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용약하라 (THE EXSULTET, 부활 찬송) - Dom Jerome Gassner, O.S.B. [전례음악] exsultet

인쇄

용약하라 -2 [122.128.40.*]

2010-07-08 ㅣ No.936

 
+ 찬미 예수님
 
아래의 글은 부활 성야에 (주로 부제가) 부르게 되는 "용약하라(부활 찬송)" 노래에 대한 역사적 배경, 성경적 근거와 전례적 근거, 그리고 신학적 근거 등을 심도깊게 다루고 있는 양질의 논문의 우리말 번역입니다.
 
대단히 유익한 내용을 담고 있으나, 국내 가톨릭계에는 여태까지 그 내용이 제대로 소개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국내의 성직자, 수도자,  및 전례 봉사자, 특히 각 본당의 전례음악 봉사자들이, "용약하라" 노래를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 총 6권이 한 질을 이루는 시리즈인,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의 가해-I, 나해-I, 다해-I 각 "부활 성야"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하고자 우리말 번역을 한 것입니다. 

이 글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으며, 그리고 이 글에 대한 우리말 번역 저작권은 엮은이에게 있습니다.
--------------------
 
게시자 주:
 
 
이 글을 마련하게 된 동기를 제공한 저의 졸글(제목: 부활 찬송, "용약하라(Exsultet, Exultet)" 읽으실 수 있습니다.
--------------------
 
 
 
 
THE EXSULTET
용약하라
 
Dom Jerome Gassner, O.S.B.1)
 

This triumphant hymn and wonderful sacramental is the prelude to the Easter solemnities. It is a majestic proclamation of the Resurrection of Christ, a dramatic invitation to heaven and earth to join with the Church in joy and jubilation. It is the rite of sanctification of light and night, of place and time, of priest and faithful for the celebration of the Resurrection of our Lord. In itself, it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surrection of Christ, a sacramental, preparing for and anticipating the re-enactment of the Resurrection in the eucharistic Sacrifice. This Easter-sacramental is a jewel of the liturgy, brilliant in content and composition, in its symbolism and efficacy. The hymn is filled with profound theology, radiant with youthful enthusiasm, flowing in the most solemn rhythms of the psalms, resounding in the most jubilant cadences of Gregorian chant. This sacramental, based on the ritual of the Old Testament and containing as it does venerable relics of apostolic tradition, reflects and transmits to us an echo of the glorified joy of early Christianity.
 
승리를 기뻐하는 이 찬미가(hymn)는 그리고 경이로운 이 준성사(sacramental)는 부활절 장엄 의식(Easter solemnities)의 전주(prelude)이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장엄한 선포이며, 기쁨과 환호 안에서 교회와 함께 하기 위한 하늘과 땅에까지의 초대이다. 이것은 우리의 주님의 부활을 경축하기 위한, 빛과 암흑에 대한, 장소와 시간에 대한, 사제와 열심 신자들에 대한, 성화의 예식(rite of sanctification)이다. 그 자체로, 이것은, 성찬례 희생 제사(eucharistic Sacrifice)에 있어서의 당신의 부활의 재연(re-enactment)을 준비하고 예견하는,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상징적 표현(representation)인, 하나의 준성사이다. 이 부활절-준성사(Easter-sacramental)는, 그 상징성과 효능성에 있어, 내용과 구성에 있어 반짝 반짝 빛나는, 전례의 보석이다. 이 찬미가는,  젊은이의 열정으로 빛나고, 시편들로 이루어진 가장 장엄한 리듬들로 거침없이 흘러나오며, 그레고리오 성가로 이루어진 가장 환희에 넘치는 운율들로 울려 퍼지는, 심오한 신학으로 채워져 있다. 구약 성경에 근거하며 그리고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전통의 유서 깊은 유물(venerable relics)들을 지금도 그러하듯이(as it does) 포함하는, 이 준성사는 초기 그리스도교의 바로 그 영광 받은 기쁨(glorified joy)의 메아리를 우리에게 반향하고 전달한다.
 
-----
1) 번역자 주: 이 논문은 Orate Fratres, March 23, 1947, The Liturgical Press 로부터 발췌한 것이다. Dom Jerome Gassner, O.S.B의 저술들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cc/Dom_Jerome_Gassner.htm
Dom Jerome Gassner, O.S.B. 에 대하여서는 또한 다음의 추가 자료를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info/Dom_Jerome_Gassner2.htm
예를 들어, 이 추가 자료에 따르면, 그는, "The Canon of the Mass:
Its History, Theology and Art
[미사 전문(典文): 그 역사, 신학 및 예술]"
 제목의 책의 저자로서, 오스트리아에 있는 Seitenstetten의 [베네딕토 수도회(O.S.B.)] 수사였으며(Monk of Seitenstetten in Austria), 1949년에 로마 교황청에서 시복을 위한 Postulator General 및 Posynodal Judge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
 
 
ORIGIN AND HISTORICAL DEVELOPMENT
기원과 역사적 발전
 
The ritual lamp lit in the Synagogue at the close of the Sabbath and the evening sacrifice of light and incense ordained by God to be offered in the Temple, these are the rites of the Old Testament which constitute the origin of the Christian , or the service of "lighting of lamps."
 
예식 등불(ritual lamp)은 (유다인들의) 회당에서 안식일이 끝날 때에 켜졌으며 그리고, 성전(Temple)에서 봉헌되어야 한다고 하느님에 의하여 명해졌던, 빛과 향(香, incense)으로 이루어진 저녁 제사(evening sacrifice)가 끝날 때에 켜졌는데, 이들은, 그리스도교의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2) 즉 ‘등불에 의한 조명(lighting of lamps)’ 예배(service)의 기원을 이루는, 구약 성경의 예식들이다.
 
-----
2) 번역자 주: 다음의 라틴어 사전의 설명을 참고하면, ‘Lucernarium’ 라틴어 단어는, ‘빛의 축복’ 혹은 ‘빛 축복’으로 번역하는 것 보다는, ‘등불의 축복’으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은 번역이라는 생각이다:
lucerna  -ae, f. (luceo), a lamp, oil-lamp:
출처: Cassell's Latin - English, English - Latin Dictionary.
또한 다음의 사전들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latin/lucerna.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DL_kr_Lang_Lucernarium.htm (루체르나리움)
-----
 
     And thou shalt command the children of Israel that they bring thee
     pure olive oil beaten for the light, to cause the lamp to burn always.
     In the tabernacle of the testimony without the veil, which is before the
     testimony, Aaron and his sons shall order it
     before the Lord (Ex. 27:20-21)
     .... And thou shalt put. it (the altar of incense) before the veil ....
     And Aaron       shall burn thereon sweet incense every morning: when he
     dresseth the lamp, he shall burn incense upon it.
     lighteth the lamps at even he shall burn incense upon it>(Ex. 30:6-8).
 
