefore, the first Christians interpreted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in terms of this poem; evidence of this is the expr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criptures" in 1 Corinthians 15:3; the words "for our trespasses" (Rom 4:25; 1 Cor 15:3?5); the Christological hymn in the Letter to the Philippians (Phil 2:6-11); and expressions used in the First Letter of Peter (1 Pet 2:22-25) and in other New Testament passages (Mt 8:17; 27:29; Acts 8:26-40; Rom 10:16; etc.).

 

예수님께서는 여기서 이사야(Isaiah)에 의하여 예언되었던 고통받는 종(the suffering servant)의 바로 그것이 될 당신의 구속(救贖) 사명(his redemptive mission)을 드러내셨습니다. 당신께서는, 제베대오(Zebedee)의 아들들에 의하여 청해졌던 요구에 대한 당신의 답변 ("사람의 아들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또 많은 이들의 몸값으로 자기 목숨을 바치러 왔다": 마태오 복음서 20,28 및 병행 구절들)으로, 그리고, 이사야 53,12를 인용하시면서, 무법자(transgressors)들 가운데서 당신의 불명예스러운 죽음을 선포하셨던 때인  최후의 만찬에서 (루카 복음서 22,37), 그리고  네 번째 복음서에 있는 일부 구절들 (요한 복음서 12,32.37-38) 등의 여러 번의 경우들에서 이사야에 대하여 언급하셨습니다. 당신께서는 또한 당신의 수난과 죽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엠마오에 관계되는 제자(the disciples of Emmaus)들과 당신의 대화에서도 이 구절에 대하여 언급하신 것 같습니다 (루카 복음서 24,25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그러므로, 첫 그리스도 사람들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을 이 시의 용어들로 해석하였으며, 그리고 이러한 것에 대한 증거는 1코린토 15,3에 있는  "성경 말씀대로" 라는 표현, "우리의 잘못 때문에" (로마 4,25; 1코린토 15,3-5), 필리피 사람들에게 보낸 서간에 있는 그리스도론적 찬미가(the Christological hymn) (필리피 2,6-11), 그리고 베드로의 첫 번째 서간 (1베드로 2,22-25)에서 사용된 표현들 그리고 다른 신약 성경 구절들에 (마태오 복음서 8,17.27.29; 사도행전 8,26-40; 로마 10,16 등) 있습니다.

Patristic tradition reads the song as a prophecy that found fulfillment in Christ (cf. St Clement of Rome, "Ad Corinthios", 16:1-14; St Ignatius Martyr, "Epistula ad Polycarpum", 1, 3; the so-called "Letter of Barnabas", 5, 2 and "Epistula ad Diognetuin", 9, 2; etc.). The Church uses it in the Good Friday liturgy. 

 

교부들의 전통은 이 노래를 그리스도 안에서 구현을 발견하는 한 개의 예언으로서 읽습니다 [로마의 성 클레멘트(St. Clement of Rome), "Ad Corinthios", 16:1-14; 성 이냐시오 순교자(St. Ignatius Martyr), "Epistula ad Polycarpum", 1, 3; 소위 말하는 "바르나바의 서신(Letter of Barnabas)", 5, 2 그리고 "Epistula ad Diognetuin", 9, 2 등]. 교회는 이 구절을 성 금요일 전례에서 사용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1-3.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위의 제1-2항에 발췌된 예수님의 구속/속량 위업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대단히 좋은 해설에 이어지는, 나해 연중 제15주일 제2독서(에페소 1,3-14)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우리말 번역은 필자가 한 것입니다:

 

게시자 주 1-3: 위의 제1-2항에 발췌된 바와 마찬가지로 이번 항에 발췌된 바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상당한 시간을 보내면서 우리말로 번역을 할 만큼 그 내용이 매우 좋습니다만, 그러나, 그 내용이 좋은 만큼 상당히 긴 문제가 있는데, 바쁘신 분들은, 아래의 제1-4항으로 이동하도록 하십시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아는 한, 예수님의 구속/속량 위업에 대하여 이 정도로 잘 기술하고 있는 문헌은 다른 곳에서 본 적이 없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1-3 끝)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b_ot_15.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3-14. Verses 3-14 are a hymn of praise to God for the plan of salvation he has evised and brought to fulfillment in benefit of men and all creation. It is written in a liturgical style of rhythmic prose, similar to that in Colossians 1:15-20. In the Greek it is one long complex sentence full of relative pronouns and clauses which give it a designed unity; we can, however, distinguish two main sections. 

 

3-14. 제3절-제14절은 하느님께서 이미 고안하시고 그리고 사람들과 모든 피조물의 혜택 안에서 구현 쪽으로 이미 초래하신 구원 계획(the plan of salvation)에 대하여 하느님 쪽으로 찬양(praise)으로 구성된 한 개의 찬미가(a hymn) 입니다. 이것은 운율이 있는 산문(rhythmic prose)으로 구성된 한 개의 전례 형식(a liturgical style)으로 쓰여졌는데, 콜로새서 1,15-20의 바로 그것과 유사합니다. 그리스어로 이 형식은, 그것에 어떤 설계된 일치(a designed unity)를 제공하는, 관계 대명사들과 절들로 가득찬 하나의 길고 복잡한 문장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두 개의 주된 단락(段落, sections)들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The first (v. 3-10), divided into four stanzas, describes the blessings contained in God's salvific plan; St Paul terms this plan the "mystery" of God's will. The section begins by praising God for his eternal design, a plan, pre-dating creation, to call us to the Church, to form a community of saints (first stanza: vv. 3f) and receive the grace of being children of God through Jesus Christ (second stanza: vv. 5f). It then reflects on Christ's work of redemption which brings this eternal plan of God to fulfillment (third stanza: vv. 7f). This section reaches its climax in the fourth stanza (vv. 9f) which proclaims Christ as Lord of all creation, thereby revealing the full development of God's salvific plan. 

 

네 개의 연(聯, stanzas)들로 나누어지는, 그 첫 번째 단락(제3-10절)은, 하느님의 구원 계획(plan) 안에 포함되어 있는 축복(blessings)들을 묘사하는데(describes), 성 바오로는 바로 이 계획을 하느님 뜻/의지의 "신비"(the "mystery" of God's will)라고 일컫습니다(稱, terms).(*1) 이 단락(段落, section)은, 우리들을 교회 쪽으로 부르기 위한, 성도들로 구성된 한 개의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첫 번째 연: 3절과 뒤따르는 한 개의 절)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느님의 자녀들이 됨의 은총(grace)(*2)을 받기 위한(두 번째 연: 제5절과 뒤따르는 한 개의 절), 창조(creation)보다 먼저 형성된(pre-dating), 한 개의 계획인, 당신의 영원한 설계(eternal design)에 대하여 하느님을 찬양함으로써 시작합니다. 그러고 나서 이 단락은, 하느님의, 바로 이, 영원한 계획(plan)을 구현(fulfillment) 쪽으로 초래하는, 구속/속량(redemption)이라는 그리스도의 위업에 대하여 성찰합니다(reflects)(세 번째 연: 제7절과 이어지는 한 개의 절).(*3) 바로 이 단락은 네 번째 연(제9절과 이어지는 한 개의 절)에서 그 절정에 도달하는데, 이 연(聯, stanza)은 그리스도를 모든 창조의 주님으로서 선포하며, 바로 이것에 의하여 하느님의 구원 계획의 충만한 전개(full development)를 드러냅니다(revealing). 

 

-----
(*1)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느님의 뜻/의지"(God's will)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08.htm <----- 필독 권고

 

(*2)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은총"(grace)정의(definition) 등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grace.htm
 <----- 필독 권고

 

(*3) 번역자 주: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구속/속량"(redemption)정의(definition) 등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demption_objective_vs_subjective.htm
 <----- 필독 권고

(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구속"이라는 신조어 번역 용어가, 1600년에 저술된 판토하 신부님"방자유전"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확인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10.htm
<----- 필독 권고
-----

The second section, which divides into two stanzas,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this plan--first to the Jews (fifth stanza: vv. 11f) and then to the Gentiles, who are also called to share what God has promised: Jews and Gentiles join to form a single people, the Church (sixth stanza: vv. 13f). 

 

두 개의 연(聯, stanzas)들로 나누어지는 두 번째 단락(段落, section)은 바로 이 계획의 적용(application)을 다루는데, 다음과 같이, 첫 번째 유다인(the Jews)들 쪽으로(다섯 번째 연: 제11절과 이어지는 한 개의 절) 그런 다음에, 하느님께서 이미 약속하신 바를 함께 나누도록 또한 부름을 받고 있는, 이방인(the Gentiles)들 쪽으로 입니다: 유다인들과 
이방인들은, 교회라는, 한 개의 단일한 백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결합합니다(여섯 번째 연: 제13절과 이어지는 한 개의 절)

Hymns in praise of God, or "eulogies", occur in many parts of Sacred Scripture (cf. Ps 8; Ps 19; Dan 2:20-23; Lk 1:46-54, 68-78; etc.); they praise the Lord for the wonders of creation or for spectacular interventions on behalf of his people. Inspired by the Holy Spirit, St Paul here praises God the Father for all Christ's saving work, which extends from God's original plan which he made before he created the world, right up to the very end of time and the recapitulation of all things in Christ.(*)

 

하느님을 찬양하는 찬미가들, 혹은 "송덕문(頌德德, eulogies)들"은, 성경 본문의 다수의 부분들에 있으며(시편 8장; 시편 19장; 다니엘 2,20-23; 루카 복음서 1,46-54, 68-78 등을 참조하라), 그리고 그들은 창조의 경이로움들에 대하여 혹은 당신의 백성을 대신하여 장관의 개입들에 대하여 주님을 찬양합니다. 성령에 의하여 영감을 받아(inspired), 성 바오로는 여기서, 이 세상을 창조하시기 전에 당신께서 마련하셨던, 하느님의 원 계획(God's original plan)으로부터 시간의 바로 그 끝 및 그리스도 안에서 사물들 모두의 총귀/총괄복귀(recapitulation)(*)에 이르기까지 확장하는/미치는(extends), 그리스도의 구하시는 위업 모두에 대하여 성부 하느님을 찬양합니다.

 

-----
(*) 번역자 주: "새 하와"라는 동정 마리아에 대한 칭호(title)의 신학적 근거인, 2세기의 교부인 리옹의 성 이레네오(St. Irenaeus of Lyons)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해되고 서술되었던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근거인 그의 "recapitulation(총귀/총괄복귀/수렴)"이라는 한 개의 초자연적 개념(a supernatural concept)에 대한 글들은 다음의 주소들에 있으니 필독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capitulation_of_St_Irenaeus.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Eve.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Adam.htm 
-----

We too should always have this same attitude of praise of the Lord. "Our entire life on earth should take the form of praise of God, for the never-ending joy of our future life consists in praising God, and no one can become fit for that future life unless he train himself to render that praise now" (St Augustine, "Enarrationes in Psalmos", 148).

 

우리도 또한 주님에 대한, 바로 이러한, 찬양의 태도를 항상 마땅히 가져야 합니다. 

 

"지상에서 우리의 전체 삶은 찬양의 형태를 마땅히 취하여야 하는데, 왜냐하면 우리의 [하늘(heaven, 천당)에서의] 미래의 삶의 끝이 없는 기쁨(joy)은 하느님을 찬양함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으며, 어느 누구도, 만약에 그가 바로 그러한 찬양을 지금(now) 바치도록 자기 자신을 훈련하지 않는다면, 바로 이 미래의 삶에 적합하도록 변성(變成)할(become) 수 없기 때문이다"(*4)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 "Enarrationes in Psalmos", 148]. 

 

-----
(*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변성(變成)함(becoming)"정의(definition) 등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4.htm <----- 필독 권고
-----

Praise is in fact the most appropriate attitude for man to have towards God: "How can you dare use that spark of divine intelligence--your mind--in anything but in giving glory to your Lord?" (St. J. Escriva, "The Way", 782). 

