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강론 지침(Homilectic Directory) 제158항 등에서 번역 오류들

인쇄

. [119.194.105.*]

2016-04-05 ㅣ No.1687

게시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보강된,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인, "강론 지침"의 부록, 주일/대축일 강론 주제들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항들의 엄밀한 대조표로의 안내는 아래의 제1-2항에 있습니다.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게시자 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보강된,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인, "강론 지침"의 부록인 주일/대축일 강론 주제들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항들의 엄밀한 대조표로의 안내는 아래의 제1-2항에 있습니다. 

  

1. 들어가면서

1-1. 다음은, 2014년 6월 29일자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인 "강론 지침" 에서, 부록 I의 입문인 항들을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1: http://www.vatican.va/roman_curia/congregations/ccdds/documents/
rc_con_ccdds_doc_20140629_direttorio-omiletico_it.html
 (이탈리아어본)

 

(발췌 시작)

157. Una particolare preoccupazione a cui si è data spesso voce negli anni successivi al Concilio Vaticano II, in particolar modo nei Sinodi dei Vescovi, è legata alla necessità di maggiore dottrina nella predicazione. Il 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 rappresenta, al riguardo, una risorsa davvero utile per l’omileta, ma è importante che sia usato in modo conforme allo scopo dell’omelia.

 

158. Il Catechismo Romano fu pubblicato sotto la guida dei Padri del Concilio di Trento e, in alcune edizioni includeva anche una Praxis Catechismi, che divideva il contenuto del Catechismo Romano in base ai vangeli delle domeniche dell’anno. Non sorprende quindi il fatto che, con la pubblicazione di un nuovo Catechismo nella linea del Concilio Vaticano II, sia stata avanzata la proposta di fare qualcosa di simile con il 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 Un’iniziativa del genere deve affrontare vari ostacoli di carattere pratico, ma quello cruciale attiene alla fondamentale obiezione secondo cui la liturgia domenicale non è una "occasione" per tenere un sermone su un argomento non conforme al tempo liturgico e ai suoi temi. Comunque, ci possono essere specifiche ragioni pastorali che richiedano l’esposizione di un particolare aspetto dell’insegnamento dottrinale o morale. Tali decisioni esigono prudenza pastorale.  

 

159. D’altra parte, i più importanti insegnamenti sono offerti dal senso più profondo delle Scritture, che si manifesta proprio quando la Parola di Dio viene proclamata nell’assemblea liturgica. Compito dell’omileta non è quello di adeguare le letture della Messa a uno schema tematico predefinito, bensì di invitare i suoi uditori a riflettere sulla fede della Chiesa come emerge naturalmente dalle Scritture nel contesto della celebrazione liturgica.

 

160. Tenendo presente questo, in Appendice è stata disposta una Tavola in cui sono indicati i numeri del 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 che echeggiano le letture bibliche delle domeniche e delle solennità. I numeri sono stati scelti in quanto citano, o alludono, a letture specifiche, o perché trattano argomenti presenti nelle letture. L’omileta è incoraggiato a consultare il Catechismo non in maniera semplice e affrettata, bensì meditando su come le sue quattro parti siano mutuamente collegate. Per esempio, nella V Domenica A del Tempo Ordinario, la prima lettura parla di attenzione ai poveri, la seconda lettura della follia della Croce, e la terza dei discepoli che sono sale della terra e luce del mondo. I rimandi al Catechismo le associano con diversi temi basilari: Cristo crocifisso è sapienza di Dio, contemplato in relazione al problema del male e dell’apparente impotenza di Dio (272); i cristiani sono chiamati ad essere luce del mondo, nonostante la presenza del male, e la loro missione è di essere seme di unità, di speranza e di salvezza per l’intera umanità (782); nella condivisione del mistero pasquale di Cristo, significato dal cero pasquale, la cui luce viene donata ai nuovi battezzati, noi stessi diveniamo tale luce (1243); « il messaggio della salvezza, per manifestare davanti agli uomini la sua forza di verità e di irradiamento, deve essere autenticato dalla testimonianza di vita dei cristiani » (2044); testimonianza, questa, che trova particolare espressione nel nostro amore per i poveri (2443-2449). Utilizzando il 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 in questo modo, l’omileta potrà aiutare il popolo a integrare la Parola di Dio, la fede della Chiesa, le esigenze morali del Vangelo, e la sua spiritualità personale e liturgica.

