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IIa IIae, q162. 교만(驕傲, Pride) capital curiosity humility pride_

인쇄

신학대전여행 [119.194.105.*]

2016-02-02 ㅣ No.1676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게시자 주: 최근에 들어와 이 글을 작성하게 된, 대단히 고통스러운, 동기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3_Sirach_10_13.htm <----- 필독 권고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번역자 주: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의 약 600여 개에 달하는 각 문항(Questions)들에 대한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인 Paul J. Glenn 몬시뇰(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신학대전여행)"의 IIa, IIae, q162 Pride [교만] 전문이며, 그리고 하반부의 글은, 상반부의 글에 대응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Ia, IIae, q162 Pride [교만] 전문이다.
 
초벌 번역 일자: 2016년 2월 2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우리말 번역문 출처: 
http://club.catholic.or.kr/tourofsumma
본글로의 접속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6.htm
-------------------- 

 

162. Pride

 

162. 교만

 

1. Pride is the habit, the vice, whichㅕㅇ향을 isposes a man to make himself more than he is.

 

1. 교만(pride)(*)은, 한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있는 그대로보다 더 나은 자로 자기 자신을 만들고자 하는 경항을 가지도록 하는(disposes) 악덕(vice)인, 습관(habit)입니다.

 

-----
(*) 번역자 주: "교만(pride)"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5_교만1.htm [신학대전여행, Ia, IIae, q84, a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5_교만2.htm [신학 대전, Ia, IIae, q84, a2]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과도한(inordinate) 탁월욕망은 교만(superbia, pride)이라고 불리는 죄이나,
과도(過度)하지 않은 탁월욕망(卓越欲望, the desire for excellence)은 죄가 아니다.

-----

 

2. Pride is a special vice, for it has the special object of inordinate esteem for one's own excellence. Yet pride has also the character of a general vice, for it is involved, directly or indirectly, in other sins, and notably in all sins of malice.

 

2. 교만은 한 개의 종(種)적 악덕(a special vice)인데, 이는 그것이 자신 고유의 탁월에 대한 과도한 존중(inordinate esteem)이라는 종(種)적 대상(special object)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만은 또한 한 개의 속(屬)적 악덕(a general vice)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그것이,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다른 죄들에, 그리고 특히(notably) 악의(malice)에 기인하는 죄들 모두에, 개입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3. Pride aspires; it tends; it desires something - not simply, but as involving some element of difficulty. The proud man is under pressure; he makes effort to be more than he actually is. Now, a habit that involves drive and effort (and, by that token, involves difficulty with which effort grapples) belongs to the appetitive part of man; it has its subject in the will. Pride resides in the will.

 

3. 교만은, 단체(單體)적으로(simply)가 아니라, 어려움(difficulty)의 어떠한 요소를 수반하는 것으로서, 그 무엇(something)을 열망하고(aspires), 향하고(tends), 그리고 욕망합니다(desires). 교만한 사람은 압박감(pressure) 아래에 있으며, 그리하여 그는 현실태적으로(actually) 자신인 것보다 더 나은 자가 되기 위하여 노력합니다. 그런데, 추진력(drive)과 노력을 수반하는 (그리고 바로 그러한 것으로 보면, 그것으로써 노력이 붙잡는 어려움을 수반하는) 한 개의 습관은 사람의 욕구를 수행하는 부분(the appetitive part)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며/적절하며(belongs to), 그리고 그것은 의지(the will) 안에 자신의 주체(subject)을 가지고 있습니다. 교만은 의지 안에 거주합니다.

 

4. St. Gregory (Moral. xxiii 4) lists four species of pride: (a) thinking that one's good is from oneself; (b) thinking that one's good is from God but is owing to one's own deserts; (c) claiming excellence not possessed; (d) despising others and wishing to seem the exclusive possessor of what one has.

 

4.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Moral. xxiii 4)는 교만의 네 개의 종(種, species)들을 다음과 같이 나열합니다: (a) 자신의 선이 자기 자신으로부터이라고 생각함, (b) 자신의 선이 하느님으로부터 이나 그러나 자신 고유의 상을 받을 만 함(deserts)들에 돌려진다고 생각함, (c) 소유하지 못한 탁월을 주장함, (d) 다른 이들을 경멸함 그리고 자신이 가진 바에 대한 배타적 소유자처럼 보이는 것을 바람.

 

5. Pride is an assumed self-sufficiency which omits or discounts God in considering what one is. This is manifestly a very great inordinateness, and is, in its genus or kind, a serious or mortal evil. Yet, to be mortally sinful, an individual act of pride would have to be a conscious and fully willed misprising of God. Most acts of pride are venial sins by reason of deficiency of awareness, or lack of full consent of the will.

 

5. 교만은 자신이 어떤 자인지를 고찰함에 있어 하느님을 생략하거나(omits) 혹은 고려에 넣지 않는(discounts) 어떤 자족(自足)/자부(自負)의 상태(self-sufficiency)입니다. 바로 이것은 명시적으로(manifestly) 한 개의 대단히 커다란 과도(過度)함의 상태(inordinateness)이며, 그리고, 그 속(屬, genus) 혹은 종(種, kind)에 있어, 한 개의 심각한 혹은 죽음에 이르는(mortal) 악((evil)[즉, 대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음에 이르게 죄가 있기(mortally sinful) 위하여, 교만에 기인하는 어떤 개별 행위(act)는 하느님에 대한 의식이 있는(conscious) 그리고 충분하게 의지를 가진(willed) 오식(誤植, misprint)이어야 할 것입니다. 교만에 기인하는 대부분의 행위들은, 알아차림의 결여 때문에, 혹은 의지의 중분한 동의의 결여 때문에, 소죄(venial sins)들입니다.

 

6. Since pride is a direct turning away from God and is a practical act of contempt for God, because it is an unwillingness to be subject to him, it ranks with that actual hatred for God which we have called the very worst of sins.

 

6. 교만이 하느님으로부터 어떤, 직접적인, 다른 방향으로 돌아섬이고 그리고, 왜냐하면 그것이 하느님께 종속하는 것에 어떤 기꺼이 하지 않음의 상태(an unwillingness)이기 때문에, 교만이 하느님에 대한 경멸의 어떤 실천적 행위(a practical act)이기 때문에, 교만은 죄들 중의 가장 최악(worst)이라고 우리가 이미 불렀던 하느님에 대한 바로 그 현실태적 증오(actual hatred)와 함께 나란히 서 있습니다(ranks with).

 

7. Aversion from God is in all sins, but it is the very essence of pride. Other sins involve this aversion by their nature as sins; pride is this aversion. Aversion from God is consequent upon other sins; in pride this aversion is the sin itself. Hence the first and worst of all sins is the sin of pride; it shares this evil distinction with hatred for God.

 

7.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aversion)는 모든 죄들 안에 있으나, 그러나 이것은 교만의 바로 그 본질(essence)입니다. 다른 죄들은 죄들로서 자신들의 본성(nature)에 의하여 바로 이러한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를 수반하며, 그리고 교만은 바로 이러한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입니다(is).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는 다른 죄들의 경우에 결과로서 생기며(is consequent upon), 그리고 교만에 있어 바로 이,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는, 행위는 이 죄 그 자체입니다. 따라서 모든 죄들 중에서 첫 번째이고 그리고 최악은 교만이라는 죄이며, 그리고 교만은 바로 이러한 악한 특징(evil distinction)을 하느님에 대한 증오와 함깨 나눕니다.

 

8. Pride, as a special sin, is the source of many other sins, and is therefore listed as a capital sin. But pride, as a general sin, is not merely the source of other sins; it is actually in them. St. Gregory (Moral. xxxi 17) calls pride the queen of vices which conquers the heart of a man and delivers it to the capital sins. And therefore St. Gregory does not mention pride itself as one of the capital sins, for he considers it the mother of them all.

 

8. 한 개의 종(種)적 죄로서(as a special sin), 교만은 많은 다른 죄들의 원천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한 개의 우두머리 죄(a capital sin)로서 나열됩니다. 그러나, 한 속(屬)적 죄(a general sin)로서, 단지 다른 죄들의 원천이 아니며, 교만은 현실태적으로 그들 안에(in) 있습니다.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Moral. xxxi 17)은 교만을, 한 사람의 심장(heart)을 정복하고 그리고 이 심장을 우두머리 죄(the capital sins)들 쪽으로 넘겨 주는(delivers) 악덕들의 여왕(the queen of vices)이라고 부릅니다. 그리하여 그 결과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Moral. xxxi 17)은 교만 자체를 우두머리 죄들 중의 하나로 언급하지 않는데, 이는 교만이 그들 모두의 어머니(mother)라고 그가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영문본 출처: http://www.catholictheology.info/summa-theologica/
summa-part2B.php?q=186

 

추가 읽을꺼리 한 개: 

http://www.therealpresence.org/archives/Christian_Spirituality/
Christian_Spirituality_022.htm
 [Fr. Hardon, 소제목: Pride as the Source of All Sin]

====================

 

출처 1: http://www.newadvent.org/summa/3162.htm
출처 2: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__PC3.HTM

 

신학 대전 IIa, IIae

 

Question 162. Pride

 

We must next consider pride, and (1) pride in general; (2) the first man's sin, which we hold to have been pride. Under the first head there are eight points of inquiry:

 

그 다음으로 우리는 교만(pride)에 대하여, 그리하여 (1) 일반적으로 교만, (2) 교만이었다고 우리가 견지하는 첫 사람의 죄에 대하여, 고찰하여야 합니다. 첫 번째 표제 아래에서 질문에 있어서의 여덟 개의 요지들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1. Is pride a sin?
2. Is it a special vice?
3. Wherein does it reside as in its subject?
4. Its species
5. Is it a mortal sin?
6. Is it the most grievous of all sins?
7. Its relation to other sins
8. Should it be reckoned a capital vice?

 

Article 1. Whether pride is a sin?

 

제1항 교만이 한 개의 죄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pride is not a sin. For no sin is the object of God's promise. For God's promises refer to what He will do; and He is not the author of sin. Now pride is numbered among the Divine promises: for it is written (Isaiah 60:15): "I will make thee to be an everlasting pride [Douay: 'glory'], a joy unto generation and generation." Therefore pride is not a sin.

 

반대 1. 교만(pride)은 한 개의 죄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어떠한 죄도 하느님의 약속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이는 하느님의 약속들은 당신께서 장차 하실 바에 대한 언급이며, 그리고 당신께서는 죄의 창시자(author)가 아니시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교만은 하느님의 약속들 사이에서 세어지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쓰여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너희들을, 세대와 세대에 한 개의 기쁨인, 한 개의 영원한 교만[Douay: '영광(glory)']이 되도록 장차 만들 것이다"(이사야 60,15).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2. Further, it is not a sin to wish to be like unto God: for every creature has a natural desire for this; and especially does this become the rational creature which is made to God's image and likeness. Now it is said in Prosper's Lib. Sent. 294, that "pride is love of one's own excellence, whereby one is likened to God who is supremely excellent." Hence Augustine says (Confess. ii, 6): "Pride imitates exaltedness; whereas Thou alone art God exalted over all." Therefore pride is not a sin.

 

반대 2. 게다가, 하느님 쪽으로 비슷하게 되는 것을 바라는 것은 한 개의 죄가 아닌데, 이는 모든 피조물은 이것에 대한 어떤 본성적 욕망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특별히 이것은 하느님의 모습과 비슷함으로 만들어진(창세 1,26) 이 이성적 피조물(the rational creature)에 정말로 어울립니다(become). 그런데 프로스페르(Prosper)의 Lib. Sent. 294에 "교만은 자신의 고유한 탁월에 대한 사랑인데, 이 교만에 의하여 당사자는 지고하게 탁월하신 하느님께 비유된다(is likened to)."라고 말해집니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노(Augustine)(Confess. ii, 6)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교만은 고양됨의 상태를 모방하고, 이에 반하여 당신께서는 모든 것 위에 고양되는 하느님이시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3. Further, a sin is opposed not only to a virtue but also to a contrary vice, as the Philosopher states (Ethic. ii, 8). But no vice is found to be opposed to pride. Therefore pride is not a sin.

 

반대 3. 게다가, 한 개의 죄는, 철학자[즉, 고대 그리스의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서술하듯이(Ethic. ii, 8), 한 개의 덕(a virtue)에 반대될뿐만이 아니라, 또한 한 개의 상반되는 악덕(a contrary vice)에 반대됩니다. 그러나 교만에 반대되는 어떠한 악덕도 발견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죄가 아닙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Tobit 4:14): "Never suffer pride to reign in thy mind or in thy words."

 

이와는 달리, "교만이 그대의 마음(mind) 안에서 혹은 그대의 말들 안에서 군림하는 것을 묵인하지 마라."(토빗 4,14)라고 쓰여 있습니다.