 

찬양(praise)은, 사실, 다음과 같이, 사람(man)이 하느님을 향하여 가져야 하는 가장 적절한 태도입니다: 

 

"어떻게 그대가 바로 그 신성적 지능(divine intelligence)의 불꽃(spark)인, 그대의 마음(mind)을,(*5) 그대의 주님 쪽으로 영광(glory)을 바침에 있음을 제외하고(but), 어떤 것(anything)에 감히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가?" [성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St. J. Escriva, 1902-1975년), "The Way", 782]. 

 

-----
(*5)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심장"(heart)"마음"(mind)의 차이점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heart.htm
 <----- 필독 권고
-----

3. St Paul blesses God as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because it is through Christ that all God's blessings and gifts reach us. God's actions in favor of man are actions of all three divine Persons; the divine plan which the Apostle considers here has its origin in the Blessed Trinity; it is eternal. "These three Persons are not to be considered separable," the Eleventh Council of Toledo teaches, "since we believe that not one of them existed or at any time effected anything before the other, after the other, or without the other. For in existence and operation they are found to be inseparable" ("De Trinitate" Creed, "Dz-Sch", 531).

 

3. 성 바오로는 우리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성부(Father)로서 하느님께 찬미드리는데(blesses), 왜냐하면 하느님의 축복들과 선물들 모두가 우리들에게 도달하는 것은 바로 그리스도를 통하여서 이기 때문입니다. 사람을 총애하는 하느님의 행동(actions)들은 세 분의 신성적 위격들 모두의 행동들이며, 그리고 이 사도가 여기서 생각하는 신성적 계획(divine plan)은 그 원천을 이 복되신 성삼위 안에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그것은 영원합니다. 

 

톨레도(Toledo)의 열한 번째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가르칩니다: "이들 세 위격들은 분리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서는 아니 되는데, 왜냐하면, 그분들 중의 어느 한 분이, 어떠한 시점에도 다른 분들에 앞서, 다른 분들에 뒤따라, 혹은 다른 분들 없이, 존재하였거나(existed) 혹은 어떠한 것도 초래하지(effected) 않았음(not)을 우리가 믿기 때문이다." [제11차 톨레도 공의회(Council of Toledo, XI, 675년), "De Trinitate" Creed, "덴징거(Dz-Sch)", 531).

In the implementation of this divine plan of salvation, the work of Redemption is attributed to the Son and that of sanctification to the Holy Spirit. "To help us grasp in some measure this unfathomable mystery, we might imagine the Blessed Trinity taking counsel together in their uninterrupted intimate relationship of infinite love. As a result of their eternal decision, the only-begotten Son of God the Father takes on our human condition and bears the burden of our wretchedness and sorrows, to end up sewn with nails to a piece of wood" (St. J. Escriva, "Christ Is Passing By", 95). 

 

구원(salvation)에 대한 바로 이 신성적 계획의 이행(implementation)에 있어, 구속/속량(redemption)의 일은 성자(the Son)의 덕분이 되고(is attributed to) 그리고 성화(sanctification)의 일은 성령(the Holy Spirit)의 덕분이 됩니다. 

 

"바로 이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신비를 어떠한 도량 단위(measure)로 우리들이 붙잡는 것을 도우기 위하여, 복되신 성삼위께서 무한한 사랑이라는 그분들의 끊임 없는(uninterrupted) 친밀한 관계의 상태 안에서 함께 협의하신다고 우리가 상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분들의 영원한 결정의 한 결과로서, 성부 하느님의 독생 성자께서 우리들의 인간적 조건을 취하시고 그리고 우리들의 초라함(wretchedness) 및 슬픔(sorrows)들로 구성된 짐(burden)을 날라서(bears), 나무의 한 조각 쪽으로 못(nails)들로써 꿰메어져 끝이 나도록 하십니다" [성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St. J. Escriva, 1902-1975년), "Christ Is Passing By", 95]

St Paul describes as "spiritual blessings" all the gifts which the implementation of God's plan implies, gifts which are distributed by the Holy Spirit. When he speaks of them as being "in the heavenly places" and "in Christ", he is saying that through Christ who has risen from the dead and ascended on high we too have been inserted into the world of God (cf. 1:20; 2:6).

 

성 바오로는, 하느님의 계획(plan)의 이행이 의미하는 선물들, 성령에 의하여 분배되는 선물들, 모두를 "영적 축복들"(spiritual blessings)이라고 묘사합니다(describes). 그가 "천상 장소들에 있는" 그리고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들로서 그들에 대하여 말할 때에, 죽은 이들로부터 이미 일어나시고 그리고 높은 데에 이미 오르신 분인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도 또한 하느님의 세상 안쪽으로 이미 삽입되어졌다(have been inserted)고 그가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1,20; 2,6 참조).

When man describes God as "blessed" it means he recognizes God's greatness and goodness, and rejoices over the divine gifts he has received (cf. Lk 1:46, 68). Here is what St Thomas Aquinas has to say about the meaning of this passage: "The Apostle says, 'Benedictus' [Blessed be the God ...], that is, may I, and you, and everyone bless him, with our heart, our mouth, our actions--praising him as God and as Father, for he is God because of his essence and Father because of his power to generate" ("Commentary on Eph.", 1, 6). 

 

사람이 하느님을 "찬미받으시는"(blessed) 분이라고 묘사할 때에 이것은 그가 하느님의 위대하심과 선하심을 알아차리고, 그리고 그가 받은 신성적 선물(divine gifts)들에 대하여 크게 기뻐함(rejoices over)을 의미합니다(루카 복음서 1,46.68).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바로 이 한 줄(passage)의 의미에 관하여 말하지 않을 수 없는(has to) 바 입니다:

 

"'찬미받으소서(Benedictus)' [하느님은 찬미받으소서...], 즉, 나와 그리고 그대, 그리고 모든 이는, 우리들의 심장(heart), 우리들의 입(mouth), 우리들의 행동(actions)들과 함께, 그분을 하느님(God)으로서 그리고 성부(Father)로서 찬양하면서, 그분께 찬미드린다(bless)라고 이 사도는 말하는데, 이는 그분께서는, 당신의 본질(essence) 때문에, 하느님이시고 그리고, [성자를] 생성하는/낳는(generate) 당신의 능력(power) 때문에, 성부(Father) 이시기 때문이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 "Commentary on Eph.", 1, 6]

Sacred Scripture very often invites us to praise God our Lord (cf. Ps 8:19; 33; 46-48; etc.); this is not a matter only of verbal praise: our actions should prove that we mean what we say: "He who does good with his hands praises the Lord, and he who confesses the Lord with his mouth praises the Lord. Praise him by your actions" (St Augustine, "Enarrationes in Psalmos", 91, 2). 

 

성경 본문은 매우 자주 우리들의 주님이신 하느님을 찬양하도록 초대하며(시편 8,19; 33장, 46-48장; 등), 그리고 이것은 오로지 말뿐인 찬양의 어떤 사안이 아니며, 다음과 같이, 우리들의 행동들이, 우리가 말하는 바를 우리가 의미함을, 마땅히 증명하여야 합니다: 

 

"선(good)을 행하는 자는 자신의 손(hands)들로써 주님을 찬양하는 자이고, 주님을 고백하는(confesses) 자는 자신의 입(mouth)으로써 주님을 찬양하는 자이다. 그대의 행동(actions)들로써 그분을 찬양하라"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
"Enarrationes in Psalmos", 91, 2]

4. As the hymn develops, the Apostle details each of the blessings contained in God's eternal plan. The first of these is his choice,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of those who would become part of the Church. The word he uses, translated here as "chose", is the same one as used in the Greek translation of the Old Testament to refer to God's election of Israel. The Church, the new people of God, is constituted by assembling in and around Christ those who have been chosen and called to holiness. This implies that although the Church was founded by Christ at a particular point in history, its origin goes right back to the eternal divine plan. "The eternal Father, in accordance with the utterly gratuitous and mysterious design of his wisdom and goodness, ... 'predestined (the elect) to be conformed to the image of his Son in order that he might be the first-born among many brethren' (Rom 8:29). He determined to call together in a holy Church those who believe in Christ. Already present in figure at the beginning of the world, this Church was prepared in marvelous fashion in the history of the people of Israel and in the Old Alliance. Established in this last age of the world, and made manifest in the outpouring of the Spirit, it will be brought to glorious completion at the end of time" (Vatican II, "Lumen Gentium", 2). 

 

이 찬미가가 전개하듯이, 이 사도는 하느님의 영원한 계획에 포함된 축복(blessings)들 각각을 상술합니다(details). 이들 중의 첫 번째는, 이 세상의 기초 이전에, 교회의 일부가 될 자들에 대한 당신의 선택(choice)입니다. 여기서 "선택하시어"(chose)로 번역된 그가 사용한 단어는 하느님에 의한 이스라엘의 선정(election) 쪽으로 관계하는(refer to) 구약 성경의 그리스어본에서 사용된 단어와 동일합니다. 하느님의 새 백성인 교회는 선택된 그리하여 거룩함(holiness) 쪽으로 부름을 받은 자들을 그리스도 안에 그리고 주변에 집합시킴(assembling)으로써 구성됩니다. 이것은, 비록 교회가 역사 안에서 어떤 특별한 시점에 그리스도에 의하여 창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원이 영원한 신성적 계획 쪽으로 곧바로 되돌아 감을 의미합니다. 

 

"영원하신 성부께서는, 당신의 지혜와 선함에 기인하는 전적으로 무상이고 신비로운 설계(design)(*6)에 따라, ... '(선정된 자들이) 당신의 성자의 모습 쪽으로 부합하게 되도록(be conformed) 예정하셨는데(predestined), 그리하여 그 결과로 그분께서 많은 형제들 사이에서 맏이(first-born)가 될 수도 있도록 하셨습니다' (로마 8,29). 당신께서 그리스도 쪽으로 믿는 자(those who believe in Christ)들을 하나의 거룩한 교회 안으로 함께 부르실 것을 결정하셨습니다. 이 세상의 한처음에 표상(figure) 안에 이미 현존하고 있는, 바로 이 교회는 이스라엘의 백성의 역사 안에서 그리고 옛 동맹(the Old Alliance) 안에서 놀라운 방식으로 준비되었습니다. 이 세상의 바로 이 마지막 시대에 제정되고, 그리고 거룩한 영의 분출/다량의 주어짐(the outpouring of the Spirit) 안에서 분명하게 드러내어지게 된, 바로 이 교회는 시간의 끝에 영광을 발하는 완성(glorious completion)(*7) 쪽으로 장차 초래될(be brought to) 것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 교회에 관한 교의적 현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2] 

 

-----
(*6) 번역자 주: "plan""design"의 차이점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Merriam Webster's Dictionary"에 제시된 바를 따랐으며, 그리고 "plan"은 "계획"으로,  "design"은 "설계"로 번역하였다. 따라서, "설계"(design)는 "계획"(plan)이고 그리고 "계획"(plan)은 "과제"(project)이나, 그러나 그 역들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출처: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design#synonyms 
(발췌 시작)

Choose the Right Synonym for design

Noun

intention, intent, purpose, design, aim, end, object, objective, goal mean what one intends to accomplish or attain. intention implies little more than what one has in mind to do or bring about. announced his intention to marry intent suggests clearer formulation or greater deliberateness. the clear intent of the statute purpose suggests a more settled determination. being successful was her purpose in life design implies a more carefully calculated plan. the order of events came by accident, not design aim adds to these implications of effort directed toward attaining or accomplishing. her aim was to raise film to an art form end stresses the intended effect of action often in distinction or contrast to the action or means as such. willing to use any means to achieve his end object may equal end but more often applies to a more individually determined wish or need. his constant object was the achievement of pleasure objective implies something tangible and immediately attainable. their objective is to seize the oil fields goal suggests something attained only by prolonged effort and hardship. worked years to reach her goals


plan, design, plot, scheme, project mean a method devised for making or doing something or achieving an end. plan always implies mental formulation and sometimes graphic representation. plans for a house design often suggests a particular pattern and some degree of achieved order or harmony. a design for a new dress plot implies a laying out in clearly distinguished sections with attention to their relations and proportions. the plot of the play scheme stresses calculation of the end in view and may apply to a plan motivated by craftiness and self-interest. a scheme to defraud the government project often stresses imaginative scope and vision. a project to develop the waterfront 
(이상, 발췌 끝)

 

(*7)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glorious"가 "영광스럽다"가 아니라"영광을 발하다"로 번역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glory.htm
 <----- 필독 권고
-----

God's choice seeks to have us become "holy and blameless before him". In the same way as in the Old Testament a victim offered to God had to be unblemished, blameless (cf. Gen 17:1), the blameless holiness to which God has destined us admits of no imperfection. By the very fact of being baptized we are made holy (cf. note on 1: 1), and during our lifetime we try to grow holier with the help of God; however, complete(*) holiness is something we shall attain only in heaven. 

