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Ia IIae q84 다른 죄의 원인으로서 하나의 죄(one sin) capital

인쇄

신학대전여행 [119.194.105.*]

2016-02-02 ㅣ No.1675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게시자 주: 최근에 들어와 이 글을 작성하게 된, 대단히 고통스러운, 동기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3_Sirach_10_13.htm <----- 필독 권고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번역자 주: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의 약 600여 개에 달하는 각 문항(Questions)들에 대한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인 Paul J. Glenn 몬시뇰(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신학대전여행)"의 Ia IIae, q84 One Sin as the Cause of Another [다른 죄의 원인으로서 하나의 죄(one sin)] 전문이며, 그리고 하반부의 글은, 상반부의 글에 대응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IIae, q84, One Sin as the Cause of Another [다른 죄의 원인으로서 하나의 죄(one sin)] 전문이다.
 
초벌 번역 일자: 2016년 1월 30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우리말 번역문 출처: 
http://club.catholic.or.kr/tourofsumma
본글로의 접속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5.htm
-------------------- 

 

84. One Sin as the Cause of Another

 

84. 다른 죄의 원인으로서 하나의 죄(one sin)

 

1. Covetousness, not as a general inordinateness of desire or as a general tendency to such inordinateness, but as a special sin, is the root of all actual sins. This special covetousness is the inordinate desire for riches. Riches (that is, money) open aready avenue to all excesses and sins, and are longed for by sinners. Not money itself, but the love of money, the desire for it, is the root of all evil, as St. Paul says (I Tim. 6:10).

 

1. 욕망(desire)의 어떤 일반적인/속(屬)적 과도(過度)함(inordinateness)(*1)으로서 혹은 그러한 과도(過度)함 쪽으로 어떤 일반적인 경항으로서가 아니고, 한 개의 특정한 죄[a special sin,  즉, 한 개의 종(種)적 죄]로서, 탐욕(avarice)은(*2) 모든 현실태적 죄(actual sins)들의 뿌리입니다. 바로 이 종(種)적 탐욕(avarice)은 부(富)/재물(財物)(riches)들에 대한 과도(過度)한(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 욕망을 말합니다. 부(富)/재물[財物)(riches, 즉, 돈(money)]들은 모든 지나침(excesses)들과 죄들 쪽으로 길(avenue)을 벌써 개방하며, 그리하여 죄인들에 의하여 갈망받게 됩니다. 돈(money) 그 자체가 아니고, 돈에 대한 사랑(the love of money)인, 돈에 대한 욕망은, 성 바오로(St. Paul)가 말하듯이(1티모테오 6,10)(*3), 모든 윤리적 악[moral evil, 즉, 죄(sin)]의 뿌리입니다.

 

-----
(*1)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면, 신학 대전 본문 중에 "inordinate"라는 단어가 총 306번 사용되고 있고 그리고 "inordinateness"라는 단어가 총 75번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PV.HTM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1/TZ.HTM

 

그리고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의 "excessive" 에 주어진 "inordinate"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발췌 시작)
INORDINATE implies an exceeding of limits dictated by [right] reason or good judgment.

 

과도(過度)한(inordinate)은 [올바른(right)] 이성 혹은 선한(good)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limits)의 어떤 초과 행위를 의미한다.(#)

 

 

 

-----
(#) 번역자 주: 이 설명은 다음에 있는 신학 대전, IIa, IIae, q125, a1에 주어진 설명이 그 근거/출처라는 생각이다: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b-123-127.htm#q125a1co
 [주: 옛 주소]

http://www.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Part_IIb/Q125#q125a1co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따라서, "ordinate"는 "[어떤, 인간의, 행위(a human act)가]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즉, "within the limits of order dictated by right reason or good judgment(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질서/순서(order)의 범위 안쪽에 있는"으로 정의됨(defined)을 알 수 있다.(#1)

 

-----
(#1) 번역자 주: 다음에 있는 용례 검색/분석에 의하면, 라틴어 원문 및 영문본 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ordinate"가 "inordinate"의 반대말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데, 그러나 문제는, 세속의 영어 사전에 "ordinate"라는 형용사에 대한 설명이 주어지지 않은 데에 있다:

"ordinate" "inordinate" "Summa Theologiae" site:logicmuseum.com/authors/aquinas [주: 옛 검색 주소]

"ordinate" "inordinate" "Summa Theologiae" site: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

-----
 

따라서, 부(富)/재물(財物)(riches)들에 대한 과도(過度)하지 않은(즉, [어떤, 인간의, 행위(a human act)가]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질서/순서(order)의 범위 안쪽에 있는) 욕망(desire, concupiscence, cupidity)은 결코 탐욕(avarice)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과도한 재물욕망"은 "탐욕(avarice)"이라고 불리는 죄이나,

과도(過度)하지 않은 재물욕망(財物欲望, the desire for riches)은 죄가 아니다.

 

(*2) 번역자 주:

(i) 여기서 라틴어 "cupiditas"가,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literal sense)인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 즉, "하느님이 사랑받게 되지 않는 사랑", 즉, "애덕이 아닌 사랑"(#)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프랑스어본 신학 대전에서처럼, 영어 단어 "cupidity"로 직역 번역되는 대신에, "covetousness"로 번역된 것은, 비록 이 영어 단어의 어원이 라틴어 "cupiditas"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수준의 독자들이 성 아우구스티노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를 연상하는 것을 상당히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영어권에서 이로부터 파생되는 개념적 혼란을 이미 야기해 왔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 번역자 주: 다음의 글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37.htm

 

(ii)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 Ia, IIae, q30, a3에서, 라틴어 "cupiditas", 즉, "cupidity"의 자구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부분에서 발췌한 것이다:

 

출처: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a-30-34.htm#q30a3co
 [주: 옛 주소]

http://www.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Part_IIa/Q30#q30a3co
(발췌 시작)
I answer that, As stated above (Article 1), concupiscence is the craving for pleasurable good. Now a thing is pleasurable in two ways. First, because it is suitable to the nature of the animal; for example, food, drink, and the like: and concupiscence of such pleasurable things is said to be natural. Secondly, a thing is pleasurable because it is apprehended as suitable to the animal: as when one apprehends something as good and suitable, and consequently takes pleasure in it: and concupiscence of such pleasurable things is said to be not natural, and is more wont to be called "cupidity." Accordingly concupiscences of the first kind, or natural concupiscences, are common to men and other animals: because to both is there something suitable and pleasurable according to nature: and in these all men agree; wherefore the Philosopher (Ethic. iii, 11) calls them "common" and "necessary." But concupiscences of the second kind are proper to men, to whom it is proper to devise something as good and suitable, beyond that which nature requires. Hence the Philosopher says (Rhet. i, 11) that the former concupiscences are "irrational," but the latter, "rational." And because different men reason differently, therefore the latter are also called (Ethic. iii, 11) "peculiar and acquired," i.e. in addition to those that are natural.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위에서(제1항) 서술되었듯이,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concupiscence)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선(pleasurable good)에 대하여 간청하는/진정(眞正)으로 요청하는/간구하는(seriously demanding) 행위(craving, appetitus)입니다.(#2) 그런데 어떤 사물은, 두 가지 방식들로, 즐거움을 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왜냐하면 그것이 [인간들의] 동물성(動物性, the animal)이라는 본성(nature)에 적합하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음식, 음료 등, 그리하여 그러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사물들에 대한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은 본성적(natural)이라고 말해집니다. 두 번째로, 어떤 사물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데 왜냐하면, 한 사람이 어떠한 사물을 선하고(good) 그리고 적합한(suitable) 것으로서 파악하고(apprehends)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에서 즐거움을 취할 때처럼, 그것이 [인간들의] 동물성(動物性, the animal)적합한 것으로서 파악되기(is apprehended as suitable to the animal) 때문이며, 그리하여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바로 그러한 사물들에 대한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즉, 이기적인 욕심](concupiscence) 은 본성적이라고 불리지 않으며, 그리고 "cupidity" 라고 불리는 것이 더 익숙해져 있습니다.(#3) 그 결과로 첫 번째 종류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 혹은 본성적 사욕/사욕편정은, 사람들과 다른 동물들에게 공통인데, 왜냐하면 둘 다에게 본성에 따라 적합하고 그리하여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그 무엇(somethings)이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이들에 모든 사람들은 동의하며, 바로 그런 이유로 철학자[즉,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Ethic. iii, 11)는 그들을 "공통이고(common)" 그리고 "필요한(necessary)" 것들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두 번째 종류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은 사람들에게 고유한데(proper), 그들에게는 자연/본성(nature)이 요구하는 바로 그것을 넘어서, 그 무엇(something)을 선하고(good) 적합한(suitable) 것으로서 고안하는/발명하는(devise) 것이 고유합니다(proper). 따라서 이 철학자(Rhet. i, 11)는 전자의 사욕/사욕편정들은 "이성적이 아니고(irrational)", 후자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들은 "이성적이다(rational)"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왜냐하면 서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다르게 추론하기/논리적으로 생각하기(reason) 때문에, 그러므로 후자들은 또한 "특유한(peculiar) 그리고 습득된(acquired" 것들이라고, 즉, 본성적인 것들에 추가하여 "특유한(peculiar) 그리고 습득된(acquired" 것들이라고 불립니다(Ethic. iii, 11).