(이상, 발췌 씉)

 

출처 2: http://www.vatican.va/roman_curia/congregations/ccdds/documents/
rc_con_ccdds_doc_20140629_direttorio-omiletico_en.html
 (영어본)

 

(발췌 시작)

부록 I

강론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157. A concern that has been voiced often in the year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 notably in Synods of Bishops, has been the need for more doctrine in preaching.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provides a truly useful resource for the homilist in this regard, but it is important that it be used in a way that is consonant with the purpose of the homily.

 

157.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여러 해들에 있어, 주목할 만하게 세계 주교 대의원회의(Synods of Bishops)들에서, 목소리로 표현되어져 왔던 한 개의 관심사(a concern)는 설교(preaching)에 있어 더 많은 교리(doctrine)의 필요성이었습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는 바로 이 필요성에 관련하여 강론자들을 위한 한 개의 참으로 유용한 원천(resource)을 제공하는데, 그러나 이 교리서가 강론의 목적과 일치하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158. The Roman Catechism was published at the direction of the Fathers of the Council of Trent, and some editions included a Praxis Catechismi which divided the contents of the Roman Catechism according to the Gospels for the Sundays of the year. It is not surprising that, with the publication of a new catechism in the wake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the suggestion has been raised to do something similar with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Such an initiative faces many practical obstacles, but more crucial is the fundamental objection that the Sunday liturgy is not an "occasion" on which to deliver a sermon, that would in its topic be contrary to the liturgical season and its themes. Even so, there may be specific pastoral reasons requiring the explanation of a particular aspect of doctrinal and moral teaching. Decisions of this sort require pastoral prudence.

 

158. 로마 교리서(the Roman Catechism)(*1)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교부들의 감독/지시/명령(direction)에 따라 출판되었으며, 그리고 어떠한 판(some editions)들은 이 로마 교리서의 본문들을, [1년을 주기로 하는 트리엔트 전례] 주년의 주일들을 위한 복음들에 따라, 여러 부분들로 나누는, 한 개의 교리 실천서(a Praxis Catechismi)를 포함하였습니다.(*2)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한 개의 결과로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라는 제목을 가진] 한 개의 새 교리서의 출판과 함께, 가톨릭 교회 교리서와 엄밀(嚴密)하게 대조할 수 있는(similar with)(*3) 그 무엇(something)(*4)을 마련하자는 제안이 제시되어져 왔던 것은 놀랍지 않습니다. 그러한 한 개의 발의(initiative)는 많은 실천적 장애들을 직면하는데, 그러나 더 중대한(crucial) 것은 주일 전례가, 그 화제(topic)에 있어 해당 전례 시기 및 이 시기의 주제(themes)들에 상반될 수도 있는 어떤 설교(a sermon)를 하기 위한, 한 개의 "기회(occasion)"가 아니라는 근본적 반대(objection)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리적 및 윤리적 가르침(teaching)의 어떤 개별 양상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구체적인(specific) 사목적 이유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종류에 대한 결정들은 사목적 현명(prudence)(*5)을 요구합니다.

 

-----

(*1) 영어로 "the Roman Catechism"이라고 번역되는 표현을, "로마 교리서"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는 대신에, "로마 교리 문답"으로 번역하는 것은 번역 오류이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로마 교리서", 즉, "트리엔트 교리서"는 묻고 답하는 형식이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http://www.cin.org/users/james/ebooks/master/trent/tindex.htm

 

(*2) 번역자 주: 예를 들어, 여기를 클릭하여, "로마 교리서"의 또다른 이름인 "비오 5세 교리서"의 부록으로서 제시된 바를 잘 살펴보도록 하라. 이 살펴봄으로부터 우리는 또한,이 "한 개의 교리 실천서(a Praxis Catechismi)"을 "실천 교리 문답"이라고 번역한 것이 번역 오류임을 알 수 잇는데, 왜냐하면, 이 부록 또한 묻고 답하는 형식이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3) 번역자 주: "similar with""...와 엄밀(嚴密)하게 대조할 수 있는(strictly comparable)" 혹은 이와 등가의 표현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와 비슷한"으로 번역하면, 전후 문맥안에서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도저히 제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대단히 심각한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다음의 Merriam-Webster's Dictionay에 주어진 "similar" 단어의 설명을 꼭 참조하라:
http://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similar 

 

(*4) 번역자 주: 여기서 말하는 "그 무엇(something)"은 이 강론 지침의 제160항 바로 다음에 부록 I, 강론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라는 제목으로 제시된 표(table)를 말한다.

