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 덕(Virtue)의 의미 [교리학습_덕] 969_토미즘학습 [_불가지론] jan_ free_will

인쇄

. [122.128.41.*]

2010-11-03 ㅣ No.970

 
 
 

The Meaning of Virtue in St. Thomas Aquinas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있어 덕(Virtue)의 의미
 
by Fr. John A. Hardon, S.J.
 
 
Until modern times the relationship of morals to religion was taken for granted, and writers as far different in philosophy as Plato and Avicenna, or in theology as Aquinas and Luther, never questioned the basic truth expressed on Mt. Sinai when Yahweh gave the Jews the Decalogue, the first precepts of which were to honor God as a foundation for the secondary precepts of the moral law.
 
근대 시기들에 이르기까지 윤리학(morals)의 종교(religion)에 대한 관계는 당연하다고 생각되었으며, 그리고 철학에 있어 플라톤(Plato)아비첸나(Avicenna) 같이, 혹은 신학에 있어 아퀴나스(Aquinas)루터(Luther) 같이 크게 다른 저술가들에 이르기까지 시나이 산(Mt. Sinai)에서 하느님께서 유다인(the Jews)들에게, 윤리법(moral law)이라는 그 두 번째 주된 규범(secondary precepts)들을 위한 기초로서 하느님을 공경하라는 것이 그 첫 번째 주된 규범(primary precepts)들인, 십계명(the Decalogue)을 주실 때에 표현된 근본 진리(the basic truth)에 대하여 전혀 이의를 제기하지 하지(questioned) 않았습니다.
 
But something new has entered the stream of human thought, the concept of man’s autonomy that wishes to dispense with religion in its bearing on morals, on the grounds that the very notion of religious values is only a mental construct. Whatever bearing they may have on ethical principles, it is not as though the concept of God was a necessary condition for being moral in the current, accepted sense of the term.
 
그러나 종교적 가치(religious values)들로 이루어진 바로 그 관념(notion)이 단지 하나의 정신적 구성물(a mental construct)일뿐이라는 핑계에 근거하여(on the grounds that), 윤리학에 그 영향을 주는 종교(religion)를 필요 없게 하는(dispense with) 것을 바라는(wishes), 사람의 자율(man's autonomy)이라는 개념(concept)인, 새로운 어떤 것이 인간의 사고의 흐름 속으로 이미 들어왔습니다. 윤리적 원리(ethical principles)들에 그들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이든지간에, 현재의, 받아들여진 이 용어의 어의(sense)에 있어, 그것이 마치 하느님이라는 개념이 윤리적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었던 것처럼은 아닙니다.
 
When Julian Huxley boldly proclaimed that he knew nothing of a personal Deity be he Yahweh, or Allah, or Apollo, he was saying more than meets the eye. “I am not merely agnostic on the subject,” he insisted. “I disbelieve in a personal God in any sense in which that phrase is ordinarily used.” [1] His protest was born of a conviction that the practical effect of theism is to stultify human effort. Where the fifth century monk Pelagius denied the existence of grace because he felt this encouraged lazy dependence on supernatural aid, latter day critics of religion would remove the existence of God for the same reason except that their Pelagianism is more complete, perhaps because their confidence in Man is so extreme.
 
줄리안 헉슬리(Julian Huxley, 1887-1975년, 번역자 주: 그는 진화 생물학자였다)가 자신은 인격적 신(a personal Deity)이 남성인(he) 하느님(Yahweh), 알라(Allah), 혹은 아폴로(Apollo)라는 데에 대하여 아무 것도 모른다고 대담하게 선언하였을 때에, 그는 나는 이 주제에 대하여 단지 불가지론적인(agnostic) 것이 아니다” 라고 눈에 띄는 것보다 더 말하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그는 “나는 인격적 하느님에 대하여, 바로 이 표현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의미에 있어서도 믿지 않는다 라고 주장하였던 것입니다.[1] 그의 항의(protest)는 인격신론(人格神論, theism)의 실천적 결과(the practical effect)가 인간의 노력을 무의미하게 한다는 확신(conviction)으로부터 유래하였습니다. 5세기의 수사(monk, 修士)인 펠라지우스(Pelagius)가, 은총의 존재(existence)가 초자연적 도움에의 나태한 의존(lazy dependence)을 장려한다고 그가 느꼈기 때문에, 은총의 존재를 부인하였던 바로 그 입장에서(where), 종교(religion)에 대한 나중의 시대의 비판자들은, 아마도 사람(Man)에 대한 그들의 신뢰(confidence)가 대단히 극단적이기에, 자신들의 펠라지우스주의(Pelagianism)가 더 완전하다는 것 말고는, 꼭 같은 이유로 하느님의 존재를 제거할 것입니다.
 

Aristotle and Aquinas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
 
To illustrate and examine the relation of religion and morality, I have chosen Thomas Aquinas, the thirteenth century theologian whose principles were the standard of ethical teaching up to the Reformation and since then have become fundamental in Christian moral theology. Since Aquinas depended so heavily on Aristotle, it will pay to review the Aristotelian position on ethics, see its religious dimension, and then study Aquinas somewhat in depth by way of contrast with Aristotle — as the mainstay of an ethical system which believes that God and religious values are primary, and that true goodness is to be measured in terms of an ultimate finality, reasoned by man’s natural intellection but fully possessed only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faith.
 
종교(religion)와 윤리(morality)의 관계를 조명하고 조사하기 위하여, 저는 13세기 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년)를 선택하였는데, 그의 원리(principles)들은 (16세기의) 교회 쇄신(the Reformation)에 이르기까지 윤리 교육(ethical teaching)의 표준(standard)이었으며 그리고 그 이후로는 그리스도교 윤리 신학(Christian moral theology)의 기초가 되었습니다(have became fundamental). 아퀴나스아리스토텔레스에 대단히 심하게 의존하기에, 윤리학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을 복습하고(review), 그 종교적 양상(religious dimension)을 살펴보며, 그리고 그런 다음에 아리스토텔레스와의 대조의 방식으로써 - 하느님과 종교적 가치들이 제1차적(primary)임을 믿는(believes), 그리고 참된 선함(true goodness)이, 사람의 자연적인 지적 작용(natural intellection)에 의하여 사유되나(reasoned) 그러나 오직 그리스도교의 믿음(Christian faith)에 근거하여서만이 충분히 획득하게 되는, 궁극적 최종(an ultimate finality)의 견지에서(in terms of) 측정될 것임을 믿는(believes) 하나의 윤리 체계(an ethical system)의 버팀줄(mainstay)로서(as) - 아퀴나스를 어느 정도 깊이 있게 학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it will pay to).
 
The broad outline of Aristotle’s teaching is found in the Nichomachean and Eudemian Ethics, where he writes at great length of the human good. The good for man, according to Aristotle, is an active use or exercise of those faculties which are distinctively human, that is, the powers of mind and will, as distinct from the lower faculties of feeling, nutrition and growth.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에 대한 폭넓은 윤곽은 NichomacheanEudemian Ethics에서 발견되는데, 거기서 그는 인간의 선(human good)에 대하여 대단히 길게 저술하였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사람을 위한 (the good for man)은, 독특하게 인간적인 바로 그 능력(faculties)들의, 즉, 감정(feelings)들, 영양 섭취(nutrition) 그리고 성장(growth)으로 이루어진 하급의 능력(the lower faculties)들과는 다른 것으로서, 마음과 의지(mind and will)의 힘(powers)들의, 능동적인 사용 혹은 행사(an active use or exercise)를 말합니다.
 
Human excellence thus defined shows itself in two forms: the habitual subordination of the senses and lower tendencies to rational rule and principle, and in the exercise of reason in the search for the contemplation of truth. The former kind of excellence is described as moral, the latter as intellectual virtue.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정의된(defined) 인간의 탁월(human excellence)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형상(forms)들로 그 자체를 나타냅니다: 감각(senses)들과 하급의 경향(lower tendencies)들이성적 규칙과 원리(rational rule and principle)에 습관적으로 종속시킴(habitual subordination), 그리고 진리에 대한 관상(contemplation)를 위한 탐구에 있어 이성의 사용(the exercise of reason)으로. 전자의 종류의 우수성은 ‘윤리덕(moral virtue, 倫理德)’으로서 말로 설명되고(is described), 후자의 종류의 우수성은 ‘지성덕(intellectual virtue, 智德, 지덕)’으로서 말로 설명됩니다. 
 