 

-----

(#2) 번역자 주: 그러므로, 원죄(original sin)의 결과로서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유유상종(類類相從)에 의하여 야기되는(신학 대전, Ia, IIae, q27, a3사랑(love, amor)[즉, 원초적 사랑(primal love)]"에 의하여 야기되고(caused) 그리고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 욕구) 안에 있는 한 개의 종(種)적 정(情, passion)인(신학 대전, Ia, IIae, q30, a1 & a2), 바로 이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concupiscence)이라는 비본성적 사랑(love, amor, 즉, love of concupiscence)은, 설사 그 일어남에 있어 그 다음 단계인 욕망 행위(desiring)에 있다고 하더라도, 과도하지(inordinate)[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은를 말하며, 따라서, 죄(sin)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오로지 [예를 들어, 탁월(excellence), 영광(glory), 재물(riches), 명예(honor) 등]과 같은 그 대상(object)인 끝(end)에 대한 과도한 욕망(inordinate desire) 죄가 있기(sinful) 때문이다.

 

(#3) 번역자 주:

(i) 따라서 "cupiditas(cupidity)"의 대상(objects)에는, 예를 들어, "돈(money)""문명의 이기들"의 온갖 종류들이 다 포함됨에 꼭 주목하라.

 

(ii) 또한 이들 두 종류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들 그 자체들은 결코 죄(sins)들이 아님에 또한 반드시 주목하라.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iii)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 IIa, IIae, q186, a3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b-183-189.htm#q186a3co
 [주: 옛 주소]

http://www.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Part_IIb/Q186#q186a3co

(발췌 시작)

he says (QQ. lxxxiii, qu. 36) that "greater charity means less cupidity, perfect charity means no cupidity."

 

아우구스티노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더 커다란 애덕(greater charity)은 더 적은(less)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y)' 의미하고, 완미한 애덕(perfect charity)'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y)' 전혀 없음을 의미한다."(QQ. lxxxiii, qu. 36).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악(evil)"은 곧 "윤리적 악(moral evil)", 즉, "죄(sin)"를 말한다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84, a1에 있는 자신의 답변에서 말하고 있음에 반드시 유념하라.
-----

 

2. Pride as an inordinate desire to excel (not the pride which is an actual contempt of God or an inclination to this contempt), is back of the primal covetousness. Pride is therefore the beginning of all sins. Man wants goods or riches to have some perfection by possessing them, or some excellence, or some outstanding quality, or some notable enjoyment. Thus, while covetousness is the root of evil, pride is the beginning of sins.

 

2. (하느님에 대한 어떤 현실태적 경멸(actual contempt) 혹은 바로 이러한 경멸 쪽으로 어떤 기울어짐을 말하는 교만(pride)이 아니라) 탁월하고자 하는 과도(過度)한(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 욕망을 말하는 교만은(*) 이 '원초적 욕망'/탐욕(the primal covetousness, 즉, avarice)의 배후(back)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모든 죄들의 시작(the beginning of all sins)입니다. 사람은 재화(goods)를 혹은 부(富)/재물(財物)(riches)들을, 그들을 소유함으로써 어떠한 완미(some perfection)를, 혹은 어떠한 탁월(excellence)을, 혹은 어떠한 걸출(outstanding)을, 혹은 어떠한 주목할 만한  향유(enjoyment)를 가지기 위하여, 원합니다(wants).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탐을 냄/욕망(covetousness)이 윤리적 악[moral evil, 즉, 죄(sin)]의 뿌리(root)인 반면에, 교만은 죄들의 시작(the beginning of sins)입니다.

 

-----
(*) 번역자 주: 따라서, 탁월성에 대한 과도(過度)하지 않은(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욕망(desire, concupiscence, cupidity)은 결코 "교만(pride)"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과도한(inordinate) 탁월욕망은 교만(superbia, pride)이라고 불리는 죄이나,
과도(過度)하지 않은 탁월욕망(卓越欲望, the desire for excellence)은 죄가 아니다.

-----

 

3. Therefore covetousness(*) and pride are fundamental or capital sins. These sins are like generals in an evil army; all the action of the evil warfare stems from them. And there are also colonels and majors in the evil army; these too are listed with the capital sins.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10월 1일]

-----
(*) 번역자 주: 전후 문맥 안에서, "avarice"로 번역되어야 할 용어가 지금처럼 "covetousness"로 번역된 것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명백한 번역 오류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2780.htm <----- 필독 권고
-----

[이상, 2021년 10월 1일자 내용 추가 끝]

 

3. 그러므로 탐욕(avarice)과 교만은 죄근(罪根, fundamental sins)들 혹은 죄종(罪宗 capital sins, 즉, 우두머리 죄)들입니다. 이들 죄들은 한 개의 악한 군대의 장군(generals)들이며, 악한 전쟁의 모든 행동들은 그들로부터 유래합니다. 그리고 이 악한 군대에는 또한 대령(colonels)들과 소령(majors)들이 있으며, 이들 또한 이 죄종들과 함께 나열됩니다.

 

4. There are five sins in addition to pride and covetousness that are rightly reckoned as capital sins. Hence, the count of capital sins is seven: pride, covetousness, lust, anger, gluttony, envy, sloth.

 

4. 교만과 탐욕(avarice)에 추가하여 죄종(우두머리 죄)들로서 올바르게 열거되는 다섯 개의 죄들이 있습니다. 따라서, 죄종들의 총수(count)는 다음과 같이 일곱입니다: 교만(pride), 탐욕(avarice), 음욕(lust), 분노(anger), 탐도(貪?, gluttony), 질투(envy), 나태(sloth).

 

영문본 출처: http://www.catholictheology.info/summa-theologica/
summa-part2A.php?q=507

 

====================

 

출처 1: http://www.newadvent.org/summa/2084.htm
출처 2: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__P6S.HTM

 

신학 대전 Ia Iae

 

Question 84. The cause of sin, in respect of one sin being the cause of another

 

질문 84. 하나의 죄(one sin)가 다른 죄의 원인이라는 점에 있어, 죄의 원인

 

We must now consider the cause of sin, in so far as one sin can be the cause of another. Under this head there are four points of inquiry:

 

이제 우리는, 하나의 죄(one sin)가 다른 죄의 원인일 수 있는 한, 죄의 원인에 대하여 고찰하여야 합니다. 바로 이 표제 아래에서 질문에 있어서의 네 개의 요지들이 다음과 같이 있숩니다:

 

1. Is covetousness the root of all sins?
2. Is pride the beginning of every sin?
3. Should other special sins be called capital vices, besides pride and covetousness?
4. How many capital vices there are, and which are they?

 

Article 1. Whether avarice is the root of all sins?

 

제1항. 탐욕(avarice)이 모든 죄들의 뿌리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covetousness is not the root of all sins. For covetousness, which is immoderate desire for riches, is opposed to the virtue of liberality. But liberality is not the root of all virtues. Therefore covetousness is not the root of all sins.

 

반대 1. 탐욕(avarice)은 모든 죄들의 뿌리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부(富)/재물(財物)(riches)들에 대한 과도(過度)한(inordinate, 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1) 욕망을 말하는 탐욕(avarice)은 관대함/인색하지 않음(liberality)(*2)이라는 덕에 반대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관대함/인색하지 않음은 모든 덕들의 뿌리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탐욕(avarice)은 모든 죄들의 뿌리가 아닙니다.

 

-----
(*1)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들을 클릭하면, 신학 대전 본문 중에 "inordinate"라는 단어가 총 306번 사용되고 있고 그리고 "inordinateness"라는 단어가 총 75번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PV.HTM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1/TZ.HTM

 

그리고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의 "excessive" 에 주어진 "inordinate"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발췌 시작)
INORDINATE implies an exceeding of limits dictated by reason or good judgment.

 

과도(過度)한(inordinate)은 [올바른(right)] 이성 혹은 선한(good)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limits)의 어떤 초과 행위를 의미한다.(#)  


-----
(#) 번역자 주: 이 설명은, 다음에 있는, 신학 대전, IIa, IIae, q125, a1에 주어진 설명이 그 근거/출처라는 생각이다: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b-123-127.htm#q125a1co [주: 옛 주소]

http://www.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Part_IIb/Q125#q125a1co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따라서, "ordinate"는 "[어떤, 인간의, 행위(a human act)가]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즉, "within the limits of order dictated by right reason or good judgment(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질서/순서(order)의 범위 안쪽에 있는"으로 정의됨(defined)을 알 수 있다.(#1)

 

-----
(#1) 번역자 주: 다음에 있는 용례 검색/분석에 의하면, 라틴어 원문 및 영문본 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ordinate"가 "inordinate"의 반대말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는데, 그러나 문제는, 세속의 영어 사전에 "ordinate"라는 형용사에 대한 설명이 주어지지 않은 데에 있다:

"ordinate" "inordinate" "Summa Theologiae" site:logicmuseum.com/authors/aquinas [주: 옛 검색 주소]

"ordinate" "inordinate" "Summa Theologiae" site: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

----- 

 

(*2) 번역자 주:

(i) 여기서 라틴어 "cupiditas"가,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literal sense)인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 즉, "하느님이 사랑받게 되지 않는 사랑", 즉, "애덕이 아닌 사랑"(#)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프랑스어본 신학 대전에서처럼, 영어 단어 "cupidity"로 직역 번역되는 대신에, "covetousness"로 번역된 것은, 비록 이 영어 단어의 어원이 라틴어 "cupiditas"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수준의 독자들이 성 아우구스티노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를 연상하는 것을 상당히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영어권에서 이로부터 파생되는 개념적 혼란을 이미 야기해 왔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 번역자 주: 다음의 글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37.htm

 