 

I answer that, Pride [superbia] is so called because a man thereby aims higher [supra] than he is; wherefore Isidore says (Etym. x): "A man is said to be proud, because he wishes to appear above (super) what he really is"; for he who wishes to overstep beyond what he is, is proud. Now right reason requires that every man's will should tend to that which is proportionate to him.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pride denotes something opposed to right reason, and this shows it to have the character of sin, because according to Dionysius (Div. Nom. iv, 4), "the soul's evil is to be opposed to reason."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pride is a sin.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교만[pride, superbia]은 그렇게 불리는데 왜냐하면 한 사람은 그것에 의하여 자신인 것보다 더 높은 것[higher, supra]을 겨냥하기 때문이며, 그런 이유로 이시도르(Isidore)는 "한 사람은, 왜냐하면 그가 실재로(really) 있는 바 위에[above, super) 나타나는 것을 그가 바라기 때문에, 교만하다고 말해집니다."(Etym. x)라고 말하는데, 이는 자기인 바를 넘어서 지나치게 나아가는(overstep) 것을 바라는 자는 교만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올바른 이성(right reason)은 모든 사람의 의지(will)가 자신에게 비례하는/균형이 잡힌(proportionate to) 바로 그것 쪽으로 마땅히 향하는 경향을 가져야 함을 요구합니다.(*) 그러므로 교만이 올바른 이성에 반대되는 그 무엇을 나타내는 것은 명백하며, 그리고 이것은 그것이 죄(sin)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왜냐하면 디오니시오(Dionysius)(Div. Nom. iv, 4)에 따르면, "영혼의 악은 이성에 반대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이 한 개의 죄임은 명백합니다.

 

-----
(*) 번역자 주: 바로 이 문장이 "교만"이라는 용어가 나타내는 의미/개념을 정의할(define)할 때에 사용되는 문장임에 반드시 주목하라. 그리고 이에 따라 정의되는 "교만(pride)"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5_교만1.htm [신학대전여행, Ia, IIae, q84, a2]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5_교만2.htm [신학 대전, Ia, IIae, q84, a2]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과도한(inordinate) 탁월욕망은 교만(superbia, pride)이라고 불리는 죄이나,
과도(過度)하지 않은 탁월욕망(卓越欲望, the desire for excellence)은 죄가 아니다.

-----

 

Reply to Objection 1. Pride [superbia] may be understood in two ways. First, as overpassing [supergreditur] the rule of reason, and in this sense we say that it is a sin. Secondly, it may simply denominate "super-abundance"; in which sense any super-abundant thing may be called pride: and it is thus that God promises pride as significant of super-abundant good. Hence a gloss of Jerome on the same passage (Isaiah 61:6) says that "there is a good and an evil pride"; or "a sinful pride which God resists, and a pride that denotes the glory which He bestows."

 

반대 1에 대한 답변. 교만[pride, superbia]은 두 가지 방식들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이성의 규칙(the rule of reason)을 침범하는 행위(overpassing, supergreditur)로서, 그리고 바로 이러한 의미로 우리는 교만이 한 개의 죄라고 말합니다. 두 번째로, 그것은 "극도의 풍부함(super-abundance)"을 단체(單體)적으로(simply) 일컫을 수도 있는데, 바로 그러한 의미로 극도로 풍부한(super-abundant) 사물은 교만이라고 불릴 수도 있으며, 그리고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하느님께서는 교만을 극도로 풍부한 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약속하십니다. 따라서 이 동일한 단락(이사야 61,6)에 대한 성 예로니모(Jerome)의 한 개의 주석은 "어떤 [윤리적으로] 선한(good) 교만과 어떤 [윤리적으로] 악한(evil) 교만이 있다." 혹은 "하느님께서 저항하시는 어떤 죄가 있는 교만과, 그리고 하느님께서 수여하시는 영광을 나타내는 어떤 교만이 있다."라고 말합니다.

 

It may also be replied that pride there signifies abundance of those things in which men may take pride.

 

거기에서 교만은, 그 안에서 사람들이 자부심을 가질 수도 있는, 바로 그러한 사물들의 풍요를 나타낸다고 또한 답변될 수도 있을 것습니다.

 

Reply to Objection 2. Reason has the direction of those things for which man has a natural appetite; so that if the appetite wander from the rule of reason, whether by excess or by default, it will be sinful, as is the case with the appetite for food which man desires naturally. Now pride is the appetite for excellence in excess of right reason. Wherefore Augustine says (De Civ. Dei xiv, 13) that pride is the "desire for inordinate exaltation": and hence it is that, as he asserts (De Civ. Dei xiv, 13; xix, 12), "pride imitates God inordinately: for it hath equality of fellowship under Him, and wishes to usurp Hi. dominion over our fellow-creatures."

 

반대 2에 대한 답변. 이성은 그것들에 대하여 사람이 어떤 본성적 욕구를 가진 바로 그러한 사물들에 대한 지시(指示, direction)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만약에 욕구가 이성의 규칙(the rule of reason)으로부터, 과도(excess)에 의하여 혹은  불이행(default)에 의하여서든지 간에, 방황하면, 사람이 본성적으로 욕망하는(desires) 음식에 대한 욕구(appetite)의 경우에 있어서처럼, 그것은 죄가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교만은 올바른 이성을 초과하여 탁월에 대한 욕구입니다. 그런 이유로 아우구스티노(Augustine)(De Civ. Dei xiv, 13)는 교만이 "과도한 고양에 대한 욕망"이라고 말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이것은, 그가 단언하듯이(De Civ. Dei xiv, 13; xix, 12), "교만은 과도하게 하느님을 모방하는데, 이는 교만이 그분 아래에서 동료 의식(fellowship)이라는 동등성을 가지고, 그리고 우리의 동료 피조물들에 대한 당신의 통치권을 빼앗는 것을 바란다."는 바로 그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Pride is directly opposed to the virtue of humility, which, in a way, is concerned about the same matter as magnanimity, as stated above (161, 1, ad 3). Hence the vice opposed to pride by default is akin to the vice of pusillanimity, which is opposed by default to magnanimity. For just as it belongs to magnanimity to urge the mind to great things against despair, so it belongs to humility to withdraw the mind from the inordinate desire of great things against presumption. Now pusillanimity, if we take it for a deficiency in pursuing great things, is properly opposed to magnanimity by default; but if we take it for the mind's attachment to things beneath what is becoming to a man, it is opposed to humility by default; since each proceeds from a smallness of mind. On the same way, on the other hand, pride may be opposed by excess, both to magnanimity and humility,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to humility, inasmuch as it scorns subjection, to magnanimity, inasmuch as it tends to great things inordinately. Since, however, pride implies a certain elation, it is more directly opposed to humility, even as pusillanimity, which denotes littleness of soul in tending towards great things, is more directly opposed to magnanimity.

 

반대 3에 대한 답변. 교만은 겸손(humility)이라는 덕(virtue)에 직접적으로 반대되는데, 이 덕은, 어떤 방식으로, 위에서(161, 1, ad3) 서술되었듯이, 도량(magnanimity)과 동일한 질료(matter)에 관하여 관계됩니다. 따라서 불이행에 의하여(by default) 교만에 반대되는 악덕은 무기력(pusillanimity)이라는 악덕에 유사한데, 이 악덕은 불이행에 의하여 도량에 반대됩니다. 이는 그것이, 절망에 반하여 훌륭한 사물들 쪽으로 마음(mind)을 재촉하는(urge), 도량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것(belongs to)과 꼭 마찬가지로, 또한 그것이, 망망(presumption)에 반하여 훌륭한 사물들에 대한 과도한 욕망으로부터 마음(mind)을 뒤로 물러서게 하는(withdraw), 겸손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무기력은, 만약에 우리가 그것을 훌륭한 사물들을 추구함에 있어 어떤 결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불이행에 의하여 도량에 적절하게(properly) 반대되나, 그러나 만약에 우리가 그것을 한 사람에게 적합한 바 아래에 있는 사물들 쪽으로 마음(mind)의 집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그것은 불이행에 의하여 겸손에 반대되는데, 왜냐하면 각각이 마음(mind)의 어떤 옹졸(smallness)로부터 나아가기 때문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교만은, 서로 다른 관점들로부터, 그리하여, 그것이 종속(subjection)을 경멸하는 한, 겸손에, 그것이 과도하게 훌륭한 사물들 쪽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는 한, 도량에, 도량 및 겸손 둘 다에, 과도에 의하여(by excess), 반대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왜냐하면 교만은 어떤 의기양양(elation)을 의미하기 때문에, 비록 휼륭한 사물들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경향에 있어 영혼의 적음(littleness)을 나타내는 무기력이 도량에 더 직접적으로 반대된다고 하더라도, 교만은 겸손에 더 직접적으로 반대됩니다.

 

Article 2. Whether pride is a special sin?

 

제2항. 교만은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pride is not a special sin. For Augustine says (De Nat. et Grat. xxix) that "you will find no sin that is not labelled pride"; and Prosper says (De Vita Contempl. iii, 2) that "without pride no sin is, or was, or ever will be possible." Therefore pride is a general sin.

 

반대 1. 교만은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그대는 교만이 붙여지지 않은 어떠한 죄도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De Nat. et Grat. xxix)라고 말하고, 그리고 프로스페르(Prosper)는 "교만 없이 어떠한 죄도 현재 없고, 과거에 없었고, 그리고 심지어 장차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De Vita Contempl. iii, 2)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al sin)입니다.

 

-----

(*) 번역자 주: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란,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이 죄가,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에 의하여 수행되는,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ic sin)의 개별화(個別化, individdualization, particulaization) 혹은 한정화(限定化, specilization)임을 말한다. 그리고 이 과정의 역은,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에 의하여 수행되는, 소위 말하는, 일반화(一般化)/속화(屬化)(generalization)라고 불리는, 추상화(abstraction)를 말한다. 따라서, 이들 추론들 중의 어느 하나가 오류 없이 수행되면,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는, 한 개의 말단(a terminal)으로서, 또하나의 말단인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ic sin)와의 어떤 관계의 상태(a relationship) 안에 자동적으로 있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 설명은, "죄"를 "대상(object)"로 교체하였을 때에도 그대로 유효하다.
-----

 

Objection 2. Further, a gloss on Job 33:17, "That He may withdraw man from wickedness [Vulgate: 'From the things that he is doing, and may deliver him from pride']," says that "a man prides himself when he transgresses His commandments by sin." Now according to Ambrose [De Parad. viii], "every sin is a transgression of the Divine law, and a disobedience of the heavenly commandments." Therefore every sin is pride.

 

반대 2. 게다가, 욥기 33,17, "당신께서 사람을 사악으로부터 [대중 라틴말 성경: '그가 하고 있는 사물들로부터'] 뒤로 물러서게 하실 것입니다 [대중 라틴말 성경: '그리고 교만으로부터 그를  구해내실 것입니다']"에 대한 한 개의 주석은 "한 사람은 그가 죄에 의하여 당신의 계명들을 침범할 때에 자기 자신을 자랑합니다(prides)." 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암브로시오(Ambrose)[De Parad. viii]에 따르면, "모든 죄는 하느님의 법의 어떤 침범이며, 그리하여 천상 계명들에 대한 어떤 불복족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죄는 교만입니다.

 

Objection 3. Further, every special sin is opposed to a special virtue. But pride is opposed to all the virtues, for Gregory says (Moral. xxxiv, 23): "Pride is by no means content with the destruction of one virtue; it raises itself up against all the powers of the soul, and like an all-pervading and poisonous disease corrupts the whole body"; and Isidore says (Etym. [De Summo Bono ii, 38) that it is "the downfall of all virtues." Therefore pride is not a special sin.

 

반대 3. 게다가, 모든 종(種)적 죄는 한 개의 종(種)적 덕(a special virtue)에 반대됩니다. 그러나 교만은 덕들 모두에 반대되는데, 이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항(Gregory) (Moral. xxxiv, 23)이 다음과 같이 말하기 때문이며: "교만은 하나의 덕의 파괴에 결코 만족하지 않으며, 그것은 영혼의 모든 힘들에 반하여 자기 자신을 들어올리며, 그리하여 한 개의 전반적으로 퍼진 독이 있는 질병처럼 전체 몸을 타락시킵니다." 그리고 이시도르(Isidore)(Etym. [De Summo Bono ii, 38)는 그것이 "모든 덕들의 전락(轉落, downfall)"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종(種)적 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4. Further, every special sin has a special matter. Now pride has a general matter, for Gregory says (Moral. xxxiv, 23) that "one man is proud of his gold, another of his eloquence: one is elated by mean and earthly things, another by sublime and heavenly virtues." Therefore pride is not a special but a general sin.

 

반대 4. 게다가, 모든 모든 종(種)적 죄는 한 개의 종(種)적 질료(a special matter)를 가지는데, 이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항(Gregory) (Moral. xxxiv, 23)이 "하나의 사람은 자신의 금(gold)에 대하여 자랑하고(is proud of), 다른 사람은 자신의 능변(eloquence)에 대하여 자랑하며, 그리고 어떤 자는 수단과 세속적 사물들에 의하여 의기양양하게 되고(is elated), 다른 자는 장엄한 그리고 하늘에 있는 덕들에 의하여 의기양양하게 됩니다."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종(種)적 죄가 아니고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al sin)입니다.

 

On the contrary, Augustine says (De Nat. et Grat. xxix): "If he look into the question carefully, he will find that, according to God's law, pride is a very different sin from other vices." Now the genus is not different from its species. Therefore pride is not a general but a special sin.

 

이와는 달리, 아우구스티노(Augustine)(De Nat. et Grat. xxix)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만약에 그가 조심스럽게 이 질문 안쪽으로 들여다보면, 그는, 하느님의 법에 따라, 교만이, 한 개의, 다른 악덕들로부터 매우 다른, 죄임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런데 그 속(屬)은 그 종(種)들로부터 다르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al sin)가 아니고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입니다.