A well-known feature of Aristotle’s ethics which deeply influenced Aquinas is the theory that each of the moral virtues is a mean between excess and defect; thus courage is a mean between cowardice and rashness, and liberality is a mean between stinginess and prodigality.
 
아퀴나스에게 깊이 영향을 끼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Aristotle’s ethics)의 잘 알려진 특징은 윤리덕들 각자가 지나침과 결여(excess and defect) 사이의 중용(a mean, 中庸)이라는 이론(theory)이며, 따라서 용기(courage)는 비겁(cowardice)과 경솔(rashness) 사이의 중용이며, 그리고 너그러움(liberality)은 인색(stinginess)과 낭비(prodigality) 사이의 중용입니다.
 
In the Politics, Aristotle sets forth the importance of the political community as the source and sustainer of the typically human life. But for Aristotle the highest good for man is found not in the political life, nor even in the performance of the moral virtues as such. The highest good consists in the theoretical inquiry and contemplation of truth. This alone, he says, brings continuous and complete happiness because it is the activity of the highest part of man’s complete nature, and of that part which is least dependent on externals, namely the intellect of intuitive reason. Therefore, through contemplation of the first principles of knowledge and being man participates in that activity of pure thought which constitutes the eternal perfection of the divine nature, which is God.
 
Politics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전형적인 인간의 삶의 원천 및 떠받치는 것(the source and sustainer)으로서 정치적 공동체(political community)의 중요성을 말합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사람을 위한 최고의 선(the highest good)이 정치적 삶 안에 발견되지 않으며, 심지어 그러한 윤리덕들의 실천에서도 또한 발견되지 않습니다. 최고의 선은 진리에 대한 이론적 탐구 및 관상(inquiry and contemplation)을 그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consists in). 그는, 그것이 사람의 완전한 본성에 있어서의 최고의 부분의 활동이기 때문에, 그리고 외형(externals)들, 즉 직관적 사유에 의한 지성(the intellect of intuitive reason, nous, 直權智, 이해, 오성, understanding)에 가장 적게 의존하는 바로 그 부분의 활동이기 때문에, 오직 이러한 이론적인 탐구 및 관상만이 계속적이며 그리고 완전한 행복(complete happiness)을 가져다준다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지식과 있음(유, 有)(knowledge and being)에 대한 제1원리(the first principles)들에 대한 관상를 통하여 사람은, 하느님을 말하는, 신성적 본성(the divine nature)의 영원한 완미(完美)(the eternal perfection)를 구성하는, 바로 그 순수한 사고의 활동에 참여하게 됩니다.
 
In Thomas Aquinas, much of the structure of Aristotle and a great deal of his insight are retained, to the point that a superficial reader might suspect that Aquinas merely baptized the Stagirite or put Aristotelian concepts into a Christian mold. Actually the change from one to the other was radical and a correct understanding of Christian morality must take this mutation into account.
 
토마스 아퀴나스에 있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structure)의 거의 대부분 및 그의 통찰(insight)의 상당한 양은, 피상적인 독자(a superficial reader)가 아퀴나스가 이 스타기라 사람(the Stagirite, 즉 스타기라 지역 출신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단지 세례를 베풀었거나 혹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들을 그리스도교의 틀(Christian mold)에 주입하였다고 의심할(suspect) 수 있는 점에 이르기까지, 존속됩니다(are retained). 실제로는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의 변화가 철저하였기에(was radical) 그리하여 그리스도교의 윤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다음과 같은 변형(mutation)을 고려하여야만 합니다.
 
Aquinas believed what Aristotle never dreamed: that man is more than a composite of body and soul, that he is nothing less than elevated to a supernatural order which participates, as far as a creature can, in the very nature of God. Accordingly, a person in the state of grace, or divine friendship, possesses certain enduring powers, the infused virtues and gifts, that raise him to an orbit of existence as far above nature as heaven is above earth, and that give him abilities of thought and operation that are literally born, “not of the will of the flesh, nor of the will of man, but of God.” Nowhere else does the true character of the supernatural appear more evident than in the endowments of infused virtue which some people possess and others do not, and that make some capable of spiritual actions which others cannot perform.
 
아퀴나스는 다음과 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혀 꿈꾸지도 못하였던 바를 믿었습니다(believed): 사람이 몸과 영혼의 합성물(a composite)보다 더한 것임을 믿었으며, 어떤 피조물이 할 수 있는 한, 하느님의 바로 그 본성에 참여하는, 초자연적 질서(a supernatural order)로 사람이 참으로(nothing less than) 들어 올려짐을 믿었습니다. 이에 따라서, 은총의 지위(the stage of grace)에 있는, 혹은 신성적 우의의 상태(divine friendship)에 있는 자는 분명한(certain) 영속적인 힘(enduring powers)들인, 주입되는 덕(infused virtues, 注賦德, 주부덕)들과 주입되는 선물(gifts)들을 소유하는데, 이 덕들과 선물들은, 하늘이 땅 위에 있는 만큼이나 자연 훨씬 위에 있는 존재의 어떤 궤도(an orbit of existence)로 그를 들어 올리며, 그리고 “육(the flesh)의 의지로부터가 아니고, 또한 사람의 의지로부터도 아니며, 오로지 하느님의 의지로부터” 글자 그대로 유래하는 사유와 작용(thought and operation)의 능력(abilities)들을 그에게 부여합니다. 다른 곳 어디에서도 초자연적 작용(the supernatural)의 참된 특징이, 어떤 이들은 소유하고 있으나 다른 이들은 소유하지 못한, 그리하여 다른 이들이 실행할 수 없는 영적인 행동들을 어떤 이들에게 허락하는, 주입되는 덕(주부덕)의 부여(endowments)들에 있어서보다 더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In the Thomistic system, the soul is the substantial form of the body, which gives man all that is properly human and places him essentially into the natural order; sanctifying grace or justification, by analogy, is the accidental form of the soul, which gives the same man all that is properly divine and puts him habitually into the family of God. Comparing the two with each other, the soul is the foundation of natural existence, as sanctifying grace is the principle of supernatural life.
 
토미스트 체계(Thomistic system, 즉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체계)에 있어, 영혼(the soul)은 몸(the body)의 본체적 형상(the substantial form)인데, 이것은 사람에게 고유하게 인간적인(properly human) 모든 것을 제공하여 그리하여 그를 자연의 순서(the natural order) 안에 본질적으로(essentially) 배치하며(places),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 혹은 의화(justification)는, 유비에 의하여(by analogy), 영혼의 부수적 형상(the accidental form of the soul)인데, 이 은총은 이 동일한 사람에게 고유하게 신성적인(properly divine) 모든 것을 제공하여 그리하여 그를 하느님의 가족 안에 습관적으로(habitually) 배치합니다. 이들 둘을 서로 서로 비교한다면, 성화 은총이 초자연적 삶의 원리(principle)인 만큼(as), 영혼은 자연적 존재(natural existence)의 기초(foundation)입니다.
 
Yet we know that the soul is not all we have in the body, that the soul itself has powers through which it operates and by which it gives expression to its rational nature. Even so, by a divine consistency, the “soul of the soul,” as sanctifying grace has been called, must have channels for the deiform life that God confers on the just. They are the virtues, theological and moral,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purposes; not unlike the native abilities through which mind and will come into contact with us.
 
그러나 우리는 영혼이, 몸 안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전부가 아님을 알고 있으며, 영혼 그 자체가 힘(powers)들을 가지고 있어, 이것들을 통하여 영혼이 작용하며 그리고 이것들에 의하여 영혼이 그 이성적 본성(its rational nature)을 나타냄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비록 그렇다고 하더라도, 어떤 신성적 일관성(a divine consistency)에 의하여, 성화 은총이 그렇게 불리어 왔듯이, “영혼의 영혼(the soul of the soul)”은 의로운 자들에게 하느님께서 베푸시는 신과 같은 삶(deiform life)을 위한 매개(channels, 媒介, 전달을 도와주는 수단)들을 가져야만 합니다. 이 매개들이 바로, 그들 각각의 목적/의도(purposes)들에 따른, 향주덕(theological virtues, 대신덕)들 및 윤리덕(moral virtues)들인데, 이들은, 그들을 통하여 마음과 의지가 우리와 접촉하는, 소박한 능력(naive abilities)들과 닮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not unlike).
 
 
Theological Virtues
향주덕들 (대신덕들)
 
Etymologically, Aquinas derived “virtue” from the same root as the Latin vir (man) and vis (power), suggesting that in its primitive sense virtue implied the possession of such masculine qualities as strength and courage and, in the moral order, of goodness and human perfection.
 