(ii)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 Ia, IIae, q30, a3에서, 라틴어 "cupiditas", 즉, "cupidity"의 자구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부분에서 발췌한 것이다:

 

출처: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a-30-34.htm#q30a3co
 [주: 옛 주소]

http://www.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Part_IIa/Q30#q30a3co
(발췌 시작)
I answer that, As stated above (Article 1), concupiscence is the craving for pleasurable good. Now a thing is pleasurable in two ways. First, because it is suitable to the nature of the animal; for example, food, drink, and the like: and concupiscence of such pleasurable things is said to be natural. Secondly, a thing is pleasurable because it is apprehended as suitable to the animal: as when one apprehends something as good and suitable, and consequently takes pleasure in it: and concupiscence of such pleasurable things is said to be not natural, and is more wont to be called "cupidity." Accordingly concupiscences of the first kind, or natural concupiscences, are common to men and other animals: because to both is there something suitable and pleasurable according to nature: and in these all men agree; wherefore the Philosopher (Ethic. iii, 11) calls them "common" and "necessary." But concupiscences of the second kind are proper to men, to whom it is proper to devise something as good and suitable, beyond that which nature requires. Hence the Philosopher says (Rhet. i, 11) that the former concupiscences are "irrational," but the latter, "rational." And because different men reason differently, therefore the latter are also called (Ethic. iii, 11) "peculiar and acquired," i.e. in addition to those that are natural.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위에서(제1항) 서술되었듯이,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concupiscence)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선(pleasurable good)에 대하여 간청하는/진정(眞正)으로 요청하는/간구하는(seriously demanding) 행위(craving, appetitus)입니다.(#2) 그런데 어떤 사물은, 두 가지 방식들로, 즐거움을 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왜냐하면 그것이 [인간들의] 동물성(動物性, the animal)이라는 본성(nature)에 적합하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음식, 음료 등, 그리하여 그러한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사물들에 대한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은 본성적(natural)이라고 말해집니다. 두 번째로, 어떤 사물은 즐거움을 줄 수 있는데 왜냐하면, 한 사람이 어떠한 사물을 선하고(good) 그리고 적합한(suitable) 것으로서 파악하고(apprehends)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에서 즐거움을 취할 때처럼, 그것이 [인간들의] 동물성(動物性, the animal)적합한 것으로서 파악되기(is apprehended as suitable to the animal) 때문이며, 그리하여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바로 그러한 사물들에 대한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즉, 이기적인 욕심](concupiscence) 은 본성적이라고 불리지 않으며, 그리고 "cupidity"라고 불리는 것이 더 익숙해져 있습니다.(#3) 그 결과로 첫 번째 종류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 혹은 본성적 사욕/사욕편정은, 사람들과 다른 동물들에게 공통인데, 왜냐하면 둘 다에게 본성에 따라 적합하고 그리하여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그 무엇(somethings)이 있기 때문이며, 그리고 이들에 모든 사람들은 동의하며, 바로 그런 이유로 철학자[즉,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Ethic. iii, 11)는 그들을 "공통이고(common)" 그리고 "필요한(necessary)" 것들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두 번째 종류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은 사람들에게 고유한데(proper), 그들에게는 자연/본성(nature)이 요구하는 바로 그것을 넘어서, 그 무엇(something)을 선하고(good) 적합한(suitable) 것으로서 고안하는/발명하는(devise) 것이 고유합니다(proper). 따라서 이 철학자(Rhet. i, 11)는 전자의 사욕/사욕편정들은 "이성적이 아니고(irrational)", 후자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들은 "이성적이다(rational)"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왜냐하면 서로 다른 사람들은 서로 다르게 추론하기/논리적으로 생각하기(reason) 때문에, 그러므로 후자들은 또한 "특유한(peculiar) 그리고 습득된(acquired" 것들이라고, 즉, 본성적인 것들에 추가하여 "특유한(peculiar) 그리고 습득된(acquired" 것들이라고 불립니다(Ethic. iii, 11).

 

-----

(#2) 번역자 주: 그러므로, 원죄(original sin)의 결과로서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유유상종(類類相從)에 의하여 야기되는(신학 대전, Ia, IIae, q27, a3사랑(love, amor)[즉, 원초적 사랑(primal love)]"에 의하여 야기되고(caused) 그리고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sensitive appetite, 감각 욕구) 안에 있는 한 개의 종(種)적 정(情, passion)인(신학 대전, Ia, IIae, q30, a1 & a2), 바로 이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concupiscence)은, 설사 그 일어남에 있어 그 다음 단계인 욕망 행위(desiring)에 있다고 하더라도, 욕망 행위(desiring)에 있다고 하더라도, 과도하지(inordinate)[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은를 말하며, 따라서, 죄(sin)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오로지 [예를 들어, 탁월(excellence), 영광(glory), 재물(riches), 명예(honor) 등]과 같은 그 대상(object)인 끝(end)에 대한 과도한 욕망(inordinate desire) 죄가 있기(sinful) 때문이다.

 

(#3) 번역자 주:

(i) 따라서 "cupiditas(cupidity)"의 대상(objects)에는, 예를 들어, "돈(money)""문명의 이기들"의 온갖 종류들이 다 포함됨에 꼭 주목하라.

 

(ii) 또한 이들 두 종류의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들 그 자체들은 결코 죄(sins)들이 아님에 또한 반드시 주목하라.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iii)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 IIa, IIae, q186, a3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b-183-189.htm#q186a3co
 [주: 옛 주소]

http://www.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Part_IIb/Q186#q186a3co

(발췌 시작)

he says (QQ. lxxxiii, qu. 36) that "greater charity means less cupidity, perfect charity means no cupidity."

 

아우구스티노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더 커다란 애덕(greater charity)은 더 적은(less)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y)' 의미하고, 완미한 애덕(perfect charity)'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애덕이 아닌 사랑(cupidity)' 전혀 없음을 의미한다."(QQ. lxxxiii, qu. 36).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Objection 2. Further, the desire for the means proceeds from desire for the end. Now riches, the desire for which is called covetousness, are not desired except as being useful for some end, as stated in Ethic. i, 5. Therefore covetousness is not the root of all sins, but proceeds from some deeper root.

 

반대 2. 게다가, 그 수단들에 대한 욕망은 그 끝(the end)에 대한 욕망으로부터 나옵니다. 그런데, 그것에 대한 욕망이 탐욕(avarice)이라고 불리는, 부(富)/재물(財物)(riches)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Ethic. i. 5에 서술되어 있듯이, 어떠한 끝을 위하여 유용함을 제외하고 욕망하게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탐욕(avarice)은 모든 죄들의 뿌리가 아니고, 어떠한 더 깊은 뿌리로부터 나옵니다.

 

Objection 3. Further, it often happens that avarice, which is another name for covetousness, arises from other sins; as when a man desires money through ambition, or in order to sate his gluttony. Therefore it is not the root of all sins.

 

반대 3. 게다가, 탐욕(covetousness)을 나타내는 또다른 이름인 탐욕(avarice)은, 한 사람이 야망(ambition)을 통하여, 혹은 자신의 탐도(貪?, gluttony)을 배부르게 하기 위하여 돈을 욕망할 때처럼, 다른 죄들로부터 유래합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모든 죄들의 뿌리가 아닙니다. 

   

On the contrary, The Apostle says (1 Timothy 6:10): "The desire of money is the root of all evil."

 

이와는 달리, 이 사도(*1)는 "돈에 대한 사랑(cupitidas)(*2)이 모든 [윤리적] 악[evil, 즉 죄(sin)]의 뿌리이다"(*3)(1티모테오 6,10)라고 말합니다.

 

-----
(*1) 번역자 주: 이 사도는 성 바오로(St. Paul)를 말한다.

 

(*2) 번역자 주: 여기서 라틴어 "cupiditas"가, 영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literal sense)인 "세상이 사랑받게 되는 사랑(love)", 즉, "하느님이 사랑받게 되지 않는 사랑", 즉, "애덕이 아닌 사랑"(#) 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프랑스어본 신학 대전에서처럼, 영어 단어 "cupidity"로 직역 번역되는 대신에, "covetousness"로 번역된 것은, 비록 이 영어 단어의 어원이 라틴어 "cupiditas"임에도 불구하고, 보통 수준의 독자들이 성 아우구스티노에 의하여 정의된 그 자구적 어의를 연상하는 것을 상당히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영어권에서 이로부터 파생되는 개념적 혼란을 이미 야기해 왔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다.

 

 (#) 번역자 주: 다음의 글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37.htm

 

(*3)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악(evil)"은 곧 "윤리적 악(moral evil)", 즉, "죄(sin)"를 말한다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아래에 이어지는 자신의 답변에서 말하고 있음에 반드시 유념하라.
-----

 

I answer that, According to some, covetousness may be understood in different ways. First, as denoting inordinate desire for riches: and thus it is a special sin. Secondly, as denoting inordinate desire for any temporal good: and thus it is a genus comprising all sins, because every sin includes an inordinate turning to a mutable good, as stated above (Question 72, Article 2). Thirdly, as denoting an inclination of a corrupt nature to desire corruptible goods inordinately: and they say that in this sense covetousness is the root of all sins, comparing it to the root of a tree, which draws its sustenance from earth, just as every sin grows out of the love of temporal things.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어떠한 자들에 따라, 탐욕(avarice)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이해될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 부(富)/재물(財物)(riches)들에 대한 과도(過度)한(inordinate, 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 욕망(desire)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은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입니다. 두 번째로, 임의의 일시적 선(any temporal good)에 대한 과도(過度)한 욕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은 모든 죄들을 구성하는 한 개의 속(屬, a genus)인데, 왜냐하면 온갖 죄(every sin)는, 위에서(질문 72, 제2항) 서술되었듯이, 어떤 변하기 쉬운 선(a mutable good) 쪽으로 어떤 과도(過度)한 돌아서는 행위(an inordinate turning)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로, 타락하기 쉬운 선(corruptible goods)들을 과도(過度)하게(inordinately) 추구하는(appetenda) 어떤 타락한 본성(a corrupt nature)의 어떤 기울어짐(an incllination)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하여 탐욕(avarice)을, 온갖 죄(every sin)가 일시적 사물(temporal things)들에 대한 사랑(love)에 기인하여 성장하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땅으로부터 그  자양분을 끌어당기는, 한 그루의 나무의 뿌리에 비교함으로써, 바로 이러한 의미로 탐욕(avarice)이 모든 죄(peccatorum)들의 뿌리(the root of all sins)라고 그들은 말합니다.