 

(*5) 번역자 주: "현명(prudence)"이,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윤리 신학에서 말하는, 주된 윤리덕들인 사추덕(the 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하나임을 반드시 상기하도록 하라.

-----

 

159. 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doctrines are located within the deepest sense of Scripture and this deepest sense reveals itself when the word of God is proclaimed in the liturgical assembly. The homilist’s task is not to make the readings at Mass fit a preconceived schema of topics, but to invite his listeners to ponder the faith of the Church as it emerges naturally from the Scriptures in the context of the liturgical celebration.

 

159. 다른 한편으로, 가장 중요한 교리(doctrines)들은 성경 본문의 가장 깊은 의미 안에서 찾아지고 그리고 바로 이 가장 깊은 의미는 하느님의 말씀이 전례 회중 안에서 선포될 때에 그 자신을 명백하게 드러냅니다. 강론자의 임무는 미사에서 독서들을 화제(topics)들로 구성된 어떤, 미리 생각된, 도식(scheme)에 적합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청중이 교회의 신앙(faith)을, 이 신앙이 전례 경축의 문맥 안에서 성경 본문들로부터 자연적으로 나옴(emerge)에 따라, 숙고하도록(ponder) 초대하는 것입니다.

 

160. With that in mind, the following table indicates paragraphs in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that resonate with the biblical readings for Sundays and holy days. The paragraphs were chosen either because they cite or allude to the specific readings, or because they treat topics found in the readings. The homilist is encouraged not simply to consult the Catechism in a cursory fashion, but to meditate on how its four parts are mutually related. For example, on the Fifth Sunday of Ordinary Time in Year A the first reading speaks of care for the poor, the second about the folly of the Cross, and the third about disciples as the salt of the earth and the light of the world. The citations from the Catechism associate these readings with several important themes: Christ crucified is the wisdom of God, contemplated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evil and God’s apparent powerlessness (272); it is in the face of this evil that Christians are called to be the light of the world, and their mission is to be a seed of unity, hope and salvation to the whole human race (782); we become this light by sharing in Christ’s Paschal Mystery, symbolized by the Easter candle whose light is given to the newly-baptized (1243); "in order that the message of salvation can show the power of its truth and radiance before men, it must be authenticated by the witness of life of Christians" (2044); and this witness finds a particular expression in our love for the poor (2443-2449). By using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n this way, the homilist can help his people integrate the word of God, the faith of the Church, the moral demands of the Gospel, and their personal and liturgical spirituality.

 

160. 마음(mind) 안에 바로 이것과 함께, 뒤따르는 표는 주일들 및 거룩한 날들을 위한 성경 독서들과 공명이 잘 되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항들을 가리킵니다. 이 항들은, 그들이 구체적인 [미사 중에 봉독되는] 독서들을 인용하거나 혹은 이 독서들 쪽으로 넌지시 말하거나, 혹은 이 독서들 안에서 발견되는 주제들을 이 항들이 다루는, 이들 둘 중의 하나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강론자는 어떤 피상적인 방식으로 "이 교리서"를 단순히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 교리서"의 네 개의 부분들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묵상하도록(meditate) 권장됩니다. 예를 들어, 가해에 있어 연중 제5주일에서 제1독서(이사야 58,6-10)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보살핌에 대하여 말하고, 제2독서(1코린토 2,1-5)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어리석음에 관하여 말하며, 그리고 제3독서[즉, 복음 말씀(마태오 5,13-16)]는 이 땅의 소금과 이 세상의 빛으로서 제자들에 관하여 말합니다. "이 교리서"로부터 인용들은 이들 독서들을 다음과 같이 여러 개의 중요한 주제들과 관련시킵니다: 십자가(十字架)에 못 박혀 난(難) 중인 그리스도[Christus crucifixus, Christ crucified, 즉, 십자고상(十字苦像)의 그리스도](*6)는, 악(evil) 및 하느님의, 언뜻보기에, 무기력함(powerlessness)의 문제에 관하여 관상(觀想)/묵관(默觀)하게 되는(contemplated), 하느님의 지혜(the wisdom of God)이며(CCC 제272항),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이 이 세상의 빛이 되고, 그리고 그들의 사명이 전체 인류 쪽으로 통합(unity), 희망, 그리고 구원의 한 씨앗이 되어야 한다고 부름을 받는 것은 바로 이 악(evil)의 면전에서이고 (CCC 제782항), 그리고, 그것의 빛이 새로 세례를 받은 자들에게 제공되는 부활절 밀랍 초(Easter candle)에 의하여 상징되는,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함께 나눔으로써 우리가 바로 이 빛이 되며(CCC 제1243항). 그리고 "구원의 메시지가 사람들 앞에서 그 진리와 광채의 힘을 나타내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메시지는 그리스도인들의 삶이라는 증거(witness)에 의하여 반드시 입증되어야 하고" (CCC 제2044항), 그리고 이 증거는 가난한 이들에 대한 우리의 사랑 안에서 한 개의 특별한 표현을 발견합니다 (CCC 제2443-2449항).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강론자는 자신의 백성이 하느님의 말씀에, 교회의 신앙에, 복음의 윤리적 요구들에, 그리고 그들의 인격적(personal) 및 전례적 영성에 통합되는(integrate)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