 

하느님의 선택은 우리들로 하여금 "당신 앞에서 거룩하고(holy 그리고 결함/흠(fault)이 없게(blameless)"(*8) 변성(變成)될(have us become) 것을 요구합니다(seeks to). 구약 성경에서 하느님께 봉헌되는 어떤 희생물(a victim)이 흠이 없어야(be unblemished) 하였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함(fault)이 없게(blameless) (창세 17,1 참조), 바로 그 쪽으로 하느님께서 우리들을 이미 예정하셨던 이 결함이 없는 거룩함(the blameless holiness)은 어떠한 완미하지 않음(imperfection)도 허락하지(admits of) 않습니다. 우리가 세례를 받음이라는 바로 그 사실에 의하여 우리는 거룩하게 마련되며(1,1에 대한 주를 참조하라),(*9) 그리고 우리들의 생애 동안에 우리는 하느님의 도우심[즉, 은총(grace)]과 함께 더 거룩하게 성장하도록 노력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미한 거룩함(perfect holiness)(*10)은 우리가 하늘(heaven, 천당)에서 오로지 획득할 그 무엇(something)입니다. 

 

-----
(*8) 번역자 주: "blameless"를, 전후 문맥 안에서, "결함/흠(fault)이 없는"로 번역한 것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Merriam Webster's Dictionary"에 따르면,고어 "blame"의 의미가 "fault"(결함/흠)이기 때문이다: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blameless
 

 

(*9)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에페소서 1,1에 대한 해설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28_thu.htm
 

 

(*10) 번역자 주: (1) (번역 오류) 스페인어로부터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 여기서의 전후 문맥 안에서, "perfect"[완미한, 즉, 완전하고(complete) 그리고 마땅히 갖추고 있어야 하는 선(good)에 있어 어떠한 결함/부족도 없는]로 번역되어야 하는 단어가 "complete"(완전한)로 질못 번역된 것이 분명하기에,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 필자가 바로잡았다. 

 

(2)번역 오류 지적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perfect, holiness"(완미한 거룩함)이라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그리스도교 전통적 교의 신학적으로 고유한 표현이, (i)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인, 교회에 관한 교의적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제11항, 그리고 (ii)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825항 등에서, 동일한 문맥 안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4lg.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va_c825.htm
 

 

(3)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완미"(perfection)의  정의(definition) 등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perfection.htm
 <----- 필독 권고
-----

The holiness with which we have been endowed is an undeserved gift from God: it is not a reward for any merit on our part: even before we were created God chose us to be his: "'He chose us in him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world, that we should be holy.' I know that such thoughts don't fill you with pride or lead you to think yourself better than others. That choice, the root of your vocation, should be the basis of your humility. Do we build monuments to an artist's paintbrush? Granted the brush had a part in creating masterpieces, but we give credit only to the painter. We Christians are nothing more than instruments in the hands of the Creator of the world, the Redeemer of all men" (St. J. Escriva, "Christ Is Passing By", 1).

 

우리에게 수여된 바로 그 거룩함은, 다음과 같이, 하느님으로부터 한 개의 마땅히 받을 만 하지 않은 선물(an undeserved gift) 입니다: 이 선물은 우리들의 편에서 어떠한 공로(merit)에 대한 한 개의 보상(reward)이 아니며, 심지어 우리가 창조되기 전에 하느님께서 다음과 같이 우리들을 당신의 소유물로서 선택하셨습니다: 

 

"'당신께서 이 세상의 기초 이전에 그분 안에서 우리들을 선택하셨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로(that) 우리는 마땅히 거룩하게 되어야 합니다.' 제가 알기로, 그러한 생각들이 그대를 교만(pride)(*11)으로 채우거나 혹은 그대 자신이 다른 이들보다 더 낫다고 생각하는 쪽으로 그대를 인도하지 않습니다. 그대의 소명(vocation)의 뿌리인 바로 이 선택은 마땅히 그대의 겸손(humility)의 근거이어야 합니다. 우리가 어떤 예술가의 그림 붓(paintbrush) 쪽으로 기념비(monuments)들을 세웁니까?  가령 이 붓이 걸작품들을 창조함에 있어 어떤 역할(a part)을 이미 가졌다고 하더라도(granted), 그럼에도 불구하고(but) 우리는 해당 화가에게만 오로지 명성을 줍니다(give credit to).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이 세상의 창조주(Creator)인, 모든 사람(men)들의 구속자/속량자(Redeemer)의 손(hands)들 안에 있는 도구(instruments)들보다 더 나은 어떠한 것도 결코 아닙니다" [성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St. J. Escriva, 1902-1975년)"Christ Is Passing By", 1].

 

-----
(*11)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칠죄종(일곱 개의 우두머리 죄)들 중의 하나인, "교만"(pride)정의(definition) 등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seven_capital_sins.htm
 <----- 필독 권고
-----

"He destined us in love": the loving initiative is God's. "If God has honored us with countless gifts it is thanks to his love, not to our merits. Our fervor, our strength, our faith and our unity are the fruit of God's benevolence and our response to his goodness" (St John Chrysostom, "Hom. on Eph, ad loc".). 

 

"그분께서 우리들을 사랑(love) 쪽으로 (in) 운명지으셨다(destined)": 사랑하는 주도권(initiative)은 하느님의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들에게 셀 수 없는 선물들을 이미 수여하셨다면, 그것은 당신의 사랑 덕택인 것이지(thanks to), 우리들의 공로(merits)들 덕택이 아니다. 우리들의 열정(fervor), 우리들의 굳셈(strength), 우리들의 신앙(faith) 그리고 우리들의 일치/단일성(unity)은 하느님의 자비(God's benevolence)의 열매이며 그리고 당신의 선하심 쪽으로 우리들의 응답이"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금구(金口)(St John Chrysostom, 347-407년), "Hom. on Eph, ad loc"].(*12) 

 

-----
(*12)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한문 문화권 내에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가 "金口"(금구)로 처음으로/최초로 불리기 시작한 시점은,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쿠플레 신부님에 의하여 저술되어, "수진일과"/"천주성교공과"의 한 개의 부록으로서 배포된, "영첨례표"의 출판 시점인, 1659년 이후 및 1692년 이전임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08.htm 
-----

God's election of Christians and their vocation to holiness, as also the gift of divine filiation, reveals that God is Love (cf. 1 Jn 4:8); we have become partakers of God's very nature (cf. 2 Pet 1:4), sharers, that is, in the love of God. 

 

하느님에 의한 그리스도인들의 선정(election) 그리고, 또한 신성적 자녀됨(divine filiation)이라는 선물로서, 거룩함 쪽으로 그들의 소명(vocation)은, 하느님은 사랑이심을 (1요한 4,8 참조); 그리고 우리가 하느님의 바로 그 본성에 참여하는 자(partakers)들(2베드로 1,4 참조), 즉, 하느님의 사랑을 함께 나누는 자(sharers)들임을, 드러냅니다(reveals). 

"He destined us in love", therefore, also includes the Christian's love of God and of others: charity is a sharing in God's own love; it is the essence of holiness, the Christian's law; nothing has any value if it is not inspired by charity (cf. 1 Cor 13:1-3).

 

"그분께서 우리들을 사랑(love) 쪽으로 (in) 운명지으셨다(destined)"는,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그리스도인들에 의한 하느님에 대한 및 다른 이들에 대한 사랑(love)을 또한 포함합니다: 애덕(charity)은 하느님의 고유한 사랑(love)을 함께 나눔이며, 그리고 이 덕(virtue)은 거룩함의 본질(essence)인, 유일한, 그리스도인들 소유의, 법(the Christian's law)이며, 그리고 만약에 이 법이 애덕(charity)에 의하여 고무되지(inspired) 않는다면, 어떠한 것도 아무런 가치를 가지지 못합니다 (1코린토 13,1-3 참조).

5. The Apostle goes on to explore the further implications of God's eternal plan: those chosen to form part of the Church have been given a second blessing, as it were, by being predestined to be adoptive children of God. 'The state of this people is that of the dignity and freedom of the sons of God, in whose hearts the Holy Spirit dwells as in a temple" (Vatican II, "Lumen Gentium, 9). 

 

5. 이 사도는 하느님의 영원한 계획의 그 이상의 의미들을, 다음과 같이, 계속하여 탐구합니다: 교회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자들에게, 말하자면, 하느님의 입양 자녀(adoptive children)들이 되도록 예정됨으로써, 두 번째 축복이 이미 주어졌습니다. '바로 이 백성의 지위(state)는 하느님의 아들(the sons of God)들의 품위(dignity)와 자유로움(freedom)이라는 바로 그 지위인데, 이들의 심장(hearts)들 안에 성령께서, 한 신전(a temple) 안에서처럼, 거주하십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Vatican II, 1962-1965년), 교회에 관한 교의적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제9항].

This predestination to which the Apostle refers means that God determined from all eternity that the members of the new people of God should attain holiness through his gift of adoptive sonship. It is God's desire that all be saved (cf. 1 Tim 2:4) and he gives each person the means necessary for obtaining eternal life. Therefore, no one is predestined to damnation (cf. Third Council of Valence, "De Praedestinatione", can. 3). 

 

그쪽으로 이 사도가 언급하는 바로 이 예정(predestination)은 하느님께서 모든 영원으로부터 하느님의 이 새 백성의 구성원들이 입양 아들의 신분(adoptive sonship)(*13)이라는 당신의 선물을 통하여 거룩함을 마땅히 획득하여야한다고 결정하셨습니다. 모든 이가 구함을 받는 것이 바로 하느님의 욕망(desire)이며 (1티모테오 2,4) 그리고 그분께서 각 인격(persoh)에게 영원한 생명을 획득함을 위하여 필수적인 수단(means nesessary)들을 제공하십니다. 그러므로, 저주(damnation) 쪽으로 예정된 자는 아무도 없습니다 [플로렌시아(Valence)의 제3차 공의회(585년), "De Praedestinatione", can. 3 참조]. 

 

-----
(*13)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느님의 입양 자녀"정의(definition) 등에 대한 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adoped_sons.htm
<----- 필독 권고
-----

The source of the Christian's divine sonship is Jesus Christ. God's only Son, one in substance with the Father, took on human nature in order to make us sons and daughters of God by adoption (cf. Rom 8:15, 29; 9:4; Gal 4:5). This is why every member of the Church can say: "See what love the Father has given us, that we should be called children of God; and so we are" (1 Jn 3:1). 

 

그리스도인들의 신성적 아들의 신분(divine sonship)의 출처(source)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본체에 있어(in subtance) 성부와 하나이신, 하느님의 외 아드님(only Son)께서 우리들을 입양에 의하여 하느님의 아들들과 딸들로 만들고자 인성(human nature)을 취하셨습니다(로마 8,15.29; 9,4; 갈라티아 4,5). 바로 이것이 왜 교회의 각 구성원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어떠한 사랑을 성부께서 우리들에게 이미 제공하시어, 그 결과로 우리가 하느님의 자녀들이라고 마땅히 불리게 되는지를, 그리하여 우리가 정말 그렇게 됨을, 보십시오" (1요한 3,1).

What is involved here is not simply formal adoption, which is something external and does not affect the very person of the child. Divine adoption affects man's entire being, it inserts him into God's own life; for Baptism makes us truly his children,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cf. 2 Pet 1:4). Divine sonship is therefore the greatest of the gifts God bestows on man during his life on earth. It is indeed right to exclaim "Blessed be God" (v. 3) when one reflects on this great gift: it is right for children openly to acknowledge their father and show their love for him. 