 

I answer that, The sin of pride may be considered in two ways. First with regard to its proper species, which it has under the aspect of its proper object. On this way pride is a special sin, because it has a special object: for it is inordinate desire of one's own excellence, as stated (1, ad 2). Secondly, it may be considered as having a certain influence towards other sins. On this way it has somewhat of a generic character, inasmuch as all sins may arise from pride, in two ways. First directly, through other sins being directed to the end of pride which is one's own excellence, to which may be directed anything that is inordinately desired. Secondly, indirectly and accidentally as it were, that is by removing an obstacle, since pride makes a man despise the Divine law which hinders him from sinning, according to Jeremiah 2:20, "Thou hast broken My yoke, thou hast burst My bands, and thou saidst: I will not serve."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교만이라는 죄는 두 가지 방식들로 간주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교만이 자신의 고유한 대상의 양상(aspect) 아래에서 가지는, 그 고유한 종(種)에 관련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에서 교만은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인데, 왜냐하면 교만이 한 개의 종(種)적 대상(a special object)을 가지기 때문인데, 이는, (1, ad2)에서 서술되었듯이, 교만이 자신의 고유한 탁월에 대한 과도한 욕망(inordinate desire)이기 떄문입니다. 두 번째로, 교만은 다른 죄들을 향하여 어떤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에서 교만은, 모든 죄들이 교만으로부터, 두 가지 방식들로, 일어날 수도 있는 한,  한 개의 종(種)적 특성의 다소(somewhat)를 가집니다. 첫 번째, 그쪽으로 과도하게 욕망하게 되는 임의의 것이 향하게 될 수도 있는, 자신의 고유한 탁월인 교만의 끝(end) 쪽으로 향하게 되는 다른 죄들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두 번째로, 왜냐하면 교만은 한 사람으로 하여금, 예레미야서 2,20, "그대는 이미 나의 멍에를 부러뜨렸고, 그대는 이미 나의 줄들을 끊었다, 그리고 그대는 '내가 더 이상 섬기지 않겠다' 라고 말하였다."에 따라, 그가 죄를 짓는 것을 방해하는, 하느님의 법을 경멸하게 만들기 때문에, 말하자면, 즉 어떤 장애물을 제거함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그리고 부수적으로.  

 

It must, however, be observed that this generic character of pride admits of the possibility of all vices arising from pride sometimes, but it does not imply that all vices originate from pride always. For though one may break the commandments of the Law by any kind of sin, through contempt which pertains to pride, yet one does not always break the Divine commandments through contempt, but sometimes through ignorance. and sometimes through weakness: and for this reason Augustine says (De Nat. et Grat. xxix) that "many things are done amiss which are not done through pride."

 

그러나 교만의 바로 이러한 속(屬)적 특성은 때로는 모든 악덕들이 교만으로부터 일어날 가능성을 인정하나, 그러나 모든 악덕들이 항상 교만으로부터 발생함을 의미하지 않음은 반드시 진술되어야 합니다. 이는 비록 어떤 자가, 교만에 척절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경멸을 통하여, 죄의 어떤 종류에 의하여 거룩한 법의 계명들을 어길 수도 있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자가 경멸을 통하여 하느님의 계명들을 항상 어기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무지(ignorance)를, 그리고 때로는 나약함(weakness)을 통하여서이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아우구스티노(Augustine)(De Nat. et Grat. xxix)는 "교만을 통하여서 행해지지 않는 많은 사물들이 잘못되어(amiss) 행해집니다."라고 말합니다.

 

Reply to Objection 1. These words are introduced by Augustine into his book De Nat. et Grat., not as being his own, but as those of someone with whom he is arguing. Hence he subsequently disproves the assertion, and shows that not all sins are committed through pride. We might, however, reply that these authorities mus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outward effect of pride, namely the breaking of the commandments, which applies to every sin, and not to the inward act of pride, namely contempt of the commandment. For sin is committed, not always through contempt, but sometimes through ignorance, sometimes through weakness, as stated above.

 

반대 1에 대한 답변. 이러한 말들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e)에 의하여, 그의 고유한 것으로서가 아니라, 그자와 함께 그가 논쟁 중인 어떤 자의 것들로서, 그의 책 De Nat. et Grat.에 소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는 그 후에 이 주장의 그릇됨을 증명하고, 그리고 모든 죄들이 교만을 통하여 범해지지 않음을 보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들 전거(典據)(authorities)들이, 모든 죄에 적용되는, 바깥을 향하는(outward), 교만의 결과에 대하여, 즉, 계명들의 어김에 대하여, 언급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지, 안쪽을 향하는, 교만의 행위에 대하여, 즉, 이 계명들에 대한 경멸에 대하여,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고 답변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는, 위에서 서술되었듯이, 죄가, 항상 경멸에 의하여서가 아니고, 때로는 무지를 통하여, 때로는 나약함을 통하여, 범해지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A man may sometimes commit a sin effectively, but not affectively; thus he who, in ignorance, slays his father, is a parricide effectively, but not affectively, since he did not intend it. Accordingly he who breaks God's commandment is said to pride himself against God, effectively always, but not always affectively.

 

반대 2에 대한 답변. 한 사람이 때로는 어떤 죄를, 정서적으로가(affectively) 아니라, 결과적으로(effectively) 범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무지 때문에, 자신의 아버지를 살해한 자는 결과적으로 한 명의 존속 살해자(parricide)이나, 그러나 정서적인 것이 아닌데, 왜냐하면 그는 그것을 의도하지(intend)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느님의 계명을 어긴 자는, 항상 정서적으로가 아니고, 항상 결과적으로, 하느님에 반하여 자기 자신을 자랑한다고(pride himself) 말해집니다.

 

Reply to Objection 3. A sin may destroy a virtue in two ways. On one way by direct contrariety to a virtue, and thus pride does not corrupt every virtue, but only humility; even as every special sin destroys the special virtue opposed to it, by acting counter thereto. On another way a sin destroys a virtue, by making ill use of that virtue: and thus pride destroys every virtue, in so far as it finds an occasion of pride in every virtue, just as in everything else pertaining to excellence. Hence it does not follow that it is a general sin.

 

반대 3에 대한 답변. 한 개의 죄는, 두 가지 방식들로, 한 개의 덕(virtue)에 의하여 파괴될 수도 있습니다. 하나의 방식에서, 한 개의 덕에 직접적 빈대(contrariety)에 의하여, 그리하여 그결과, 비록 모든 종(種)적 죄가 종(種적 덕을, 그것에 그것에 반대되는 행동을 함으로써, 파괴한다고 하더라도, 교만은 모든 덕이 아니라, 오로지 겸손만을 타락시킵니다. 다른 방식에서, 한 개의 죄는 한 개의 덕을, 바로 이 덕을  악용함으로써, 파괴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교만은, 그것이, 탁월에 적절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모든 사물에서와 꼭 마찬가지로, 각 덕 안에 교만의 어떤 발생을 발견하는 한, 모든 덕을 파괴합니다. 따라서 교만이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al sin)인 것이 [그러한 주장의] 결과로서 뒤따르지 않습니다.

 

Reply to Objection 4. Pride regards a special aspect in its object, which aspect may be found in various matters: for it is inordinate love of one's excellence, and excellence may be found in various things.

 

반대 4에 대한 답변. 교만은, 그 양상이 다양한 질료(matters)들에서 발견될 수도 있는, 그 대상에 있는 어떤 종(種)적 양상에 관계하는데(regards), 이는 교만이 자신의 탁월(excellence)에 대한 과도한 사랑(inordinate love)이고, 그리고 탁월은 다양한 사물들에서 발견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Article 3. Whether the subject of pride is the irascible faculty?

 

제3항. 교만의 주체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irascible faculty)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the subject of pride is not the irascible faculty. For Gregory says (Moral. xxiii, 17): "A swollen mind is an obstacle to truth, for the swelling shuts out the light." Now the knowledge of truth pertains, not to the irascible but to the rational faculty. Therefore pride is not in the irascible.

 

반대 1. 교만의 주체는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irascible faculty)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xxiii, 17)이 다음과 같이 말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부풀어진 마음(mind)은 진리에 대한 한 개의 장애물인데, 이는 그 부풀어 오름이 빛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진리에 대한 지식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기능이 아니라 이성적 기능(rational faculty)에 적절합니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가 됩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안에 있지 않습니다.

 

Objection 2. Further, Gregory says (Moral. xxiv, 8) that "the proud observe other people's conduct not so as to set themselves beneath them with humility, but so as to set themselves above them with pride": wherefore it would seem that pride originates in undue observation. Now observation pertains not to the irascible but to the rational faculty.

 

반대 2. 게다가,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xxiv, 8)은 "교만한 자들은 다른 사람들의 행실을, 겸손과 함께 자기 자신들을 그들 아래에 설정하기 위하여서가 아니라, 교만과 함께 자기 자신들을 그들 위에 설정하기 위하여, 관찰한다."라고 말하는데, 그런 이유로 교만이 부당한 관찰(undue observation)에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관찰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이 아니라, 이성적 능력에 적절합니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가 됩니다.

 

Objection 3. Further. pride seeks pre-eminence not only in sensible things, but also in spiritual and intelligible things: while it consists essentially in the contempt of God, according to Sirach 10:14, "The beginning of the pride of man is to fall off from God." Now the irascible, since it is a part of the sensitive appetite, cannot extend to God and things intelligible. Therefore pride cannot be in the irascible.

 

반대 3. 게다가, 교만은 감각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사물(sensible things)들에 있는 뿐만이 아니라, 또한 영적이고(spiritual) 그리고 지성에 의하여 알 수 있는(intelligible) 사물들에 있는 발군(拔群)/탁월(preeminence)을 추구하는 반면에, 교만은, 집회서 10,14, "사람의 교만의 시작은 하느님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다."에 따라, 본질적으로 하느님에 대한 경멸(contempt)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은, 왜냐하면 그것이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하느님과 지성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사물들 쪽으로 뻗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안에 있을 수 없습니다.

 

Objection 4. Further, as stated in Prosper's Liber Sententiarum, sent. 294, "Pride is love of one's own excellence." But love is not in the irascible, but in the concupiscible. Therefore pride is not in the irascible.

 

반대 4. 게다가, 프로스페르(Prosper)의 Liber Sententiarum, sent. 294에 서술되어 있듯이, "교만은 자신의 고유한 탁월에 대한 사랑(love, amor)입니다." 그러나 사랑(love, amor)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안에 있지 않고,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능력(the concupiscible) 안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안에 있지 않습니다.

 

On the contrary, Gregory (Moral. ii, 49) opposes pride to the gift of fear. Now fear belongs to the irascible. Therefore pride is in the irascible.

 

이와는 달리,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ii, 49)은 교만을 두려움(fear)이라는 선물에 반하여 대립시킵니다/동등하게 세웁니다(opposes). 그런데 두려움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에 적절합니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가 됩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의 소관(所管)] 안에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지금 여기에 주어진 바로 이 사변적(speculative) 논증의 방법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예를 들어, 형이상학적 대상들과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관계의 상태들로 구성된 하나의 universal category 안에 있는 object들과 morphism들에 대한,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 언어를 약간 원용함으로써 어쩌면 조금 더 쉽게 이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i) 우선적으로, "A pertains to 능력 B (A는 능력 B에 적절하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된다)."의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은 "A는 능력 B의 소관(所管) 안에 있다."이다.

 

(ii) 두 번째로, 대상(objects)들 사이의 관계의 상태(relationship)들을 말하는 교만과 두려움은, 이들 각각을 개별 morphism으로서 포함하는 한 개의 카테고리(a category) 위에 존재하는 한 개의 contravariant isomorphism 하에서, 서로에게 contravariantly 대응하는 morphism들이다,

 

(iii) 그런데, 이 카테고리 안에서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에 두려움이 적절하므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므로, 즉, 두려움이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의 소관(所管) 안에 있으므로, 따라서, 바로 이 두려움에  contravariantly 대응하는 morphism인 교만도 또한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의 소관(所管)] 안에 있다.

 

(iv) 그리고 다음은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들이다:

 

pertain vi.
belong as an attribute, feature, or function
어떤 속성, 특징, 혹은 기능으로서 [...에] 속하다/[...의] 일부이다.
example: the destruction and havoc pertaining to war.

 

belong vi.
to be an attribute, part, adjunct, or function of a person or thing
한 인격 혹은 사물의 어떤 속성, 부분, 부가물, 혹은 기능이다.
example: nuts and volts belong to a car.
-----

 

I answer that, The subject of any virtue or vice is to be ascertained from its proper object: for the object of a habit or act cannot be other than the object of the power, which is the subject of both. Now the proper object of pride is something difficult, for pride is the desire of one's own excellence, as stated above (1 and 2). Wherefore pride must needs pertain in some way to the irascible faculty. Now the irascible may be taken in two ways. First in a strict sense, and thus it is a part of the sensitive appetite, even as anger, strictly speaking, is a passion of the sensitive appetite. Secondly, the irascible may be taken in a broader sense, so as to belong also to the intellective appetite, to which also anger is sometimes ascribed. It is thus that we attribute anger to God and the angels, not as a passion, but as denoting the sentence of justice pronouncing judgment. Nevertheless the irascible understood in this broad sense is not distinct from the concupiscible power, as stated above in I, 59, 4; I-II, 82, 5, ad 1 and 2.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임의의 덕 혹은 악덕의 주체(subject)는 그것의 고유한 대상(obeject)으로부터 확인될 것인데, 이는 어떤 습관 혹은 행위(act)의 대상은, 둘 다의 주체인, 그 힘(the power)의 대상 이외의 것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교만의 고유한 대상은 어려운 그 무엇(something difficult)인데, 이는 교만이, 위에서(1과 2) 서술되었듯이, 자신의 고유한 탁월에 대한 [과도한(inordinate)]욕망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교만은 반드시 어떠한 방식으로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the rascible faculty)에 적절하여야/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두 가지 방식들로 이해될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 어떤 엄밀한 의미로,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은, 비록 분노(anger)가, 엄밀하게 말하여,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한 개의 정(情)(a passion)임에도 불구하고,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한 부분입니다. 두 번째로,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은, 또한, 그쪽으로 또한 분노가 때로는 돌려지는(is ascribed to), 지성적 욕구에 적절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정도에까지, 어떤 더 폭넓은 의미로 이해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분노를, 한 개의 정(情)으로서가 아니라 심판을 선언하는 정의(justice)의 판결문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하느님께 그리고 천사들에게 귀착시키는 것은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이러한 폭넓은 의미로 이해되는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은, 위에 있는 I, 59, 4; I-II, 82, 5, ad 1와 2에서 서술되었듯이, 사욕(私慾, concupiscence)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는 힘/능력(the concupiscible power)으로부터 구분되지 않습니다.