(*6) 번역자 주:

(1) 바로 이 번역문과 아래의 제2항에 발췌된 해당하는 우리말 번역문이, 그리스도교 영성적으로 어떠한, 그리고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라. 우선적으로, "관상(觀想)/묵관(默觀)하게 되는(contemplated)"이라는, 전통적 그리스도교 영성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고유한 의미를 나타내는, 라틴어 "contemplatio"의 피동형이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보면"으로 심각하게 축약 번역된 것명백한 번역 오류이다. 이 지적에 이어지는 아래의 (*7) 번역자 주를 또한 꼭 읽도록 하라.

 

(2) "Christ crucified" 라는 고유한 표현의 사용 용례들로서, 다음에 있는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확보되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문헌들 중의 해당 문장들을 꼭 읽도록 하라:

 

"Christ crucified" site:vatican.va <----- 꼭 클릭하여 읽도록 하라

 

십자고상(十字苦像)의 그리스도

Diego Velázquez의 유화 그림 (1632년)

 

출처 1: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7/Cristo_crucificado.jpg [원 크기의 그림((2,046 × 3,051 pixels, file size: 4.59 MB, MIME type: image/jpeg))을 감상할 수 있음]

출처 2: https://en.wikipedia.org/wiki/File:Cristo_crucificado.jpg [다양한 크기의 그림을 감상하거나 다운로드 할 수 있음]

출처 3: https://en.wikipedia.org/wiki/Christ_Crucified_(Vel%C3%A1zquez) 

 

또한, 다음에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영어본 본문 중에서 "Christ crucified" 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두 개의 항들을 읽도록 하라:

"Christ crucified" "summa theologica" site:newadvent.org/summa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1-2. 주일/대축일 강론 주제들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항들의 엄밀한 대조표 (필자에 의한 보강본)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i) 각 주일/대축일에 선택하도록 교황청 경신성사성에 의하여 권고된 주제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마련된,

(ii)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의 항들이 추가된, 그리고

(iii) 지금까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파악된 차용(借用) 용어 번역 오류들의 대체(代替) 번역 용어들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보강된 주일/대축일 강론 주제들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항들의 엄밀한 대조표(table)를 볼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CCC4주일및대축일_전례력.htm  <----- 필요한 분들께서는 또한 클릭하여 참고하십시오.

 

2.

다음은, 한국천주교 주교회의/증앙협의회에서 발핸한 "강론 지침"에서 발췌한 문장들입니다. 위의 제1항에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졸번역문과 어디에서, 어느 정도로, 얼마나 다른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발췌문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표현들은 번역 오류들이라는 생각입니다:

 

(발췌 시작) 

부록 I

강론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157.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여러 해 동안, 특별히 세계주교대의원회의들에서 강론에 대한 더 많은 가르침이 필요하다는 관심의 목소리가 계속해서 들리고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이와 관련하여 강론자에게 참으로 유용한 자료를 마련해 준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강론의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활용하는 것이다.