 

Now, though all this is true, it does not seem to explain the mind of the Apostle when he states that covetousness is the root of all sins. For in that passage he clearly speaks against those who, because they "will become rich, fall into temptation, and into the snare of the devil . . . for covetousness is the root of all evils." Hence it is evident that he is speaking of covetousness as denoting the inordinate desire for riches. Accordingly, we must say that covetousness, as denoting a special sin, is called the root of all sins, in likeness to the root of a tree, in furnishing sustenance to the whole tree. For we see that by riches man acquires the means of committing any sin whatever, and of sating his desire for any sin whatever, since money helps man to obtain all manner of temporal goods, according to Ecclesiastes 10:19: "All things obey money": so that in this desire for riches is the root of all sins.

 

그런데, 이것 모두가 참(true)임에도 불구하고, 이 사도가 탐욕(avarice)이 모든 죄(peccatorum)들의 뿌리라고 서술할 때에 이 사도의 마음(mind)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는 바로 그 단락에서 그가 분명하게, 왜냐하면 그들이 "... 탐욕(avarice)이 모든 죄(peccatorum)들의 뿌리이기 때문에, 장차 부자가 되기를 바라고, 유혹 안쪽으로, 그리하여 악마의 올가미 안쪽으로 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라면서 그들에게 반하여 말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서 그가 부(富)/재물(財物)(riches)들에 대한 과도(過度)한(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 욕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탐욕(avarice)을 말하고 있는 것이 명백합니다.(*) 이에 따라서, 한 개의 종(種)적 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탐욕avarice)이, 전체 나무에 자양분을 공급함에 있어, 한 그루의 나무에 대한 비슷함으로, 모든 죄들의 뿌리라고 우리는 반드시(must) 말하여야 합니다. 이는 부(富)/재물(財物)(riches)들에 의하여 사람이, "모든 사물은 돈에 복종한다/이 모든 것을 돈이 해결해 준다"라는 코헿렛(전도서) 10,19에 따라, 사람이 일시적 선(temporal goods)들의 모든 방식을 획득하는 것을 돈이 도와주기 때문에, 임의의 죄 무엇이든지를 범하는 수단들을 획득함을 우리가 보며, 그리하여 그 결과 부(富)/재물(財物)(riches)들에 대한 바로 이러한 욕망 안에 모든 죄들의 뿌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
(*) 번역자 주:
따라서, 부(富)/재물(財物)(iches)들에 대한 과도(過度)하지 않은(즉, [어떤, 인간의, 행위(a human act)가]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질서/순서(order)의 범위 안쪽에 있는) 욕망(desire)은 결코 탐욕(avarice)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과도한 재물욕망은 탐욕(avarice)이라고 불리는 죄이나,

과도(過度)하지 않은 재물욕망(財物欲望, the desire for riches)은 죄가 아니다.

----- 

 

Reply to Objection 1. Virtue and sin do not arise from the same source. For sin arises from the desire of mutable good; and consequently the desire of that good which helps one to obtain all temporal goods, is called the root of all sins. But virtue arises from the desire for the immutable God; and consequently charity, which is the love of God, is called the root of the virtues, according to Ephesians 3:17: "Rooted and founded in charity."

 

반대 1에 대한 답변. 덕(virtue)과 죄(sin)는 동일한 원천으로부터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는 죄가 변하기 쉬운 선(mutable good)에 대한 욕망으로부터 일어나고,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모든 일시적 선들을 당사자가 획득하는 것을 돕는 바로 그 선에 대한 욕망은 모든 죄들의 뿌리(thr root of all sins)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덕은 불변의 하느님(immutable God)에 대한 욕망으로부터 일어나며,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하느님에 대한 사랑(the love of God)인 애덕(charity)이, "애덕에 뿌리가 내려진 그리고 기초를 둔"이라는 에페소서 3,14에 따라, 덕들의 뿌리(the root of the virtues)라고 불립니다.

 

Reply to Objection 2. The desire of money is said to be the root of sins, not as though riches were sought for their own sake, as being the last end; but because they are much sought after as useful for any temporal end. And since a universal good is more desirable than a particular good, they move the appetite more than any individual goods, which along with many others can be procured by means of money.

 

반대 2에 대한 답변. 돈에 대한 욕망은, 마치 부(富)/재물(財物)(riches)들이, 마지막 끝(end)인 것으로서, 그들 고유한 목적을 위하여 추구되는 것처럼이 아니고, 왜냐하면 그들이 임의의 일시적 끝(temporal end)를 위하여 유용한 것으로서 더 추구되기 때문에, 죄들의 뿌리라고 말해집니다. 그리소 어떤 보편적 선은 어떤 개별적 선보다 더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들은, 많은 다른 것들과 함께 돈이라는 수단에 의하여 입수될 수 있는, 임의의 개별적 선들보다 이 욕구(the appetite)를 더 많이 움직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Just as in natural things we do not ask what always happens, but what happens most frequently, for the reason that the nature of corruptible things can be hindered, so as not always to act in the same way; so also in moral matters, we consider what happens in the majority of cases, not what happens invariably, for the reason that the will does not act of necessity. So when we say that covetousness is the root of all evils, we do not assert that no other evil can be its root, but that other evils more frequently arise therefrom, for the reason given.

 

반대 3에 대한 답변. 자연적 사물들에서와 꼭 마찬가지로, 타락하기 쉬운 사물들의 본성이 방해를 받을 수 있어, 그리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항상 움직이지 않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우리는 항상 발생하는 바를 묻는 것이 아니라, 가장 자주 발생하는 바를 물으며, 그래서 또한 윤리적 문제(moral matters)들에 있어서도, 우리는, 의지(the will)가 필요성에 기인하여 움직이지 않는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변함없이 발생하는 바가 아니라, 경우들의 대다수에 있어 발생하는 바를 고찰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탐욕(avarice)이 모든 [윤리적] 악(즉, 죄)들의 뿌리라고 말할 때에, 우리는 다른 [윤리적] 악(즉, 죄)이 그 뿌리일 수가 없음을 단언하는(assert) 것이 아니고, 제시된 이유 때문에, 다른 [윤리적] 악(즉, 죄)들이 그들로부터 더 자주 일어남을 단언하는 것입니다.

 

Article 2. Whether pride is the beginning of every sin?

 

제2항. 교만(pride)이 온갖 죄의 시작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pride is not the beginning of every sin. For the root is a beginning of a tree, so that the beginning of a sin seems to be the same as the root of sin. Now covetousness is the root of every sin, as stated above (Article 1). Therefore it is also the beginning of every sin, and not pride.

 

반대 1. 교만은 온갖 좌(every sin)의 시작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한 그루의 나무의 한 시작(a beginning)은 그 뿌리이고, 그리하여 그 결과 한 개의 죄의 시작은 죄의 뿌리와 동일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탐욕(avarice)은, 위에서(제1항) 서술되었듯이, 온갖 죄의 뿌리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이 또한 온갖 죄의 시작인 것이지, 교만(pride)이 아닙니다.

 

Objection 2. Further, it is written (Sirach 10:14): "The beginning of the pride of man is apostasy [Douay: 'to fall off'] from God." But apostasy from God is a sin. Therefore another sin is the beginning of pride, so that the latter is not the beginning of every sin.

 

반대 2. 게다가, "사람의 교만의 시작은 하느님으로부터 변절(變節, apostasy)[Douay: '분리되어 떨어짐(to fall off)']이다"(집회 10,14)라고 쓰여 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으로부터 변절은 한 개의 죄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죄가 교만의 시작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이 후자(교만)는 온갖 죄의 시작이 아닙니다.

 

Objection 3. Further, the beginning of every sin would seem to be that which causes all sins. Now this is inordinate self-love, which, according to Augustine (De Civ. Dei xiv), "builds up the city of Babylon." Therefore self-love and not pride, is the beginning of every sin.

 

반대 3. 게다가, 온갖 죄의 시작은 모든 죄를 야기하는 바로 그것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것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e)에 따르면 "바빌론의 도성을 건설하는", 과도(過度)한(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 자기-사랑(自愛, self-love)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이 아니라, 자기-사랑이 온갖 죄의 시작입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Sirach 10:15): "Pride is the beginning of all sin."

