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북한관련

외고·자사고 보낼 수 있는 조건은?

인쇄

박정식 [senal] 쪽지 캡슐

2009-05-17 ㅣ No.9364

민사고 고소득층 비율 실업계 24배

“대한민국은 교육 통한 계급상속사회”


외고생 아버지의 상위직 비율은 44.7%, 중위직은 40.2%로 중상위직 비율이 84.9%에 달했다. 반면 일반고의 상위직 비율은 13.1%, 실업계고의 상위직 비율은 3.7%에 불과했다. 외고와 실업계고의 상위직 비율 차이가 12배 가량 난 것이다. 특히 민족사관고의 경우 상위직 비율이 87.8%에 달해 실업계고 상위직 평균 비율과 비교해 24배의 차이를 보였다.


자립형 사립고생 아버지 직업의 상위직 비율은 50.3%(조사에 응하지 않은 광양제철고와 특수한 경우인 포항제출고 제외)로 외고에 비해서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민족사관고는 상위직 비율이 87.8%로 고소득층 학생이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됐다.


외고·자사고의 상위직 비율은 학년이 낮아질 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3년간 외고·자사고생의 고소득층 비율이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또 외고 부모의 상위직, 전업주부 비율이 높은 현상과 학년이 낮을수록 그 비율이 더 높아지는 추세는 수도권이 전국에 비해 확연히 높았다. 수도권 지역 외고의 고소득층 비율과 화이트칼라 비율은 전국 평균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등록금 및 수익자부담 교육비 금액은 서울지역 외고의 경우 6백51만원이었다. 반면 인근 일반계고는 2백만원, 실업계고는 1백35만원이었다. 사교육비 등을 제외하고도 훨씬 더 많은 교육비를 지출해야 외고에 자녀를 보낼 수 있는 현실을 극명히 보여주는 것이다.


권영길 의원은 “같은 생활권 안의 외고와 일반계고, 실업계고 학생들의 부모 소득수준이 너무 격차가 크다”며 “이번 조사결과를 보면 대한민국이 계급상속사회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명박 정부와 일부 지자체장, 시도교육감들이 특목고와 자사고 중심의 교육정책을 계속 추진하는 한 서민과 저소득층 가정의 자녀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교육받을 권리는 제대로 보장받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22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