 

Consequently if the difficult thing which is the object of pride, were merely some sensible object, whereto the sensitive appetite might tend, pride would have to be in the irascible which is part of the sensitive appetite. But since the difficult thing which pride has in view is common both to sensible and to spiritual things, we must needs say that the subject of pride is the irascible not only strictly so called, as a part of the sensitive appetite, but also in its wider acceptation, as applicable to the intellective appetite. Wherefore pride is ascribed also to the demons.

 

그 결과로, 만약에 교만의 대상인 어려운 사물이 단지, 그쪽으로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the sensitive appetite)가 향하는 경향을 가질 수도 있는, 어떠한 감각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대상(sensible object)만이었더라면, 교만은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부분인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안에 반드시 있어야만 할 것입니다. 그러나 왜냐하면 교만이 염두에 두고 있는 어려운 사물은  감각에 의하여 알 수 있는 사물들 그리고 영적 사물들 둘 다에 공통이기 때문에, 교만의 주체가,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한 부분으로서, 그렇게 엄밀하게 불리는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안에 뿐만이 아니라, 또한, 지성을 수행하는 욕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것의 더 넓은 의어(語義, acceptation) 안에 있다고 우리는 반드시 말하여야 합니다. 그런 이유로 교만은 마귀(demons)들에게도 또한 돌려집니다(is ascribed to).

 

Reply to Objection 1. Knowledge of truth is twofold. One is purely speculative, and pride hinders this indirectly by removing its cause. For the proud man subjects not his intellect to God, that he may receive the knowledge of truth from Him, according to Matthew 11:25, "Thou hast hid these things from the wise and the prudent," i.e. from the proud, who are wise and prudent in their own eyes, "and hast revealed them to little ones," i.e. to the humble.

 

반대 1에 대한 답변. 진리에 대한 지식은 두 겹입니다. 하나는 순전히 사변적이고, 그리고 교만은 그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이것을 방해합니다. 이는 교만한 사람은, 마태오 복음서 11,25, "지혜로운 자들과 현명한 자로부터", i.e., 자신들의 고유한 눈들에 있어 지혜롭고 그리고 현명한 자들인 교만한 자들로부터, "이들 사물들을 당신께서 이미 감추셨으며,"  그리고 "그들을 철부지들에게", i.e., 겸손한 자들에게, "이미 드러내 보이심"에 따라, 자신이 하느님으로부터 진리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하여 하느님께 자신의 지성을 종속시키는 것을 하지 않습니다.

 

Nor does he deign to learn anything from man, whereas it is written (Sirach 6:34): "If thou wilt incline thy ear, thou shalt receive instruction." The other knowledge of truth is affective, and this is directly hindered by pride, because the proud, through delighting in their own excellence, disdain the excellence of truth; thus Gregory says (Moral. xxiii, 17) that "the proud, although certain hidden truths be conveyed to their understanding, cannot realize their sweetness: and if they know of them they cannot relish them." Hence it is written (Proverbs 11:2): "Where humility is there also is wisdom."

 

또한 그는 사람으로부터 어떠한 것을 배우려고 하지 않는데, 이와는 달리 "만약에 너희가 자신들의 귀를 기울인다면, 너희은 가르침을 받을 것이다."(집회 6,34)라고 쓰여 있습니다. 진리에 대한 다른 지식은 정서적이며(affective), 그리고 이것은 교만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해를 받는데, 왜냐하면 교만한 자들은, 자신들의 고유한 탁월 안에서 매우 기뻐함을 통하여, 진리의 탁월을 멸시하기 때문인데, 따라서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xxiii, 17)은 "교만한 자들은, 비록 그들의 이해 쪽으로 어떤 감추어진 진리들이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단맛을 실감할 수 없으며, 그리고 만약에 그들이 이 진리들에 대하여 안다고 하더라도 그들은 이 진리들을 즐길 수 없다."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겸손이 있는 곳에 또한 지혜가 있다."(잠언 11,2)라고 쓰여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2. As stated above (161, 2, 6), humility observes the rule of right reason whereby a man has true self-esteem. Now pride does not observe this rule of right reason, for he esteems himself greater than he is: and this is the outcome of an inordinate desire for his own excellence, since a man is ready to believe what he desires very much, the result being that his appetite is borne towards things higher than what become him. Consequently whatsoever things lead a man to inordinate self-esteem lead him to pride: and one of those is the observing of other people's failings, just as, on the other hand, in the words of Gregory (Moral. xxiii, 17), "holy men, by a like observation of other people's virtues, set others above themselves." Accordingly the conclusion is not that pride is in the rational faculty, but that one of its causes is in the reason.

 

반대 2에 대한 답변. 위에서(161, 2, 6)에서 서술되었듯이, 겸손은 올바른 이성의 규칙(rule)을 준수하고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은 참된 자부심(self-esteem)을 가집니다. 그런데 교만은 올바른 이성의 규칙(rule)을 준수하지 않는데, 이는 그가 자신인 것보다 더 훌륭하게 자기 자신을 존중하기 때문이며, 그리고 바로 이것이 자신의 고유한 탁월에 대한 과도한 욕망의 결과인데, 왜냐하면 한 사람은 자신이 대단히 많이 욕망하는 바를  자신 기꺼이 확신하고자(believe) 하기 때문인데, 그 결과는 자신의 욕구가 자신에게 어울리는 바보다 더 높은 사물을 향하여 태어나게 되었음이라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한 사람을 과도한(inordinate) 자부심(self-esteem) 쪽으로 인도하는 사물들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를 교만으로 인도하며, 그리고 이들 중의 하나는, 다른 한편으로,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xxiii, 17)의 "거룩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덕들에 대한 어떤 비슷한 관찰에 의하여, 다른 이들을 자기 자신들 위에 설정한다."라는 말들에 있어 처럼과 꼭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을의 실패들을 관찰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결론은 교만이 이성적 능력(rational faculty) 안에 있다는 것이 아니고, 그것의 원인들 중의 하나가 이성 안에 있다는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Pride is in the irascible, not only as a part of the sensitive appetite, but also as having a more general signification, as stated above.

 

반대 3에 대한 답변. 교만은, 감각을 수행하는 욕구의 한 부분으로서 뿐만이 아니고, 또한, 위에서 서술되었듯이, 어떤 더 속(屬)적 중요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분발(奮發)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는 능력 안에 있습니다.

 

Reply to Objection 4. According to Augustine (De Civ. Dei xiv, 7,9), "love precedes all other emotions of the soul, and is their cause," wherefore it may be employed to denote any of the other emotions. It is in this sense that pride is said to be "love of one's own excellence," inasmuch as love makes a man presume inordinately on his superiority over others, and this belongs properly to pride.

 

반대 4에 대한 답변. 아우구스티노(Augustine)(De Civ. Dei xiv, 7,9)에 따라, "사랑(love, amor)은 영혼의 다른 감정들 모두를 앞서며, 그리고 그들의 원인이며,' 그런 이유로 사랑은 다른 감정들 중의 어느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일 수도 있습니다. 교만이, 사랑이 한 사람을 다른 이들 위에(over) 자신의 고유한 탁월에 대하여 과도하게 망망하는(presume) 한, "자신의 고유한 탁월"에 대한 사랑"이라고 말해지는 것은 바로 이러안 의미에서 이며, 그리하여 이 말은 교만에 고유하게 적절합니다/처음무터 끝까지 유지됩니다.

 

Article 4. Whether the four species of pride are fittingly assigned by Gregory?

 

제4항. 교만의 네 개의 종(種)들이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에 의하여 적절하게 할당되었는지?

 

Objection 1. It seems that the four species of pride are unfittingly assigned by Gregory, who says (Moral. xxiii, 6): "There are four marks by which every kind of pride of the arrogant betrays itself; either when they think that their good is from themselves, or if they believe it to be from above, yet they think that it is due to their own merits; or when they boast of having what they have not, or despise others and wish to appear the exclusive possessors of what they have." For pride is a vice distinct from unbelief, just as humility is a distinct virtue from faith. Now it pertains to unbelief, if a man deem that he has not received his good from God, or that he has the good of grace through his own merits. Therefore this should not be reckoned a species of pride.

 

반대 1. 교만의 네 개의 종(種)(species)들은,  다음과 같이(Moral. xxiii, 6) 말하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에 의하여 부적절하게 할당된(assigned) 것 같습니다: "그것들에 의하여 오만한 자(the arrogant)들의 교만(pride)의 모든(every) 종류들이 지적을 받게 되는, 다음과 같은, 네 개의 표지(signs)들이 있다: (i) 그들이 자기 자신들로부터 모든 선한 우수성(good quality)을 소유하고 있다고 그들이 생각할(think) 때, (ii) 이 우수성이 위로부터 그들에게 주어진 것이라고 그들이 믿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신들 고유한 공로(merits)들의 결과로 그것을 이미 받았다고 그들이 확신할(believe) 때, 혹은 (iii) 의심할 여지 없이, 그들이 가지지 못한 바를 소유하고 있다고 그들이 자랑할(boast) 때, 혹은 (iv) 그들이 다른 이들을 혐오하고(despise), 그리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바의 단독의 소유자들임을 나타내는 것을 바랄(wish) 때." 이는, 겸손이 믿음(faith)으로부터 구분되는 한 개의 덕인 것과 꼭 마찬가지로, 교만이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로부터 구분되는 한 개의 악덕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 사람이 그가 하느님으로부터 자신의 선(good)을 여태 받지 못한 것으로, 혹은 그가 자신의 고유한 공로들을 통하여 은총의 선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러한 생각은 불신(不信)/회의(懷疑)에 적절합니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됩니다. 그러므로 바로 그러한 생각[즉, 위의 (ii)]은 교만의 한 개의 종(種)으로 마땅히 열거되지 말아야 합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same thing should not be reckoned a species of different genera. Now boasting is reckoned a species of lying, as stated above (110, 2; 112). Therefore it should not be accounted a species of pride.

 

반대 2. 게다가, 이 동일한 사물은 다른 속들의 한 개의 종(種)으로 마땅히 열거되지 말아야 합니다. 그런데 자랑 행위(boasting)[즉, 위의 (iii)]는, 위에서(110, 2; 112) 서술되었듯이, 거짓 행위(lying)의 한 개의 종으로 열거됩니다. 그러므로 자랑 행위는 교만의 한 개의 종(種)으로 마땅히 세어지지 말아야 합니다.

 

Objection 3. Further, some other things apparently pertain to pride,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For Jerome [Reference unknown] says that "nothing is so indicative of pride as to show oneself ungrateful": and Augustine says (De Civ. Dei xiv, 14) that "it belongs to pride to excuse oneself of a sin one has committed." Again, presumption whereby one aims at having what is above one, would seem to have much to do with pride. Therefore the aforesaid division does not sufficiently account for the different species of pride.

 

반대 3. 게다가, 어떠한 다른 사물들은 언뜻 보기에 교만에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데, 이들은 여기에서 언급되지 않습니다. 이는 예로니모(Jerome)[알려지지 않은 출처]가 "어떠한 것도 배은망덕한(ungrateful) 자기 자신을 보이는 것보다 더 교만을 나타내지 않는다."라고 말하고 그리고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자신이 이미 범한 한 개의 죄 때문에(of) 자기 자신을 사형에 처형하는 것은 교만에 적절하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된다."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또다시, 그것에 의하여 어떤 자가 자신 위에 있는 바를 가짐 쪽으로 겨누는 망망(presumption)은 교만과 훨씬 더 관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전술(前述)된 구분[즉, 위의 (i) - (iv)]은 교만의 서로 다른 종(種)들에 대하여 충분하게 설명하지 못합니다.

 

Objection 4. Further, we find other divisions of pride. For Anselm [Eadmer, De Similit. xxii, seqq.] divides the uplifting of pride, saying that there is "pride of will, pride of speech, end pride of deed." Bernard [De Grad. Humil. et Superb. x, seqq.] also reckons twelve degrees of pride, namely "curiosity, frivolity of mind, senseless mirth, boasting, singularity, arrogance, presumption, defense of one's sins, deceitful confession, rebelliousness, license, sinful habit." Now these apparently are not comprised under the species mentioned by Gregory. Therefore the latter would seem to be assigned unfittingly.