어원적으로, 아퀴나스는 “덕(virtue)”을 라틴어 vir(man, 사람) 및 vis(power, 힘)의 어근과 동일한 어근으로부터 도출하였는데, 이 어근은, 그 원어의 어의(primitive sense)에 있어 덕이 굳셈(strength) 및 용기(courage)와 같은 남성의 성질(masculine qualities)들의 소유를 의미하였으며 그리고, 윤리적 질서(moral order)에 있어, 선함(goodness) 및 인간적 완미(完美)(human perfection)의 소유를 의미하였음을, 암시하였습니다.
 
The Scriptures have several equivalents for the Vulgate virtus, notably ischus (strength or power), dunamis (might), and arethe (moral excellence or perfection). In the Hebrew Old Testament there is no specific word for virtue, but in the Septuagint arethe is used in the books written originally in Greek to mean moral goodness or a particular moral quality. [2] In the New Testament the Greek word for virtue is used only five times; twice to describe the powers of God, and twice meaning moral vigor and only once of moral virtue in particular. [3]
 
성경은 불가테(Vulgate) 라틴어 성경virtus에 대한 여러 개의 등가 어구(equivalents)들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는 특히 ischus[굳셈(strength) 혹은 힘(power)], dunamis[전능(might)], 그리고 arethe[윤리적 탁월 혹은 완미(完美)(moral excellence or perfection)]가 있습니다. 히브리어 구약 성경에 있어 덕(virtue)을 나타내는 특별한 단어는 없으나, 그러나 칠십인 역 그리스어 성경에 있어 arethe가 윤리적 선함 혹은 특별한 윤리적 성질을 뜻하기 위하여 애초에 그리스어로 저술된 책들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신약 성경에 있어 을 나타내는 이 단어는 오로지 다섯 번 사용되고 있는데, 하느님의 힘(powers)들을 묘사하기 위하여 두 번, 그리고 윤리적 활력(moral vigor)을 뜻하는 두 번 그리고 특히 윤리덕(moral virtue)에 대하여 오직 한 번뿐입니다. [3]
 
In the patristic period, theological virtues were the subject of frequent writing and, in Pelagian times, of controversy. The commentaries of the Fathers on St. Paul offer a complete treatise on every phase of faith, hope and charity; and St. Augustine’s Enchiridion (or Manual of the Christian Religion) was always referred to by him as “a book on Faith, Hope, and Charity.” For Augustine, therefore, a summary of these virtues was an epitome of the essentials of Christianity.
 
교부들의 시기(patristic period)에 있어, 향주덕(theological virtues, 대신덕)들은 빈번한 저술의 주제였으며, 그리고, 펠라지우스 시기(Pelagian times)에 있어서는, 논쟁(controversy)의 주제였습니다. 성 바오로(St. Paul)에 대한 교부들의 주석들은 믿음(faith, 신덕), 희망(hope, 망덕) 그리고 사랑(charity, 애덕)의 모든 단계(phase)에 대한 완전한 논문(treatise)을 제공하며, 그리고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의 편람서(Enchiridion)[혹은 그리스도교 종교에 대한 소책자(Manual of the Christian Religion)]는 그에 의하여 “믿음(신덕), 희망(망덕), 그리고 사랑(애덕)에 대한 책”으로 항상 언급되어졌습니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노에 있어 이들 덕들에 대한 요약은 그리스도교의 본질들에 대한 대요(an epitome, 요약)이었습니다.
 
However, a scientific study was not made until the Middle Ages, in the great Summae of Peter Lombard, Peter of Poitiers, William of Auxerre and Alexander of Hales, terminating in the definitive work of St. Thomas. His analysis of theological virtue remains standard, and figures extensively in all his major writings, especially the Summa Theologica.
 
그러나 중세(the Middle Ages)에 이르기까지, Peter Lombard(1160년에 죽음), Peter of Poitiers, William of Auxerre, 그리고 Alexander of Hales에 의한 훌륭한 Summae에서, 그리고 성 토마스(St. Thomas)의 결정적인 작업에서 끝나게 될 때까지, 과학적 연구가 되지 않았습니다. 향주덕에 대한 그의 해석은 표준으로 남아 있으며, 그리고 그의 모든 주된 저술들에서, 특별히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광범위하게 두드러집니다(figures).
 
St. Thomas defines virtue as “a good habit bearing on activity” or a good faculty — habit (habitus operativus bonus). Generic to the concept of virtue, then, is the element of habit, which stands in a special relation to the soul, whether in the natural order or elevated to the divine life by grace.
 
성 토마스덕(virtue)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좋은 습관(a good habit bearing on activity)”으로 혹은 좋은 능력-습관(faculty-habit)(habitus operativus bonus)으로 정의합니다. 덕의 개념에 속적인 것(generic)이, 따라서(then), 습관이라는 요소인데, 이것은, 자연 질서 안에 있는가 혹은 은총에 의하여 신성적 삶(the divine life)으로 들어 올려졌는가 라는, 영혼 쪽으로 특별한 관계 안에 있습니다(stands in).
 
The soul is the remote principle or source of all our activities; faculties are the proximate sources built into the soul by nature; habits are still more immediate principles added to the faculties either by personal endeavor or by supernatural infusion from God. Consequently the soul helps the man, faculties help the soul, and habits help the faculties.
 
영혼(the soul)은 우리의 활동들 모두에 대한 가까이에 있지 않은(remote) 원리(principle) 혹은 원천(source)이며, 그리고 능력(faculties)들은 자연에 의하여 영혼에 짜 넣어진(built into) 인접한(proximate) 원천(sources)들이며, 그리고 습관(habits)들은, 개인적 노력 혹은 하느님으로부터의 초자연적 주입, 이들 둘 중의 하나에 의하여, 능력들에 추가되는 심지어 더 가까이에 있는(still more immediate) 원리(principles)들 입니다. 결과적으로(consequently), 영혼사람을 도우고, 능력들영혼을 도우며, 그리고 습관들능력들을 도웁니다.
 
Habits reside in the faculties as stable dispositions or “hard to eradicate” qualities that dispose the faculties to act in a certain way, depending on the type of habit. If the habit is acquired it gives the faculty power to act with ease and facility; if it is infused, it procures not readiness in supernatural activity, but the very activity itself. Natural or acquired habits result from repeated acts of some one kind; they give not the power to act, but the power to act readily and with dexterity. Thus in the natural order, the faculty without the habit is simple power to act, the faculty with the habit is power to act with perfection. Since custom is parent to habit, it is called second nature. Faculty is like first nature, and habit the second.
 
습관들은, 습관의 유형에 따라, 능력들로 하여금 특정한 방식으로 작용하게 하는 안정적인 성향(dispositions)들로서 혹은 “뿌리 뽑기 힘든” 성질들로서, 능력들에 거주합니다(reside in). 습관이 습득된 것이라면(is acquired) 이것은 능력에 쉽게 그리고 수월하게 작용하는 힘(power)을 제공하며, 그리고 이것이 주입되는 것이라면(is infused), 이것은 초자연적 활동(supernatural activity)에 있어 준비되어 있는 상태(readiness)가 아니라, 바로 이 활동 자체를 초래합니다(procures). 자연적 혹은 습득된 습관들은 어떤 한 종류의 반복되는 행위(repeated acts)들로부터 유래하며, 그리고 이런 행위들은 행하는 힘(the power to act)이 아니라, 즉시 그리고 솜씨 좋게 행하는 힘(the power to act readily and with dexterity)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자연 질서에 있어, 습관을 가지지 않은 능력은 행하는 단순한 힘(simple power to act)이며, 습관을 가진 능력은 완미(完美)하게 행하는 힘입니다(power to act with perfection). 관습은 습관에게 부모(custom is parent to habit)이기에, 습관은 두 번째 본성이라고 불립니다. 능력첫 번째 본성(first nature) 역할을 하며(is like), 그리고 습관두 번째 본성 역할을 합니다.
 
Not every habit is a virtue, but only one that so improves and perfects a rational faculty as to incline it towards good — good for the faculty, for the will and for the whole man in terms of his ultimate destiny.
 
모든 습관이 덕(virtue)인 것은 아니며, 오로지 이성적 능력(a rational faculty)을 개선하고 완미하게 하여 그리하여 그 능력을 선(good)을 향하여 - 사람의 궁극적인 운명의 견지에서(in terms of) 능력을 위한, 의지(the will)를 위한 그리고 사람 전체를 위한, 선(good)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하는(incline) 것만이 입니다.
 