     “그리고 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명령하여, 등잔에 쓸 기름, 곧 올리브를
     찧어서 짠 순수한 기름을 가져다가, 등불이 끊임없이 타오르게 하여라. 아론
     과 그 아들들은 그 등불을 만남의 천막 안 증언 궤 앞 휘장 밖에 켜 두어,
     <저녁부터 아침까지> 주님 앞에서 그것을 보살펴야 한다. 이는 이스라엘 자손
     들이 대대로 지켜야 할 영원한 규칙이다.”<탈출기 27,20-21> “너는 그 제단
     을 증언 궤 앞에, 곧 내가 너를 만나 줄 증언 궤 위에 있는 속죄판을 가린 휘
     장 앞에 놓아두어라. <아론은 그 제단 위에다 향기로운 향을 피우는데>, 아침
     마다 등을 손질할 때 피워야 하고, 해거름에 등을 켤 때에도 피워야 한다.>
     이는 너희가 대대로 거르지 말고 주님 앞에서 피워야 하는 향이다.”<탈출기
     30,6-8>.
 
The first Christians regarded the evening sacrifice of the Temple as a prophetic type of the Sacrifice of our Lord, who expired at the exact hour of its offering. They found this interpretation confirmed in Ps. 140:2: "Let my prayer be set before thee as incense; and the lifting up of my hands as the evening sacrifice." Now the nucleus of the earliest Christian liturgy was the evening reunion or "synaxis." This vigil rite was so arranged that the eucharistic Sacrifice with which it concluded coincided with the hour of the Savior's Resurrection. The vigil from Saturday to Sunday in particular was celebrated in commemoration of the Resurrection, and above all this was the case with the Easter vigil. The solemn vigil of Easter, the first in origin and dignity, was obligatory for all the faithful from the very beginning, not only as the anniversary of the Resurrection, but also because the Parousia of Christ was expected to take place on the night of the Resurrection. Based as it was on these traditions, the lighting of the vigil lights was from its very beginning considered as a sacred function, as a heritage and continuation of the Old Testament rite of the evening sacrifice of light. This lighting of the lights, especially for the Saturday vigil and for the most solemn vigil of Easter, was then by the first Christians as a symbol of the Resurrection.
 
첫 그리스도인들은 성전의 저녁 제사를, 우리의 주님의 희생에 대한 하나의 예언적 전형(a prophetic type)으로 간주하였는데, 당신께서는 이 제사 봉헌의 정확한 시간에 숨을 거두셨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시편 141(140),2에서 이러한 해석이 확인됨을 발견하였다: “저의 기도 당신 면전의 분향으로 여기시고 저의 손 들어 올리니 저녁 제물로 여겨 주소서.” 그때 이미(now) 초기 그리스도교 전례의 핵심은 이 저녁 재결합(the evening renunion) 즉 ‘성찬례를 위한 집회(synaxis)’이었다. 이 전야 예식(vigil rite)은, 그것으로써 이 예식을 끝맺었던, 성찬례 희생 제사(eucharistic Sacrifice)가 구세주 부활의 시간과 일치하도록 하고자 마련되었다. 토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이 전야는 특히 당신의 부활을 기념하여 경축되었으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것은 부활 성야(Easter vigil)에 있어 그러하였다. 기원과 품위에 있어 첫 째인 장엄한 부활 성야(solemn vigil of Easter)는 맨 처음부터, 당신의 부활에 대한 기념일로서 뿐만이 아니라, 또한 그리스도의 재림(Parousia of Christ)이 당신의 부활의 밤에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되었기 때문에, 열심 신자들 모두에게 의무로서 지워졌다. 과거에 그러하였듯이 이러한 전통들에 근거하여, 이 전야 등불들에 의한 조명(lightning of the vigil lights)은 바로 그 처음부터, 빛으로 이루어진 저녁 희생 제사라는 구약 성경 예식의 상속과 연속(heritage and continuation)으로서, 성스러운 역할(function)로 간주되어졌다. 특별히 성 토요일 전야(the Saturday vigil)를 위한 그리고 가장 장엄한 부활 성야를 위한, 이러한 등불들에 의한 조명은 곧바로 그 이후부터(then) 첫 그리스도인들에 의하여 <명시적으로> 당신의 부활에 대한 상징으로서 <해석되어졌다>.
 
There is, perhaps, an implicit reference to the in the statement in the Acts of the Apostles (20:8) that the room was brilliantly lighted with a great number of lamps on the occasion of the sermon of St. Paul: "And there were many lights in the upper chamber, where they were gathered together." Beginning with the Canons of Hippolytus and the Apostolic Constitutions, a continuous chain of patristic and liturgical tradition testifies to the existenc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the , or as it was also called. The Apostolic Constitutions 8, 35 mention the as marking the beginning of the solemn Saturday vigil, and speak of Psalm 140, said regularly at these vigils, as the "" A colorful description of the rite of the in Jerusalem is contained in the famous pilgrimage account of Etheria (about 385?). In the presence of the clergy, of the monks and of all the people, a light which had been kept burning in the holy Sepulchre was brought forth and from it were lighted the lamps which hung from the ceiling of the basilica in great number-"fit " Prudentius (348-405) speaks likewise not of a single candle, but of a great number of lamps hung from the vaulting of the church, so that it compared to the vault of heaven in which shines so great a multitude of stars.
 
사도행전(20,8)에 성 바오로의 설교의 때에 그 방이 많은 숫자의 등불들로 눈부시게 점등되었다는 다음과 같은 문장에 아마도 이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에 대한 함축적인 언급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모여 있던 위층 방에는 등불이 많이 켜져 있었다.” 히폴리토 법령집[Canons of Hippolytus(170-236년)]3) 및 사도 법령(使徒 法令, Apostolic Constitutions, 4세기 후반)4)부터 시작하여, 계속적인 일련의 교부들의 전통 및 전례적 전통은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 혹은, 또한 과거에 불렸듯이, 의 존재(existence), 의미(significance), 그리고 중요성을 증언하고 있다. 사도 법령(Apostolic Constitutions) 8,35는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을 장엄한 성 토요일 전야에 대한 시작의 표시로서 언급하고 있으며, 그리고 시편 141(140)에 대하여, 이러한 전야들에서 정해진 시간을 지키면서(regularly), ‘’로서, 암송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예루살렘 교회에 있어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 예식에 대한 색채가 풍부한 묘사는 에테리아(Etheria, 385년경?)에 의한 유명한 순례 이야기에 포함되어 있다.5) 성직자(clergy), 수사(monks)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있는 데에서, 성묘(聖墓, the holy Sepulchre)에서 지속적으로 불타도록 유지되어 왔던 한 개의 불씨(a light)가 제공되어졌으며(was brought forth)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대성전(大聖殿, basilica)의 천장에 매달려 있는, ‘에 적합한’, 커다란 숫자의 등불들이 점화되어졌다.6) 프루덴시오(Aurelius Clemens Prudentius, 348-405년)7)는 마찬가지로, 한 개의 초(a single candle)에 대하여서가 아니라, 교회의 둥근 천장에 매달려 있는 많은 숫자의 등불들에 대하여 말하는데, 그렇게 말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교회의 둥근 천장이, 그 안에서 무수히 많은 별들로 반짝이고 있는, 하늘로 이루어진 둥근 천장(vault of heaven)에 비교되어졌다.
 