 

이와는 달리, "교만은 모든 죄의 시작이다"(집회 10,15)(*)라고 쓰여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이 절은, 다음의 글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있듯이,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집회서 10,15, 그리고 공동번역성서집회서 10,13과 동일하다. 러나 "새 번역 성경" 집회서 10,13과는 인과 관계가 뒤집어져 있다. 이와 같이, 지역 언어로 성경의 특정한 절이 가톨릭 교회의 공인 성경인 의 해당 절과 완전히 인과 관계가 뒤집어지는 번역 오류는 참으로 커다란 문제가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3.htm <----- 필독 권고

-----

 

I answer that, Some say pride is to be taken in three ways. First, as denoting inordinate desire to excel; and thus it is a special sin. Secondly, as denoting actual contempt of God, to the effect of not being subject to His commandment; and thus, they say, it is a generic sin. Thirdly, as denoting an inclination to this contempt, owing to the corruption of nature; and in this sense they say that it is the beginning of every sin, and that it differs from covetousness, because covetousness regards sin as turning towards the mutable good by which sin is, as it were, nourished and fostered, for which reason covetousness is called the "root"; whereas pride regards sin as turning away from God, to Whose commandment man refuses to be subject, for which reason it is called the "beginning," because the beginning of evil consists in turning away from God.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어떠한 자들은 교만이 세 가지 방식으로 이해될(be taken) 것이라고 말합니다. 첫 번째, 탁월하고자 하는 과도(過度)한(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 욕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은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입니다. 두 번째로, 하느님의 계명에 종속하지 않음의 취지로, 하느님에 대한 현실태적 경멸(actual contempt)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하여 그 결과, 그들은, 그것이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ic sin)라고 말합니다. 세 번째로, 본성의 타락에 기인하는, 바로 이 경멸 쪽으로 어떤 기울어짐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의미로 그들은 교만이 온갖 죄(every sin)의 시작이라고 말하고, 그리고, 왜냐하면 탐욕(avarice)이 죄를, 바로 그것에 의하여 죄가, 말하자면, 자양분을 받게되고 그리고  육성되는, 변하기 쉬운 선을 향하여 돌아서는 행위(turning)로서 간주하기 때문에, 교만이 탐욕(avarice)과 다르다고 말하는데, 바로 이 이유 때문에 탐욕(avarice)은 그 "뿌리(root)"라고 볼리고, 이와는 달리, 교만은 죄를, 하느님의 계명 쪽으로 사람이 종속되는 것을 거부하면서,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turning away)로서 간주하는데, 바로 이 이유 때문에 교만은 그 "시작"이라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윤리적 악의 시작은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turning away)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 번역자 주: 따라서, 탁월성에 대한 과도(過度)하지 않은(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는) 욕망(desire)은 결코 "교만(pride)"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과도한(inordinate) 탁월욕망은 교만(superbia, pride)이라고 불리는 죄이나,

과도(過度)하지 않은 탁월욕망(卓越欲望, the desire for excellence)은 죄가 아니다.

----- 

 

Now though all this is true, nevertheless it does not explain the mind of the wise man who said (Sirach 10:15): "Pride is the beginning of all sin." For it is evident that he is speaking of pride as denoting inordinate desire to excel, as is clear from what follows (verse 17): "God hath overturned the thrones of proud princes"; indeed this is the point of nearly the whole chapter. We must therefore say that pride, even as denoting a special sin, is the beginning of every sin. For we must take note that, in voluntary actions, such as sins, there is a twofold order, of intention, and of execution. In the former order, the principle is the end, as we have stated many times before (1, 1, ad 1; 18, 7, ad 2; 15, 1, ad 2; 25, 2). Now man's end in acquiring all temporal goods is that, through their means, he may have some perfection and excellence. Therefore, from this point of view, pride, which is the desire to excel, is said to be the "beginning" of every sin. On the other hand, in the order of execution, the first place belongs to that which by furnishing the opportunity of fulfilling all desires of sin, has the character of a root, and such are riches; so that, from this point of view, covetousness is said to be the "root" of all evils, as stated above (Article 1).

 

그런데 비록 이것 모두가 참(true)임에도 불구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만은 모든 죄의 시작이다"(집회 10,15)(*)라고 말하였던 이 현자의 마음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이는, 뒤따르는 바인 "하느님께서 교만한 군주들의 왕좌들을 이미 전복시키셨다"(제17절)로부터 분명하듯이, 그가 탁월하고자 하는 과도(過度)한(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는) 욕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교만에 대하여 말하고 있는 것이 명백하기 때문인데, 정말로 바로 이것이 거의 전체 장의 요지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심지어 한 개의 종(種)적 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교만이 온갖 죄(every sin)의 시작이라고 반드시 말하여야 합니다. 이는, 죄들과 같은, 자의적인 행동들에 있어, 의향(intention)에 있어서의, 그리고 수행(execution)에 있어서의, 어떤 두 겹의 질서/순서(a twofold order)가 있음을 우리는 반드시 주목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전자의 질서/순서에 있어, 그 원리는, 우리가 이전에 여러 번 이미 서술하였듯이(1, 1, ad 1; 18, 7, ad 2; 15, 1, ad 2; 25, 2), 그 끝(the end)입니다. 그런데 모든 일시적 선(temporal goods)들을 획득함에 있어 사람의 끝은, 그들의 수단들을 통하여, 그가 어떠한 완미(perfection)와 탁월을 가졌을 수도 있음 바로 그것입니다. 그러므로, 바로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탁월하고자 하는 [과도한(inordinate)] 욕망인 교만(pride)은 온갖 죄의 "시작(beginning)"이라고 말해집니다. 다른 한편으로, 수행의 질서/순서에 있어, 첫 번째 자리는 죄의 모든 욕망들을 구현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 개의 뿌리(a root)의 특성을 가지는 바로 거기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며/적절하며(pertinet ad, belongs to), 그리고 부(富)/재물(財物)(riches)들이 바로 그러한 것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바로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위에서(제1항) 서술되었듯이, 탐욕(avarice)은 모든 [윤리적] 악[즉, 죄]들의 "뿌리(root)"라고 말해집니다.

 

-----

(*) 번역자 주: 이 절은, 다음의 글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있듯이,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집회서 10,15, 그리고 공동번역성서집회서 10,13과 동일하다. 러나 "새 번역 성경" 집회서 10,13과는 인과 관계가 뒤집어져 있다. 이와 같이, 지역 언어로 성경의 특정한 절이 가톨릭 교회의 공인 성경인 의 해당 절과 완전히 인과 관계가 뒤집어지는 번역 오류는 참으로 커다란 문제가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3.htm <----- 필독 권고

-----

 

This suffices for the Reply to the First Objection.

 

이것은 첫 번째 반대에 대한 답변을 위하여 충분합니다.

 

Reply to Objection 2. Apostasy from God is stated to be the beginning of pride, in so far as it denotes a turning away from God, because from the fact that man wishes not to be subject to God, it follows that he desires inordinately his own excellence in temporal things. Wherefore, in the passage quoted, apostasy from God does not denote the special sin, but rather that general condition of every sin, consisting in its turning away from God. It may also be said that apostasy from God is said to be the beginning of pride, because it is the first species of pride. For it is characteristic of pride to be unwilling to be subject to any superior, and especially to God; the result being that a man is unduly lifted up, in respect of the other species of pride.

 

반대 2에 대한 답변. 하느님으로부터 변절(變節, apostasy)은, 그것이 하느님으로부터 어떤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turning away)를 나타내는 한, 교만의 시작이라고 서술되는데, 왜냐하면 사람이 하느님께 종속하 않는 것을 바란다는 사실로부터 그가 일시적 사물들에 있어 자신의 고유한 탁월성을 과도(過度)하게(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게) 욕망함이 뒤따르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인용된 단락에 있어, 하느님으로부터 변절(變節, apostasy)은 한 개의 종(種)적 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느님으로부터 어떤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turning away)를 주되게 가지는, 온갖 죄의 일반적인 조건을 나타냅니다. 하느님으로부터 변절(變節, apostasy)이 교만의 시작이라고 말해지는 것은 또한 말해질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교만의 첫 번째 종(種, species)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어느 우월자에게도, 특히 하느님께, 종속되는 것을 자진해서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이 교만의 특징이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는, 교만의 다른 종(種, species)들에 대한 고려에 있어(in respect of), 한 사람이 과도하게(unduly) 위로 들어올려지는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In desiring to excel, man loves himself, for to love oneself is the same as to desire some good for oneself. Consequently it amounts to the same whether we reckon pride or self-love as the beginning of every evil.

 

반대 3에 대한 답변. 탁월하고자 하는 욕망 행위에 있어, 사람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데, 이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자기 자신을 위하여 어떠한 선을 욕망하는 것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로 교만이든 혹은 자기-사랑(self-love)이든 이들 둘 중의 하나를 온갖 [윤리적] 악[즉, 죄(sin)]의 시작으로서 우리가 생각하는(reckon) 것은 결국에 마찬가지입니다.

 

Article 3. Whether any other special sins, besides pride and avarice, should be called capital?

 

제3항. 교만과 탐욕(avarice)을 제외하고, 어느 다른 종(種)적 죄들이 마땅히 죄종(capital sins, 우두머리 죄)들이라고 불려야 하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no other special sins, besides pride and avarice, should be called capital. Because "the head seems to be to an animal, what the root is to a plant," as stated in De Anima ii, text. 38: for the roots are like a mouth. If therefore covetousness is called the "root of all evils," it seems that it alone, and no other sin, should be called a capital vice.