 

여기에 개입된 바는, 외면적인 그 무엇이어서 그리하여 해당 아이의 바로 그 인격(person)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단순히 형식적인 입양이 아닙니다. 신성적 입양(divine adoption)은 사람의 전체 있음(being)에게 영향을 주어, 이 입양은 그를 하느님의 고유한 생명 안쪽으로 삽입하는데(inserts), 왜냐하면 세례(Baptism)가 우리들을 진실로 당신의 자녀들로, 유일한 신성적 본성(the divine nature)의 참여자(partakers)들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2베드로 1,4 참조). 그러므로 신성적 아들의 신분(divine sonship)은  사람(man)에게, 그가 지상에 살아있는 동안에, 하느님께서 베푸시는 선물들 중에서 가장 커다란 선물인 것입니다. 누구든지 바로 이 커다란 선물에 대하여 성찰할(reflects on) 때에, "하느님께서는 찬미받으소서"(제3절)라고 주장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정말로 올바른(right) 것입니다: 자녀들이 자신들의 아버지를 공개적으로(openly) 인정하고(acknowledge) 그리고 그를 위한 자신들의 사랑(love)을 보이는 것은 올바른(right) 것입니다.

Divine filiation has many rich effects as far as the spiritual life is concerned. "A child of God treats the Lord as his Father. He is not obsequious and servile; he is not merely formal and well-mannered: he is completely sincere and trusting. God is not shocked by what we do. Our infidelities do not wear him out. Our Father in heaven pardons any offense when his child returns to him, when he repents and asks for pardon. The Lord is such a good father that he anticipates our desire to be pardoned and comes forward to us, opening his arms laden with grace" (St. J. Escriva, "Christ Is Passing By", 64). See the notes on Jn 1:12. 

 

신성적 부자(父子) 관계(divine filiation)는, 영적 생명/삶(spiritual life)이 염려되는 한, 수많은 풍부한 영향/결과(effects)들을 가집니다. 

 

"하느님의 아이는 주님을 자신의 성부로서 생각합니다(treat). 그는 아첨하거나(servile) 비굴하지(servile) 않으며, 그는 '단지 형식적이거나 몸가짐이 좋은 것이 아니라, 그는 완전하게 진솔하고(sincere) 그리고 의심할 줄 모릅니다(trusting). 하느님은 우리가 행하는 바에 의하여 충격을 받지 않습니다. 우리들의 불신앙(infidelities)들은 그분을 지쳐버리게 하지(wear out) 못합니다. 하늘에 계신 우리들의  성부께서는, 당신의 아이가 당신께로 되돌아올 때, 그가 회개하고 용서(pardon)를 청할 때, 어떠한 어긋남/침범(offense)도 용서하십니다(pardons). 주님께서는, 용서를 받고자 하는 우리들의 욕망(desire)을 예상하시고 그리고, 은총(grace)으로 적재된(laden with) 당신의 팔들을 크게 벌리시면서(opening), 우리들 쪽으로 향하여 다가오시는 바로 그러한 한분의 좋은 아버지이십니다. [성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St. J. Escriva, 1902-1975년)"Christ Is Passing By", 64]. 요한 복음서 1,12의 주(note)를 보라.

6. The gift of divine filiation is the greatest expression of the glory of God (cf. note on 1:17 below), because it reveals the full extent of God's love for man. St Paul stresses what the purpose of this eternal divine plan is-to promote "the praise of his glorious grace". God's glory has been made manifest through his merciful love, which has led him to make us his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 eternal purpose of his will. This eternal design "flows from 'fountain-like love', the love of God the Father [...]. God in his great and merciful kindness freely creates us and, moreover, graciously calls us to share in his life and glory. He generously pours out, and never ceases to pour out, his divine goodness, so that he who is Creator of all things might at last become 'everything to everyone' (1 Cor 15:28), thus simultaneously assuring his own glory and our happiness" (Vatican II, "Ad Gentes", 2). 

 

신성적 부자(父子) 관계(divine filiation)라는 선물은 하느님의 영광(the glory of God)의 가장 커다란 표현인데(아래에 있는 1,17에 대한 주를 참조하라), 왜냐하면 이 관계가 사람(man)을 위한 하느님의 사랑의 충만한/결여됨이 없는 범위(full extent)을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성 바오로는 바로 이 영원한 신성적 계획의 목적인 바가 "당신의 영광을 발하는 은총(glorious grace)에 대한 찬양"을 증진시키기 위함임을 강조합니다. 하느님의 영광은 당신의 자비로 충만한 사랑(merciful love)을 통하여 이미 분명하게 드러내어졌는데, 이 사랑이, 당신의 의지/뜻(will)의 영원한 목적에 따라, 우리들을 당신의 자녀들로 만드시도록 그분을 이끌었습니다(led). 바로 이 영원한 설계(design)는 "'분수와 같은 사랑'인, 성부 하느님의 사랑으로부터 흘러나옵니다 [...].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커다란(great) 그리고 자비로 가득찬(merciful) 친절(kindness) 때문에(in) 우리들을 자유롭게(freely) 창조하셨으며 그리고, 그 위에, 당신의 생명(life)영광(glory)을 함께 나누도록 우리들을 자비심 많게(graciously) 부르고 계십니다. 당신께서는 당신의 신성적 선하심(divine goodness)을 관대하게 쏟아 내시고(pours out), 그리고 쏟아 내시는 것을 결코 그만두지 않으시는데, 그리하여 그 결과 모든 사물들의 창조주인 당신께서 마침내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이 될 수도 있도록 하시며(1코린토 15,28),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당신의 고유한 영광 및 우리들의 행복을 동시에 보증하십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 교회의 선교 활동에 관한 교령, "만민들에게"(Ad Gentes), 제2항]. 

The grace which St Paul speaks of here and which manifests the glory of God refers first to the fact that God's blessings are totally unmerited by us and include the grace-conferring gifts of holiness and divine filiation. 

 

여기서 바로 그것에 대하여 성 바오로가 말하는 그리고 하느님의 영광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은총(grace)은 첫 번째로 하느님의 축복(blessings)들이 전적으로(totally) 우리들에 의하여 공로로서 받을 만하지 않으며(unmerited) 그리고, 거룩함(holiness) 및 신성적 부자(父子) 관계(divine filiation)라는, 은총이 수여햐는 선물들을 포함한다는 사실 쪽으로 관계합니다.

"In the Beloved": the Old Testament stresses again and again that God loves his people and that Israel is that cherished people (cf. Deut 33:12; is 5:1, 7; 1 Mac 6:11; etc.). In the New Testament Christians are called "beloved by God" (1 Thess 1:4; cf. Col 3:12). However, there is only one "Beloved", strictly speaking, Jesus Christ our Lord--as God revealed from the bright cloud at the Transfiguration: "This is my beloved Son, with whom I am well pleased" (Mt 17:5). The Son of his love has obtained man's redemption and brought forgiveness of sins (cf. Col :13ff), and it is through his grace that we become pleasing to God, lovable by him with the same love with which he loves his Son. At the Last Supper, Jesus asked his Father for this very thing--"so that the world may know that thou hast sent me and hast loved them even as thou hast loved me" (Jn 17:23). "Notice", St John Chrysostom points out, "that Paul does not say that this grace has been given us for no purpose but that it has been given us to make us pleasing and lovable in his eyes, now that we are purified of our sins" ("Hom. on Eph, ad loc."). 

 

"사랑을 받고 계신 분 안에서": 구약 성경은 하느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사랑하심(loves)과 그리고 이스라엘이 바로 그 품고 계신(cherished) 백성임을 반복적으로 강조합니다(신명 33,12; 이사야 5,1.7; 1마카베오 6,11; 등을 참조하라). 신약 성경에서 그리스도인들은 "하느님에 의하여 사랑받는"다고 불립니다(1테살로니카 1,4; 그리고 콜로새 3,12를 참조하라). 그러나, 엄밀하게 말하여, 하느님께서, 다음과 같이, 거룩한 변모에서 빛나는 구름으로부터 드러내셨듯이, 오로지 한 분만이 "사랑받고 계신" 분이신데, 우리들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한 분뿐이십니다: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마태오 복음서 17,5). 당신 사랑의 성자(the Son)께서 사람의 구속/속량(man's redemption)을 이미 획득하셨고 그리하여(and) 죄들의 용서(forgiveness of sins)를 초래하셨으며(brought)(콜로새 1,13과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을 참조하라),(*14) 그리고 당신께서 당신의 아드님(성자, Son)를 사랑하시는 바로 그 동일한 사랑 때문에(with) 당신에게(by) 사랑스러운 것, 우리가 하느님 마음에 들게 되는 것은, 바로 당신의 은총(grace)을 통하여서 입니다.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님께서 당신의 성부께, 다음과 같은, 바로 그것을 청하셨습니다: "당신께서 저를 이미 보내셨고 그리고, 심지어 당신께서 저를 사랑하셨듯이, 그들을 이미 사랑하셨음을 이 세상이 알 수도 있도록 하시고자 하셨습니다" (요한 복음서 17,23). "주의"(notice)성 요한 크리소스토모는 다음과 같이 지적합니다: "바오로는 바로 이 은총이 아무런 목적 없이 우리들에게 주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그것이 우리들을 당신의 눈들 안에서 마음에 들게 그리고 사랑스럽게 만들기 위하여서라고 말하는 것이며,  이제 우리가 우리들의 죄들로부터 정화된다(are purified)라고 말한"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금구(金口)(St John Chrysostom, 347-407년), "Hom. on Eph, ad loc."] 

 

-----
(*14)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에페소 1,7 및 콜로새 1,14에서 "속량"  "죄의 용서/죄사함를 받았다/얻었다"는 논리적 등가 및 과거형 번역은 심각한 번역 오류이다" 제목의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06.htm  <----- 필독 권고
-----

7-8. St Paul now centers his attention on the redemptive work of Christ--the third blessing--which has implemented the eternal divine plan described in the preceding verses. 

 

7-8. 성 바오로는 이제 자신의 주의를 , 세 번째 축복인,그리스도의 구속하는/속량하는 위업(the redemptive work of Christ)에 집중시키는데(centers),  이 위업은 앞서는 
절들에서 묘사된 영원한 신성적 계획을 이미 이행한 것입니다. 

Redemption means "setting free". God's redemptive action began in the Old Testament, when he set the people of Israel free from their enslavement in Egypt (cf.
Ex 11:7ff): by smearing the lintels of their doors with the blood of the lamb, their first-born were protected from death. In memory of this salvation God ordained the celebration of the rite of the passover lamb (cf. Ex 12:47). However, this redemption from Egyptian slavery was but a prefigurement of the Redemption Christ would bring about. "Christ our Lord achieved this task [of redeeming mankind and giving perfect glory to God] principally by the paschal mystery of his blessed passion, resurrection from the dead, and glorious ascension" (Vatican II, "Sacrosanctum Concilium", 5). By shedding his blood on the Cross, Christ has redeemed us from the slavery of sin, from the power of the devil, and from death (cf. note on Rom 3:24-25). He is the true passover Lamb (cf. Jn 1:29).


"When we reflect that we have been ransomed 'not with perishable things such as silver or gold but with the precious blood of Christ, like that of a lamb without blemish or spot' (1 Pet 1:18f), we are naturally led to conclude that we could have received no gift more salutary than this power [given to the Church] of forgiving sins, which proclaims the ineffable providence of God and the excess of his love towards us" ("St Pius V Catechism", I, 11, 10).