-----
3) 번역자 주: 다음의 자료에 있는 설명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wiki_Canons_of_Hippolytus.htm 
4) 번역자 주: 교황 문헌의 여러 명칭들 중의 하나인 ‘교황령(Apostolic Constitution)’과는 다른, ‘사도 법령(使徒 法令, Apostolic Constitutions)’에 대한 (우리말로 번역된 Jovian Peter Lang의) ‘전례사전(Dictionary of the Liturgy)’의 설명 및 추가 설명들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DL_kr_Lang_Apostolic_Constitutions.htm (사도 법령)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100_naver_Apostolic_Constitutions.htm (사도 헌장)
http://ch.catholic.or.kr/pundang/4/ce_Apostolic_Constitutions.htm
5) 번역자 주: ‘에테리아[Etheria, 혹은 에그리아(Egria)]의 예루살렘 순례’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자료들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info/about_Egria.htm
6) 번역자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묻히셨다 부활하신 무덤 위에 성녀 헬레나(St. Helena)에 의하여 처음 지어졌던 성묘 성당에 대한 성지순례 안내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pilgrimage/Jerusalem_Holy_Sepulcher.htm
7) 번역자 주: 로마의 그리스도교 라틴 시인인 프루덴시오(Prudentius, 348~405년)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100_naver_Prudentius.htm
-----
 
From this there developed two distinct rites: the daily Vespers, and the solemn Easter , or the (the blessing of the candle). In the Byzantine Vespers the ancient tradition of the is still kept alive through the use of Psalm 140 as one of the regular Vesper psalms, and by means of the famous hymn "" to the evening lamp:
 
이러한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뚜렷하게 구분되는 두 개의 예식들이 발전하였다: 매일 저녁기도(daily Vespers), 그리고 장엄 부활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 혹은 [밀랍 초의 축복(the blessing of the candle)]. 비잔틴 저녁기도(Byzantine Vespers)에 있어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이라는 오래된 전통은, 정해진 시간을 지키는(regular) 저녁기도 시편들 중의 하나로서 시편 141(140)의 사용을 통하여, 그리고 다음과 같은 저녁 등불에 대한 유명한 찬미가인 ‘8)에 의하여, 여전히 생생하게 지켜지고 있다:
 
-----
8) 번역자 주: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wiki_Phos_hilaron.htm
-----
 
     Hail, gladdening light, of His pure glory poured
     Who is immortal Father, heavenly, blest,
     Holiest of holies, Jesus Christ, our Lord.
     Now we have come to the sun's hour rest,
     The lights of evening round us shine,
     We hymn the Father, Son and Holy Ghost divine.
     Worthiest art Thou at all times to be sung
     With undefiled tongue,
     Son of God, giver of life alone!
     Therefore in all the world Thy glories, Lord, Thy own.
     (번역자 주: 우리말 번역 생략)
 
The Roman Church eliminated the rite of the regular about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In the Churches outside Rome it was continued, and developed into several variants. The on Holy Saturday in particular was celebrated with great solemnity. The light which had to be kindled for the reading from the ambo was singled out for this special ceremony. The special prayers for the blessing of this candle were called "" or "Praise of the Candle." Since it was the deacon's office to kindle this light, he also was given the privilege of performing the blessing. The is mentioned by St. Jerome about the year 378. Presidius, a deacon of Piacenza, had' asked the Saint to compose such a text of blessing for him, but Jerome considered it an abuse that mere deacons should perform the , while bishops and priests bad to remain silent.
 
로마 교회는 3세기 말 무렵에 정해진 시간을 지키는(regular) 이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 예식을 삭제하였다(eliminated). 로마 지역 밖의 교회들에 있어, 이 예식은 계속되었으며, 그리고 여러 개의 변형들로 발전하였다. 특히 성 토요일(Holy Saturdy)의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은 아주 장엄한 예식과 함께 경축되었다. 독서대(ambo)로부터의 독서를 위하여 불이 붙여져야만 하였던 그 초(light)는 이 특별한 경축을 위하여 선발되었다(was singled out). 이 밀랍 초의 축복을 위한 특별한 기도들은 ‘’, 혹은 ‘밀랍 초의 찬송(Praise of the Candle)’으로 불렸다. 이 밀랍 초를 켜는 것이 부제의 직무(deacon's office)이었기에, 부제에게는 또한 이 축복을 수행할 특전(privilege)이 주어졌다. (밀랍 초의 찬송)은 278년경에 성 예로니모(St. Jerome, 347-420년)에 의하여 언급되었다. 피아센자(Piacenza)의 부제였던 프레시디오(Presidius)가 이 성인에게 자신을 위하여 그러한 축복문(a text of blessing)을 작성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그러나 예로니모는, 주교들과 사제들이 조용하게 머물러 있어야 하는 반면에, 단순히(mere) 부제들이 이 을 수행하여야만 하는 것을 폐해(an abuse)로 간주하였다.
 
Rome re-introduced the rite of the about the middle of the seventh century in the form of the Holy Saturday "" Although the credits Pope Zosimus (about 417) with the introduction of this blessing of the candle at Rome, it is more probable that, as his biographer claims, Pope Theodore (642-649) deserves this honor. The present rites of the blessing of the fire, of the procession and its "" and of the blessing of the Easter candle, present a fusion of three variants of the original as they had been developed by the different Churches. The as found in the Roman Missal was perhaps composed in the fifth century, certainly not later than the seventh. Parts of it go back to the fourth century. Language, rhythm, and ideas show the influence of St. Paul. It was formerly ascribed to St. Augustine.1
 
로마 교회는 7세기 중반 무렵에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 예식을 성 토요일(Holy Saturday) ‘’[밀랍 초의 축복(the blessing of the candle)]의 형식으로 재도입하였다(re-introduced). 비록 [역대교황표(歷代敎皇表)]가 (417년경에) 로마 교회에 이 밀랍 초 축복의 도입을 교황 조시모(Pope Zosimus)에게 돌리고 있으나, 그의 전기 작가(biographer)가 주장하듯이, 교황 테오로르(642-649년)가 이 명예를 받을만한 가능성이 더 높다. 현재의 불의 축복(the blessing of the fire), 행렬(the procession), 그리고 이 행렬의 ‘’(그리스도의 빛), 그리고 부활절 밀랍 초의 축복(the blessing of the Easter candle)의 예식들은 원래의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의 세 개의 변형들의 융합(a fusion)을 나타내는데 이는 이들이 서로 다른 교회들에 의하여 발전되어 왔기 때문이다. 로마 미사 경본(the Roman Missal)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밀랍 초의 찬송)는 아마도 5세기에, 틀림없이 7세기보다는 더 늦지 않게, 작성되었을 것이다. 이 예식의 일부들은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언어, 운율(rhythm), 그리고 개념(ideas)들은 성 바오로(St. Paul)의 영향을 보인다. 이전에는 이것이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의 작품으로 생각되었다(was ascribed to).1
 