 

반대 4. 게다가, 우리는 교만의 다른 구분들을 발견합니다. 이는 안셀름(Anselm)[Eadmer, De Similit. xxii, seqq.]이, "의지의 교만, 말의 교만, 행위의 끝 교만(end pride of deed)"이라고 말하면서, 교만의 들어올림(uplifting)을 구분하기 때문입니다. 베르나르도(Bernard)[De Grad. Humil. et Superb. x, seqq.]도 또한 교만의 열두 개의 등급들을 다음과 같이 열거합니다: 즉, "호기(好奇, curiosity, curiositas), 마음(mind)의 천박(frivolity of mind, mentis levitas), 지각 없는 희희낙락(senseless mirth, inepta laetitia), 자랑 행위(boasting, iactantia), 특이(特異)(singularity, singularitas), 오만(arrogance, arrogantia), 망망(presumption, praesumptio), 자신의 죄들에 대한 방어(defensio peccatorum), 기만적인 고백(deceitful confessiion, simulata confessio), 반항(反抗, rebelliousness, rebellio), 방종(放縱, license, libertas), 죄 있는 습관(peccandi consuetudo)." 그런데 이들은 언뜻 보기에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에 의하여 언급된 종(種)들 아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후자[즉,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에 의하여 언급된 종(種)들]는 적절하지 않게 할당된 것 같습니다.

 

On the contrary, The authority of Gregory suffices.

 

이와는 달리,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의 전적(典籍, authority)는 충분합니다.

 

I answer that, As stated above (1 and 2,3), pride denotes immoderate desire of one's own excellence, a desire, to wit, that is not in accord with right reason. Now it must be observed that all excellence results from a good possessed. Such a good may be considered in three ways. First, in itself. For it is evident that the greater the good that one has, the greater the excellence that one derives from it. Hence when a man ascribes to himself a good greater than what he has, it follows that his appetite tends to his own excellence in a measure exceeding his competency: and thus we have the third species of pride, namely "boasting of having what one has not."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위에서(1과 2,3) 서술되었듯이, 교만은 자신의 고유한 탁월(excellence)에 대한 무절제한(immoderate) 욕망, 즉, 올바른 이성(right reason)과 일치(accord)되지 않는 어떤 욕망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모든 탁월이 소유하게 된 어떤 선(a good)으로부터 결과로서 도출됨은 반드시 주시되어야 합니다. 그러한 어떤 선은 세 가지 방식들로 고찰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그 자체로. 이는 어떤 자가 가진 그 선이 더 클 수록 그자가 그것으로부터 도출하는 그 탁월은 더 클 것임은 명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사람이 자신이 가진 바보다 더 큰 어떤 선을 자기 자신에게 돌릴(ascribes) 때에, 그의 욕구가 자신의 능력(competency)를 초과하는 어떤 척도(a measure)로[즉, 과도하게(inordinately)] 자신의 고유한 탁월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짐이 결론으로서 뒤따르며,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는 교만의 세 번째 종(種, species), 즉, "자신이 가지지 않은 바를 가지고 있다는 자랑 행위(boasting)"를 가집니다.

 

Secondly, it may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its cause, in so far as to have a thing of oneself is more excellent than to have it of another. Hence when a man esteems the good he has received of another as though he had it of himself, the result is that his appetite is borne towards his own excellence immoderately. Now one is cause of one's own good in two ways, efficiently and meritoriously: and thus we have the first two species of pride, namely "when a man thinks he has from himself that which he has from God," or "when he believes that which he has received from above to be due to his own merits."

 

두 번째로, 자기 자신에 기인하는 어떤 사물을 가지는 것이 다른 이에 기인하는 사물을 가지는 것보다 더 탁월인 한, 그것의 원인(causes)들에 관련하여 고찰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한 사람이 다른 이로부터 자신이 이미 받은 선을 그가 자기 자신으로부터 그것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생각할 때에, 그 결과는 그의 욕구가 무절제하게(immoderately) 자신의 고유한 탁월을 향하여 태어나게 됨입니다. 그런데 한 사람(one, 누구든지)은, 두 가지 방식들, 동력(動力)적으로/작용(作用)적으로(efficiently) 그리고 공로(功勞)적으로(meritoriously), 자신의 고유한 선의 원인(cause)이 되며,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는 교만의 첫 번째 두 가지 종(種, species)들, 즉, "한 사람이 그가 하느님으로부터 가진 바로 그것을 자기 자신으로부터 그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think) 경우," 혹은 "그가 위로부터 이미 받은 바로 그것이 자신의 고유한 공로들에 기인한다고 확신할(believe) 경우"를 가집니다.

 

Thirdly, it may be considered with regard to the manner of having it, in so far as a man obtains greater excellence through possessing some good more excellently than other men; the result again being that his appetite is borne inordinately towards his own excellence: and thus we have the fourth species of pride, which is "when a man despises others and wishes to be singularly conspicuous."

 

세 번째로,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보다 더 탁월하게 어떠한 선을 소유함을 통하여 더 큰 탁월을 획득하는 한, 그러한 선을 가지는 방법(manner)에 관련하여 고찰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리고 또다시 그 결과는 그자의 욕구가 자신의 고유한 탁월을 향하여 태어나게 됨이며,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우리는 교만의 네 번째 종(種, species)을 가지는데, 이 종(種)은 "한 사람이 다른 이들을 혐오하고(despises) 그리고 특이(特異)하게(singularly) 눈에 띄는(conspicuous) 것을 바랄 경우"를 말합니다.

 

Reply to Objection 1. A true judgment may be destroyed in two ways. First, universally: and thus in matters of faith, a true judgment is destroyed by unbelief. Secondly, in some particular matter of choice, and unbelief does not do this. Thus a man who commits fornication, judges that for the time being it is good for him to commit fornication; yet he is not an unbeliever, as he would be, were he to say that universally fornication is good. It is thus in the question in point: for it pertains to unbelief to assert universally that there is a good which is not from God, or that grace is given to men for their merits, whereas, properly speaking, it belongs to pride and not to unbelief, through inordinate desire of one's own excellence, to boast of one's goods as though one had them of oneself, or of one's own merits.

 

반대 1에 대한 답변. 어떤 참된 판단(a true judement)은 두 가지 방식들로 파괴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보편적으로(universally) 인데, 그리고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신앙(faith)의 문제들에 있어, 어떤 참된 판단은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에 의하여 파괴됩니다. 두 번째로, 선택에 있어서의 어떠한 개별적 문제로 인데, 그리고 불신(不信)/회의(懷疑)는 이것을 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통(私通, fornication)을 범하는 한 사람은 사통을 범하는 것이 당분간 자신을 위하여 선한 것이라고 판단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에 그가 보편적으로 사통이 선하다고 말한다면 그가 그러할 것이듯이, 한 명의 불신자(unbeliever)는 아닙니다. 따라서 이것은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질문에 있어 적절한데(in point), 이는 하느님으로부터가 아닌 어떤 선이 있음을, 혹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공로들 때문에 은총(grace)이 주어짐을, 보편적으로 단언하는 것은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에 적절하고/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고, 이와는 달리, 고유하게 말하여, 자신의 선들을, 마치 자기 자신에 기인하여, 혹은 자신의 고유한 공로들에 기인하여, 가지고 있는 것처럼, 자신의 고유한 탁월을 통하여, 자신의 선들을 자랑하는 것은 교만(pride)에 적절한 것이지/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것이지,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에 적절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Boasting is reckoned a species of lying, as regards the outward act whereby a man falsely ascribes to himself what he has not: but as regards the inward arrogance of the heart it is reckoned by Gregory to be a species of pride.

 

반대 2에 대한 답변. 자랑 행위(boasting)는,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이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바를 자시 자신에게 거짓으로(falsely) 돌리는(ascribes), 바깥쪽을 향하는(outward) 행위에 관계한 것으로서, 거짓 행위(lying)의 한 종(種, species)으로 열거되나, 그러나, 심장(heart)의, 안쪽을 향하는(inward), 오만(arrogance)에 관계한 것으로서, 이 행위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에 의하여 교만의 한 개의 종(種, species)으로 열거됩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e ungrateful man ascribes to himself what he has from another: wherefore the first two species of pride pertain to ingratitude. To excuse oneself of a sin one has committed, belongs to the third species, since by so doing a man ascribes to himself the good of innocence which he has not. To aim presumptuously at what is above one, would seem to belong chiefly to the fourth species, which consists in wishing to be preferred to others.

 

반대 3에 대한 답변. 배은망덕한(ungrateful) 사람은 자신이 다른 이들로부터 가진 바를 자기 자신에게 돌리는데, 그런 이유로 교만의 첫 번째 두 가지 종(種, species)들은 배은망덕(ingratitude)에 적절합니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됩니다. 자신이 이미 범한 어떤 죄에 대하여 자기 자신을 변명하는(excuse) 것은 세 번째 종(種, species)에 적절한데/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데, 왜냐하면 그렇게 행함으로써 한 사람은 자신이 가지지 않은, 무죄/결백(innocence)이라는 선을 자기 자신에게 돌리기 때문입니다. 망망적으로(presumpuously) 자신 위에 있는 바 쪽으로 겨냥하는(aim) 것은, 다른 이들보다 선호받는 것을 바람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는, 네 번째 종((種, species)에 주로(chiefly) 적절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것 같습니다.

 

Reply to Objection 4. The three mentioned by Anselm correspond to the progress of any particular sin: for it begins by being conceived in thought, then is uttered in word, and thirdly is accomplished in deed.

 

반대 4에 대한 답변. 안셀름(Anselm)에 의하여 언급된 이 세 개들은 임의의 개별 죄의 진행(progress)에 대응하는데, 이는 죄가 생각 안에서 품게됨으로써 시작하고, 그런 다음에 말로 발음되고, 그리고 세 번째로 행위(deed)로 수행되기 때문입니다.

 

The twelve degrees mentioned by Bernard are reckoned by way of opposition to the twelve degrees of humility, of which we have spoken above (Question 161, Article 6). For the first degree of humility is to "be humble in heart, and to show it in one's very person, one's eyes fixed on the ground": and to this is opposed "curiosity," which consists in looking around in all directions curiously and inordinately. The second degree of humility is "to speak few and sensible words, and not to be loud of voice": to this is opposed "frivolity of mind," by which a man is proud of speech. The third degree of humility is "not to be easily moved and disposed to laughter," to which is opposed "senseless mirth." The fourth degree of humility is "to maintain silence until one is asked," to which is opposed "boasting". The fifth degree of humility is "to do nothing but to what one is exhorted by the common rule of the monastery," to which is opposed "singularity," whereby a man wishes to seem more holy than others. The sixth degree of humility is "to believe and acknowledge oneself viler than all," to which is opposed "arrogance," whereby a man sets himself above others. The seventh degree of humility is "to think oneself worthless and unprofitable for all purposes," to which is opposed "presumption," whereby a man thinks himself capable of things that are above him. The eighth degree of humility is "to confess one's sins," to which is opposed "defense of one's sins." The ninth degree is "to embrace patience by obeying under difficult and contrary circumstances," to which is opposed "deceitful confession," whereby a man being unwilling to be punished for his sins confesses them deceitfully. The tenth degree of humility is "obedience," to which is opposed "rebelliousness." The eleventh degree of humility is "not to delight in fulfilling one's own desires"; to this is opposed "license," whereby a man delights in doing freely whatever he will. The last degree of humility is "fear of God": to this is opposed "the habit of sinning," which implies contempt of God.

 

베르나르도(Bernard)에 의하여 언급된 이 열두 등급들은, 그것에 대하여 우리가 위에서(Question 161, Article 6) 이미 말한, 겸손의 열두 등급들에 대비/반대(opposition)의 방식으로 열거됩니다. 이는 겸손의 첫 번째 등급이 "심장(heart)에 있어 겸손한 것이고, 그리하여 이 겸손을, 자신의 눈들을 땅에 고정시키고서, 자신의 바로 그 인격(person)으로 보이는 것인데" 바로 이것에, 알고 싶어 하면서(curiously) 그리고 과도하게(inordinately) 모든 방향들 쪽으로 둘러보는 것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는, "호기(好奇, curiosity)"가 반대됩니다.(*) 겸손의 두 번째 등급은 "말들을 적게 하고 그리고 의미있는 말들을 하며, 그리고 목소리를 크게 하지 않는 것"인데, 바로 이것에,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이 말(speech)에 대하여 자랑하는, "마음(mind)의 천박(trivolity of mind)"이 반대됩니다. 겸손의 세 변째 등급은 "웃음 쪽으로 쉽게 움직여지지 않고 그리하여 웃음 쪽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을 가지지 않는 것"인데, 이것에 "지각 없는 희희낙락(senseless mirth)"이 반대됩니다. 겸손의 네 번째 등급은 "자신이 요청받을 때까지 침묵을 유지하는 것"인데, 이것에 "자랑 하기(boasting)"가 반대됩니다. 겸손의 다섯 번째는 "수도회의 통상 규칙(the common rule)에 의하여 권고되는 바를 자신이 오로지 행하는 것"인데, 이것에,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이 다른 이들보다 더 거룩한(holy) 것처럼  보이는 것을 바라는, "특이(特異)(singularity)"가 반대됩니다. 겸손의 여섯 번째 등급은 "다른 이들보다 자기 자신이 더 미천(微賤)하다(viler)는 것을 확신하고(believe) 그리고 인정하는 것"인데, 이것에,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이 다른 이들 위에 자기 자신을 설정하는, "오만(arrogance)"이 반대됩니다. 겸손의 일곱 번째 등급은 "모든 목적들을 위하여 자기 자신이 가치롭지 못하고 그리고 무익하다고 생각하는 것"인데, 이것에,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이 자신 위에 있는 사물들에 대하여 자기 자신이 유능하다고 생각하는, "망망(presumption)"이 반대됩니다. 겸손의 여덟 번째 등급은 "자신의 죄들을 고백하는 것"인데, 이것에 "자신의 죄들에 대한 방어"가 반대됩니다.  겸손의 아홉 번째 등급은 "어렵고 그리고 상반되는(contrary) 여건들 아래에서 복종함으로써(by obeying) 인내를 포옹하는 것"인데, 이것에,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이, 자신의 죄들에 대하여 벌을 받는 것을 기꺼이 하고자 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을 기만적으로 고백하는, "기만적인 고백(deceitful confession)"이 반대됩니다. 겸손의 열 번째 등급은 "복종(obedience)"인데, 이것에 "반항(反抗, rebelliousness)"이 반대됩니다. 겸손의 열한 번째 등급은 "자신의 고유한 욕망들을 구현함에 있어 크게 즐거워하지 않는 것"인데, 이것에,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은 자신이 의도하는 바 무엇이든지 자유롭게 행함에 있어 크게 즐거워하는, "방종(放縱, license)"이 반대됩니다. 겸손의 마지막 등급은 "하느님에 대한 두려움"인데, 이것에, 하느님에 대한 경멸을 의미하는, "죄를 짓는 습관"이 반대됩니다.