 

반대 1. 교만과 탐욕(avarice)을 제외하고, 다른 종(種)적 죄들 어떠한 것도 마땅히 죄종(즉, 우두머리 죄)들이라고 불리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De Anima ii, text. 38에 서술되어 있듯이, "한 그루의 식물에게 그 뿌리(the root)인 바는, 한 마리의 동물에게 그 머리(the head)인 것 같기" 때문인데, 이는 뿌리들이 한 개의 입과 같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만약에 탐욕(avarice)이 "모든 [윤리적] 악[즉, 죄]들의 뿌리"라고 불린다면, 그것 홀로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a capital vice)이라고 마땅히 불리고, 그리고 다른 죄 어떠한 것도 마땅히 그렇게 불리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head bears a certain relation of order to the other members, in so far as sensation and movement follow from the head. But sin implies privation of order. Therefore sin has not the character of head: so that no sins should be called capital.

 

반대 2. 게다가, 이 머리(the head)는,  감각 기능(sensation)과 움직임(movement)이 이 머리로부터 뒤따르는 한, 다른 지체(members)들 쪽으로 순서/질서(order)에 있어서의 어떤 관계를 분담합니다(bears). 그러나 죄는 순서/질서(order)의 박탈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죄는 머리의 특성을 가지지 못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어떠한 죄들도 죄종(capital sins, 죄들의 우두머리)들이라고 마땅히 불리지 말아야 합니다.

 

Objection 3. Further, capital crimes are those which receive capital punishment. But every kind of sin comprises some that are punished thus. Therefore the capital sins are not certain specific sins.

 

반대 3. 게다가, 우두머리 범죄(capital crimes)들은 우두머리 벌(capital punishment, 즉, 사형)을 받는 바로 그것들입니다. 그러나 죄의 온갖 종류는 바로 그러한 방식으로 벌을 받게 되는 일부로 이루어집니다. 그러므로 죄종들은 어떤 종(種)적 죄들이 아닙니다.


On the contrary, Gregory (Moral. xxxi, 17) enumerates certain special vices under the name of capital.

 

이와는 달리,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Gregory)(Moral. xxxi, 17)은 우두머리(capital)라는 이름 아래에서 어떤 종(種)적 악덕들을 나열합니다.

 

I answer that, The word capital is derived from "caput" [a head]. Now the head, properly speaking, is that part of an animal's body, which is the principle and director of the whole animal. Hence, metaphorically speaking, every principle is called a head, and even men who direct and govern others are called heads. Accordingly a capital vice is so called, in the first place, from "head" taken in the proper sense, and thus the name "capital" is given to a sin for which capital punishment is inflicted. It is not in this sense that we are now speaking of capital sins, but in another sense, in which the term "capital" is derived from head, taken metaphorically for a principle or director of others. In this way a capital vice is one from which other vices arise, chiefly by being their final cause, which origin is formal, as stated above (Question 72, Article 6). Wherefore a capital vice is not only the principle of others, but is also their director and, in a way, their leader: because the art or habit, to which the end belongs, is always the principle and the commander in matters concerning the means. Hence Gregory (Moral. xxxi, 17) compares these capital vices to the "leaders of an army."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우두머리[capital, 종(宗)]이라는 단어는 "caput"[한 개의 머리]로부터 유래됩니다. 그런데, 이 머리(the head)는, 고유하게 말하여, 한 마리의 동물의 몸의, 전체 동물의 원리(principle)이고 그리고 지도자(director)인 바로 그 부분입니다. 따라서, 비유적으로 말하여, 온갖 원리는 한 개의 머리(a head)라고 불리며, 그리하여 심지어 다른 자들을 지도하고 통치하는 사람들은 머리들이라고 불립니다. 이에 따라서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a capital vice)은, 첫 번째로, 고유한 의미로 이해되는 "머리(head)"로부터 그렇게 불리며, 그리하여 그 결과 "우두머리[capital, 종(宗)]" 이라는 이름이, 그것에 대하여 우두머리 벌(즉, 사형)이 주어졌던(is inflicted), 어떤 죄에게 주어집니다. 우리가 죄종(즉, 우두머리 죄)들에 대하여 지금 말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의미로가 아니고, 다른 의미로 인데, 그 안에서 "우두머리[capital, 종(宗)]"라는 용어가, 다른 자들의 한 원리 혹은 지도자를 나타내기 위하여 비유적으로(metaphorically) 이해되는, 머리(head)로부터 유래됩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은, 주로(chiefly), 위에서(질문 72, 제6항) 서술되었듯이, 그 기원이 형상적인(formal), 그들의 목적인(目的因)/궁극인(因)(final cause)임에 의하여, 그것으로부터 다른 악덕들이 일어나는 바로 그 악덕을 말합니다. 그런 이유로,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은 다른 악덕들의 원리일뿐만이 아니라, 또한 그들의 지도자이며, 그리하여, 어떤 방식으로, 그들의 선도자(leader)인데, 왜냐하면, 거기에 그 끝(the end)이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pertinet ad, belongs to), 기술(art) 혹은 습관(habit)은 수단들에 관련한 사안들에 있어 항상 그 원리이며 명령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Moral. xxxi, 17)은 이들 우두머리 악덕들을 "한 개의 군대의 지휘관들"에 비교합니다.

 

Reply to Objection 1. The term "capital" is taken from "caput" and applied to something connected with, or partaking of the head, as having some property thereof, but not as being the head taken literally. And therefore the capital vices are not only those which have the character of primary origin, as covetousness which is called the "root," and pride which is called the beginning, but also those which have the character of proximate origin in respect of several sins.

 

반대 1에 대한 답변. "우두머리[capital, 종(宗)]"라는 용어는 "caput"로부터 취해진 것이며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어떠한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러나 글자 그대로 이해되는 머리인 것으로서가 아닌, 이 머리와 연결된 그 무엇에, 혹은 이 머리를 함께하는 행위에, 적용됩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우두머리 악덕들은, 그 "뿌리"라고 불리는 탐욕(avarice), 그리고 그 시작이라고 불리는 교만(pride)처럼, 수위(首位)의 기원(primary origin)이라는 특성을 가지는 바로 그러한 악덕들일뿐만이 아니라, 또한 여러 가지 죄들에 대한 고려에 있어(in respect of) 가장 가까운 기원(proximate origin)이라는 특성을 가지는 바로 그러한 악덕들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Sin lacks order in so far as it turns away from God, for in this respect it is an evil, and evil, according to Augustine (De Natura Boni iv), is "the privation of mode, species and order." But in so far as sin implies a turning to something, it regards some good: wherefore, in this respect, there can be order in sin.

 

반대 2에 대한 답변. 죄에는, 그것이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한, 순서/질서가 결핍되는데, 이는 바로 이러한 점에 있어 그것은 한 개의 악an evil)이고, 그리고 악(evil)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e)에 따라서, "양식(mode), 종(種, species), 그리고 질서/순서(order)의 박탈"(De Natura Boni iv)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죄가 그 무엇 쪽으로 어떤 돌아서는 행위를 의미하는 한, 그것은 어떠한 선(some good)에 관련을 가지는 것이며, 그리고 그런 이유로, 바로 이러한 점에 있어, 죄에 질서/순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is objection considers capital sin as so called from the punishment it deserves, in which sense we are not taking it here.

 

반대 3에 대한 답변. 이러한 반대는 죄종(capital sin, 우두머리 죄)을 그것이 받을 만한 벌로부터 그렇게 불리는 것으로서 고찰하는데, 그 의미로 우리가 이것을 여기에서 이해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Article 4. Whether the seven capital vices are suitably reckoned?

 

제4항. 칠죄종(seven capital vices)들은 적절하게 나열되었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we ought not to reckon seven capital vices, viz. vainglory, envy, anger, sloth, covetousness, gluttony, lust. For sins are opposed to virtues. But there are four principal virtues, as stated above (Question 61, Article 2). Therefore there are only four principal or capital vices.

 

반대 1. 우리가 일곱 개의 우두머리 악덕(칠죄종)들을, 즉, 허영(vainglory), 질투(envy), 분노(anger), 나태(sloth), 탐도(貪?, gluttony), 음욕(lust)을, 열거하지 말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이는 죄들이 덕(virtues)들에 반대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위에서(질문 61, 제2항) 서술되었듯이, 네 개의 주된 덕(사추덕)들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로지 네 개의 주된 혹은 우두머리 악덕들만이 있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passions of the soul are causes of sin, as stated above (Question 77). But there are four principal passions of the soul; two of which, viz. hope and fear, are not mentioned among the above sins, whereas certain vices are mentioned to which pleasure and sadness belong, since pleasure belongs to gluttony and lust, and sadness to sloth and envy. Therefore the principal sins are unfittingly enumerated.

 

반대 2. 게다가, 영혼의 정(情, passions)들은, 위에서(질문 77) 서술되었듯이, 죄의 원인들입니다. 그러나 영혼의 네 개의 주된 정(情)(four principle passions)들이 있으며 그들중의 두 개는, 즉, 희망(hope)과 두려움(fear)은, 위의 죄들 중에 언급되지 않고, 이와는 달리, 거기에 즐거움(pleasure)과 후회/아쉬움(sorrow)이 속하는, 어떤 악덕들은 언급되는데, 왜냐하면 즐거움은 탐도(貪?, gluttony)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고(pertinet ad, belongs to), 그리고 슬픔은 나태(sloth)와 분노(anger)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기(pertinet ad, belong to)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 주된 죄(principal sins, 즉, 죄종)들은 부적절하게 열거되었습니다.

 

Objection 3. Further, anger is not a principal passion. Therefore it should not be placed among the principal vices.

 

반대 3. 게다가, 분노는 한 개의 주된 정(情)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이 주된 악덕(즉, 죄종)들 중에 마땅히 열거되지 말아야 합니다.