STRUCTURE
구조
 
Two liturgical forms are combined in the structure of the : gospel and anaphora (canon). The is the proclamation of the beginning of Easter and the invitation to celebrate the Paschal mysteries; therefore, it is in the form of a gospel. It is the blessing and oblation of light, a sacrificial rite; therefore, in the form of an anaphora.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전례 형식들이 (용약하라)의 구조에 결합되어졌다: 복음 (gospel)과 미사 전문[anaphora(canon)].9)(용약하라)은 부활절 시작의 선포이며 그리고 파스카 신비들을 경축하고자 함으로의 초대이며, 그 결과, 이것은 하나의 복음(a gospel)의 형식이다. 이것은 희생 예식인, 등불의 축복 및 봉헌(the blessing and oblation of light)이며, 그 결과, 하나의 미사 전문(an anphora)의 형식이다.
 
-----
9) 번역자 주: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glossary)에 주어진 ‘anaphora’ 단어에 대한 설명을 번역자가 번역한 것이다:
 
미사 전문(典文)CANON OF THE MASS): 미사의 핵심 부분으로, 또한 감사 기도(the Eucharistic Prayer) 혹은 ‘아나포라(anaphora)’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감사(thanksgiving) 및 축성(consecration) 기도를 포함한다(1352).
 
이것은 요즈음 사용 중인 ‘미사통상문’의 ‘감사기도 제1양식’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자료를 또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info/Canon_Missae.htm (미사 전문)
-----
 
As gospel it is introduced by the same blessing which the celebrant gives to the deacon before the chanting of the gospel of the Mass. The term "" (Paschal praise), used in this blessing, indicates the nature of the as the great song acclaiming the risen Christ. The rubrics ordain that the faithful stand as for the gospel (""). The deacon is clad in a white dalmatic representing the angel at the tomb who announced the glad tidings, "He is risen, as he said," and of whom St. Matthew remarks, "His countenance was like lightning, and his raiment white as snow" (Matt. 28:3). The is further introduced with words alluding to the message of the angel in Bethlehem, and to the Easter message of the angel at the tomb, and also to the proclamation of the seventh angel of the Apocalypse. The message to the shepherds began with the words: "Fear not: for behold, I bring you good tidings of great joy" (Luke 2:10); the angel at the tomb said: "Do not be afraid" (Matt. 28:5). In like manner the herald of the begins with an exhortation to joy, whence the name The announcement with the trumpet by the seventh angel of the Apocalypse, "The kingdoms of this world are become the kingdom of our Lord and of his Christ" (Apoc. 11:15), is alluded to in the with the words: "Let the trumpet of salvation proclaim the victory of so great a king."
 
복음으로서 이것은, 미사 중의 복음 노래하기(the chanting of the gospel of the Mass) 이전에 미사 집전 사제(the celebrant)가 부제에게 주는, 바로 그 꼭 같은 축복(the same blessing)에 의하여 도입된다. 이 축복에서 사용되는 ‘’[파스카 찬송(Paschal praise)] 용어는 이 (용약하라)의 본질을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환호하며 맞이하는 위대한 노래로서 나타낸다. (미사 경문 중에 붉게 인쇄된) 전례(典禮) 집행 규정(rubrics)들은 미사 중의 이 복음과 관련하여 열심 신자들이 서 있을 것을 명령한다(‘’). 부제는 기쁜 소식(the glad tiding)인 “말씀하신대로 그분께서는 되살아나셨다”(마태오 복음서 28,6)를 무덤에서 선포하였던 천사를 나타내는 흰색의 부제용(副祭用) 제복(祭服)(dalmatic)을 입고 있으며, 그리고 이에 대하여 성 마태오는 “그의 모습은 번개 같고 옷은 눈처럼 희었다” 라고 언급한다(remarks)(마태오 복음서 28,3). 이 (용약하라)은 게다가 베들레헴에서 천사의 메시지들을 넌지시 암시하는 표현, 그리고 무덤에서 천사의 부활 메시지를 넌지시 암시하는 표현, 그리고 요한 묵시록(the Apocalypse)의 일곱째 천사(the seventh angel)의 선포를 또한 넌지시 암시하는 표현과 함께 도입된다. (베들레헴에서) 목동들을 향한 메시지는 다음의 표현으로 시작하였으며: “두려워하지 마라. 보라, 나는 온 백성에게 큰 기쁨이 될 소식을 너희에게 전한다.”(루카 복음서 2,10), 그리고 무덤에서 천사는 “두려워하지 마라”(마태오 복음서 28,5) 라고 말하였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부활 찬송)의 전령(herald)은 기쁨으로의 권고와 함께 시작하는데, 이것으로부터 그 이름 (용약하라)이 붙여졌다. 요한 묵시록의 일곱째 천사에 의한 나팔로써의 “세상 나라가 우리 주님과 그분께서 세우신 그리스도의 나라가 되었다” 라는 선언은 이 (용약하라)에 다음의 표현으로 넌지시 암시되어 있다: “그러한 위대한 임금의 승리를 위하여, 구원의 나팔 소리여 울려 퍼져라 (Let the trumpet of salvation proclaim the victory of so great a king, 구원의 우렁찬 나팔 소리, 찬미하라, 임금의 승리).”
 
Of important influence upon text and structure, moreover, was the proclamation () of the Paschal Supper of the Jews, contained in the great Hallel (Pss. 112-117), recited by our Lord and the disciples at the Last Supper (Matt. 26:30). The invitation to joy of the is worded after Psalm 117, the last of the Hallel psalms. Verse 24b of this Psalm, "This is the day which the Lord has made; we will rejoice and be glad, in it," is distinctly echoed in the words "" (synonyms for "rejoice") as well as in the seven-fold solemn declaration, "This is the night ...." Further, as in the ritual proclamation of the Passover the benefactions of God at the Exodus were sung-types of the redemption by Christ-so likewise in the three of these events are proclaimed and compared with the antitype. (Note: The parallelism in structure between the and the Reproaches of Good Friday is intended by the composers. The , the more ancient composition, has influenced the structure of the Reproaches.)
 