-----
(*) 번역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제시된 "curiosity"(호기, 好奇)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curiosity.htm
-----

 

In these twelve degrees not only are the species of pride indicated, but also certain things that precede and follow them, as we have stated above with regard to humility (161, 6).

 

이러한 열두 등급들에는 가리켜진(indicated) 교만의 종(種, species들뿐만이 아니라, 또한, 우리가 겸손에 관하여 위에서(161, 6) 이미 서술하였듯이, 그들을 앞서고 그리고 그들로부터 뒤따르는 어떤 사물들이 있습니다.

 

Article 5. Whether pride is a mortal sin?

 

제5항. 교만이 한 개의 대죄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pride is not a mortal sin. For a gloss on Psalm 7:4, "O Lord my God, if I have done this thing," says: "Namely, the universal sin which is pride." Therefore if pride were a mortal sin, so would every sin be.

 

반대 1. 교만은 한 개의 대죄(a mortal sin, 즉, 죽음에 이르는 죄)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시편 7,4, "주 저의 하느님 만일 제가 그런 짓을 했다면"에 대한 한 개의 주석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기 때문입니다: "즉, 교만인 보편적 죄." 그러므로 만약에 교만이 한 개의 대죄이더라면, 모든 죄가 또한 그러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Objection 2. Further, every mortal sin is contrary to charity. But pride is apparently not contrary to charity, neither as to the love of God, nor as to the love of one's neighbor, because the excellence which, by pride, one desires inordinately, is not always opposed to God's honor, or our neighbor's good. Therefore pride is not a mortal sin.

 

반대 2. 게다가, 모든 대죄는 애덕(charity)에 상반됩니다. 그러나 교만은 언뜻 보기에,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대하여서도 그렇지 않고, 또한 자신의 이웃에 대한 사랑에 대하여서도 그렇지 않아서, 애덕(charity)에 상반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교만에 의하여, 한 사람이 과도하게 욕막하는 탁월이 항상 하느님의 명예, 혹은 이웃의 선(good)에 반대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대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3. Further, every mortal sin is opposed to virtue. But pride is not opposed to virtue; on the contrary, it arises therefrom, for as Gregory says (Moral. xxxiv, 23), "sometimes a man is elated by sublime and heavenly virtues." Therefore pride is not a mortal sin.

 

반대 3. 게다가, 모든 대죄는 덕(virtue)에 반대됩니다. 그러나 교만은 덕에 반대되는 것이 아니로, 이와는 상반되게, 교만은 그것으로부터 일어나는데, 이는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xxxiv, 23)이 "때로는 한 사람이 장엄한(sublime) 그리고 하늘에 있는 덕들에 의하여 의기양양하게 된다(is elated)."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대죄가 아닙니다.

 

On the contrary, Gregory says (Moral. xxxiv, 23) that "pride is a most evident sign of the reprobate, and contrariwise, humility of the elect." But men do not become reprobate on account of venial sins. Therefore pride is not a venial but a mortal sin.

 

이와는 달리,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xxxiv, 23)은 "교만은 하느님의 버림을 받은 자(the reprobate)들에 대한 한 개의 가장 명백한 표시이고, 그리고 이에 반하여, 겸손은 하느님에 의하여 선택된 자(the elect)들에 대한 가장 명백한 표시이다."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소죄(venial sins)들 때문에 하느님의 버림을 받게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한 개의 소죄가 아니고 한 개의 대죄입니다.

 

I answer that, Pride is opposed to humility. Now humility properly regards the subjection of man to God, as stated above (161, 1, ad 5). Hence pride properly regards lack of this subjection, in so far as a man raises himself above that which is appointed to him according to the Divine rule or measure, against the saying of the Apostle (2 Corinthians 10:13), "But we will not glory beyond our measure; but according to the measure of the rule which God hath measured to us." Wherefore it is written (Sirach 10:14): "The beginning of the pride of man is to fall off from God" because, to wit, the root of pride is found to consist in man not being, in some way, subject to God and His rule. Now it is evident that not to be subject to God is of its very nature a mortal sin, for this consists in turning away from God: and consequently pride is, of its genus, a mortal sin. Nevertheless just as in other sins which are mortal by their genus (for instance fornication and adultery) there are certain motions that are venial by reason of their imperfection (through forestalling the judgment of reason, and being without its consent), so too in the matter of pride it happens that certain motions of pride are venial sins, when reason does not consent to them.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교만은 겸손에 반대됩니다. 그런데 겸손은, 위에서(161, 1, ad 5) 서술되었듯이, 하느님 쪽으로 사람의 종속(subjection)에 고유하게 관계합니다(regards). 따라서 교만은, 한 사람이 하느님의 규칙(rule) 혹은 척도(measure)에 따라, "그러나 우리는 한도(measure)를 넘어서 자랑하지는(glory) 않을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정해 주신 적정 한도 안에서만 그리할 터인데, 거기에는 여러분도 포함됩니다."(2코린토 10,13)라는 사도 [비오로]의 말함에 반하여, 자신에게 지정된 바 바로 그것 위로 자기 자신을 들어올리는 한, 바로 이 종속(subjection)의 결여(lack)에 고유하게 관계합니다. 그런 이유로 "사람의 교만의 시작은 하느님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짐(to fall off)이다"(집회 10,14)라고 쓰여 있는데, 왜냐하면, 즉, 교만의 뿌리가, 어떠한 방식으로, 사람이 하느님과 당신의 규칙(rule)에 종속하지 않는 것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는 데에서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하느님 쪽으로 종속하지 않음이 한 개의 대죄인 것은, 그것의 바로 그 본성 때문에, 명백한데, 이는 이것이 하느님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짐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교만은, 그것의 속(屬) 때문에, 한 개의 대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속(屬)에 의하여 대죄인 다른 죄들[예를 들어, 사통(私通, fornication)과 간통(姦通, adultery)]에서 (이성의 판단을 앞섬, 그리하여 이성의 동의 없음을 통하여) 그들의 불완미(imperfection)라는 이유에 의하여 소죄인 어떤 움직임들이 있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또한 교만의 문제에 있어서도 교만의 어떤 움직임들은, 이성이 그들에 동의하지 않을 때에, 소죄(venial sins)들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As stated above (Article 2) pride is a general sin, not by its essence but by a kind of influence, in so far as all sins may have their origin in pride. Hence it does not follow that all sins are mortal, but only such as arise from perfect pride, which we have stated to be a mortal sin.

 

반대 1에 대한 답변. 위에서(제2항)에서 서술되었듯이, 교만은, 그 본질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영향의 한 종류에 의하여, 모든 죄들이 교만에 그들의 원천을 가질 수도 있는 한, 한 개의 속(屬)적 죄(a general sin)입니다. 따라서 모든 죄들이 대죄라는 것은 결론으로서 뒤따르지 않고, 우리가 한 개의 대죄라고 이미 서술한, 오로지 완미한 교만(perfect pride)로부터 일어나는 그러한 죄들만이 대죄입니다.

 

Reply to Objection 2. Pride is always contrary to the love of God, inasmuch as the proud man does not subject himself to the Divine rule as he ought. Sometimes it is also contrary to the love of our neighbor; when, namely, a man sets himself inordinately above his neighbor: and this again is a transgression of the Divine rule, which has established order among men, so that one ought to be subject to another.

 

반대 2에 대한 답변. 교만은, 교만한 사람이 그가 당연히 하여야 하듯이 하느님의 규칙(the Divine rule)에 자기 자신을 종속하지 않는 한, 항상 하느님의 사랑에 상반됩니다. 때로는 교만은, 한 사람이 자신의 이웃 위에 과도하게(inordinately) 자기 자신을 설정할 때에, 이웃에 대한 사랑에 또한 상반되며, 그리고 이것은 또다시, 한 사람이 다른 이에게 당연히 종속하도록 그들 사이에 질서/순서(order)를 이미 제정하고 있는 하느님의 규칙(the Divine rule)에 대한 한 개의 침범(a transgression)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Pride arises from virtue, not as from its direct cause, but as from an accidental cause, in so far as a man makes a virtue an occasion for pride. And nothing prevents one contrary from being the accidental cause of another, as stated in Phys. viii, 1. Hence some are even proud of their humility.

 

반대 3에 대한 답변. 교만은, 한 사람이 한 개의 덕을 교만의 기회로 만드는 한, 덕(virtue)으로부터, 그것의 직접적 원인으로부터로서가 아니라, 어떤 부수적 원인(an accedental cause)으로서, 일어납니다. 그리고,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Phys. viii, 1에 서술되어 있듯이, 어떠한 것도 한 사람이 다른 이의 부수적 원인이 되는 것으로부터 상반되는(contrary) 것을 막지 못합니다. 따라서 어떠한 이들은 자신들의 겸손 때문에(of) 심지어 교만하게 됩니다.

 

Article 6. Whether pride is the most grievous of sins?

 

제6항 교만이 죄들 중에서 가장 무거운 죄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pride is not the most grievous of sins. For the more difficult a sin is to avoid, the less grievous it would seem to be. Now pride is most difficult to avoid; for Augustine says in his Rule (Ep. ccxi), "Other sins find their vent in the accomplishment of evil deeds, whereas pride lies in wait for good deeds to destroy them." Therefore pride is not the most grievous of sins.

 

반대 1. 교만은 죄들 중에서 가장 무거운/중대한 죄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어떤 죄가 피하는 것이 어려울수록, 덜 중대한 것 같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교만은 피하는 것이 가장 어렵는데,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자신의 규칙(Rule)(Ep. ccxi)에서 "다른 죄들은 악한 행위들의 성취에서 그들의 배출구(vent)를 발견하나, 이와는 달리 교만은 선한 행위들을 파괴하기 위하여 이 행위들을 기다림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다(lies in)."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죄들 중에서 가장 무거운 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2. Further, "The greater evil is opposed to the greater good," as the Philosopher asserts (Ethic. viii, 10). Now humility to which pride is opposed is not the greatest of virtues, as stated above (Question 61, Article 5). Therefore the vices that are opposed to greater virtues, such as unbelief, despair, hatred of God, murder, and so forth, are more grievous sins than pride.

 

반대 2. 게다가, 철학자[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Ethic. viii, 10)가 단언하듯이 "더 커다란 악은 더 커다란 선에 반대됩니다." 그런데 그것에 교만이 반대되는 겸손은, 위에서(질문 61, 제5항) 서술되었듯이, 덕들 중에서 가장 커다란 덕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 절망(despair), 하느님에 대한 증오(hatred), 살인(murder) 등과 같은, 더 커다란 덕들에 반대되는 악덕들이 교만보다 더 무거운/중대한 죄들입니다.

 

Objection 3. Further, the greater evil is not punished by a lesser evil. But pride is sometimes punished by other sins according to Romans 1:28, where it is stated that on account of their pride of heart, men of science were delivered "to a reprobate sense, to do those things which are not convenient." Therefore pride is not the most grievous of sins.

 

반대 3. 게다가, 더 커다란 악은 어떤 더 작은 악에 의하여 벌을 받게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교만은 때로는, 로마서 1,28에 따라, 다른 죄들에 의하여 벌얼 받게 되는데, 거기서 그들의, 심장(heart)의, 교만(their pride of heart) 때문에 지식인(men of science)들은 "어떤, 하느님의 벌을 받는, 의미에까지, 적합하지(convenient) 않은 바로 그러한 사물들을 행하도록" 넘겨졌습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죄들 중에서 가장 무거운 죄가 아닙니다.

 

On the contrary, A gloss on Psalm 118:51, "The proud did iniquitously," says: "The greatest sin in man is pride."

 

이와는 달리, 시편 119(118),51, "교만한 자들이 저를 마구 조롱하여도"에 대한 한 개의 주석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사람에 있어 가장 커다란 죄는 교만이다."