There is a broad sense in which we can speak of the natural dispositions of any of our powers as innate virtues, but this is a loose rendering and leads to confusion. More properly, the infused virtues should be contrasted with the acquired habits, in which the autonomous will of the individual plays the dominant role. My consistent effort to concentrate on a given course of action, repeating the proces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in spite of obstacles, gradually develops a tendency to perform the action spontaneously and almost without reflection, yet to a degree of perfection that someone else without the virtue cannot duplicate.
 
타고난 덕(innate virtues)들로서의 우리의 힘(powers)들 중의 어떠한 것의 자연적 성향들에 대하여 그 안에서 우리가 말할 수 있는, 폭넓은 의미가 있으나, 그러나 이것은 느슨한 묘사(a loose rendering)이며 그리고 혼란으로 이끕니다. 더 적절하게, 주입되는 덕(주부덕)들은, 그 안에서 개인의 자율적인 의지(autonomous will)가 주된 역할을 하는, 습득된 습관(the acquired habits)들과 대조되어야만 합니다. 시간의 오랜 기간 동안에 걸쳐 그리고 장애(obstacles)들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을 반복하였던, 주어진 행동의 과정에 집중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노력은, 그 행동을 자연스럽게(spontaneously) 그리고 거의 생각해 보지도 않고(without reflection) 수행하는 경향(tendency)을, 지금까지 이 덕이 없는 다른 어떤 이가 복제할(duplicate) 수 없는 완미(完美)의 정도에까지, 점진적으로 발달시킵니다.
 
The infused virtues are independent of the process. They are directly produced by God in the operative faculties of a man, and differ mainly from the acquired virtues because they do not imply the human effort which determines the faculty to a particular kind of activity, namely facility induced by repetition. God Himself pours in (infundere) the infused virtues, not by compulsion or overriding the free will of man, but without dependence on us, which Augustine says, “are produced in us by God without our assistance.” They are supernatural gifts, freely conferred through the merits of Christ, and raise the activity of those who possess them to the divine level in the same way that sanctifying grace elevates their nature to a share in the life of God. They are supernatural precisely because they transcend the natural capacities of mind and will either to acquire or operate.
 
주입되는 덕(주부덕)들은 그 과정(the process)에 무관합니다(independent of). 이들은 사람의 작용을 수행하는 능력(the operative faculties)들 안으로 하느님에 의하여 직접 산출되며(are produced), 그리고 습득된 능력들과는 대부분 다른데 이는 이들이, 활동(activity)의 특별한 종류에 대한 능력을, 즉 반복에 의하여 유발되는(induced) 능력을 결정하는, 인간의 노력을 뜻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느님 몸소, 강제적으로 혹은 사람의 자유 의지를 무시함으로써가 아니라 우리에게 의존함 없이, 주입되는 덕들을 붓는데[pours in (infundere)],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이것을 “우리의 도움 없이 하느님에 의하여 우리 안에 산출된다” 라고 말합니다. 이들은 그리스도의 공로(the merits of Christ)들을 통하여 거저 주어지는(freely conferred), 초자연적 선물(supernatural gifts)들이며, 그리고 이들을 획득한 자들의 활동(activity)을,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이 그들의 본성을 하느님이 삶 안에 함께 하도록 하기 위하여 들어 올리는(elevates) 것과 꼭 같은 방식으로, 신성한 수준(a divine level)까지 올립니다(raise). 그들이 초자연적인 것은 습득하고자(acquire) 혹은 작동하고자(operate) 하는 마음과 의지의 자연적 역량(capacities)들을 그들이 초월한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입니다(precisely because).   
 
Among the infused virtues, however, some are concerned directly with God and operate in a field in which the unaided reason cannot work; they are called theological. Others have as their object not God Himself, the final end of all things, but human activities that are penultimate and subordinate to the final end; they are called moral and, because four of them (prudence, fortitude, temperance, and justice) are primary, said to be cardinal (cardo, hinge) in human conduct.
 
그러나 주입되는 덕(주부덕)들 중에서, 어떤 것들은 하느님께 직접적으로 관계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움을 받지 않은 이성이 일을 할 수 없는 영역(a field)에서 작용하는데, 이들은 신학적(theological)이라고 불립니다. 다른 것들은 그들의 대상으로서, 모든 것들의 최종 목표인, 하느님 당신 자신이 아니라, 끝에서 두 번째(penultimate)이며 그리고 최종 목표에 종속하는(subordinate to), 인간의 행위들을 가지는데, 이들은 윤리적(moral)이라고 불리며, 그리고 이들 중의 네 개[현명(prudence, 지덕), 용기(fortitude, 용덕), 절제(temperancem, 절덕), 그리고 정의(justice, 의덕)]가 주되며(primary), 인간의 처신(conduct)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樞, 추)[cardinal, cardo, hinge(경첩)]고 말해집니다.
 
Aquinas argued of the necessity for theological virtues from a simple analysis of man’s elevation to the supernatural order. Our final happiness may be considered in two ways. One is commensurate with our human nature, and therefore a happiness obtainable by the use of our native powers of mind and will. The other is immeasurably higher, surpassing nature, and secured only from God by the merciful communication of His own divinity. To make it possible to attain this higher destiny in the beatific vision, we must have new principles of activity, which are called theological virtues because their object is God and not, as in moral virtues, merely things that lead to God; because they are infused in the mind and will by God alone, as opposed to the habits acquired by personal exercise; and because they would never be known to us, except through divine revelation.
 
아퀴나스는 초자연적 질서로 사람의 들어 올려짐에 대한 간단한 분석(analysis)으로부터 향주덕들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였습니다(argued). 우리의 최종 행복은 두 가지 방식으로 생각될 것입니다. 그 하나는 우리의 인간적 본성과 균형이 잡힌(commensurate with), 그리하여 따라서 우리의 마음과 의지의 타고난 힘(powers)들의 사용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는 행복. 다른 하나는 측정할 수 없게 더 높아, 자연을 능가하며, 그리고 당신 고유의 신성의 자비로 가득 찬 나누어 줌(merciful communication)에 의하여 오직 하느님으로부터 보증되는(secured) 행복.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 至福直觀) 안에서 이러한 더 높은 운명(destiny)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우리는 활동(activity)에 대한 새로운 원리들을 가져야만 하며, 이들은 향주덕(theological virtues)들로 불리는데, 이는 이들의 대상이 하느님이지, 윤리덕(moral virtues)들에서처럼, 단순히 하느님께로 이끄는 사물들이 아니기 때문인데, 이는 이들이, 개인적 실천(personal exercise)에 의하여 습득되는 습관들과는 대조적으로(as opposed to), 오로지 하느님에 의하여서 마음과 의지 안에 주입되기 때문이며, 그리고, 하느님의 계시에 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들이 우리에게 결코 알려질 수가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Reflecting on the data of Scripture and tradition, Thomas finds a striking reasonableness in the kind of virtues that God infuses in the soul. They direct us to supernatural happiness in the same way that our natural inclinations lead to our connatural end, i.e., in two ways. First, we must have light for the mind, both of principles and practical knowledge, and then rectitude for the will to have it tend naturally to the good as defined for us by reason.
 
성경 및 전통으로 이루어진 자료(the data of Scripture and tradition)에 대하여 숙고함으로써(reflecting), 토마스(Thomas)는 하느님께서 영혼 안에 주입시키시는 덕들의 종류에 있어 놀라운 유사성(striking resemblance)이 있음을 발견합니다. 이들이, 우리의 자연적 성향들이 우리의 타고난 목표 쪽으로 이끄는 것과 꼭 같은 방식으로, 즉 두 가지 방식으로, 우리를 초자연적 행복(supernatural happiness) 쪽으로 향하게 합니다. 첫째, 우리는, 원리(principles)들 및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 둘 다로 구성된, 마음(the mind)을 위한, 수용(受容)된 빛(light, 영감)을 가져야만 하며, 그런 다음에(and then), 이성에 의하여 우리를 위하여 정의된 바와 같은(as defined), 선한 것(the good)들 쪽으로 의지[the will, 즉, 이성적 욕구(the rational appetite), 즉, 지성적 욕구(the intellectual appetite)]를 자연적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의지(the will)를 위한, [판단과 절차에 있어] 수용(受容)된 올바름(the rectitude for the will)(*)을 가져야만 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6년 5월 8일]
-----
(*) 번역자 주: 그리스도교 전통적 윤리 신학 용어인 "rectitude"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그 주제로 다루고 있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을 또한 꼭 읽도록 하라. 특히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제시된 제4항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89.htm <----- 필독 권고
-----
[이상, 내용 추가 끝]
 
Both of these, however, fall short of the order of supernatural happiness, where “the eye has not seen, nor ear heard, neither has it entered into the heart of man, what things God has prepared for those who love Him.” Consequently, in both cases man had to receive something additional to lead him to a supernatural end.
 