 

Objection 4. Further, just as covetousness or avarice is the root of sin, so is pride the beginning of sin, as stated above (Question 84, Article 2). But avarice is reckoned to be one of the capital vices. Therefore pride also should be placed among the capital vices.

 

반대 4. 게다가, 위에서(질문 84, 제2항)에서 서술되었듯이, 탐욕(avarice) 혹은 탐욕(avarice)이 죄의 뿌리인 것과 꼭 마찬가지로, 교만(pride)는 죄의 시작입니다. 그러나 탐욕(avarice)은  이 죄종(capital vices)들 중의 하나라고 열거됩니다. 그러므로 교만(pride)도 또한 마땅히 이 죄종들 중에 열거되어야 합니다.

 

Objection 5. Further, some sins are committed which cannot be caused through any of these: as, for instance, when one sins through ignorance, or when one commits a sin with a good intention, e.g. steals in order to give an alms. Therefore the capital vices are insufficiently enumerated.

 

반대 5. 게다가, 어떠한 죄들은 이들 중의 어느 것을 통하여 야기될 수 없는, 예를 들어, 어떤 자가 무지를 통하여, 죄를 지을 때, 혹은 어떤 자가 어떤 선한 의향(a good intention)과 함께, 예를 들어, 어떤 자선을 제공하기 위하여 훔지는 등의, 어떤 죄를 저지를 때처럼, 어떠한 죄들은 저지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 죄종들은 불충분하게 나열되었습니다.

 

On the contrary, stands the authority of Gregory who enumerates them in this way (Moral. xxxi, 17).

 

이와 달리, 그들을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나열한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Gregory)의 권위 있는 책[authority, 전적(典籍)](Moral. xxxi, 17)이 서 있습니다.

 

I answer that, As stated above (Question 84, Article 3), the capital vices are those which give rise to others, especially by way of final cause. Now this kind of origin may take place in two ways. First, on account of the condition of the sinner, who is disposed so as to have a strong inclination for one particular end, the result being that he frequently goes forward to other sins. But this kind of origin does not come under the consideration of art, because man's particular dispositions are infinite in number. Secondly, on account of a natural relationship of the ends to one another: and it is in this way that most frequently one vice arises from another, so that this kind of origin can come under the consideration of art.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위에서(질문 84, 제3항) 서술되었듯이, 이 죄종들은, 특히 목적인(目的因)/궁극인(因)(final cause)을 경유하여, 다른 죄들을 야기하는 바로 그것들입니다. 그런데 기원에 있어서의 바로 이러한 종류는 두 가지 방식들로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 해당 죄인의 조건(condition)의 이유 때문인데, 그는 하나의 개별 끝(one particular end)을 위한 어떤 강한 기울어짐을 가지도록 경향을 갖게 되어, 그 결과는 그가 다른 죄들 쪽으로 자주 전진하는 바로 그것입니다. 그러나 기원에 있어서의 바로 이러한 종류는 기술(art)의 고찰 아래에서 오지 않는데, 왜냐하면 사람의 개별 성향(particular dispositions)들은 숫자에 있어 무한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서로에 대한 끝들에 있어서의 어떤 자연적/본성적 관계의 상태(a natural relationship)의 이유 때문이며,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가장 자주 하나의 악덕은 다른 악덕으로부터 일어나며, 그리하여 그 결과 기원에 있어서의 바로 이러한 종류가 기술(art)에 대한 고찰 아래에서 올 수 있습니다.

 

Accordingly therefore, those vices are called capital, whose ends have certain fundamental reasons for moving the appetite; and it is in respect of these fundamental reasons that the capital vices are differentiated. Now a thing moves the appetite in two ways. First, directly and of its very nature: thus good moves the appetite to seek it, while evil, for the same reason, moves the appetite to avoid it. Secondly, indirectly and on account of something else, as it were: thus one seeks an evil on account of some attendant good, or avoids a good on account of some attendant evil.

 

이에 따라서,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그 끝(ends)들이 욕구(appetite)를 움직일 어떤 근본적인 이유들을 가지고 있는 바로 그 악덕들은 우두머리[capital, 종(宗)]라고 불리며, 그리고 이 죄종들이 식별되는 것은 바로 이들 근본적인 이유들의 고려에서 입니다. 그런데 한 개의 사물이 두 가지 방식들로 욕구(the appetite)를 움직입니다. 첫 번째, 직접적으로 그리하여 그것의 바로 그 본성에 기인하여 인데,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선(good)은 선을 추구하도록(seek) 욕구를 움직이나, 이와는 달리, 악(evil)은, 바로 그 동일한 이유 때문에, 악을 기피(忌避)하도록(avoid) 욕구를 움직입니다. 두 번째로, 간접적으로 그리하여, 말하자면, 다른 그 무엇 때문인데,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어떤 자는 어떠한 부수적인(attendant) 선 때문에 어떤 악을 추구하거나, 혹은 어떠한 부수적인 악 때문에 어떤 선을 기피(忌避)합니다.

 

Again, man's good is threefold. For, in the first place, there is a certain good of the soul, which derives its aspect of appetibility, merely through being apprehended, viz. the excellence of honor and praise, and this good is sought inordinately by "vainglory." Secondly, there is the good of the body, and this regards either the preservation of the individual, e.g. meat and drink, which good is pursued inordinately by "gluttony," or the preservation of the species, e.g. sexual intercourse, which good is sought inordinately by "lust." Thirdly, there is external good, viz. riches, to which "covetousness" is referred. These same four vices avoid inordinately the contrary evils.

 

또다시, 사람의 선(man's good)은 삼중(threefold)입니다. 이는, 첫 번째로, 예를 들어, 명예/귀(貴)(honor) 및 찬양(praise)의 탁월성 등을, 단지 파악하게 됨을 통하여, 욕구의 상태(appetibilitatis, appetibility)라는 그 양상을 끌어내는, 영혼의 어떤 선(a certain good)이 있으며, 그리고 바로 이러한 선은 "허영(vainglory)"에 의하여 과도(過度)하게(즉, 올바른 이성 혹은 선한 판단에 의하여 지령받는 순서/질서(order)의 범위를 초과하게) 추구하게 됩니다. 두 번째로, 몸의 선(the good of the body)이 있는데, 그리고 이 선은, 예를 들어, 그 선이 "탐도(貪?, gluttony)"에 의하여 과도(過度)하게 추구되는 고기와 음료 등, 개인의 보존, 혹은, 예를 들어, 그 선이 "음욕(lust)"에 의하여 과도(過度)하게 추구되는, 성교(sexual intercourse) 등, 종(種, species)의 보존, 이들 둘 중의 하나에 관계합니다. 세 번째로, 그것에 대하여 "탐욕(avarice)"이 언급되는, 예를 들어, 부(富)/재물(財物)(riches)들 등, 외부적 선(external good)이 있습니다. 이들 동일한 네 개의 악덕들은 상반되는 악들을 과도(過度)하게 기피(忌避)합니다.

 

Or again, good moves the appetite chiefly through possessing some property of happiness, which all men seek naturally. Now in the first place happiness implies perfection, since happiness is a perfect good, to which belongs excellence or renown, which is desired by "pride" or "vainglory." Secondly, it implies satiety, which "covetousness" seeks in riches that give promise thereof. Thirdly, it implies pleasure, without which happiness is impossible, as stated in Ethic. i, 7; x, 6,7,[8] and this "gluttony" and "lust" pursue.

 

혹은 또다시, 선(good)은, 모든 사람들이 자연적으로/본성적으로 추구하는, 행복(happiness)[즉, 자연적/본성적 행복(natural happiness)]의 어떠한 성질을 소유함을 통하여 욕구(the appetite)를 주로(chiefly) 움직입니다.(*) 그런데 첫 번째로 [이 자연적/본성적] 행복은 완미(perfection)를 의미하는데, 왜냐하면 [이 자연적/본성적] 행복은, "교만(pride)" 혹은 "허영(vainglory)"에 의하여 욕망하게 되는 탁월성(excellence) 혹은 명성(renown)이 거기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pertinet ad, belong to), 어떤 완미한 선(a perfect good)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이 자연적/본성적] 행복은, 그것(즉, 이 자연적/본성적 행복)에 대하여(thereof) 유망(有望, promise)을 제시하는 부(富)/재물(財物)(riches)들로(in) "탐욕(avarice)"이 추구하는, 포만(飽滿, satiety)을 의미합니다. 세 번째로, [이 자연적/본성적] 행복은, [아리스토텔레스의] Ethic. i, 7; x, 6,7,[8]에 서술되어 있듯이, 그것 없이 [이 자연적/본성적] 행복이 불가능한, 즐거움(pleasure)을 의미하며 그리고 바로 이것을 "탐도(貪?, gluttony)"과 "음욕(lust)"이 추구합니다. 

 

-----
(*) 번역자 주: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바로 이러한 서술은, "행복(happiness)"에, (i)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가 말하는, "자연적/본성적 행복(natural happiness)", 그리고 (ii) 그리스도교의, 소위 말하는, 전통적 "사말 교리"에서 가르치고 있듯이, 사후에 천당(heaven)에서의 [초자연적] 지복직관(the [supernatural] beatific vision of God)을 말하는, "초자연적 행복(supernatural happiness)", 즉, "초자연적 참행복(supernatural beatitude)"이 있음을 암시함에 반드시 주목하라. 예를 들어, 다음에 있는 질문과 답변을 참고하라:

 

출처: http://www.harryhiker.com/et/et-13a0d.htm#2
(발췌 시작)
Aristotle saw happiness as the proper and excellent use of our rational facilities (intellect and will) in this present life. Would Aquinas agree with Aristotle on this?