 

I answer that, Two things are to be observed in sin, conversion to a mutable good, and this is the material part of sin; and aversion from the immutable good, and this gives sin its formal aspect and complement. Now on the part of the conversion, there is no reason for pride being the greatest of sins, because uplifting which pride covets inordinately, is not essentially most incompatible with the good of virtue. But on the part of the aversion, pride has extreme gravity, because in other sins man turns away from God, either through ignorance or through weakness, or through desire for any other good whatever; whereas pride denotes aversion from God simply through being unwilling to be subject to God and His rule. Hence Boethius [Cf. Cassian, de Caenob. Onst. xii, 7 says that "while all vices flee from God, pride alone withstands God"; for which reason it is specially stated (James 4:6) that "God resisteth the proud." Wherefore aversion from God and His commandments, which is a consequence as it were in other sins, belongs to pride by its very nature, for its act is the contempt of God. And since that which belongs to a thing by its nature is always of greater weight than that which belongs to it through something else, it follows that pride is the most grievous of sins by its genus, because it exceeds in aversion which is the formal complement of sin.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죄에 있어 두 가지 사물들이 관잘되는데, (i) 어떤 변하기 쉬운 선(mutable good) 쪽으로 전향(轉向, conversion), 그리고 이것은 죄의 질료적(material) 부분이며, 그리고 (ii) 불변의 선(immutable good)으로부터 혐오(嫌惡, aversion), 그리고 이것은 죄에게 그것의 형상적(formal) 양상과 형상적 보체(補體, complement)를 제공합니다. 그런데 전향(轉向, conversion)의 측에서는, 교만이 죄들 중에서 가장 커다란 죄일 아무런 이유가 없는데, 왜냐하면 교만이 과도하게 탐내는(covets) 위로 들어올리는 행위(uplifting)는 덕의 선(good)과 본질적으로 가장 모순적인/양립할 수 없는(incompatible)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혐오(嫌惡, aversion)의 측에서는, 교만이 극단적 무거움을 가지는데, 왜냐하면 다른 죄들에 있어 사람은, 무지를 통하여 혹은 나약함을 통하여, 하느님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돌아서나, 이와는 달리 교만은, 단체(單體)적으로(simply) 하느님과 당신의 규칙(rule) 쪽으로 종속하는 것을 기꺼이 하지 않음을 통하여, 하느님으로부터 혐오(嫌惡, aversion)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에티오(Boethius)[Cf. Cassian, de Caenob. Onst. xii, 7]는 "모든 악덕들은 하느님으로부터 도망치는 반면에, 교만 홀로 하느님께 저항한다/대적한다(withstands)."라고 말하는데, 바로 이 이유 때문에 "하느님께서 교만한 자들에게 대적하신다/저항하신다(resisteth)."(야고보 4,6)라고 특별히 서술되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다른 죄들에 있어, 말하자면, 한 개의 결과인, 하느님과 당신의 계명들로부터 혐오(嫌惡, aversion)는, 그것의 바로 그 본성에 의하여, 교만에 적절한데/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데, 이는 그것의 행위(act)가 하느님에 대한 경멸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왜냐하면 어떤 사물에 그것의 바로 그 본성에 의하여 적절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바로 그것은, 다른 그 무엇을 통하여 그것에 적절한/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되는 바로 그것보다, 항상 더 무거운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교만이, 그것의 속(屬, genus)에 의하여, 죄들 중에서 가장 무거운 죄인 것이 결론으로서 뒤따르는데, 왜냐하면 죄의 형상적(formal) 보체(補體, complement)인 혐오(嫌惡, aversion)에 있어 [다른 죄들의 그것들보다] 탁월하기(exceed)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A sin is difficult to avoid in two ways. First, on account of the violence of its onslaught; thus anger is violent in its onslaught on account of its impetuosity; and "still more difficult is it to resist concupiscence, on account of its connaturality," as stated in Ethic. ii, 3,9. A difficulty of this kind in avoiding sin diminishes the gravity of the sin; because a man sins the more grievously, according as he yields to a less impetuous temptation, as Augustine says (De Civ. Dei xiv, 12,15).

 

반대 1에 대한 답변. 한 개의 죄는, 두 가지 방식들로, 피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첫 번째, 그것의 맹공격(onslaught)의 폭력성 때문인데, 따라서 분노(anger)는 그것의 충동성(impetuosity) 때문에 그 맹공격에 있어 폭력적이고,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Ethic. ii, 3,9에 서술되어 있듯이, "사욕(私慾)/사욕편정(私慾偏情)(concupiscence)에 저항하는 것은, 그것의 선천성(先天性, connaturality)[즉, 그것을 우리가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심지어 더 어렵습니다." 죄를 피함에 있어 바로 이러한 종류의 어려움은 해당 죄의 무거움을 줄이는데, 왜냐하면 한 사람은,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말하듯이(De Civ. Dei xiv, 12,15), 어떤 더 적게 충동적인 유혹에 항복함에 따라, 더 무겁게 죄를 짓기 때문입니다.

 

Secondly, it is difficult to avoid a sin, on account of its being hidden. On this way it is difficult to avoid pride, since it takes occasion even from good deeds, as stated (5, ad 3). Hence Augustine says pointedly that it "lies in wait for good deeds"; and it is written (Psalm 141:4): "In the way wherein I walked, the proud [Cf. Psalm 139:6, 'The proud have hidden a net for me.'] [Vulgate: 'they'] have hidden a snare for me." Hence no very great gravity attaches to the movement of pride while creeping in secretly, and before it is discovered by the judgment of reason: but once discovered by reason, it is easily avoided, both by considering one's own infirmity, according to Sirach 10:9, "Why is earth and ashes proud?" and by considering God's greatness, according to Job 15:13, "Why doth thy spirit swell against God?" as well as by considering the imperfection of the goods on which man prides himself, according to Isaiah 40:6, "All flesh is grass, and all the glory thereof as the flower of the field"; and farther on (Isaiah 64:6), "all our justices" are become "like the rag of a menstruous woman."

 

두 번째로, 한 개의 죄를 피하는(avoid) 것은, 그것의 감추어짐 때문에, 어렵습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에서 교만을 피하는 것이 어려운에, 왜냐하면 (5, ad3에서) 서술되었듯이, 심지어 선한 행위(good deeds)들로부터도 교만이 기회를 잡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교만이 "선한 행위들을 기다림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다."라고 날카롭게 말하며, 그리고 "제가 걸어다녔던 길에, 교만한 자들이 [Cf. 시편 140(139),6, '교만한 자들이 저를 잡기 위하여 한 개의 올가미를 이미 숨겼습니다'][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 '그들이'] 저를 잡기 위하여 한 개의 올가미를 이미 숨겼습니다."(시편 142(141), 4)라고 쓰여 있습니다. 따라서, 비밀스럽게 슬며시 접근할 동안에, 그리고 이성의 판단에 의하여 그것이 발견되기 전에, 어떤 대단히 커다란 무거움이 교만의 움직임에 결코 달라붙지 않으며, 그러나 이성에 의하여 일단 발견되면 교만은, 집회서 10,9, "왜 먼지와 재가 뽐낼 수 있는가?"에 따라, 자신의 고유한 [윤리적] 허약(infirmity)을 고찰함으로써, 그리고, "왜 그대의 영이 하느님에 반하여 팽창하는가?"(욥 15,13)에 따라, 하느님의 위대하심을 고찰함으로써, 둘 다에 의하여, 게다가(as well as), 이사야서 40,6, "모든 육은 풀이고, 그리고 바로 그것의 모든 영광/영화는 들의 꽃과 같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저희의 의로운 행동들도 모두 한 명의 월경 중인 여인의 개짐(rag)처럼" 됨(이사야 64,6)에 따라, 그것에 대하여 사람이 자기 자신을 자랑하는(prides) 재화(the goods)의 불완미(imperfection)를 고찰함으로써, 쉽게 피하게 됩니다.

 

Reply to Objection 2. Opposition between a vice and a virtue is inferred from the object, which is considered on the part of conversion. On this way pride has no claim to be the greatest of sins, as neither has humility to be the greatest of virtues. But it is the greatest on the part of aversion, since it brings greatness upon other sins. For unbelief, by the very fact of its arising out of proud contempt, is rendered more grievous than if it be the outcome of ignorance or weakness. The same applies to despair and the like.

 

반대 2에 대한 답변. 한 개의 악덕(vice)과 한 개의 덕(virtue) 사이에 있는 반대는, 전향(轉向, conversion)의 측에서 고찰된, 그 대상(the object)으로부터 추론됩니다(is inferred). 바로 이러한 방식에서 교만은, 겸손이 덕들 중의 가장 커다란 덕이어야 할 필요가 없듯이, 죄들 중에서 가장 커다란 죄라는 주장을 가지지 못합니다. 그러나 교만은 혐오(嫌惡, aversion)의 측에서 가장 커다란 죄인데, 왜냐하면 다른 죄들 위에 중대함(greatness)을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의 경우에, 그것이 교만한 경멸(proud contempt)로부터 일어난다는 바로 그 사실에 의하여, 그것이 무지 혹은 나약함의 결과일 경우보다 더 무거운 것이 되게 합니다. 동일한 답변이 절망(despair) 등에도 적용됩니다. 

 

Reply to Objection 3. Just as in syllogisms that lead to an impossible conclusion one is sometimes convinced by being faced with a more evident absurdity, so too, in order to overcome their pride, God punishes certain men by allowing them to fall into sins of the flesh, which though they be less grievous are more evidently shameful. Hence Isidore says (De Summo Bono ii, 38) that "pride is the worst of all vices; whether because it is appropriate to those who are of highest and foremost rank, or because it originates from just and virtuous deeds, so that its guilt is less perceptible. on the other hand, carnal lust is apparent to all, because from the outset it is of a shameful nature: and yet, under God's dispensation, it is less grievous than pride. For he who is in the clutches of pride and feels it not, falls into the lusts of the flesh, that being thus humbled he may rise from his abasement."

 

반대 3에 대한 답변. 어떤 불가능한 결론 쪽으로 인도하는 삼단 논벅들에서와  한 사람이 어떤 더 명백한 모순(absurdity)과 대면하게 됨에 의하여여 때로는 확신하게 되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또한, 자신들의 교만을 극복하고자 함에 있어서도 그러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어떤 사람들을, 그들이 육의 죄들 안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허락함으로써, 벌을 내리시는데, 이 죄들은, 비록 그들이 덜 무겁다고는 하나, 더 명백하게 부끄러운 죄들입니다. 따라서 이시도르(Isidore)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De Summo Bono ii, 38): "교만은 모든 악덕들 중에서 최악이며, 그리고, 왜냐하면 그것이 가장 높은 그리고 으뜸가는 등급인 사람들에게 적절하기 때문이든지, 혹은 그것이 의로운 그리고 덕이 있는 행위들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이든지 간에, 그리하여 그 결과 그것의 죄 있음(guilt)이 덜 인지할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육체의 음욕(carnal lust, 즉, 육욕)은 또렷이 보이는데(apparent), 왜냐하면 그 시초부터 그것은 한 개의 부끄러운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그러나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하느님의 관면(dispensation) 아래에서, 그것은 교만보다 덜 무겁습니다. 이는 교만의 붙잡음(clutches) 안에 있는 그리하여 그것을 느끼지 못하는 자가 육의 음욕들 안쪽으로 떨어져, 그리하여 그 결과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겸손하게 됨으로써 그가 자신의 굴욕(abasement)으로부터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From this indeed the gravity of pride is made manifest. For just as a wise physician, in order to cure a worse disease, allows the patient to contract one that is less dangerous, so the sin of pride is shown to be more grievous by the very fact that, as a remedy, God allows men to fall into other sins.

 

이것으로부터 정말로 교만의 무거움은 명백하게 됩니다. 이는 한 명의 지혜로운 의사가, 어떤 더 나쁜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환자가 덜 위험한 병에 걸리는 것을 허락하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또한 교만의 죄가, 한 개의 치료약(a remedy)로서, 하느님께서 사람들이 다른 죄들 안쪽으로 떨어기는 것을 허락하시는 바로 그 사실에 의하여, 더 무거운 것이 증명되기(is shown) 때문입니다.

 

Article 7. Whether pride is the first sin of all?

 

제7항. 교만은 모든 죄들 중에서 첫 번째 죄인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pride is not the first sin of all. For the first is maintained in all that follows. Now pride does not accompany all sins, nor is it the origin of all: for Augustine says (De Nat. et Grat. xx) that many things are done "amiss which are not done with pride." Therefore pride is not the first sin of all.

 

반대 1. 교만은 모든 죄들 중의 첫 번째 죄가 아닌 것 같습니다. 이는 첫 번째는 뒤따르는 것을 보두에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교만은 모든 죄들을 동반하지 않고, 또한 모든 죄들의 기원이지도 않는데,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De Nat. et Grat. xx)가 "교만과 함깨 행해지지 않은" 많은 사물들이 "잘못되어" 행해진다 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모든 죄들 중의 첫 번째 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2. Further, it is written (Sirach 10:14) that the "beginning of . . . pride is to fall off from God." Therefore falling away from God precedes pride.

 

반대 2. 게다가, "... 교만의 시작은 하느님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짐(to fall off)이다"(집회 10,14)라고 쓰여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느님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짐이 교만을 앞섭니다.

 

Objection 3. Further, the order of sins would seem to be according to the order of virtues. Now, not humility but faith is the first of all virtues. Therefore pride is not the first sin of all.