그러나 이들 둘 다는, “눈이 본 적이 없고, 귀도 들은 적이 없으며, 또한 사람의 본심에 들어온 적도 없는, 당신을 사랑하는 자들을 위하여 하느님께서 이미 마련해 놓으신 그 어떤 것들”인, 초자연적 행복의 질서(the order of supernatural happiness)에 미치지 못합니다(fall short of). 결과적으로, 이들 둘 다의 경우에 있어 사람은 자신을 초자연적 목표로 이끌기 위한 추가적인 어떤 것을 받아들였어야만 합니다.
 
For his intellect he receives supernatural principles, held by means of divine light, which are the articles of belief accepted on faith. His will is directed to the same end in two ways: as an intentional drive moving towards that destiny to attain it (which is hope), and as a kind of spiritual union that somehow transforms the will into the goal it is seeking (which is charity). 
 
자신의 지성(intellect)을 위하여 그는, 하느님의 빛(divine light)에 의하여 지탱되는, 초자연적 원리(supernatural principles)들을 받아들이는데, 이 원리들은 신덕(faith, 믿음)에 따라 받아들이는(accepted on faith) 믿음의 조항(the articles of belief)들입니다. 그의 의지(will)는 다음과 같은 두 방식으로 동일한 목표로 향하게 됩니다: 이 목표를 획득하고자 하는 바로 그 운명을 향하여 이동하는 [희망(hope, 망덕)이라는] 의도적(intentional) 동인(drive, 動因)으로서, 그리고 의지를, 이 동인이 추구하고 있는 목표로, 어떻게든(somehow) 변화시키는 [사랑(charity, 애덕)이라는] 영적 결합의 한 종류로서.
 
Theological virtues supply for the mind and will what neither faculty has of itself, the salutary knowledge, desire and love of God and of His will, without which there could be no supernatural order, which means voluntary choice of suitable means to reach the heavenly goal to which we are elevated. These virtues make us well adjusted to our last end, which is God Himself; hence they are called theological, because they not only go out to God — as all virtue worthy of the name must do — but they also reach Him. To be well adjusted to our destiny we must know and desire it; the desire demands that we are in love with the object to which we are tending and are confident of obtaining it. Faith makes us know the God to whom we are going, hope makes us look forward to joining Him, and charity makes us love Him.
 
향주덕들은 능력이 저절로는 결코 가지지 못하는 바인, 유익한 지식(the salutary knowledge)인, 하느님에 대한 그리고 당신의 의지에 대한 욕망과 사랑(desire and love)을, 마음과 의지를 위하여 제공하며, 이들 없이는 초자연적 순서(supernatural order)는 전혀 있을 수 없을 것인데, 이것은, 거기를 향하여 우리가 들어 올려지는, 하늘에 있는 목표(the heavenly goal)에 도달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들에 대한 자발적인 선택(voluntary choice)을 의미합니다. 이들 덕들은, 하느님 당신 자신이신, 우리의 최종 목표에 우리를 잘 순응하게(well adjusted) 하며, 그리하여 따라서 그들은 신학적(theological)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그들이 하느님에게로 나갈(go out to) 뿐만이 아니라 - 그 이름에 합당한 모든 덕이 그래야만 하듯이 - 또한 그들은 당신께 도달합니다(reach). 우리의 운명에 잘 순응하기 위하여 우리는 이것에 대하여 알아야 하며 그리고 이것을 욕망하여야 하며(desire), 그리고 이 욕망은 우리가, 우리가 향하고 있는, 그 대상과 사랑하는 상태에 있을 것(in love with)을 그리고 이것을 획득할 것임에 대하여 확신할 것을 요구합니다. 믿음(faith, 신덕)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향하여 나아가는, 하느님에 대하여 알게 하며, 희망(hope, 망덕)은 우리로 하여금 당신께로 결합할 것임을 예상하게 하고, 그리고 사랑(charity, 애덕)은 우리로 하여금 당신을 사랑하게(love) 합니다.
 
Unlike the virtues known to philosophy, faith, hope, and charity are not applications of the golden mean between extremes. In Aristotle’s language, a moral virtue is a certain habit of the faculty of choice, consisting of a mean (mesotes) suitable to our nature and fixed by reason in the manner in which a prudent man would fix it. It is a habit which consists in a mean between excess and defect. Courage keeps the balance between cowardice and reckless daring; sincerity between ironical deprecation and boastfulness; and modesty between shamelessness and bashfulness.
 
철학에 알려진 덕들과는 달리, 믿음(faith, 신덕), 희망(hope, 망덕), 그리고 사랑(charity, 애덕)은 극단들 사이의 황금률(the golden mean between extremes)의 적용들이 아닙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언어에 있어, 윤리덕(a moral virtue)은, 우리의 본성에 적합한 중용[a mean(mesotes)]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고 현명한 사람(a prudent man)이 정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성에 의하여 정해지는, 선택 능력(the faculty of choice)의 특정한 습관(a certain habit)을 말합니다. 지나침과 결여(excess and defect) 사이의 중용을 그 주된 부분으로 가지는 것은 바로 한 개의 습관입니다. 용기는 비겁(cowardice)과 무모한 대담함(reckless daring)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며, 성실(sincerity)은 반어적인 경시(ironical deprecation)와 과장(boastfulness)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고, 그리고 온건(modesty)은 뻔뻔스러움(shamelessness)과 부끄러워함(bashfulness) 사이의 균형을 유지합니다.
 
But a theological virtue can be measured by what the virtue demands or by what our capacity allows. Concerning the first, “God Himself is the rule and mode of virtue. Our faith is measured by divine truth, our hope by the greatness of His power and faithful affection, our charity by His goodness. His truth, power and goodness outreach any measure of reason. We can certainly never believe, trust or love God more than, or even as much as, we should. Extravagance is impossible. Here is no virtuous moderation, no measurable mean; the more extreme our activity, the better we are.” [4]
 
그러나 한 개의 향주덕(a theological virtue)은 이 덕이 요구하는 바에 의하여 혹은 우리의 수용력(capacity)이 허락하는 바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습니다(can be measured). 첫 번째와 관련하여, “하느님 당신 자신이 바로 덕의 규칙이며 방식(the rule and mode)입니다. 우리의 믿음(faith, 신덕)은 하느님의 진리(divine truth)에 의하여 측정되고, 우리의 희망(hope, 망덕)은 당신의 힘(power)과 충실한 정의(情意)(faithful affection)에 의하여 측정되며, 그리고 우리의 사랑(charity, 애덕)은 당신의 선하심(goodness)으로 측정됩니다. 당신의 진리(truth), 힘(power) 그리고 선하심(goodness)은 이성의 어떠한 측정보다 멀리 미칩니다(outreach). 우리는, 우리가 하여야만 하는 것보다 더, 심지어 마땅히 하여야만 하는 정도보다 더, 확실하게 하느님을 믿거나(believe), 신뢰하거나(trust) 혹은 사랑할(love) 수가 없습니다. 지나침(extravagance)이 불가능합니다. 여기에는 윤리적으로 덕 있는 알맞음(virtuous moderation)도 전혀 없고, 측정할 수 있는 중용(measurable mean)도 전혀 없으나, 그러나 우리의 활동이 더 지극할수록, 우리는 더 나아집니다(the more extreme our activity, the better we are).” [4].
 