본문과 구조에 대한 중요한 영향 중에는(of), 더구나, 유다인들의 파스카 저녁 식사(Paschal Supper)의 선포()가 있었는데, 이 선포는 위대한 알렐(the great Hallel)[시편들 113-118(112-117)]에 포함되어 있으며, 최후의 만찬에서 우리의 주님과 제자들에 의하여 암송되었다(마태오 복음서 26,30). (용약하라)의 기쁨에의 초대는, 알렐 시편들의 마지막인 시편 118(117) 이후에 표현되어 있다. 이 시편의 제24절인 “이날은 주님께서 만드신 날 우리 기뻐하며 즐거워하세”는, 일곱 겹의 장엄한 선포인 “이 밤은 ... (This is the night ....)”에 뿐만이 아니라,  [‘기뻐하라(rejoice)’의 동의어들인] “”이라는 표현에 뚜렷하게 반향되고 있다(is echoed). 더구나, 부활절에 대한 예식으로서의 선포에서처럼 (이집드로부터의) 탈출에서의 하느님의 시혜(施惠, benefactions, 은혜 베푸심)들은 그리스도에 의한 속량(redemption)의 낭송되는-전형(sung-types)들이었으며, 이 (부활 찬송)에 있어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이들 세 개의 사건들이 선포되며 그리고 이 대형(對型, antitype, 구약 성서에 나오는 사건으로서 그 형(型)이 이미 예시된 신약 시대의 사건)과 비교된다. [주: (부활 찬송)과 성 금요일의 비탄(悲嘆)의 노래(Reproaches; Improperia)들10) 사이의 구조에 있어서의 평행 진행(parallelism)은 작곡가들에 의하여 의도된다. 더 오래된 작문(composition)인 (부활 찬송)은 이 비탄의 노래들의 구조에 영향을 주었다].
 
-----
10) 번역자 주: (우리말로 번역된 Jovian Peter Lang의) ‘전례사전(Dictionary of the Liturgy)’의 설명및 다른 자료들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DL_kr_Lang_Reproaches.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wiki_Improperia.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adoremus_Reproaches.htm
-----
 
Inasmuch as it is an important sacramental and a symbolic sacrificial rite, the is composed, secondly, in the most solemn liturgical form of an anaphora, or "canon." For this reason it was also given the name "," a variant of the more ancient term "" Name and analysis of this show that it has preserved the structure and ideas of an anaphora previous to the present Roman Canon. Our interpretation of it can follow the clearly distinguishable parts: , preface, preconsecratory invocation, oblation, anamnesis, postconsecratory invocation, great intercession, doxology.
 
이것이 중요한 준성사이며 그리고 상징적인 희생 제사 예식이기 때문에(inasmuch as), (용약하라)는, 두 번째로, 하나의 감사기도(an anaphora), 혹은 ‘미사 전문(典文, canon)’이라는 가장 장엄한 전례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것에는 또한, 더 오래된 용어인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의 한 종류의 변형인, ‘’(등불의 감사)이라는 이름이 주어졌다. (등불의 감사)라는 이름 및 이것의 분석은 이것이 지금의 로마 미사 전문(典文)(Romann Canon)11)이전의 하나의 감사 기도(anaphora)의 구조와 개념들을 보존해 왔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우리의 해석은 다음과 같이 분명하게 구분될 수 있는 부분들로 전개될 수 있다(can follow): , preface, preconsecratory invocation, oblation, anamnesis, postconsecratory invocation, great intercession, doxology.
 
-----
11) 번역자 주: 이것은 오늘날 사용 중인 미사 통상문 중의 감사기도 제1양식에 해당한다.
-----
 

"FRATRES . . . INVOCATE" (Orate Fratres)
“형제 여러분 ... 기도합시다”
 
In the "" at Mass the offering priest requests the prayer of the congregation that God may (by consecration) accept the sacrifice. In the present case the deacon requests the prayer of the congregated brethren, "," that God may "by the infusion of His light" enable him to celebrate the praise of this light, "" But not only the congregation is addressed. An invitation is extended also to the angels, to the "divine Mysteries," to the earth, and to the Church, to join in joy and jubilation: ""-let them rejoice , because it is the time to rejoice, the night and the hour of the anniversary of the Resurrection, of its reenactment. In the invitation to "the heavenly hosts of angels" we hear an allusion to St. Luke 2:13: "And suddenly there was with the angel a multitude of the heavenly host praising God." -Let the divine Mysteries rejoice," refers without doubt to the eucharistic celebration, which, as the deacon in the first Christian centuries used to announce at the moment of consecration, is "Mystery of faith --" The "divine Mysteries shall rejoice," i. e., they shall joyfully be celebrated, renewing the glory and joy of the first Easter.
 
미사에 있어서 ‘’(형제 여러분 기도합시다)에서12) 예물을 봉헌하는(offering) 사제는 하느님께서 이 희생 제물을 [축성에 의하여(by consecration)] 받아들여 달라는 회중의 기도를 요청한다. 지금 고려하고 있는(present) 경우에 있어 부제(deacon)는, 하느님께서 ‘당신의 빛의 주입에 의하여(by the infusion of His light)’ 자신이 이 빛의 찬송(the praise of this light)인 ‘’(밀랍 초의 찬송)을 경축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모인 형제 여러분들의 기도인‘’(형제 여러분 ... 기도합시다)를 요청한다. 그러나 단지 회중에게만이 언급되지 않는다. 기쁨과 희열에 참가하게 하고자: ‘’ - <지금> 기뻐하라, 초대는 또한 천사들에게까지, ‘하느님의 신비들’에게까지, 이 땅에까지, 그리고 교회에까지 확장되는데, 이는 당신의 부활의 기념제(anniversary)의 밤과 시간을, 그 재연(its reenactment)의 밤과 시간을 기뻐하여야 할 때이기 때문이다. ‘천사들로 이루어진 천상 무리에게로의 초대(the heavenly hosts of angels)’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성 루카 복음서 2,13에 대한 암시(allusion)를 듣는다: “그 때에 갑자기 그 천사 곁에 수많은 하늘의 군대가 나타나 하느님을 이렇게 찬미하였다.” ‘ - 환호하라, 하느님의 신비들이여’는 의심의 여지없이 성찬례 경축(eucharistic celebration)을 암시하는데, 이것은, 첫 그리스도교 세기들에 있어 부제가 축성(consecration)의 순간에 선포하곤 하였듯이(used to), <유일한>(the) ‘신앙의 신비 -- ’를 말한다. ‘하느님의 신비들은 환호할 것인데(shall rejoice), 즉, 그들은 기쁘게 찬양하게 될 것인데(shall be celebrated), 그 결과로 이 첫 부활의 영광과 기쁨을 새롭게 한다(renew).
 