 

반대 3. 게다가, 죄들의 순서는 덕들의 순에 따라서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겸손이 아니고 신덕(faith, 믿음, 신앙)이  모든 덕들의 첫 번째입니다. 그러므로 교만은 모는 죄들의 첫 번째 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4. Further, it is written (2 Timothy 3:13): "Evil men and seducers shall grow worse and worse"; so that apparently man's beginning of wickedness is not the greatest of sins. But pride is the greatest of sins as stated in the foregoing Article. Therefore pride is not the first sin.

 

반대 4, 게다가, "악한 사람들과 협잡군들은 ... 점점 더 사악해질 것입니다"(2티모테오 3,13)라고 쓰여 있는데, 그리하여 그 결과 언뜻 보기에 사람에 의한 사악함의 시작은 죄들 중의 가장 커다란 죄에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교만은 앞서 말한 항(Article)에서 서술되었듯이 죄들 중에서 가장 커다란 죄입니다. 따라서 교만은 첫 번째 죄가 아닙니다.

 

Objection 5. Further, resemblance and pretense come after the reality. Now the Philosopher says (Ethic. iii, 7) that "pride apes fortitude and daring." Therefore the vice of daring precedes the vice of pride.

 

반대 5. 게다가, 유사(類似, resemblance)와 가식(假飾, pretense)은 실재(the reality)에 잇따릅니다. 그런데 철학자[즉,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교만은 꿋꿋함(fortitude)과  겁없이 맞서는/덤비는 행위(daring)를 흉내낸다."(Ethic. iii, 7)라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겁없이 맞서는/덤비는 행위(daring)라는 악덕은 교만이라는 악덕을 앞섭니다.

 

On the contrary, It is written (Sirach 10:15): "Pride is the beginning of all sin."

 

이와는 달리, "교만은 모든 죄의 시작이다"(집회 10,15)(*)라고 쓰여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이 절은, 다음의 글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있듯이,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집회서 10,15, 그리고 공동번역성서집회서 10,13과 동일하다. 러나 "새 번역 성경" 집회서 10,13과는 인과 관계가 뒤집어져 있다. 이와 같이, 지역 언어로 성경의 특정한 절이 가톨릭 교회의 공인 성경인 의 해당 절과 완전히 인과 관계가 뒤집어지는 번역 오류는 참으로 커다란 문제가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73.htm <----- 필독 권고

-----

 

I answer that, The first thing in every genus is that which is essential. Now it has been stated above (Article 6) that aversion from God, which is the formal complement of sin, belongs to pride essentially, and to other sins, consequently. Hence it is that pride fulfils the conditions of a first thing, and is "the beginning of all sins," as stated above (I-II, 84, 2), when we were treating of the causes of sin on the part of the aversion which is the chief part of sin.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모든 속(屬, genus)에 있어 첫 번째 사물은 본질적인 바로 그것입니다. 그런데 위에서(제6항) 죄의 형상적(formal) 보체(補體, complement)인 하느님으로부터 혐오(嫌惡, aversion)는 본질적으로 교만에, 그리고 다른 죄들에, 적절하다/처음부터 끝까지 유지된다 라고 이미 서술되었습니다. 따라서, 교만은 한 개의 첫 번째 사물의 조건들을 구현하며, 그리하여, 죄의 주된(chief) 부분인 혐오(嫌惡, aversion)의 측에서 죄의 원인들에 대하여 우리가 취급하고 있었을 때인, 위에서(I-II, 84, 2) 서술되었듯이, "모든 죄들의 시작"인 것입니다.

 

Reply to Objection 1. Pride is said to be "the beginning of all sin," not as though every sin originated from pride, but because any kind of sin is naturally liable to arise from pride.

 

반대 1에 대한 답변. 교만은, 마치 모든 죄들이 교만으로부터 기원하는 것처럼이 아니라, 왜냐하면 죄의 어느 종류도 교만으로부터 본성적으로 자칫하면 일어나기 때문에, "모든 죄의 시작"이라고 말해집니다.

 

Reply to Objection 2. To fall off from God is said to be the beginning of pride, not as though it were a distinct sin from pride, but as being the first part of pride. For it has been said above (Article 5) that pride regards chiefly subjection to God which it scorns, and in consequence it scorns to be subject to a creature for God's sake.

 

반대 2에 대한 답변. 하느님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은, 마치 그것이 교만으로부터 한 개의 구분되는 죄처럼이 아니라, 교만의 첫 번째 부분(part)인 것으로서, 교만의 시작이라고 말해집니다. 이는 교만이 주로, 그것이 경멸하는, 하느님 쪽으로 종속에 관계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로 교만은 하느님을 위한 어떤 피조물 쪽으로 종속되는 것을 경멸한다고, 위에서(제5항) 이미 말해졌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ere is no need for the order of virtues to be the same as that of vices. For vice is corruptive of virtue. Now that which is first to be generated is the last to be corrupted. Wherefore as faith is the first of virtues, so unbelief is the last of sins, to which sometimes man is led by other sins. Hence a gloss on Psalm 136:7, "Rase it, rase it, even to the foundation thereof," says that "by heaping vice upon vice a man will lapse into unbelief," and the Apostle says (1 Timothy 1:19) that "some rejecting a good conscience have made shipwreck concerning the faith."

 

반대 3에 대한 답변. 덕들의 순서/질서(order)가 악덕들의 바로 그것과 동일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이는 악덕은 덕을 타락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생성됨에 있어 첫 번째인 바로 그사물은 타락하게 됨에 있어 마지막 사물입니다. 그런 이유로 신덕(faith, 믿음)이 덕들 중의 첫 번째 덕이듯이, 마찬가지로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는, 그쪽으로 때로는 사람이 다른 죄들에 의하여 인도되는, 죄들 중의 마지막 죄입니다. 따라서 시편 137(136),7, "그것을 허물어라, 그것을 허물어라, 바로 그것의 그 밑바닥까지"에 대한 한 개의 주석은 "악덕 위에 악덕을 쌓아 올림으로써 한 사람은 불신(不信)/회의(懷疑)(unbelief) 안쪽으로 장차 빠질 것이다."라고 말하며, 그리고 이 사도(바오로)는 "어떠한 자들은, 한 개의 선한 양심을 거부함으로써, 믿음에 관련하여 이미 파산당하였습니다."(1티모테오 1,19)라고 말합니다.

 

Reply to Objection 4. Pride is said to be the most grievous of sins because that which gives sin its gravity is essential to pride. Hence pride is the cause of gravity in other sins. Accordingly previous to pride there may be certain less grievous sins that are committed through ignorance or weakness. But among the grievous sins the first is pride, as the cause whereby other sins are rendered more grievous. And as that which is the first in causing sins is the last in the withdrawal from sin, a gloss on Psalm 18:13, "I shall be cleansed from the greatest sin," says: "Namely from the sin of pride, which is the last in those who return to God, and the first in those who withdraw from God."

 

반대 4에 대한 답변. 교만은 죄들 중의 가장 무거운 죄이라고 말해지는데 왜냐하면 죄에게 그 무거움을 제공하는 바로 그것이 교만에게 본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만은 다른 죄들에 있는 무거움의 원인입니다. 따라서 교만에 앞서서 무지 혹은 나약함을 통하여 범하게 되는 어떤 덜 무거운 죄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무거운 죄들 중에서, 거기로부터 다른 죄들이 더 무겁게 되는 원인으로서, 그 첫 번째는 교만입니다. 그리고 죄들을 야기함에 있어 첫 번째인 바로 그것이 죄로부터 뒤로 물러섬에 있어 마지막 사물이기 때문에, 시편 19(18),13, "가장 큰 죄로부터 제가 깨끗하게 되도록 하소서"에 대한 한 개의 주석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즉, 하느님께로 되돌아가는 자들에 있어 마지막이고, 그리고 하느님으로부터 뒤로 물러서는 자들에 있어 첫 번째인, 교만이라는 죄로부터."

 

Reply to Objection 5. The Philosopher associates pride with feigned fortitude, not that it consists precisely in this, but because man thinks he is more likely to be uplifted before men, if he seem to be daring or brave.

 

반대 5에 대한 답변. 철학자[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허위의(feigned) 꿋꿋함(fortitude)과 교만을 관련시켰는데, 교만이 바로 이것을 정확하게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어서가 아니라, 왜냐하면 사람이, 만약에 그가 겁없이 맞서거나/덤비거나(daring) 혹은 용감한 것처럼 보이면, 사람들 앞에서 자신이 더 위로 들어올려질 것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Article 8. Whether pride should be reckoned a capital vice?

 

제8항. 교만이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a capital vice)으로 마땅히 열거되어야 하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pride should be reckoned a capital vice, since Isidore [Comment. in Deut. xvi] and Cassian [De Inst. Caenob. v, 1: Collat. v, 2 number pride among the capital vices.

 

반대 1. 교만은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a capital vice)으로 마땅히 열거되어야 하는 것 같은데, 왜냐하면 이시도르(Isidore)[Comment. in Deut. xvi]와 카시아노(Cassian)[De Inst. Caenob. v, 1: Collat. v, 2]가 교만을 우두머리 악덕들 속에 세어 넣기(number) 때문입니다.

 

Objection 2. Further, pride is apparently the same as vainglory, since both covet excellence. Now vainglory is reckoned a capital vice. Therefore pride also should be reckoned a capital vice.

 

반대 2. 게다가, 교만은 어뜻 보기에 허영(vainglory)과 동일한데, 왜냐하면 둘 다 탁월을 탐내기(covet) 때문입니다. 그런데 허영은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으로 열거됩니다. 그러므로 교만 또한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으로 마땅히 열거되어야 합니다.

 

Objection 3. Further, Augustine says (De Virginit. xxxi) that "pride begets envy, nor is it ever without this companion." Now envy is reckoned a capital vice, as stated above (Question 36, Article 4). Much more therefore is pride a capital vice.

 

반대 3. 게다가,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교만은 질투(envy)를 낳고, 그리고 교만은 바로 이 동료 없이 결코 있지도 않다."(De Virginit. xxxi)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질투(envy)는, 위에서(질문 36, 제4항) 서술되었듯이,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으로 열거됩니다. 그러므로 훨씬 더하게 교만은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입니다.

 

On the contrary, Gregory (Moral. xxxi, 45) does not include pride among the capital vices.

 

이와는 달리,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Moral. xxxi, 45)은 우두머리 악덕들 사이에 교만을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I answer that, As stated above (A2,5, ad 1) pride may be considered in two ways; first in itself, as being a special sin; secondly, as having a general influence towards all sins. Now the capital vices are said to be certain special sins from which many kinds of sin arise. Wherefore some, considering pride in the light of a special sin, numbered it together with the other capital vices. But Gregory, taking into consideration its general influence towards all vices, as explained above (2, Objection 3), did not place it among the capital vices, but held it to be the "queen and mother of all the vices." Hence he says (Moral. xxxi, 45): "Pride, the queen of vices, when it has vanquished and captured the heart, forthwith delivers it into the hands of its lieutenants the seven principal vices, that they may despoil it and produce vices of all kinds."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위에서(A2,5, ad 1) 서술되었듯이, 교만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으로, 고찰될 수도 있습니다: 첫 번째, 한 개의 종(種)적 죄(a special sin)인 것으로서, 그 자체로 이고, 그리고 두 번째로, 모든 죄들을 향하여 어떤 속(屬)적 영향(a general infulence)을 가지는 것으로서 입니다. 그런데 우두머리 악덕들은, 거기로부터 죄의 많은 종류들이 일어나는, 어떤 종(種)적 죄들이라고 말해집니다. 그런 이유로 어떠한 자들은, 한 개의 종(種)적 죄러는 빛으로 교만을 고찰함으로써, 다른 우두머리 악덕들과 함께 그것을 셈하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성 그레고리오 1세 대 교황(St. Gregory I, Pope the Great)은, 위에서 (2, Objection 3) 서술되었듯이, 모든 악덕들 쪽으로 향하는 그것의 속(屬)적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교만을 우두머리 악덕들 사이에 놓지 않고, 그것을 "모든 악덕들의 여왕이고 그리고 어머니"이라고 견지하였습니다(held). 따라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Moral. xxxi, 45): "악덕들의 여왕인 교만은, 그것이 "심장(heart)을 이미 패배시키고 그리고 이미 정복하였을 때에, 즉시 심장(heart)을 일곱 개의 주된 악덕들인 자신의 부관(lieutenants)들의 손들 안쪽으로 넘겨주어, 그리하여 그결과 그들이 심장(heart)을 손상시키고(despoil) 그리하여 그들이 모든 종류의 악덕들을 [심장(heart) 안에] 산출할 수도 있도록 한다."

 

This suffices for the Reply to the First Objection.

 

이것은 첫 번째 반대에 대한 답변을 위하여 충분합니다.

 

Reply to Objection 2. Pride is not the same as vainglory, but is the cause thereof: for pride covets excellence inordinately: while vainglory covets the outward show of excellence.

 

반대 2에 대한 답변. 교만(pride)은 허영(vainglory)과 동일하지 않고, 바로 그것의 그 원인인데, 이는 교만은 과도하게(inordinately) 탁월을 탐내나(covets), 이와는 달리 허영은 탁월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과시(outward show)를 탐내기 때문입니다. 

 

Reply to Objection 3. The fact that envy, which is a capital vice, arises from pride, does not prove that pride is a capital vice, but that it is still more principal than the capital vices themselves.

 

질문 3에 대한 답변.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인 질투(envy)가 교만으로부터 일어난다는 사실은 교만이 한 개의 우두머리 악덕인 것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교만이 우두머리 악덕들 그들 자신들보다 여전히 더 주된(principal) 것임을 증명합니다.

 



1,319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