 

구속/속량(Redemption)은 "해방함/석방함"(setting free)를 의미합니다. 하느님의 구속하는/속량하시는 행동은, 다음과 같이, 당신께서 이스라엘의 백성을 이집트에서 그들의 노예 상태(enslavement)로부터 해방하실 때인, 구약 성경에서 시작하였습니다 (탈출 11,7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을 참조하라): 어린 양의 피로 그들의 문들의 상인방(lintels)들을 바름으로써, 그들의 맏이가 죽음(death)으로부터 보호되었다. 바로 이 구원에 대한 기억으로 하느님께서 과월절 어린양의 의식(rite)이라는 경축을 명하셨습니다 (탈출 12,47 참조). 그러나, 이집트에서의 노예 상태(slavery)로부터 구속/속량(redemption)은 다만(but) 그리스도께서 초래하실 유일한 구속/속량(the Redemption)의 한 개의 예형(prefiturement)이었습니다.  

 

"그리스도 우리의 주님께서는, 당신의 복받으신 수난(blessed passion), 죽은 이들로부터 부활(resurrection from the dead), 그리고 영광을 발하는 승천(glorious ascension)으로 구성된 파스카 신비(the paschal mystery)에 의하여 주되게(principally) [인류의 구속/속량(redemption) 그리고 하느님께 완미한 영광(perfect glory)을 바침이라는 바로 이 과업(task)을 성취하셨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거룩한 공의회"(Sacrosanctum Concilium), 제5항] 

 

십자가 위에서 당신의 피를 흘림으로써,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들을 죄의 노예 상태(the slavery of sin)로부터, 악마의 힘(the power of the devil)으로부터, 그리고 죽음(death)으로부터 이미 구속하셨습니다/속량하셨습니다(has redeemed) (로마 3,24-25에 대한 주석 참조). 그분은 유일한 참된 과월절 어린양(passover Lamb)입니다 (요한 복음서 1,29 참조).

 

"우리가 '은 혹은 금과 같은 썩기 쉬운(perishable) 사물들로써가 아니라 다만, 아무런 흠(blemish) 혹은 결점(spot) 없는 한 마리의 어린양의 바로 그것처럼, 그리스도의 가치있는(precious) 피로써, 속죄를 받았음(have been ransomed)' (1베드로 1,18 및 이어지는 절)을 우리가 성찰할(reflect) 때, 우리는, 하느님의 이루 말할 수 없는 섭리(providence) 및 우리들 쪽으로 향하는 당신 사랑의 과잉(excess)을 선포하는, 죄들을 용서하는 [이 유일한 교회에 주어진] 바로 이 힘보다 더 유익한(salutary) 어떠한 선물도 받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는 쪽으로 우리가 자연스럽게 인도된다" ["성 비오 5세 교리서"(St Pius V(1504-1572년) Catechism), I, 11, 10].

The Redemption wrought by Christ frees us from the worst of all slaveries--that of sin. As the Second Vatican Council puts it, "Man finds that he is unable of himself to overcome the assaults of evil successfully, so that everyone feels as though bound by chains. But the Lord himself came to free and strengthen man, renewing him inwardly and casting out the 'ruler of this world' (Jn 12:31), who held him in the bondage of sin. For sin brought man to a lower state, forcing him away from the completeness(*15) that is his to attain" ("Gaudium Et Spes", 13). 

 

그리스도에 의하여 초래된(wrought) 구속/속량(Redemption)은 우리들을, 죄의 노예 상태인,  모든 노예 상태들의 최악으로부터 자유롭게 합니다(frees).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이것을 진술하듯이, 

 

"사람은 자신이 악의 맹렬한 공격을 자기 스스로 성공적으로 극복할 수 없음을 발견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각자는 마치 쇠사슬들로 묶여있는 것 같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주님 당신 자신께서 사람을 자유롭게 하고 굳세게 하기 위하여 오셔서, 그를 내부에서(inwardly) 새롭게 하시고 그리고, 그를 죄의 속박 상태(bondage of sin)에 붙잡고 있는, '이 세상의 지배자'를  쫓아내셨습니다 (요한 12,31). 왜냐하면 죄가 사람을 어떤 더 낮은 지위로 데려갔으며, 그로 하여금 획득하여야 하는 자신의 충만함(fullness)(*15)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강제하였기 때문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 "기쁨과 희망"(Gaudium Et Spes), 13]. 

 

-----
(*15) 번역자 주: (1) (번역 오류) 여기서 "completeness"로 번역된 단어는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 발생한, 번역 오류임이 분명하여,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 필자가 바로잡았다.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라틴어 정본 및 프랑스어본, 영어본, 그리고 스페인어본의 해당 문장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5gs_lt.htm
[주: 라틴어 정본]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5gs_fr.htm
[주: 프랑스어본]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5gs_en.htm
[주: 영어본]
http://ch.catholic.or.kr/pundang/4/va1965gs_sp.htm
[주: 스페인어본] 

 

(2)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획득하여야 하는 자신의 충만함(fullness)'이란 곧 '완미'[perfection, 즉, 완전하고(complete) 그리고 마땅히 갖추고 있어야 하는 선(good)에 있어 어떠한 결함/부족도 없는 상태]를 말한다.
-----

In carrying out this Redemption, our Lord was motivated by his infinite love for man. This love, which far exceeds anything man could hope for, or could merit, is to be seen above all in the universal generosity of God's forgiveness, for though "sin increased, grace abounded all the more" (Rom 5:20); this forgiveness, achieved by Christ's death on the cross, is the supreme sign of God's love for us, for "greater love has no man than this, that a man lay down his life for his friends" (Jn 15:13). If God the Father gave up his Son to death for the remission of men's sins, "it was to reveal the love that is always greater than the whole of creation, the love that is he himself, since 'God is love' (1 Jn 4:8, 16)", John Paul II reminds us. "Above all, love is greater than sin, than weakness, than 'the futility of creation' (cf. Rom 8:20); it is stronger than death" (Redemptor Hominis", 9). 

 

바로 이 구속/속량(Redemption)을 성취함(carrying out)에 있어, 우리들의 주님께서는 사람(man)에 대한 당신의 무한한 사랑에 의하여 움지여지셨습니다(is motivated). 사람(man)이 희망할 수 있거나, 혹은 공로로서 획득할 수 있는(merit) 어떤 것도 훨씬 능가하는, 바로 이 사랑은 무엇보다도 먼저 하느님의 용서(God's forgiveness)의 보편적 관대(universal generosity) 안에서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though) "죄(sin)가 증가하게 되면, 은총(grace)이 훨씬 더 풍부해지기" (로마 5,2) 때문이며, 그리고 십자가 위에서 그리스도의 죽음에 의하여 성취된 바로 이 용서는 우리들에 대한 하느님 사랑의 최고의 표시(supreme sign)인데, 왜냐하면 "어떠한 사람도 한 사람(a man)이 자신의 벗들을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내려 놓는(lay down) 것보다 더 커다란 사랑을 가질 수 없기" (요한 15,13) 때문입니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는 [예수님의 구속/속량(Redemption) 위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우리들을 상기시킵니다: 성부 하느님께서 사람들의 죄들의 사면(remission)을 위하여 당신의 성자(Son)를 내주셨다면(gave up), 

 

"그것은 피조물(creation) 전체보다 항상 더 커다란 사랑을,당신 자신인 사랑을, 드러내고자 하셨던 것인데, 왜냐하면 '하느님은 사랑이기' (1요한 4,8) 때문입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사랑은 죄(sin)보다 더 크고, 나약함(weakness)보다 더 크며, '피조물의 허무함(futility of creation)'보다 더 크기 때문이며 (로마 8,20 참조), 그리고 죽음보다 더 강하기 때문입니다" [성 요한 바오로 2세(St. John Paul II, 1920-2005년), "인간의 구속자/속량자"(Redemptor Hominis), 제9항](*16)

 

-----
(*16) 번역자 주: (1) (번역 오류) 한국천주교회 주교회의/중앙협의회 번역의 이 회칙의 제목에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라틴어 "Redemptor"/영어 Redeemer"가, 구속자/속량자 대신에, "구원자"(savior)로 번역된 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ck/hf_jp-ii_enc_04031979_rh_kr.htm
 <----- 필독 권고

 

(2) 왜냐하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예수님을 가리키는, 고유 명사인 라틴어 "salvator""savior"(구원자)로 번역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cc_glossary.htm#s
  

 

(3) 그리고 또한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라틴어 "Redemptor"/영어 "Redeemer"(구속자/속량자)와 라틴어 "salvator"/영어 "Savior"(구원자)는,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항에서부터 확실하게 구분되고 있다: 
http://ccc.scborromeo.org.master.com/texis/master/search/?sufs=0&q=%22savior%22+%22redeemer%22&xsubmit=Search&s=SS
  

"redeemer and savior"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site:vatican.va 

 

(4) 왜 이러한 지적을 드리는가 하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천주교 용어집"에 제시된 언제 "구원자"와 "구속자"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행위는,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판단자가 누구이냐에 따라, 자의적/작위적인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cbck.or.kr/Glossary/Search?htype=1&page=14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번역 오류들이 도대체 어디에 있는지도 파악할 수 없는, 우리말로 번역이 된 교회의 핵심 문헌들을 자신의 신학적 사고의 기본 지식들로서 열심히 습득한 후에, 로마 혹은 프랑스로 유학을 갔을 경우에, 석사, 박사 학위 과정에서, 바로 이러한 종류의 번역 오류들 때문에 어떠한 일들이 발생할 것인지에 대하여서도 또한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term paper들 혹은 학위 논문을 우리말로 작성한 후에,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혹은 라틴어로 번역을 하여 제출하면, 이들 두 용어들 사이의 차이점을 모르고 있는 문제점이 확실하게 드러나, 즉시, 거부당하기 십상일 것은, 상당히 분명하다는 생각이다.
-----

By enabling our sins to be forgiven, the Redemption brought about by Christ has restored man's dignity. "Increasingly contemplating the whole of Christ's mystery, the Church knows with all the certainty of faith that the Redemption that took place through the Cross has definitely restored his dignity to man and given back meaning to his life in the world, a meaning that was lost to a considerable extent because of sin" ("Redemptor Hominis", 10). This action on God's part reveals his wisdom and prudence. 

 

우리들의 죄들이 용서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하심으로써, 예수님에 의하여 초래되었던 구속/속량(Redemption)은 사람의 품위(dignity)를 이미 회복시켰습니다. 

 

"그리스도의 신비(Christ's mystery)(*17)의 전체를 점점 증가하게(increasingly) 관상한 결과(contemplating), 죄 때문에 상당한 정도에 이르기까지
(to a considerable extent) 잃어버렸던 한 개의 의미인
, 십자가를 통하여 발생한 구속/속량(Redemption)이 사람에게 자신의 품위를 결정적으로 이미 회복시켰음을, 교회는 신앙의 확신 모두와 함께 알고 있습니다" [성 요한 바오로 2세(St. John Paul II, 1920-2005년), "인간의 구속자"(Redemptor Hominis), 제10항] 

 

-----
(*17)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그리스도의 신비"에 공통으로 포함된 세 가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제516항, 제517항, 그리고 제518항의 가르침들로 안내의 졸글/논문[제목: 성 이레네오의 recapitulation 용어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게시일자: 2012-09-08]을 읽을 수 있다. 아무리 바쁘더라도, 제8-1항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54.htm
<----- 필독 권고

 

하느님 편에서의 바로 이러한 행동(action)은 당신의 지혜(wisdom) 및 현명(prudence)을 드러냅니다.

9. Through Christ's redemptive action, God has not only pardoned sin: he has also shown that his salvific plan embraces all history and all creation. This plan, which was revealed in Jesus Christ, St Paul calls "the mystery" of God's will; its revelation is a further divine blessing. The entire mystery embraces the establish-
ment of the Church and the gift of divine filiation (vv. 4-7), the recapitulation of all things in Christ (v. 10),(*18) and the convoking of Jews and Gentiles to form part of the Church (vv. 11-14; cf. 3:4-7). All this has been revealed in Christ, in whom, therefore, God's revelation reaches its climax. Christ "did this by the total fact of his presence and self-manifestation--by words and works, signs and miracles, but above all by his death and glorious resurrection from the dead, and finally by sending the Spirit of truth. He revealed that God is with us, to deliver us from the darkness of sin and death, and to raise us up to eternal life" (Vatican II, "Dei Verbum", 4). 