-----
12) 번역자 주: 미사에 있어서 ‘Orate Fratres’(형제 여러분 기도합시다)는 요즈음 사용 중인 우리말 ‘미사 통상문’ 중의 ‘성찬 전례 예물 준비 기도’의 마지막 부분, 그리고 ‘예물 기도’ 직전에 위치하고 있다.
-----
 
"The trumpet of salvation shall resound" has reference to an Old Testament type of the On the parasceve namely, at the hour of the evening sacrifice, a sign was given with a trumpet from the pinnacle of the Temple for the beginning of the slaughter of the paschal lamb. And' divine Providence ordained that this same trumpet should proclaim simultaneously the consummation of the evening sacrifice upon the Cross. The "trumpet of salvation" refers likewise to the trumpet of the seventh angel in the Apocalypse who is to proclaim the completion of the kingdom of Christ. This reference to the final judgment and to the time when Christ "shall reign forever and ever" (Apoc. 11:15) is evident from the epithets given to Christ in this passage: "so great a King . . . King." Thus an eschatological connotation is added: the Old Testament type points to its antitype in the New Testament, and both refer to their common antitype in the heavenly liturgy. The radiance and lightnings and splendor of brightness about which the earth is rejoicing associate the light of the with the scene of the Resurrection where the angel's "countenance was like lightning" (Matt. 28:3), as also with the radiant manifestation of the risen Savior. The terms recall moreover-- again an eschatological orientation-the luminous cloud and the lightnings of the second coming. Finally the Church rejoices over the illumination by the Easter candle as a symbol of her own supernatural illumination by the risen Christ.
 
‘구원의 나팔 소리가 울려 퍼질 것이다’는 이 (용약하라)의 구약 성경의 전형에 대한 언급을 가지고 있다. parasceve[안식일 전날(day before Sabbath)]13)에, 즉 저녁 제사 시간에, 파스카 어린양의 도살의 시작을 위하여 성전의 뾰족한 꼭대기(pinnacle)로부터 나팔 소리와 함께 하나의 표시(a sign)가 주어졌다. 그리고 하느님의 섭리(divine Providence)는 이와 꼭 같은 나팔 소리가 십자가 위에서의 저녁 제사의 완성(consummation)을 동시에 선포할 것을 명령하였다. ‘구원의 나팔 소리’는 마찬가지로 요한 묵시록에 있어 일곱째 천사의 나팔 소리를 말하는데, 이 천사는 그리스도의 나라(kingdom of Christ)의 완성을 선포하게 되어 있다. 최후의 심판과 그리스도께서 ‘영원무궁토록 다스리실’ 때에 대한 이러한 언급(요한 묵시록 11,15)은 다음과 같은 구절에서 그리스도에게 주어졌던 별칭(epithets)들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그러한 위대한 임금 ... <영원한> 임금.’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하나의 종말론적 암시(an eschatological connotation)가 추가되어 있다: 구약 성경의 전형은 신약 성경에 있어 그 대형(對型, antitype)을 향하며, 그리고 이들 둘 다는 천상 전례(heavenly liturgy)에 있는 그들의 공통의 대형(對型, antitype)을 암시한다(refer to). 그것에 관하여 이 땅이 환호 중인, 밝음(brightness)의 퍼져 나옴과 번개들 그리고 광휘는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의 빛을 당신 부활의 현장(scene)과 관련시키는데, 그 현장에서, 또한 부활하신 구세주의 빛나는 드러나심(radiant manifestation)과 마찬가지로, 천사의 “모습은 번개 같고 옷은 눈처럼 희었다”(마태오 복음서 28,3). 이 용어들은 게다가 -- 또다시 하나의 종말론적 성향(an eschatological orientation)인 - 예수 재림과 관련된(of the second coming) 어둠에서 빛나는 구름과 번개들을 상기시킨다. 끝으로 교회는 부활절 밀랍 초(Easter candle)에 의한 조명에 대하여,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의한 교회(her) 고유의 초자연적 조명에 대한 하나의 상징(a symbol)으로서, 환호한다.
 
-----
13) 번역자 주: 다음은 ‘parasceve’라는 라틴어 단어에 대하여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이다:
Main Entry: par·a·sceve
Function: noun
Inflected Form(s): -s
Etymology: Late Latin, from Greek paraskeu, literally preparation, from paraskeuazein to get ready, from para- 1para- + skeuazein to prepare, from skeuos vessel, implement -- more at SKEUOMORPH
1 archaic : the day of preparation before the Jewish Sabbath or a feast of similar rank
2 obsolete : PREPARATION
-----
 

PREFACE
감사송(感謝頌, praefatio)[서문경(序文經)]
14)
 
It is this part of the Exsultet which primarily justifies its name of "," i. e., Paschal Praise; for here we have the solemn proclamation of praise for Christ's glorious Sacrifice, for the glory of His Resurrection, for the Pasch in type and antitype.
 
’, 즉 ‘부활 찬송’이라는 이름을 주로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는(justify) 부분은 ‘용약하라(the Exsultet)’의 바로 이 부분인데, 이는 여기에서 우리가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희생에 대한, 당신 부활의 영광에 대한, 전형(type) 및 대형(antitype)으로서의 파스카에 대한, 찬송(praise)이라는 장엄한 선포를 가지기 때문이다. 
 
-----
14) 번역자 주: 미사 통상문 중의 ‘미사 전문’, 즉 ‘성찬 기도’, 즉 ‘감사 기도’의 시작 부분에 대한 명칭으로서의 이 용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info/praefatio.htm
-----
 
The theme of this Paean of Praise is proposed in Pauline terminology (cf. Col. 2:14: "He cancelled the decree against us"). We are called upon to sing the praises of the invisible God the almighty Father, and of our Lord Jesus Christ who by His work of Redemption has paid to the eternal Father Adam's debt. This Work of Redemption () is proclaimed in its aspects of type and antitype, with emphasis on the mystery of Resurrection; it is portrayed in its cause and effect, in its ultimate and proximate motive. Both cause and effect are declared by means of seven propositions-corresponding to the seven lamps of the golden candlestick of the Temple with the seven lights of the evening sacrifice, corresponding in turn to the seven candles which were lit from the Easter candle itself (we find this rite described in , eighth century). The Work of Redemption is announced in the present tense: "This is the festival of the Pasch . . . in which that true Lamb ," etc., which indicates that it is in full truth being re-presented, renewed, re-enacted on Easter.
 