Nevertheless, there is a valid sense in which even the theological virtues observe a kind of mean, or better, a center of gravity to which they tend. As far as God is concerned, He can never be believed in, trusted or loved too much. But from our point of view, we should exercise these virtues according to the measure of our condition. Christian faith goes midway between heretical extremes, for instance between Pelagianism which dispenses with divine grace and Jansenism that denies a free will; Christian hope must choose a path among the numerous prospective means of salvation; and Christian charity must find a balance in the myriad opportunities for loving God.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심지어 향주덕들마저도, 그들이 향하고 있는, 중용의 한 종류, 혹은 더 좋게(or better), 중력의 중심(a center of gravity)을 관찰하는(observe), 타당한 의미(a valid sense)가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관련된 이상, 당신께서는 너무 많이 믿게 되거나, 신뢰하게 되거나, 혹은 사랑하게 될 수가 결코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관점으로부터, 우리는 우리의 상태라는 기준(the measure of our condition)에 따라 이들 덕들을 실천하여야만 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의 믿음(Christian faith)은, 이단적 극단들 사이에서, 예를 들어 하느님의 은총을 배제하는 펠라지우스주의(Pelagianism)자유 의지(free will)를 부정하는 얀센주의(Jansenism)(*) 사이에서, 중도로 가며(go midway),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의 희망(Christian hope)은 수많은 원근 화법에 맞는(perspective) 구원을 위한 수단(means of salvation)들 사이에서 하나의 길(path)을 선택하여야만 하며,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의 사랑(Christian charity)은 하느님을 사랑하기 위한 무수한 기회들에 있어 균형을 찾아야(find a balance in)만 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9월 28일]
-----
(*) 게시자 주: 여기서 말하는 "얀센주의"(Jansenism)은, 예수회의 고발에 의하여 이단으로 단죄받은, 소위 말하는, "교의적 얀센주의"(dogmatic Jansenism)를 말할 것이다.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의 졸글/졸고들을 학습할 수 있다:

참고 자료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trinity2.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This question is not of minor importance and it arises again when we speak of original sin and its consequences, under the question, "whether all the good of human nature is destroyed by sin."[1029] The Protestants and Jansenists said that by original sin man's liberty was destroyed.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theologians of the Society of Jesus say that in the state of fallen nature man's powers are no weaker with respect to moral good than in the state of pure nature; the Thomists and Augustinians teach that man's powers are weakened although his freedom is not extinguished.[1030]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christ2.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State and difficulty of the question. It is certain that the soul of Christ was endowed with free will, which means not only freedom from internal compulsion, but also from external constraint. The Catholic Church defined against Calvin, Luther, and Jansenius, that free will implies these two kinds of freedom. The third condemned proposition of Jansenius reads: "For meriting and demeriting in the state of man's fallen nature, freedom from internal compulsion is not required; it is sufficient to be free from external constraint."[1400] This means that the contradictory proposition is true, namely, for meriting and demeriting in the state of man's fallen nature, not only freedom from external constraint or spontaneity is required, which is found in the irrational animal, but also freedom from internal compulsion, or a dominating indifference of choice, under the direction of free judgment, as St. Thomas explains.[1401] He also says: "The will of Christ, though determined to good, is not determined to this or that good. Hence it pertains to Christ, even as to the blessed, to choose with a free will confirmed in good."[1402]

 

Where there is no command there is no difficulty, and so Christ freely chose Peter as His vicar in preference to John.

 

It is of faith that Christ had free will, because it was defined that there are two inconfused natures in Christ, and that each nature retains its own properties, faculties of understanding and willing, and each its own operations.[1403]

 

The Catholic Church likewise defined that Christ freely merited and satisfied for us.[1404] But, as already stated, against the Jansenists, free will is required for meriting, and freedom from internal compulsion.

 

All Catholic theologians are agreed on these declarations and they reject the teaching of Jansenius, who said that Christ was interiorly compelled to observe the command of His Father, since freedom from external constraint was, in the opinion of Jansenius, sufficient for meriting.

(이상, 발췌 끝)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reality.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grace1.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grace2.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grace4.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grace5.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grace6.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grace11.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umma/1877-1964_Garrigou-Lagrange/graceappend.htm [주: 접속 후, Shift_F4 누른 후, "Jansen"으로 검색할 것] <----- 필독 권고
-----
[이상, 2021년 9월 28일자 내용 추가 끝]

Infused Moral Virtues
주입되는 윤리덕들(주입되는 대인덕들)
 
Besides the theological virtues of faith, hope and charity, St. Thomas teaches that a person in divine friendship receives an infusion of the moral virtues whose immediate object is not God Himself but the practice of human actions conducive to man’s final end. Just as faith, hope and charity correspond in the supernatural order to natural knowledge, hope and love, so there are other divinely infused habits to supplement and match these theological virtues; habits which are elevated counterparts of the acquired virtues of prudence, temperance, fortitude and justice.
 
믿음(faith, 신덕), 희망(hope, 망덕) 그리고 사랑(charity, 애덕)으로 이루어진 향주덕(theological virtues, 대신덕)들 이외에, 성 토마스(St. Thomas)는 하느님과의 친교 상태(divine friendship)에 있는 자는, 그 즉각적 대상이 하느님 당신 자신이 아니라 인간의 최종적 목표로 인도하는(conductive to) 인간의 행동들의 실천(practice)인, 윤리덕(moral virtues)들의 주입(infusion)을 받아들인다고 가르칩니다. 초자연적 질서 안에서 믿음(신덕), 희망(망덕) 그리고 사랑(애덕)자연적인(natural) 지식(knowledge), 희망(hope) 그리고 사랑(love)에 대응하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just as), 그와 같이 이들 향주덕들을 보충하고 필적하기 위하여(to supplement and match) 하느님에 의하여 주입되는 다른 습관(other divinely infused habits)들, 즉 현명(prudence), 절제(temperance), 용기(fortitude) 그리고 정의(justice)로 이루어진 습득된 덕(the acquired virtues)들에 대한 들어 올려진 대응물(elevated counterparts)들인, 습관들이 있습니다.
 
Aristotle was again the basic source on which St. Thomas built the now familiar structure of the cardinal virtues which are reduced to four because of the objective order of morality. The mind must first discover this order and propose its commands to the will; prudence, or the habit of doing the right thing at the right time, is reason’s helper. The will, in turn, must execute these commands in its own field; justice, or the habit of giving everybody his due, temperance is helper to the will in its management of the appetite’s desires, and fortitude helps to manage the same appetite’s aversions.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또다시, 그 위에 성 토마스가, 윤리의 객관적 질서(objective order of morality) 때문에 네 개로 줄여지는(reduced), 추덕(cardinal virtues)들이라는 이제는 친숙한 구조를 설립하였던, 근본 출처(basic source)였습니다. 마음은 이 질서를 우선적으로 발견하여야만 하며 그리고 이 질서의 명령(commands)들을 의지(the will)에게 제안하여야(propose)만 하며, 그리고 현명(prudence)은, 또는 올바른 것을 올바른 시기에 행하는 습관(the habit of doing the right thing at the right time)은, 이성의 조력자(reason's helper)입니다. 의지는, 제 차례가 되어(in turn), 자신 고유의 영역 안에서 이들 명령들을 수행하여야만 하며, 그리고 정의(justice)는, 혹은 모든 이에게 각자의 몫을 주는 습관은, 이성의 조력자이며, 절제(temperance)는 욕구의 바람들/욕망들(appetite's disires)에 대한 관리에 있어 이성의 조력자이며, 그리고 용기(fortitude)는 이 동일한 욕구의 회피(the same appetite's aversions)들을 관리하는 것을 도웁니다.
 
Just as there are four faculties which contribute to our moral acts; intellect, will, appetite of desire and appetite of aversion, so there must be four virtues to keep these faculties straight — prudence for the mind, justice for the will, temperance for the urge to what is pleasant, and fortitude for the instinct away from what is painful. The Latins summarized their functions in the words, circumspice (look around), age (act), abstine (keep away from) and sustine (bear up with).
 
우리의 윤리적 행위(moral acts)들에 기여하는(contribute to), 지성(intellect), 의지(will), 바람/욕망 욕구(appetite of desire) 그리고 회피 욕구(appetite of aversion)라는, 네 개의 능력(faculties)들이 있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그와 같이 이들 능력들을 똑바로 유지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네 개의 덕들이 존재하여야만 합니다 - 마음을 위한 현명(prudence for the mind), 의지를 위한 정의(justice for the will), 즐거운 바에 대한 충동을 위한 절제(temperance for the urge to what is pleasant), 그리고 고통스러운 바로부터의 본능적인 멀어짐을 위한 용기(fortitude for the instinct away from what is painful). 라틴어들은 그들의 역할(functions)들을 다음의 단어들로 요약하였습니다: circumspice(look around, 여러 모로 생각해보라), age(act, 실행에 옮기라), abstine(keep away from, 가까이 하지 말라) and sustine(bear up with, 참고 견디라).
 
All other virtues in the moral order can be referred to this tetrad as their potential parts. In view of their practical value as possessions of nature (also infused by grace), it is worth examining in some detail.
 
윤리적 질서(moral order)에 있어 다른 모든 덕들은 이러한 네 개로 된 한 벌(tetrad)을 그들의 잠재적 일부분(potential parts)들로서 언급될 수 있습니다. 자연의 소유물들로서의 (또한 은총에 의하여 주입되는) 이들의 실천적 가치에 비추어서, 이것은 약간 상세하게 검토할 가치가 있습니다.
 