 

9. 예수님의 구속 행동(redemptive action)을 통하여, 하느님께서 죄를 이미 용서하셨을뿐만이 아니라, 또한 그분께서는 당신의 구원 계획이 모든 역사 및 모든 피조물을 포옹함(embraces)을 이미 보이셨습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드러내어진 바로 이 계획을, 성 바오로는 하느님의 뜻/의지의 "신비"(mystery)이고, 그리고 그것의 계시/드러내어짐(revelation)은 한 개의 그 이상의 축복(a further blessing)이라고 부릅니다. 이 전체 신비는, (i) 유일한 교회(the Church) 및 '신성적 부자(父子) 관계(divine filiation)라는 선물'의 제정(establishment) (제 4-7절들)을, (ii)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사물들의 총귀/총괄복귀(recapitulation)(*18)를 (제 10절), 그리고 (iii) 이 교회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유다인들과 이방인들의 소집(convoking)을 (제11절-제14절; 그리고 3,4-7을 참조하라), 포옹합니다. 바로 이것 모두는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드러내어졌으며, 그분 안에서, 그러므로, 하느님의 계시/드러내심(revelation)는 그 절정에 도달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현존(presence) 및 스스로 분명하게 드러내심(self-manifestation)이라는 전체적 사실(by the total fact)로써 -- 말씀(words)들과 일(works)들, 표징(signs)들과 기적(miracles)들로써, 그러나 무엇보다도 당신의 죽음(death)과 죽은 이들로부터 영광을 발하는 부활(glorious resurrection)로써, 그리고 최종적으로 진리의 영(the Spirit of truth)을 파견하심으로써, 바로 이것[즉, 총귀/총괄복귀(recapitulation)]를 행하셨습니다. 우리들을 죄와 죽음의 어두움으로부터 구하고, 그리고 영원한 생명 쪽으로 우리들을 일으켜 세우고자, 하느님께서 우리들과 함께 계심을, 그분께서 드러내셨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적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4항].

 

-----
(*18) 번역자 주: "새 하와"라는 동정 마리아에 대한 칭호(title)의 신학적 근거인, 2세기의 교부인 리옹의 성 이레네오(St. Irenaeus of Lyons)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해되고 서술되었던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근거인 그의 "recapitulation(총귀/총괄복귀/수렴)"이라는 한 개의 초자연적 개념(a supernatural concept)에 대한  글들은 다음의 주소들에 있으니 필독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capitulation_of_St_Irenaeus.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Eve.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Adam.htm 
-----


The fact that God reveals his plans of salvation is a further proof of his love and mercy, for it enables man to recognize God's infinite wisdom and goodness and to hear his invitation to take part in these plans. As the Second Vatican Council puts it, "It pleased God, in his goodness and wisdom, to reveal himself and to make known the mystery of his will (cf. Eph 1:9). His will was that man should have access to the Father through Christ, the Word made flesh, in the Holy Spirit, and thus become sharers in the divine nature (cf. Eph 2:18; 2 Pet 1:4). By this revelation, then, the invisible God (cf. Col 1:15; 1 Tim 1:17), from the fullness of his love, addresses men as his friends (cf. Ex 33: 11; Jn 15:14f), and moves among them (cf. Bar 3:38), in order to invite and receive them into his own company" ("Dei Verbum", 2). 

 

하느님께서 당신의 구원 계획들을 드러내심이라는 사실은 당신의 사랑과 자비에 대한 한 개의 그 이상의 증명인데, 왜냐하면 이 사실이 사람으로 하여금 하느님의 무한한 지혜와 선하심을 알아차리게 하고 그리하여 이들 계획들의 참여하라는 당신의 초대를 듣는 것을 허락하기 때문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다음과 같이] 이것을 진술하듯이,

 

"당신의 선하심과 지혜 안에서, 당신 자신을 드러내시고 그리고 당신의 뜻/의지의 신비(the mystery of his will)를 알려지게 하는 것은 하느님의 마음에 드시는 일이었습니다(에페소 1,9 참조). 당신의 뜻/의지는 사람이, 성령 안에서, 육이 되신 말씀(Word)이신,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부 쪽으로 접근을 마땅히 가지고, 그리고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신성적 본성(the divine nature)을 함께 나누는 것이었습니다 (에페소 2,18; 2베드로 1,4). 그래서, 바로 이러한 계시에 의하여, 비가시적인 하느님께서(콜로새 1,15; 1티모테오 1,17), 당신 사랑의 충만함으로부터, 당신의 벗들로서 사람들에게, 그들을 닷신의 고유한 동료(company) 안쪽으로 초대하고 또 받아들이기 위하여, 연설을 하시고(addresses) (탈출 33,11; 요한 복음서 15,14 및 이어지는 한 개의 절),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움직이십니다(moves) (바룩 3,38 참조)"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5-1965년),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적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2항].

On the meaning of the word "mystery" in St Paul, see the notes on 1:26, 28; 2:9.(*19)

 

"신비"/奧跡(跡)(오적, 즉, 깊은 흔적)(mystery)라는 단어의 의미에 대하여, 1,26.28; 2,9에 대한 주석들을 보십시오.(*19)


-----
(*19) 번역자 주: 영어로 "mystery"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단어의 우리말 번역 용어인 "신비"라는 번역 용어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s)들은 다음의 글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50.htm 
<----- 필독 권고
-----


10. The "mystery" revealed by God in his love takes shape in a harmonious way, in different stages or moments ("kairoi") as history progresses. The fullness of time came with the Incarnation (cf. Gal 4:4) and it will last until the End. Through the Redemption, Christ has rechannelled history towards God; he rules over all human history in a supernatural way. Not only have God's mysterious plans begun to take effect: they have been revealed to the Church, which God uses to implement these plans. "Already the final age of the world is with us (cf. 1 Cor 10:11) and the renewal of the world is irrevocably under way; it is even now anticipated in a certain real way, for the Church on earth is endowed already with a sanctity that is real though imperfect. However, until there be realized new heavens and a new earth in which justice dwells (cf. 2 Pet 3:13) the pilgrim Church, in its sacraments and institutions, which belong to this present age, carries the mark of this world which will pass, and she herself takes her place among the creatures which groan and travail yet and await the revelation of the sons of God (cf. Rom 8:19-22)" (Vatican II, "Lumen Gentium", 48). 

 

10. 하느님에 의하여 당신의 사랑 안에서 드러내어진 "신비"(mystery)는, 역사가 전진함에 따라, 서로 다른 단계들 혹은 순간들("kairoi")에서,(*20) 어떤 조화로운 방식으로 구체화합니다. 때의 충만함이 강생/육화(Incarnation)과 함께 왔으며 (갈라티아 4,4 참조) 그리고 이것은 종말(the End) 때까지 장차 계속될 것입니다. 구속/속량(Redemption)을 통하여,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 쪽을 향하여 이미 다시 경로를 여셨으며(rechannelled), 그리고  당신께서는 어떤 초자연적인 방식으로 인간의 역사 모두를 지배하십니다(rules over). 하느님의 신비로운 계획들이 효력을 발생하기 시작하였을 뿐만이 아니라, 이 계획들은, 하느님께서 이들 계획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교회에 이미 드러내어졌습니다. 

 

"벌써 이 세상의 마지막 시대는 우리들과 함께 있으며(1코린토 10,11 참조) 그리고 이 세상을 다시 새롭게 함(renewal)은 되돌릴 수 없게 진행 중이며, 그리고 이것은 심지어 지금 어떤 확실한 실제 방식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왜냐하면 지상에 있는 교회에게, 비록 완미하지 않지만(imperfect), 실재하는(real) 어떤 거룩한 의무(sanctity)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 정의(justice)가 거주하는 새 하늘과 하나의 새 땅(new heaven and a new earth)이 실현될 때까지 (2베드로 3,13 참조), 바로 이 현재의 시대에 속하는 순례 교회(the pilgrim Church, 즉, 지상 교회, 전투 교회)는, 그 성사(聖事)[의 표적(sensible signs)](sacraments)들(*21)과 제도(institutions)들 안에, 장차 지나갈 바로 이 세상의 흔적을 지니고 있으며(carries the mark of), 그리고 교회 스스로, 여전히 신음소리를 내며 진통을 겪고 있는 그러나 하느님의 자녀(the sons of God)들이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는(로마 8,19-22), 피조물들 사이에 자신의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 교회에 관한 교의적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제48항].

 

-----
(*20) 번역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여기서의 전후 문맥 안에서, 하느님께서 직접 작용하시는 시점들을 말하는 "kairoi"의 단수형인 그리스어 단어 "kairos"의 의미를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tdnt/kairos.htm
 

 

(*21)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Sacramentum의 애초의 번역 용어는, 성사(聖事)가 아니고, 자구적으로 훨씬 더 정확하게, 성사(聖事)의 적(迹, sensible sign, mystery)이었다" 제목의 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34.htm <----- 필독 권고
-----

The climax of God's pre-creation plan involves "uniting" ("recapitulating") all things in Christ:(*18) Christ is to be the cornerstone and head of all creation. This means that, through his redemptive activity, Christ unites and leads the created world back to God. Its unity had been destroyed as a result of sin, but now Christ binds it together, uniting heavenly things as well as mankind and other earthly things. St John Chrysostom teaches that "since heavenly things and earthly things were torn apart from each other, they had no head [...]. (God) made Christ according to the flesh the sole head of all things, of angels and of men; that is, he provided one single principle for angels and for men [...]; for all things will be perfectly united as they ought to be when they are gathered together under one head, linked by a bond which must come from on high" ("Hom. on Eph, ad loc."). 

 

하느님의 창조이전 계획(pre-creation plan)의 정점은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물들을 "결합함"(uniting) ("총귀/총괄복귀"(recapitulating))(*18)을 수반하며(involve), 그리하여 
그리스도께서 모든 피조물의 초석(cornerstone) 및 머리(head)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다음을 의미합니다, 즉, 그분의 구속하는/속량하는 활동(through his redemptive activity)을 통하여, 그리스도께서는 이 창조된 세상을 되돌려(back) 하느님 쪽으로 결합하고 그리고 인도합니다. 이 세상의 조화/일치(unity)는 죄[즉, 아담과 하와의 원죄]의 한 결과로서 과거에 파괴되었으나, 그러나 이제 그리스도께서, 인류 및 댜른, 땅에 있는, 사물들 뿐만이 아니라 하늘에 있는 사물들을 결합함으로써,  이 세상을 함께 묶습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금구(金口)(St. John Chrisostom)는 다음과 같이 가르칩니다: 

 

"왜냐하면 하늘에 있는 사물들과 땅에 있는 사물들이 서로로부터 과거에 찢어져 분리되었기 때문에, 그들은 머리를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 (하느님께서) 그리스도를 육에 따라 모든 사물들, 천사들 그리고 사람들의 유일한 머리로 삼으셨습니다, 즉, 그분께서 천사들을 위한 그리고 사람들을 위한 하나의 단일한 원리(principle)를 제공하셨는데, 이는 모든 사물들이, 그들이 하나의 머리 아래에서 함께 모아질 때에 높은 데로부터 와야 하는 어떤 끈에 의하여 그들이 당연히 연결되기로 되어 있듯이(ought), 장차 완미하게(perfectly) 결합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금구(金口)(St. John hrisostom, 347-407년), "Hom. on Eph, ad loc."]

 

-----
(*18) 번역자 주: "새 하와"라는 동정 마리아에 대한 칭호(title)의 신학적 근거인, 2세기의 교부인 리옹의 성 이레네오(St. Irenaeus of Lyons)에 의하여 처음으로 이해되고 서술되었던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근거인 그의 "recapitulation(총귀/총괄복귀/수렴)"이라는 한 개의 초자연적 개념(a supernatural concept)에 대한  글들은 다음의 주소들에 있으니 필독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capitulation_of_St_Irenaeus.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Eve.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new_Adam.htm 
-----


Christ's being head of all things -- as will be made manifest at the end of time -- stems from the fact that he is true God and true man, the head and first-born of all creation. By rising from the dead, he has overcome the power of sin and death, and has become Lord of all creation (cf. Acts 2:36; Rom 1:4; Eph 1:19-23); all other things, visible as well as invisible, come under his sway.