이 찬송 찬가(Paean of Praise)의 주제는 사도 바오로의 전문용어(Pauline terminology)로 제안되고 있다[cf. 콜로새 2,14: “당신께서는 우리에게 반하는 법령(decree)을 지워 버리셨습니다(cancelled).”].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하느님이신 전능하신 성부(Father)에 대한, 그리고, 당신의 속량 위업으로써 영원하신 성부께 아담의 빚을 이미 지불하신, 우리의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찬송들을 노래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이 속량 위업()은 전형(type)과 대형(antitype)이라는 그 양상들 안에서 선포되며, 부활 신비에 대한 강조와 함께, 이 위업은, 그 궁극적인 그리고 인접한(proximate) 동기 안에서, 그 원인(cause)과 효과(effect)로 묘사되고 있다. 원인과 효과 둘 다는 [아래의 해당 본문 중에 번호가 매겨진, 즉 ‘이 밤은(this night)’으로 시작하는] 일곱 개의 제안(propositions)들에 의하여 선언되고 있는데 - 이들은 저녁 제사의 일곱 빛(lights)들을 가진 성전의 황금 촛대의 일곱 등불들에 대응하며, 이들은 부활절 밀랍 초(Easter candle) 그 자체로부터 불이 밝혀졌던 일곱 촛불들에 하나씩(in turn) 대응한다. [우리는 이 예식이, 8세기 (로마 미사 경본 I)에 서술되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속량 위업은 다음과 같이 현재 시제(present tense)로 선포되고 있는데: “이 날은 바로 그 참된 어린양(true Lamb)이 <도살되는>(is slain) ... 파스카 축제이다” 등등, 이것은 이 위업이 부활절을 맞이하여 재현되는(being re-presented), 새롭게 되는(being renewed), 재연되는(being re-enacted), 완전한 진리 안에 있음을 나타낸다.
 
The first three proclamations refer to three types of the night of Resurrection (implying in each case their realization in the latter): the night of the Egyptian Pasch, the night of the passage through the Red Sea, and the night of the journey through the desert, which was illuminated by the pillar of fire, symbolically represented by the Easter candle. The remaining four proclamations refer exclusively to the antitype. The first (or fourth, in the list of seven) proposes the redemptive work as a whole, as the physical and spiritual, supernatural illumination of the universe by Christ. The second (or fifth of the seven) forms the climax in this part of the Song: "This is the night in which, having burst through the bonds of death, Christ cloth rise victorious from hell." That special emphasis is to be attached to this declaration appears from the fact that to it are added a series of exclamatory phrases, clothed in vocabulary and ideas from St. Paul, about the motives of the Redemption (cf. Rom. 8:32; 11:33; I Tim. 3:16). The motive is expressed in the words: "O wonderful condescension of mercy! O incomparable predilection of love!"2 "O truly necessary sin of Adam .... O happy fault ..." suggest the proximate motive.
 
첫 세 개의 선포들은 (각 경우에 있어 이후에 이들의 실현을 암시하는) 부활의 밤들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전형들을 언급하고 있다: 이집트에서의 파스카의 밤, 홍해 통과의 밤, 그리고, 불기둥에 의하여 조명되었던, 부활절 밀랍 초에 의하여 상징적으로 나타내어지는, 광야를 통과하는 여정의 밤. 나머지 네 개의 선포들은 대형(antitype)에 대한 독점적인 언급이다. 그 첫 번째(혹은 일곱의 나열에 있어 네 번째)는, 그리스도에 의한 우주에 대한 물질적이고 영적인(physical and spiritual), 초자연적 조명으로서, 전체로서의 속량의 일(redemptive work)을 제안한다. 그 두 번째 (혹은 일곱의 나열에 있어 다섯 번째)는 이 노래의 바로 이 부분에서 그 절정(climax)을 형성한다: “이 밤은 그리스도께서, 죽음의 사슬을 끊으신 후에, 저승으로부터 승리를 거둔 부활(rise)을 입으신(cloth) 밤.” 이러한 선언에 부착되어야만 하는 바로 그 특별한 강조가 이 선언에, 속량의 동기(motives)들에 관한 성 바오로로부터의 어휘와 개념들로 입혀진, 일련의 감탄을 나타내는 절들이 추가되어 있다는 사실로부터 나타난다(cf. 로사 8,32; 11,33; 1티모테오 3,16). <궁극적인> 동기는 다음의 표현 안에서 나타내어지고 있다: “오 자비의 경이로운 겸손이여”2. “오 진실로 필요한 아담의 죄 ... 오 복된 탓이여 ...”들은 인접한 동기를 제시하고 있다(suggest).
 
After the parenthetical listing of the motives of Redemption the two final declarations about the night of Resurrection are added. Number six speaks of the time and hour of the Resurrection, with an allusion to the second coming of Christ as described in Matt. 24:36 and Mark 13:32. The seventh recalls a prophecy about the glorious night of Resurrection (an accommodation of Ps. 138:11-12): "The night shall be enlightened as the day, the night is light to me in my joy."
 
속량의 동기들에 대한 삽입 나열 이후에, 부활의 밤에 관한 두 개의 마지막 선언들이 추가되어 있다. 여섯 번째는 당신 부활의 때와 시간에 대하여, 마태오 복음서 24,36과 마르코 복음서 13,22에 묘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암시와 함께, 말하고 있다. 일곱 번째는 부활의 영광스러운 밤에 관한 다음과 같은 한 개의 예언을 상기한다(시편 139(138),11-12의 수용): “이 밤은 낮으로서 비추어질 것이며, 이 밤은 나에게는 나의 기쁨 안에서 빛이다.”
 
Immediately following the seven proclamations concerning the night of Resurrection and concerning the cause and. motives of Redemption, seven effects of the supernatural illumination by the risen Christ, symbolized by the light of the candle, are brief), enumerated: the holiness of this night 1) banishes crime, 2) washes away sin, 3) restores innocence to those who have fallen, 4) gives gladness to those who are sad, 5) drives forth hate, 6) brings peace, and 7) humbles the haughty. So far the Preface.
 
부활의 밤 및 속량의 원인과 동기들에 관한(concerning) 이 일곱 선포들 직후에, 이 부활절 밀랍 초에 의하여 상징되는,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의한 초자연적 조명의 일곱 개의 효과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헤아려진다: 1) 범죄(crime)를 쫒아내고, 2) 죄(sin)를 씻어 없애며, 3) 이미 타락하였던 이들에게 죄 없음(innocence)을 회복하게 하고, 4) 슬픈 이들에게 기쁨(gladness)을 가져야 주며, 5) 증오(hate)를 몰아내고, 6) 평화를 가져다주며, 그리고 7) 오만한 자(the haughty)들을 겸허하게 한다(humbles). 지금까지 감사송(Preface)에 대한 것임.
 
 
PRECONSECRATORY INVOCATION
축성 전 청원 기도
 
The actual blessing of the candle begins with the insertion of five grains of blessed incense in the form of a cross, symbolizing the five wounds in the body of Christ, and the following invocation. This invocation is directed to the heavenly Father and asks for acceptance of "the evening sacrifice of this incense." The words "evening sacrifice," borrowed from the "" of Ps. 140, obviously link up the Temple evening sacrifice with this Christian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words " originally did not refer to the grains of incense, but to the oblation of the lighted candle itself. Even in the present context they do not mean exclusively the grains of incense.) After the invocation for acceptance there follows the To the accompaniment of a poetic passage (containing probably a quotation from Virgil) about the "mother bee," a symbol of the virginal birth of the Redeemer, the altar candles are then lit from the Easter candle.
 