The principal act of prudence is the practical executive command of right reason, and the following virtues come within its orbit; good counsel, sound judgment when the ordinary rules of conduct are concerned, and a flair for dealing with exceptional cases.
 
현명(prudence)의 주된 행위는 올바른 이성의 실천적 실행 명령이며, 그리고 다음의 덕들이 그 범위 안에 있습니다: 좋은 권고(good counsel), 처신(conduct)에 대한 통상적인 규칙들이 관련된 건전한 판단(sound judgment), 그리고 예외적 경우들을 다루기 위한 재능(a flair).
 
As regards justice, its classical type renders what is due between equals, but other virtues come under the general heading of justice. Some render what is owing to another, but not as to an equal. Others deal with a situation where both parties are equal, yet the due or debt, though demanded by decency, cannot be enforced by law, and so is not an affair of strict justice. In the first category of these phases of justice comes religion, which offers our service and worship to God, then piety and patriotism, which render our duty to parents and country, then observance, which shows reverence to superiors, and obedience to their commands. In the second category come gratitude for past favors, and vindication when injury has been done; also truthfulness, without which social decency is impossible, liberality in spending money, and friendliness or social good manners.
 
정의(justice)와 관련하여, 그 전통적 유형(type)은 대등한 자(equals)들 사이에 마땅히 지급되어야 할 바를 표현하나(renders), 그러나 다른 덕들이 정의라는 일반적인 표제(general heading) 아래에 옵니다. 어떤 것들은, 그러나 동등한 자로서가 아닌, 다른 자 때문인(owing to) 바를 표현합니다. 다른 것들은 당사자들이 동등하나, 그러나 그 몫 혹은 빚(the due or debt)이, 비록 품위에 의하여 요구되나(demanded by decency), 법으로써 강제될 수 없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엄밀한 정의의 건(an affair of strict justice)이 아닐 때의 상황을 다룹니다. 정의에 대한 이러한 국면(phases)들 중의 그 첫 번째 범주(category)에는, 우리의 수고(service)와 예배(worship)를 하느님께 봉헌하는(offers) 경신덕(religion)이 들어가며, 그런 다음에, 부모들과 국가에 대한 우리의 의무를 표현하는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Ia IIae, q68]애국심(patriotism)이 들어가며, 그런 다음에 상급자들에 대한 존경(reverence)을 나타내는 준수(observance), 그리고 그들의 명령들에 대한 복종(obedience)이 들어갑니다. 그 두 번째 범주에는 과거의 호의(past favors)들에 대한 감사(gratitude), 그리고 상해(injury)가 이미 가해졌을 때의 옹호(vindication)가 들어가며, 또한 이것 없이는 사교적인 품위(social decency)가 불가능한 진실함(truthfulness), 돈을 씀에 있어서 인색하지 않음(liberality), 그리고 우정(friendliness) 혹은 사교적인 좋은 예절(social good manners)들이 들어갑니다. 
 
The respective parts of fortitude, on the attacking side, are confidence, carried out with magnificence, which reckons not the cost, and magnanimity, which does not shrink from glory. On the defensive side is patience, which keeps an unconquered spirit, and can be protracted into perseverance.
 
착수하는 면에 있어서의(on the attacking side) 용기(fortitude)의 각각의 부분들은, 비용(the cost)를 셈하지 않는, 장대하게 행동에 옮겨지는 확신(confidence), 그리고 영광으로부터 주춤하지(shrink) 않는 도량(magnanimity)입니다. 방어하는 면에 있어서는(on the defensive side), 정복되지 않는 정신(spirit)을 유지하는, 그리고 목숨의 끝에 이르기까지 은총의 지위 안에 머무름(perseverance)으로 연장될 수 있는(can be protracted), 인내(patience)가 있습니다. 
 
Finally, the subordinated kinds of temperance are continence, which resists lustfulness and evil desires concerned with touch, clemency which tempers punishment, meekness that tempers anger, modesty in our deportment, including disciplined study, reasonable recreation and good taste in clothes. [5]
 
끝으로, 절제(temperance)에 종속되는 종류들에는, 접촉과 관련된 호색(lustfulness) 및 악한 바람들/욕망들(evil desires)에 저항하는 자제/금욕(continence/continency), 처벌을 부드럽게 하는(tempers) 관대한 조치(clemency), 분노를 부드럽게 하는 온순(meekness), 규율 바른 학습(disciplined study), 합리적인 여가(recreation) 그리고 의복들에 대한 좋은 기호(good taste)를 포함하는, 우리의 품행(deportment)에 있어서의 온건(modesty)이 있습니다. [5]
 
Aquinas concluded with the necessity of infused moral virtues from the principle of consistency between the natural and supernatural. It is obvious, he reasoned, that a person in the state of grace performs actions of other virtues than just the theological, that is, of justice, prudence, temperance and fortitude. These actions are essentially supernatural, and therefore require, besides the state of grace, moral habits that are equally supernatural. Otherwise we should postulate an imbalance in the moral order, since God’s ordinary providence uses secondary causes of the same kind as the effects produced. If we are to have truly supernatural acts of justice and chastity, for example, we should have infused supernatural virtues that proximately bring these actions about.
 
아퀴나스(Aquinas)는 자연적인 것들과 초자연적인 것들 사이의 일관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consistency)로부터 주입되는 윤리덕(infused moral virtues)들의 필요성과 함께 끝맺었습니다. 그는, 은총의 지위에 있는 자는 단지 향주덕들뿐만이 아니라 다른 덕들, 즉 정의, 현명, 절제 그리고 용기로 이루어진 다른 덕들에 기인하는 행동들을 수행하는 것이 분명하다고, 추론하였습니다(reasoned). 이러한 행동들은 본질적으로 초자연적이며, 그리하여 따라서, 은총의 지위 이외에, 동등하게(equally) 초자연적인 윤리적 습관(moral habits)들을 요구합니다. 그렇지 않다면(otherwise) 우리는 윤리적 질서(moral order)에 있어서의 불균형을 가정하여야(postulate)만 하는데, 이는 하느님의 통상적 섭리(ordinary providence)가 산출된 결과들과 같은 종류의 두 번째 원인(causes)들을 사용하시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진실로 정의와 사랑(just and charity)의 초자연적 행위들을 행하고자 한다면, 예를 들어, 우리는 이러한 행위들을 가장 가까이에서(proximately) 불러일으키는 주입되는 초자연적 덕들을 가져야만 합니다.
 
In the last analysis, there must be infused moral virtues, in addition to the theological, because of faith in the person justified. A moral virtue, by definition, avoids extremes. It does not offend against right reason by excess or by defect. But once the faith is had, there is not question of limiting the practice of moral virtue by reason alone. Faith sublimates reason as the standard of moderation; and just as prior to faith there are acquired virtues commensurate with reason to assist the natural mind and will in the performance of morally good acts, so with the advent of faith there should be corresponding supernatural virtues commensurate with the light of faith to assist the elevated human faculties in the performance of supernaturally good actions in the moral order.
 
결론적으로, 향주덕들에 추가하여, 주입되는 윤리덕들이 존재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의롭게 된 자 안에 있는 믿음(faith, 신덕) 때문입니다. 윤리덕은,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극단들을 회피합니다. 이 덕은 초과(excess)에 의하여 혹은 부족(defect)에 의하여 올바른 이성에 어긋나지(offend against) 않습니다. 그러나 일단 믿음(faith, 신덕)이 받아들여지게 되면, 이성 단독에 의한(by reason alone) 윤리덕의 실천을 제한하는 데에 대한 문제는 없습니다. 믿음(faith, 신덕)은 온건(moderation)의 기준으로서 이성(reason)을 승화시키며(sublimates), 그리고 믿음(faith, 신덕) 이전에 자연적 마음과 의지를 돕기 위한 이성과 균형이 잡힌(commensurate with) 습득된 덕들이 존재하듯이, 마찬가지로 믿음(faith, 신덕)의 도래(到來, advent)와 함께 윤리적 질서 안에서의 윤리적으로 선한 행위[morally good acts, 즉 선행(good works)]들의 수행에 있어 들어 올려진 인간의 능력(faculties)들을 돕기 위한 믿음의 빛(the light of faith)과 균형이 잡힌 대응하는 초자연적 덕들이 존재하여야만 합니다.
 