 

시간의 끝에 장차 분명하게 드러내어질 것이듯이,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물들의 머리(head)이심은 당신께서 참 하느님이시고 참 사람, 모든 피조물의 머리이시고 맏이이심이라는 사실로부터 유래합니다(stems from). 죽은 이들로부터 일어나심으로써, 당신께서는 죄와 죽음의 힘을 이미 극복하셨고, 그리고 모든 피조물의 주님이 이미 되셨으며(사도행전 2,26; 로마 1,4; 에페소 1,19-23을 참조하라), 그리고 비가시적(invisible)뿐만이 아니라 가시적인(vsible) 다른 사물들 모두는 당신의 지배(sway)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The motto taken by Pius X when he became Pope echoes this idea of Christ's Lordship: "If someone were to ask us for a motto which conveys our purpose we would always reply, 'Reinstating all things in Christ' [...], trying to bring all men to return to divine obedience" ("E supremi apostolatus").

 

비오 10세에 의하여, 그분께서 교황이 되었을 때에, 선택된 표어(motto)는, 다음과 같이, 그리스도께서 주님 되심(Lordship)이라는 바로 이 관념(idea)을 반향합니다: 

 

"어떤 이가 우리들의 목표를 시사(示唆)하는(conveys) 한 개의 표어(a motto)를 요청한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항상 답변할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을 신성적 순종(divine obedience) 쪽으로 되돌아가도록 데려오고자 노력하면서,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물들을 본래대로 회복시키고' [...]" [비오 10세(Pius X, 1835-1914년), "E supremi apostolatus"].

 

"Uniting all things in Christ": this includes putting Christ at the summit of human activities, as the founder of Opus Dei points out: "St Paul gave a motto to the Christians at Ephesus: 'Instaurare omnia in Christo' (Eph 1:10), to fill everything with the spirit of Jesus, placing Christ at the center of everything. 'And I, when I am lifted up from the earth, will draw all things to myself' (Jn 12:32). Through his incarnation, through his work at Nazareth and his preaching and miracles in the land of Judea and Galilee, through his death on the cross, and through his resurrection, Christ is the center of the universe, the first-born and Lord of all creation.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물들을 결합시킵니다": 이것은 그리스도를 인간 활동(human activities)들의 정상(summit)에 둠(putting)을 포함합니다(includes), 오푸스 데이(Opus Dei)의 창시자(founder)가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듯이: 

 

"성 바오로는 에페소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다음과 같은, 한 개의 표어(a motto)를 제시합니다: 모든 것을 그리스도의 영으로 채우기 위하여, 그리스도를 모든 것의 중심(center)에 놓음으로써(placing),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것들을 회복시킵니다' (Instaurare omnia in Christo) (에페소 1,10). '그리고 나는, 내가 이 땅으로부터 들어올려질 때에, 모든 사물들을 나 자신쪽으로 장차 끌어당길 것이다' (요한 12,32). 당신의 강생(incarnation)의 처음부터 끝까지(through), 나자렛(Nazareth)에서 당신의 일(work) 및 유데아(Judea)와 갈릴래아(Galilee)의 땅에서 당신의 설교(preaching)와 기적(miracles)들의 처음부터 끝까지((through), 십자가 위에서 당신의 죽음의 처음부터 끝까지(through), 그리고 당신의 부활(resurrection)의 처음부터 끝까지(through), 그리스도께서는 우주의 중심(center), 모든 피조물의 맏이 및 주님 이십니다(is)".

"Our task as Christians is to proclaim this kingship of Christ, announcing it through what we say and do. Our Lord wants men and women of his own in all walks of life. Some he calls away from society, asking them to give up involvement in the world, so that they remind the rest of us by their example that God exists. To others he entrusts the priestly ministry. But he wants the vast majority to stay right where they are, in all earthly occupations in which they work -- in thefactory, the laboratory, the farm, the trades, the streets of the big cities and the trails of the mountains" ("Christ Is Passing By", 105). 

 

"그리스도인들로서 우리들의 임무(task)는 그리스도의 바로 이 왕 되심(kingship)을, 이것을 우리가 말하고 행하는 바를 통하여 고지함으로써(announcing), 선포하는 (proclaim) 것입니다. 우리의 주님께서는 삶의 모든 걸음걸이(walks)들에서 당신 소유(own)의 사람(men)들과 여자(women)들을 원하십니다. 어떤 이들을 그분께서 사회로부터 멀어지라고 부르시어, 그들에게 이 세상에 개입함을 포기할 것을 요구하심으로써,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은 우리들 중의 나머지에게 그들의 모범(example)으로써 하느님께서 존재하심(God exists)을 상기시킵니다(remind). 다른 이들에게 그분께서 사제 직무(priestly ministry)를 맡기십니다. 그러나 그분께서는 거대한 다수가 그들이 있는 바로 거기에, 그 안에서 그들이 일하는 모든 세속의 직업들에 -- 공장, 실험실, 농장, 소매업들, 대도시들의 거리들 그리고 산들의 오솔길(trails)들에, 머물 것을 원하십니다" [성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St. J. Escriva, 1902-1975년), "Christ Is Passing By", 105].

11-14. The Apostle now contemplates a further divine blessing--the implementation of the "mystery" through the Redemption wrought by Christ: God calls the Jews (vv. 11f) and the Gentiles (v. 13) together, to form a single people (v. 14). Paul first refers to the Jewish people, of which he himself is a member, which is why he uses the term "we" (v. 12). He then speaks of the Gentile Christians and refers to them as "you" (v. 13). 

 

11-14. 이 사도는 한 개의, 그 이상의, 축복(blessing) -- 구속/속량(Redemption)을 통하여 그리스도에 의하여 행해진, 다음과 같은, "신비"(mystery)의 이행(implementation)을 이제 관상합니다(contemplates): 하느님께서 유다인들과(제11절 및 이어지는 한 개의 절) 이방인들(제13절)을 함께 불러 하나의 단일한 백성(a single people) (제14절)을 형성하십니다(form).

11-12. The Jewish people's expectations have been fulfilled in Christ: he has brought the Kingdom of God and the messianic gifts, designed in the first instance for Israel as its inheritance (cf. Mt 4:17; 12:28; Lk 4:16-22). God's intention in selecting Israel was to form a people of his own (cf. Ex 19:5) that would glorify him and proclaim to the nations its hope in a coming Messiah. "God, with loving concern contemplating, and making preparation for, the salvation of the whole human race, in a singular undertaking chose for himself a people to whom he would entrust his promises. By his covenant with Abraham (cf. Gen 15:18) and, through Moses, with the race of Israel (cf. Ex 24:8), he did acquire a people for himself, and to them he revealed himself in words and deeds as the one, true, living God, so that Israel might experience the ways of God with men. Moreover, by listening to the voice of God speaking to them through the prophets, they had steadily to understand his ways more fully and more clearly, and make them more widely known among the nations (cf. Ps 21:28-9; 95:1-3; Is 2:1-4; Jer 3:17)" (Vatican II, "Dei Verbum", 14). 

 

11-12. 유다 백성의 기대들은, 다음과 같이,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구현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을 위하여 첫 번째 사례(instance)에서 그 유산으로서 설계된(designed),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 of God) 및 메시아의 선물(the messianic gifts)들을 그분께서 이미 가져오셨습니다 (마태오 복음서 4,17; 12,28; 루카 복음서 4,16-22를 참조하라). 이스라엘을 선택함에 있어 하느님의 의도/의향(intention)은, 당신에게 영광을 더할(glory) 그리고 도래할 메시아 한분 쪽으로 그 희망을 나라들 쪽으로 선포할(proclaim), 당신 소유의 하나의 백성을 형성하는 것이었습니다 (탈출 19,5 참조)

 

"하느님께서는, 전체 인류의 구원을, 자애로운(loving) 관심과 함께 관상하시면서 (contemplating), 그리고 준비하시면서, 하나의 단일한 일(undertaking) 안에서, 당신 자신을 위하여 그 쪽으로 당신의 약속들을 당신께서 맡기실 한 백성을 선택하셨습니다. 아브라함과 (창세 15,18 참조) 그리고 모세를 통하여, 이스라엘의 종족과(탈출 24,8 참조), 당신의 계약(covenant)에 의하여, 당신께서는 당신을 위한 한 백성(a people)을 획득하셨으며, 그리고 그들 쪽으로 당신께서 말씀들과 행위들 안에서, 한분(one)이시고, 참된(true), 살아계시는(living) 하느님으로서, 당신 자신을 드러내셨는데, 그리하여 그 결과로 이스라엘이 사람(men)들과 함께 하시는(with)하느님의 길(wyas)들을 경험할 수도 있도록(might) 하셨습니다. 더구나, 예언자들을 통하여 그들 쪽으로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음성을 들음으로써, 그들은 당신의 길들을 더 충만하게 그리고 더 분명하게 점진적으로 이해하여야 하였고(had to), 그리고 나라들 사이에서 자신들을 더 널리 알려지게 하여야 하였습니다 (시편 21,28-29; 95,1-3; 이사야 2,1-4; 예레미야 3,17을 참조하라)"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적 헌장, "하느님의 말씀"(Dei Verbum), 제14항].

St Paul emphasizes that even before the coming of our Lord Jesus Christ, the just of the Old Testament acted in line with their belief in the promised Messiah (cf. Gal 3:11; Rom 1:17); not only did they look forward to his coming but their hope was nourished by faith in Christ as a result of their acceptance of God's promise. As later examples of this same faith we might mention Zechariah and Elizabeth; Simeon and Anna; and, above all, St Joseph. St Joseph's faith was "full, confident, complete", Monsignor Escriva comments. "It expressed itself in an effective dedication to the will of God and an intelligent obedience. With faith went love. His faith nurtured his love of God, who was fulfilling the promises made to Abraham, Jacob and Moses, and his affection for Mary his wife and his fatherly affection for Jesus. This faith, hope and love would further the great mission which God was beginning in the world through, among others, a carpenter in Galilee--the redemption of mankind" ("Christ Is Passing By", 42). 

 

성 바오로는, 심지어 우리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 이전에, 구약 성경의 의로운 자들이 약속된 메시아 쪽으로 자신들의 믿음(belief in)과 조화 안에서 행동하였음을, 그리고 당신의 오심을 그들이 기대하였을 뿐만이 아니라, 하느님의 약속을 그들이 받아들임의 한 결과로서 그리스도 쪽으로 믿음(faith in)에 의하여 그들의 희망(hope)은 자라나게 되었음을(was nourished), 강조합니다 (갈라티아 3,11; 로마 1,17을 참조하라). 바로 이 동일한 믿음(faith)의 이후의 모범들로서, 우리는 [세레자 요한의 부모들인] 즈카르야와 엘리자벳을, 시메온과 안나를, 그리고 무엇보다도 먼저, 성 요셉(St. Joseph)을 언급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 몬시뇰(Monsignor Escriva)께서는 다음과 같이 주석합니다: 


성 요셉의 믿음은 "충만하고(full), 확신에 차 있으며(confident), 완전합니다(complete).  그의 믿음은, 하느님의 뜻/의지(will) 쪽으로 어떤 효과적인 헌신(dedication) 및 어떤 지성적인 순종(obedience) 안에서, 그 자체를 표현하였습니다. 믿음(faith)과 함께 사랑(love)이 왔습니다. 그의 믿음은, 아브라함, 야곱 그리고 모세에게 하셨던 약속들을 구현하는 중이셨던, 하느님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그리고 그의 아내인 마리아에 대한 자신의 애정(affection)을, 그리고 예수님에 대한 자신의 부성애(fatherly affection)를 양육하였습니다(nurtured). 바로 이 믿음, 희망 그리고 사랑[즉, 향주삼덕들인 신덕(faith), 망덕(hope), 그리고 애덕(charity)]은, 다른 이들 사이에서, 갈릴래아 지역에서 한 명의 목수(a carpenter, 즉 예수님)를 통하여 하느님께서 이 세상에 시작하셨던 커다란 사명(mission) -- 인류의 구속/속량(redemption)을, 장차 촉진할 것입니다(further)" [성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St. J. Escriva, 1902-1975년), "Christ Is Passing By", 42].