    { 1 } - Yes completely -- Aristotle gave the last word on the subject.
    { 2 } - Aristotle was right in his description of natural happiness, but there's also a more complete supernatural happiness that we learn about from Christianity.
    { 3 } - No -- Aristotle was totally wrong.

Natural happiness, as described by Aristotle, can bring us a degree of fulfillment. But beyond this is a greater supernatural happiness, which consists in the contemplation of God (the beatific vision) in the afterlife.

What makes an action bad, ultimately, is that it moves us away from our ultimate goal, which is complete happiness in God. To orient ourselves toward God, we need more than just natural virtues like wisdom, justice, self-control, and courage; we also need faith, hope, and love.(#)

 

-----
(#) 번역자 주:
(1) "초자연적 행복"에 대하여 여기에 주어진 바로 이 설명은 다음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IIae, q62 The theological virtues(향주덕들)가 그 출처라는 생각이다:
http://www.newadvent.org/summa/2062.htm 

 

(2) 다른 한편으로, "성령칠은(seven gifts of the Holy Spirit)"들 중의 한 개인 "이해(understanding)"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구원에 관련하여 필수적인 사물들 이외의 다른 사물들 쪽으로 초자연적 은총인 이 "이해가", "교만(pride)"을 자극하지 못하도록, 거룩한 인격들(holy persons)로부터 때로는 스스로 뒤로 물러남(withdraw)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8 The gift of understanding, a4, ad3도 읽도록 하라: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
Summa-IIb-8-9.htm#q8a4ad3
 [주: 옛 주소]

http://www.logicmuseum.com/wiki/Authors/Thomas_Aquinas/Summa_Theologiae/Part_IIb/Q8#q8a4ad3
----
 (이상, 발췌 끝)
----

 

On the other hand, avoidance of good on account of an attendant evil occurs in two ways. For this happens either in respect of one's own good, and thus we have "sloth," which is sadness about one's spiritual good, on account of the attendant bodily labor: or else it happens in respect of another's good, and this, if it be without recrimination, belongs to "envy," which is sadness about another's good as being a hindrance to one's own excellence, while if it be with recrimination with a view to vengeance, it is "anger." Again, these same vices seek the contrary evils.

 

다른 한편으로, 어떤 부수적인(attendant) 악 때문에 선을 기피(忌避)하는 것은 두 가지 방식들로 발행합니다. 이는 이 기피(忌避, avoidance)가 자신의 고유한 선(good)에 대한 고려에서, 그리하여 그 결과 우리는 수반하는 몸의 노동 때문에, 자신의 영적 선(spiritual good)에 관한 슬픔(sadness)인 "나태(sloth)"(*1)를 가지거나, 그렇지 않으면(or else), 이 기피(忌避)가 다른 이의 선에 대한 고려에서 발생하며, 그리하여. 이것은, 만약에 그것이  되받아 비난함(recrimination) 없이 이라면, 자신의 고유한 탁월성에 대한 한 개의 방해물(a hindrance)인 것으로서 어떤 다른 이의 선에 관하여 슬퍼하는 상태(sadness)인 "질투(envy)"(*2)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며, 이와는 달리, 만약에 그것이 보복(revengence)의 목적으로 되받아 비난함(recrimination)과 함께 이라면, 그것은 "분노(anger)"입니다.(*3) 또다시, 이들 동일한 악덕들은 상반되는 악들을 추구합니다. 

 

-----
(*1) 번역자 주: 여기서 "나태(sloth)"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2) 번역자 주: 여기서 "질투(envy)"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3) 번역자 주: 여기서  "분노(anger)"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

 

Reply to Objection 1. Virtue and vice do not originate in the same way: since virtue is caused by the subordination of the appetite to reason, or to the immutable good, which is God, whereas vice arises from the appetite for mutable good. W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the principal vices to be contrary to the principal virtues.

 

반대 1에 대한 답변. 덕(virtue)과 악덕(vice)은 동일한 방식으로 생기지 않는데, 왜냐하면 덕은 이성(reason) 쪽으로, 혹은, 하느님을 말하는, 불변의 선(immutable good) 쪽으로 욕구의 종속(subordination)에 의하여 야기되고, 이와는 달리 악덕은 변하기 쉬은 선(mutable good)에 대한 욕구로부터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주된 악덕(principal vices), 즉 죄종들이 주된 덕(principal virtues, 즉, 추덕)들에 상반되어야 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Reply to Objection 2. Fear and hope are irascible passions. Now all the passions of the irascible part arise from passions of the concupiscible part; and these are all, in a way, directed to pleasure or sorrow. Hence pleasure and sorrow have a prominent place among the capital sins, as being the most important of the passions, as stated above (Question 25, Article 4).

 

반대 2에 대한 답변. 두려움(fear)과 희망(hope)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정(情)(irascible passions)들입니다. 그런데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정(情)(irascible passions)들 모두는 사욕편정(私慾偏情)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부분(concupiscible part)으로부터 일어나며, 그리하여 이들은 모두, 어떤 방식으로, 즐거움(pleasure) 혹은 후회/아쉬움(sorrow) 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따라서 즐거움과 후회/아쉬움은, 위에서(질문 25, 제4항) 서술되었듯이, 정(情)들 중의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주된 죄(capital sins)들 중에서 한 개의 현저한 자리를 가집니다.

 

Reply to Objection 3. Although anger is not a principal passion, yet it has a distinct place among the capital vices, because it implies a special kind of movement in the appetite, in so far as recrimination against another's good has the aspect of a virtuous good, i.e. of the right to vengeance.

 

반대 3에 대한 답변. 비록 분노(anger)가 한 개의 주된 정(情)이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우두머리 악덕(capital vices)들 중에서 한 개의 뚜력한 자리를 가지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다른 이의 선에 반하는 되받아 비난함(recrimination)이 어떤 덕이 있는 선의 양상을, 예를 들어, 복수에 대한 권리의 양상을, 가지는 한, 욕구에 있어 움직임의 어떤 특별한 종류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4. Pride is said to be the beginning of every sin, in the order of the end, as stated above (Question 84, Article 2): and it is in the same order that we are to consider the capital sin as being principal. Wherefore pride, like a universal vice, is not counted along with the others, but is reckoned as the "queen of them all," as Gregory states (Moral. xxxi, 27). But covetousness is said to be the root from another point of view, as stated above (Question 84, Article 1, Question 84, Article 2).

 

반대 4에 대한 답변. 교만(pride)은, 위에서(질문 84, 제2항) 서술되었듯이, 그 끝(the end)의 질서/순서(order)에 있어, 온갖 죄의 시작이라고 말해지며, 그리고 그것은 이 우두머리 죄를 주된 것으로서 우리가 생각하는 바로 그 동일한 질서/순서 안에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한 개의 보편적 악덕(a universal vice)처럼, 교만은 다른 것들과 함께 셈하게 되지 않고,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the Great)(Moral. xxxi, 27)이 서술하듯이,  "그들 모두의 여왕"으로서 열거됩니다. 그러나 탐욕(avarice)은, 위에서(질문 84, 제1항, 질문 84, 제2항) 서술되었듯이, 또다른 관점으로부터 그 뿌리이다 라고 말해집니다. 

 

Reply to Objection 5. These vices are called capital because others, most frequently, arise from them: so that nothing prevents some sins from arising out of other causes. Nevertheless we might say that all the sins which are due to ignorance, can be reduced to sloth, to which pertains the negligence of a man who declines to acquire spiritual goods on account of the attendant labor; for the ignorance that can cause sin, is due to negligence, as stated above (Question 76, Article 2). That a man commit a sin with a good intention, seems to point to ignorance, in so far as he knows not that evil should not be done that good may come of it.

 

반대 5에 대한 답변. 이들 악덕들은 우두머리(capital)들이라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다른 악덕들이, 가장 자주, 그들로부터 일어나고, 그리하여 그 결과 어떠한 죄(some sins)들이 다른 원인들로부터 일어나는 것을 아무 것도 막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지(ignorance)에 기인하는 죄들 모두가, 그쪽으로, 부수적인 노동 때문에 영적 선을 획득하는 것을 거절하는, 한 사람(a man)의 방치(放置, negligence)가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pertains to), 나태(懶怠, sloth)로 환원될 수(can) 있다고 우리는 말할 수도 있을 것인데(might),(*) 이는 죄를 야기할 수 있는 무지는, 위에서(질문 76, 제2항) 서술되었듯이, 방치(放置, negligence)에 기인하기 때문입니다. 한 사람이 어떤 선한 의향과 함께 어떤 죄를 저지르는 것은, 악(evil)으로부터 선(good)이 나오도록 하고자 악(evil)이 결코 행해지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그가 알지 못하는 한, 무지(ignorance) 쪽으로 가리키는 것(point to) 같습니다.

 

-----
(*) 번역자 주: 여기서, "나태(sloth)"가 "방치(放置, negligence)"에 포함됨을, 즉, 방치(放置)하지 않은 자들 중에는 나태한 자들이 없음을 또한 말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오로지 현명하지 않은 자들 중에서만 방치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고, 그리고 오로지 방치하는 자들 중에서만 나태한 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오로지 나태한 자들 중에서만 게으른 자들이 있을 수 있다(신학 대전, IIa, IIae, q54, 제2항, 반대 1에 대한 답변).
-----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58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