A slight problem arises from the fact that the infused virtues are necessarily spiritual and the infusion must directly take place in the mind and will, in spite of the fact that two of the virtues, temperance and fortitude, involve the sense appetite. One explanation is to have the virtues immediately enter the spiritual faculties, and these in turn affect the lesser powers as called upon for moral action.
 
절제용기 두 덕들이 감각 욕구(sense appetite)를 수반한다(involve)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주부덕(the infused virtues)들이 필연적으로 영적이며(spiritual) 그리고 그 주입(the infusion)이 마음과 의지 안에서 직접 발생하여야만 하는 사실로부터 약간의 문제가 일어납니다. [이에 대한] 한 개의 설명은 이 덕들이 즉시 영적인 능력(spiritual faculties)들에 들어간다는 것인데, 그리하여 이들은, 윤리적 행위(moral action)가 요구됨에 따라, 제 차례가 되어(in turn) 이 저급의 힘(the lesser powers)들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친다(affect)는 것입니다.  
 
Here, if anywhere, the familiar dictum that “grace does not destroy but builds upon nature” is eminently true. All that we say about these virtues as naturally acquired qualities holds good for the infused virtues, but much more. With reason enlightened by faith, the scope of virtuous operation is extended to immeasurably wider horizons. By the same token faith furnishes motives of which reason would never conceive, and theological charity offers inspiration that surpasses anything found in nature.
 
여기서, 설사 그런 곳이 있다고 하더라도(if anywhere), “은총은 자연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위에 쌓아 올립니다(grace does not destroy but builds upon nature)” 라는 친숙한 금언(dictum)은 두드러지게(eminently) 사실입니다. 자연적으로 습득하게 된 자질(qualities)들로서의 이들 덕들에 관하여 우리가 말하는 것 모두는 주부덕들에게도 유효합니다만, 그러나 이들보다 훨씬 더 많습니다. 믿음(faith)에 의하여 교화된(enlightened) 이성(reason)과 함께, 덕을 가지고 있는 작용의 범위(the scope of virtuous operation)는 측정할 수 없는 더 넓은 영역(horizons)들로 확장됩니다. 마찬가지로(by the same token) 믿음(faith)이성(reason)이 결코 마음에 품지(conceive) 못할 동기(motives)들을 공급하며(furnishes), 그리고 하느님을 향한 사랑[theological charity, 애덕(愛德)]은 자연에서 발견되는 어떠한 것도 능가하는 영감(inspiration, 靈感)을 제공합니다(offers).
 

Epilogue
끝맺음 말
 
Aquinas and Aristotle both recognize that virtue is not its own reward and has little meaning apart from an ultimate goal. A man is virtuous because his actions correspond to an objective norm, which for Aristotle was knowable by reason and for Aquinas by reason and faith.
 
아퀴나스와 아리스토텔레스 둘 다는 덕이 그 고유의 보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궁극적 목표로부터 동떨어진 의미를 거의 가지지 않는 점을 알아차렸습니다. 사람은 덕을 가지고 있는데(virtuous) 이는 그의 행동들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는 이성(reason)에 의하여 인식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아퀴나스에게 있어서는 이성믿음(reason and faith)에 의하여 인식할 수 있는, 어떤 객관적인 기준(an objective norm)에 부합하기(correspond to) 때문입니다. 
 
But where Aristotle almost identified morally good conduct with an aesthetic mean between opposite extremes, Aquinas saw the good man with a vision that Aristotle never enjoyed. For Aristotle, a man was basically virtuous because he displayed a beautiful balance in his moral actions, not unlike the harmony displayed in a work of art. Hence the attractive aspect of virtue is often stressed by Aristotle and his modern imitators, at the expense of morality proper. What was missing were two dimensions of morality that only the Christian religion brought into full light: that internal dispositions and their consequent actions are virtuous not mainly because of an aesthetic harmony of agent, conduct and environment, but because they advance their possessor in the direction of his final destiny to eternal life after death; and that virtue is more than a reasonable balance between behavioristic extremes, since it postulates a primal obligation to a divine Lawgiver, whose will is manifest in conscience and faith, and to whom obedience is due as man’s Creator and Lord.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가 윤리적으로 선한 처신(morally good conduct)을 상반되는 극단(opposite extremes)들 사이의 어떤 미학적 중용(an aesthetic mean)과 거의 동일시 하였던 곳에서, 아퀴나스아리스토텔레스가 전혀 향유하지 못하였던 통찰력(vision)을 가진 선한 사람(the good man with a vision)을 보았습니다(saw).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사람은 기본적으로 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윤리적 행위(moral actions)들에 있어, 어떤 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displayed) 조화(harmony)와 다르지 아니한, 어떤 아름다운 균형(a beautiful balance)을 나타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 매력적인 면은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현대의 모방자(imitator)들에 의하여, 고유한 윤리를 훼손시키면서(at the expense of morality proper), 자주 강조됩니다. 분실되어 왔던 바(what was missing)들은, 오로지 그리스도교 종교/경신덕(Christian religion)만이 충만한 광명(full light)으로 데려다 주었던, 다음과 같은 윤리(morality)의 두 가지 양상(dimensions)들이었습니다: 내면의 성향(the internal dispositions)들과 그리고 이들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일어나는(consequent) 행동들이 덕을 가지고 있다는(virtuous) 점인데, 이는 주로, 처신(conduct)과 환경(environment)이라는 매체(agent)의 미학적 조화(aesthetic harmony)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자신들의 소유자(possessor)를, 죽음 이후의 영원한 삶을 향한 당신에 의한 최종적 운명의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기(advance) 때문이며, 그리고 덕은 행동주의적인 극단(behavioristic extremes)들 사이의 어떤 합리적인 균형(a reasonable balance)보다 더한 것이라는 점인데, 이는 이것이, 당신의 의지양심믿음 안에서(in conscience and faith) 드러나게 되는, 그리하여, 사람의 창조주 및 주님으로서의 당신께 대한 순명(obedience)이 마땅한(due), 신법 제정자(divine Lawgiver)에 대한 원초적 은혜(primal obligation)를 가정하기(postulates) 때문입니다.
 

-----------------------------------------------------------------------------
[1] Julian Huxley, Religion without Revelation, New York, 1958, p. 18.
[2] Virtue as moral goodness (Wisdom 4:1, 5:13; II Maccabees 6:13), and as particular moral quality (Wisdom 8:7).
[3] Divine powers (I Peter 2:9; II Peter 1:3), moral vigor (II Peter 1:5, bis), and moral virtue (Philippians 4:8).
[4]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ca, I-II, 62, 3.
[5] Ibid., II-II, 48,1;58, 5-6; 61, 1-2; 79, 1;80, 1;103, prologue; 128, 1;143, 1;144, 1;145, 1;147, 1;161, prologue; 166, 2;168, 2;169, 1.
Copyright © 1998 Inter Mirifica

 
====================
 
 
참고: 다행스럽게도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에 실린 덕(virtues)들에 대한 위의 요약 논문의 도움으로,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윤리 신학(moral theology)의 기초 개념들 사이의 상호 관계들에 대하여 어느 정도까지는, 즉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유관 가르침들에 사용 중인 개념들 사이의 상호 관계들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까지는, 이해를 하였다는 생각입니다.
 
이 개념들 사이의 좀 더 자세한 상호 관계들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는 자료 한 개를 이미 상당히 오래 전(사실은, 적어도 몇 년 전)에 우선적으로 엄선하여 검토를 마친 상태이며, 이 글에 이어지는 글로서 전달해 드려야 하는 단계이기도 하여, 지금 우리말 번역 작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 자료를 또한 읽어보시면, 아마도 위의 본문 중에서 드린 대부분의 질문들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그리고 명확하게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내용 추가일: 2010년 11월 11일]
 
여기를 클릭하시면, 덕(virtues)들의 대상들인 능력(faculties)들에 대한 글인 "신학 대전에 있어 덕(德)(virtues)들이란?" 제목의 글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단, 주입되는 초자연적 윤리덕(infused supernatural moral virtues)들을 언제 우리가 받게 되는지에 대한 내용은, 지금 다루고 있는 글들에 계속하여 이어질, 또 다른 전달의 글에서 구체적인 근거 자료들의 제시와 함께, 이번의 일련의 글의 마지막(?) 글로서, 내용 전달을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런데, 요즈음 생업과 관련하여 교재(정수론 책)를 집필하고 있기도 한 관계로, 시간에 상당히 많이 쫒기다 보니 생각만큼 우리말 번역 작업의 진도를 낼 수가 없는데, 넓은 마음으로 이해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작성 중입니다.
 
----------
번역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70시간
 


3,233 6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