13-14. If St Paul recognizes the magnificence of God's saving plan in the fulfillment, through Jesus, of the ancient promises to the Jews, he is even more awed by the fact that the Gentiles are being called to share in God's largesse. This call of the Gentiles is, as it were, a further blessing from God. 

 

성 바오로가, 유다인들 쪽으로 하셨던 옛 약속들의 충만함(fulfillment) 안에 있는 하느님의 구하시는 계획(saving plan)의 장대함(magnificence)을, 예수님을 통하여, 알아차렸다면, 그는 이방인(the Gentiles)들이 하느님의 아낌없이 주어지는 선물(largesse)을 함께 나누도록 부름을 받고 있다는 사실에 의하여 심지어 더 경외심을 나타내게 됩니다(is awed). 이방인들에 대한 바로 이 부르심(call)은, 말하자면, 하느님으로부터 한 개의 그 이상의 축복(a further blessing)입니다.

It is through the preaching of the Gospel that the Gentiles come to form part of the Church: faith coming initially through hearing the word of God (cf. Rom 10:17). Once a person has accepted that word, God seals the believer with the promised Holy Spirit (cf. Gal 3:14); this seal is the pledge or guarantee of divine inheritance and proves that we have been accepted by God, incorporated into his Church, and given access to that salvation which had previously been reserved to Israel. Here we can see a parallelism between the "seal" of circumcision which made the Old Covenant believer a member of the people of Israel, and the "seal" of the Holy Spirit in Baptism which, in the New Testament, makes people members of the Church (Rom 4:22; 2 Cor 1:22; Eph 4:30). The "efficient cause" of our justification is "the merciful God, who freely washes and sanctifies (cf. 1 Cor 6:11), sealing and anointing with the Holy Spirit of the promise, who is the pledge of our inheritance" (Council of Trent, "De Justificatione", chap. 7). 

 

이방인들이 교회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오는 것은, 다음과 같이, 바로 복음의 설교(peaching)를 통하여서 입니다: 믿음은 하느님의 말씀을 들음을 통하여 초기에(initially) 온다 (로마 10,17 참조). 일단 한 인격(a person)이 바로 이 말씀을 받아들이고 나면, 하느님께서 이 믿는 자를 약속된 성령으로써 봉인하며 (갈라티아 3,14 참조), 그리고 바로 이 봉인이 신성적 유산(divine inheritance)에 대한 증거(pledge) 혹은 보증(guarantee)이며 그리고 우리가 하느님에 의하여 이미 받아들여젔음을, 당신의 교회 안쪽으로 이미 통합되었음( incorporated)을, 그리고 이스라엘에게 이전에 이미 유보되어 있던(reserved) 바로 그 구원(salvation) 쪽으로 이미 접근하였음을, 증명합니다(proves). 여기서 우리는, 옛 계약 믿는 자를 이스라엘 백성의 한 구성원으로 만들었던, 할례(circumcision)의 "봉인"(seal)과 그리고, 신약 성경에서, 사람들을 교회의 구성원들로 만들었던(로마 4,22; 2코린토 1,22; 에페소 4,30), 성령의 "봉인" 사이에 있는 어떤 평행(a parallelism)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들의 의화(justification)라는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the efficient cause)은 "자비로 가득한 하느님"(the merciful God)이신데, 그분께서는, 우리들의 유산에 대한 증거(pledge)이신, 약속의 성령으로써 봉인하시고 그리고 기름을 부으심으로써, 자유롭게 씼으시고 그리고 신성하게 하십니다(sanctifies)(1코린토 6,11)" [트리엔트 공의회(Council of Trent, 1545-1563년), "De Justificatione", chap. 제7항]

A seal or pledge was the mark used in business to betoken or guarantee future payment of the agreed price in full. In this case it represents a firm commitment on God's part, to grant the believer full and permanent possession of eternal blessedness, an anticipation of which is given at Baptism and thereafter (cf. 2 Cor 1:22; 5:5). Through Christ, St Basil comments, "Paradise is restored to us; we are enabled to ascend to the kingdom of heaven; we are given back our adoption as sons, our confidence to call God himself our Father; we become partakers of Christ's grace, and are called children of light; we are enabled to share in the glory of heaven, to be enveloped in a plenitude of blessings both in this world and in the world to come [...]. If this be the promise, what will the final outcome not be? If this, the beginning, is so wonderful, what will the final consummation not be?" ("De Spiritu Sancto", 15, 36). 

 

한 개의 봉인(seal) 혹은 증거(pledge)는, 동의하게 된 가격을 전액으로(in full) 미래에 지불할 것을 나타내거나(betoken) 혹은 보증하는(guarantee), 거래(business)에서 사용된 표시(mark)였습니다. 바로 이 경우에 그것은 믿는 이에게, 그것에 대한 어떤 기대가 세례(Baptism)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 주어지는 (2코린토 1,22; 5,5 참조), 영원한 복받음(blessedness)의 충만하고 항구적인 소유를 허락하는, 하느님 측에서의 어떤 확고한 헌신(commmitment)을 나타냅니다.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 바실리오(St Basil)는 다음과 같이 주석합니다:

 

"낙원(paradise)이 우리들에게 회복되고, 그리고 우리는 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에 오르는 것이 허락되며, 그리고 우리가, 아들들로서 우리들의 입양(adoption)을, 하느님 당신 자신을 우리들의 성부(Father)라고 부르는 확신을, 되돌려 받게 되고, 그리고 우리가 하늘의 영광(the glory of heaven)을 함께 나누는 것이, 바로 이 세상 및 오게 될 세상에 둘 다에서 축복(blessings)들의 풍부함(plenitude)으로 싸여지게 됨이, 허락됩니다 [...]. 이것이 약속이라면, 있지 않을 최종 결과가 장차 무엇일까요? 바로 이 시작이 이렇게도 경이로우면(wonderful), 있지 않을 최종 달성(consummation)이 장차 무엇일까요?" [성 바실리오 대 (St Basil the great, 329-379년), "De Spiritu Sancto", 15, 36].

The gift of the Holy Spirit, who, through faith, dwells in the soul of the Christian in grace, represents, in this last stanza of the hymn, the high point in the implementation of God's salvific plan. The Holy Spirit, who gathered together the Church at Pentecost (cf. Acts 2: 14), continues to guide and inspire the apostolate of the members of the new people of God down through the centuries. The Magisterium of the Church reminds us that "throughout the ages the Holy Spirit makes the entire Church 'one in communion and ministry; and provides her with different hierarchical and charismatic gifts' ("Lumen Gentium", 4), giving life to ecclesiastical structures, being as it were their soul, and inspiring in the hearts of the faithful that same spirit of mission which impelled Christ himself. He even at times visibly anticipates apostolic action, just as in various ways he unceasingly accompanies and directs it" (Vatican II, "Ad Gentes", 4). 

 

믿음을 통하여, 은총(grace)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의 영혼 안에 거주하시는, 성령의 선물은, 이 찬미가의 바로 이 마지막 연(聯, stanza)에서, 하느님의 구하시는 계획(God's salvifit plan)의 절정(high point)을 나타냅니다. 오순절(Pentecost)에 교회를 규합하셨던(gathered together) 성령께서는, 세기들을 통하여 아래로, 하느님의 이 새 백성의 구성원들의 사도의 지위(apostolate)를 인도하고 그리고 자극함(inspire)을 계속하십니다. 교회의 교도권(Magisterium)은 우리들에게 다음을 상기시킵니다:

 

"시대들을 통하여 성령께서 천제 교회로 하여금 '통공/하나됨(communion) 및 사목(ministry)에 있어 하나로 만드시고, 그리고, 교회에게, 서로 다른, 교계 제도적(hierarchical) 및 은사적(charismatic) 선물(gifts)들을 제공하는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적 헌장,"인류의 빛"(Lumen Gentium", 제4항]


그리하여 그 결과로, 교회의 구조들에 생명(life)을 주시고, 말하자면(as it were) 이 구조들의 영혼(soul)이 되시며, 그리고, 열심 신자들의 심장(hearts)들 안에 있는, 그리스도 당신 자신에 의하여 추진된(impelled) 사명(mission)의 바로 그 동일한 정신(spirit)을 자극합니다. 당신께서는, 다양한 방식들로 당신께서 끊임 없이 이 정신에 동반하시고(accompanies) 그리고 이 정신을 지도하시는(directs) 것과 꼭 마찬가지로,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행동(apostolic action)을 때때로(at times) 가시적으로 기대하십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Vatican II, 1962-1965년), 교회의 선교 활동에 관한 교령, "만민들에게"(Ad Gentes), 제4항].

God has acquired his new people at the cost of his Son's blood. This people made up of believers in Christ has replaced the people of the Old Testament, regardless of background. As the Second Vatican Council puts it, "As Israel according to the flesh which wandered in the desert was already called the Church of God (cf. 2 Ezra 13:1; Num 20:4; Deut23:1ff), so too, the new Israel, which advances in this present era in search of a future and permanent city (cf. Heb 13:14), is called also the Church of Christ (cf. Mt 16:18). It is Christ indeed who has purchased it with his own blood (cf. Acts 20:28); he has filled it with his spirit; he has provided means adapted to its visible and social union. All those who in faith look towards Jesus, the author of salvation and the principle of unity and peace, God has gathered together and established as the Church, that it may be for each and every one the visible sacrament of this saving unity" ("Lumen Gentium", 9).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아드님의 피(blood)라는 대가(cost)를 치르면서 당신의 새 백성을 이미 획득하셨습니다. 그리스도 쪽으로 믿는 자(believers in Christ)들로 구성된 바로 이 백성은, 배경과 무관하게, 옛 계약의 백성을 이미 대체하였습니다(has replaced).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다음과 같이 그것을 설명하듯이:

 

"육에 따라서, 광야에서 방황하였던 이스라엘은 하느님의 교회(the Church of God)라고 이미 불렸습니다 (2에즈라 13,1; 민수 20,4; 신명 23,1과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을 참조하라), 또한 마찬가지로, 한 개의 미래의 및 영구한(permanent) 도성(city)의 추구에 있는(히브리 13,14 참조) 바로 이 현재의 시대 안에서 앞쪽으로 전진하고 있는, 이 새 이스라엘은 또한 그리스도의 교회(the Church of Christ)라고 불립니다 (마태오 복음서 20,28 참조). 자신의 고유한 피로써 이 교회를 이미 취득한 분은 정말로 그리스도이시고 (사도행전 20,28 참조), 그리고 당신께서는 이 교회를 당신의 영으로 이미 채우셨으며, 그리고 당신께서는, 그 가시적이고 그리고 사회적인 결합(union) 쪽으로 적합하게 된(adapted to), 수단들을 이미 제공하셨습니다. 믿음 안에서, 구원의 주관자(author)이시고 그리고 일치(unity)와 평화/화목의 원리(principle)이신, 예수님을 기다리고 있는 자들 모두를, 하느님께서 이미 함께 모으셨고 그리고 교회로서 이미 제정하셨는데, 그 결과로(that) 이 교회가 각자와 모든 이를 위하여 바로 이 구하는 단일체(saving unity)의, 가시적인, 성사(聖事, 하느님의 일, opus Dei)[의 표적(sensible sign)](sacrament)이 될 수도 있도록 하셨습니다(may)" [제2차 바티칸 공의회(Vatican II, 1962-1965년), 교회에 관한 교의적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제9항]. 

(이상, 발췌 끝)

 

1-4.


작성 중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29.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69.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05.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demption_objective_vs_subjective.htm <----- 필독 권고

 

 

2. 유관 자료 분석

 

http://ch.catholic.or.kr/pundang/4/cb/전례력/트리엔트_전례력_used_in_1949년.htm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58&chap=9&sec=28&submit=%E6%9F%A5%C2%A0%E8%A9%A2 

 

https://bible.fhl.net/new/ob.php?book=all&chineses=23&chap=53&sec=11&submit=%E6%9F%A5%C2%A0%E8%A9%A2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15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