 

158. 로마 교리 문답은 트리엔트 공의회의 교부들의 뜻에 따라 편찬되었다. 그리고 어떤 발행본들은 한 해의 주일 복음에 따라 로마 교리 문답의 내용을 나누어 놓은 실천 교리 문답을 담기도 하였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과에 따른 새로운 교리서의 발행과 더불어, [강론과 관련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와 비슷한 그무엇인가를 만들자는 제안들이 나온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그런 제안들은 실질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더욱 결정적인 어려움은 주일 전례가 설교를 하는 '기회'가 아니라는 근본적인 반대였다. 설교는 그 주제가 전례 시기와 그 주제들과 반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교리와 도덕의 가르침 가운데 특정 측면에 대한 설명이 요구되는 특별한 사목적 이유는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결정은 사목적 지혜를 요구하는 것이다.

 

159. 다른 한편으로, 가장 중요한 교리들은 성경의 깊은 의미 안에 담겨 있으며, 그 깊은 의미는 하느님의 말씀이 전례 공동체에서 선포될 때에 저절로 드러나는 것이다. 강론자의 과업은 주제들을 미리 정해 놓은 도식에 미사의 독서들을 꿰어 맞추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청중이 전례 거행이라는 맥락 안에서 성경에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교회의 신악을 숙고하도록 초대하는 것이다.

 

160. 이 지침은 그것을 염두에 두고, 주일가 축일의 성경 독서와 잘 어울리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항들을 가리켜 주는 다음의 표를 만들었다. 이 항들은 특정 독서들을 인용하거나 언급하고 독서들에 나오는 주제들을 다르고 있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다. 강론자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어설프게 참조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교리서 저4편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묵상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연중 제5주일 가해의 제1독서는 사회적 약자를 돌보는 것에 대하여, 제2독서는 십자가의 어리석음에 관하여, 복음은 세상의 빛과 소금이 되어야 할 제자들에 관하여 말한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인용은 이 독서들을 몇 가지 중요한 주제들과 결합시키고 있다. 곧,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지혜이시며, 악의 문제와 관련하여 보면, 무능하게 보이는 하느님의 신비라는 주제들이다(a)(*7)(272항). 바로 이러한 악에 직면하여,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의 빛이 되라는 부르심을 받았으며, 그들의 사명은 온 인류의 일치와 희망과 구원의 씨앗이 되는 것이다(782항). 우리는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에 참여하여 세상의 빛이 된다. 새로 세례를 받은 이들엑 건네는 부활초가 이를 상징한다(1243항). "진리와 빛의 힘을 사람들 앞에 드러내기 위하여, 구원의 메시지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을 통한 증거로써 그 신실성이 입증되어야 한다"(2044항). 이러한 증언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우리의 사랑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2443-2449항). 강론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활용하여, 자기 백성이 하느님의 말씀, 교회의 신앙, 복음의 도덕적 요구, 그들의 인격적이며 전례적인 영성을 모두 통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

(*7) 발췌자 주: 다음의 두 문장들 (a)(b)가 논리적으로 등가인지 혹은 아닌지에 대하여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라:

 

 

(a)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지혜이시며, 악의 문제와 관련하여 보면, 무능하게 보이는 하느님의 신비라는 주제들이다."

 

(b) "Christ crucified is the wisdom of God, contemplated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evil and God’s apparent powerlessness."

 

바로 위의 두 문장들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i) 이미 위에서 지적하였듯이, 전통적 그리스도교 영성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고유한 의미를 나타내는 라틴어 "contemplatio"의 피동형인, "contemplated[관상(觀想)/묵관(默觀)하게 되는]""보면"으로 심각하게 축약 번역된 것도 명백한 번역 오류이고, 

(ii) 더구나, "하느님의 신비라는 주제들이다"라는 우리말 번역 표현에 대응하는 표현은 영문 문장 (b)의 어디에도 없으며,

(iii) 그리고 번역문 (a)는 심지어 우리말 어법에도 맞지 않는 문장이므로,

 

따라서, 위의 발췌문 중의 우리말 번역문 (a)의역(free translation)의 정도가 한참 지나친, 납득할 수 없는 수준의 번역 오류라 아니할 수 없다:

-----

(이상, 발췌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0시간 (유관 자료 분석 포함. 단, "강론 지침"의 제160항에 바로 이어지는 부록 I 강론과 가톨릭 교회 교리서 표(table)의 우리말 번역에 소요된 시간은 제외) 


1,000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