이 부활절 밀랍 초에 대한 실제 축복(blessing)은, 그리스도의 지체(Body)에 있는 다섯 상처들을 상징하는, 그리고 뒤따르는 청원 기도(invocation)를 상징하는, 십자가의 형식으로 있는 축복된 향(blessed incense)인 다섯 낟알들의 첨가(insertion)와 함께 시작한다. 이러한 청원 기도는 하늘에 계신 성부(heavenly Father)를 향하게 되며 그리고 ‘이 향으로 이루어진 저녁 제사’의 수용을 요청한다. 시편 141(140)의 ‘’로부터 빌려온 ‘저녁 제사(evening sacrifice)’라는 표현은 성전의 저녁 제사를 이러한 그리스도교의 (루체르나리움, 등불의 축복)과 분명하게 연결시킨다. [‘’(이들 향)이라는 표현은 애초에 향의 낟알(grains of incense)들을 말하였던 것이 아니라, 불이 켜진 밀랍 초 그 자체의 봉헌(oblation)을 말하였음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심지어 현재의 문맥에 있어서도 그들은 향의 낟알들을 독점적으로 뜻하지 않는다]. 이 수용 청원 기도 후에 (봉헌의 핵심 행위: 이 밀랍 초의 불 켜기)가 뒤따른다. 구세주(the Redeemer)의 동정 출생에 대한 하나의 상징인 ‘어미 벌(mother bee)’에 관한 [아마도 버질(Virgil)15)로부터의 인용을 포함하는] 시적 구절에 맞추어서, 제대의 초(altar candles)들은 이제 부활절 밀랍 초로부터 불이 켜진다.
 
-----
15) 번역자 주: 단테가 자신의 작품인 ‘신곡’에서 안내자로 삼은, 고대 로마의 시인인 버질[Virgil, Publius Vergilius Maro(기원전 70-기원전19년)]에 대한 안내는 다음의 자료에 있으니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enc/100_naver_Virgil.htm
-----
 
 
ANAMNESIS16)
기념제
 
The remembrance prayer of our , which corresponds to the "" of the Roman Canon, commemorates once more the type and antitype of this glorious Easter night: now, celebrated in symbol, it is being anticipated in a sacramental; very soon it will be re-enacted in Sacrament. The double aspect and effect of the miraculous cloud of the Old Testament-darkness and destruction for the Egyptians, light and salvation for the Hebrews-is interpreted in this anamnesis as symbolical of the re-union of body and soul by Resurrection, and of the glorification of the humanity by the divine Word: "The night in which things of heaven are joined to those of earth, things of God to those of man!"
 
로마 미사 전문(Roman Canon, 즉 현재 사용 중인 미사 통상문의 감사기도 제1양식)의 ‘17)에 해당하는, 우리의 (등불의 감사) 기념 기도는 한 번 더 이러한 영광스러운 부활절 밤의 전형(type)과 대형(antitype)을 다음과 같이 기념한다: 지금은, 상징으로 경축되나, 이것은 하나의 준성사 안에서 예견되어지고 있으며(being anticipated), 그리고 곧바로 이것은 성사 안에서(in Sacrament) 재연될 것이다(will be re-enacted). 이집트인들에 대한 어두움과 파괴, 히브리인들에 대한 빛과 구원이라는 구약 성경의 기적적인 구름의 이중의(double) 양상과 효과는 이 기념제(anamnesis)에서 다음과 같이 부활에 의한 몸과 영혼의 재결합(re-union)에 대한 상징으로서, 그리고 하느님의 말씀에 의한 [당신의] 인성(humanity)의 영광 받으심(glorification)에 대한 상징(symbolical)으로서 해석되고 있다: “하늘의 것들이 땅의 것들에 결함되고, 하느님의 것들이 사람의 것들에 결합되는 이 밤!”
 
-----
16) 번역자 주: ‘Anamnesis’는 그리스도의 (수난·부활·승천을 상기하는) 전례문(典禮文)을 말한다.
17) 번역자 주: 이것은 오늘날 사용 중인 미사 통상문 중의 ‘감사기도 제1양식(The Roman Canon)’에서, ‘신앙의 신비여!’ 다음에 이어지는, ‘기념과 봉헌’ 부분에 해당한다.
참고로,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다음의, (i) ‘The Mass of Vatican II, Ordo Missae Cum Populo’, (ii) 영문본 Missal, The Order of Mass in English, 그리고 (iii)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발행의 ‘미사통상문’의 소제목들과 본문을, (iv) 굿뉴스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의 관련된 설명을 참고하면서, 상호 비교/검토하면 그리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info/Ordo_Missae_Cum_Populo.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usccb/Roman_Missal_resources.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cbck/Order_of_Mass_kr.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info/Canon_Missae.htm (미사 전문)
-----
 
 
POSTCONSECRATORY INVOCATION
축성 후 청원 기도
 
The postconsecratory invocation prays for conservation of the Easter light "that it may not fail to scatter the darkness of this night," and for the acceptance of this sacrifice of light by God "as a sweet savor, that it be mingled with the lights of heaven." This last phrase recalls the words of the Canon in the prayer: 'Command these to be carried . . . to Thine altar on high," and contains an allusion to the Apocalypse text about the illumination of the heavenly temple and of the city of God by the Lamb (Apoc 21:23). The invocation concludes with beautiful words of sublime symbolism. The light of the Easter candle is compared to the brilliant morning-star Christ, rising in the eucharistic celebration: sacramental and Sacrament, sacred symbol and sacred object symbolized are linked up with the natural symbol of the rising of the "morning-star," or the rising sun. The order of nature as symbol of the order of grace, the Old Testament rites as types of the New Testament, the liturgy on earth and the liturgy of heaven, all these am continually interwoven throughout the entire composition: "May the morning-star find its flame alight - that morning-star which knows no setting" (cf. Luke 10:8).
 
축성 후 청원 기도(the postconsecratory invocation)는 부활절 빛(Easter light)의 보호(conservation)를 위하여 ‘이 빛이 이 밤의 어두움을 흩어버리는 데에 실패하지 않도록 해주실 것을’ 기도하며, 그리고 하느님에 의한 이러한 빛의 제사(sacrifice of light)의 수용을 위하여 “다정한(sweet) 구원자로서, 이 빛이 하늘의 빛들과 섞이도록 해주실 것을” 기도한다. 이 마지막 표현(phrase)은 기도(탄원 기도)에 있는 다음과 같은 로마 미사 전문(the Canon)의 표현을 상기시키며: “높은 데에 있는 당신의 제단에 ... 이들이 옮겨지도록 명령 하소서”,18) 그리고 어린양(Lamb)에 의한 천상 성전 및 하느님 도성(city of God)의 조명(illumination)에 관한 요한 묵시록 본문(요한 묵시록 21,23)에 대한 암시를 포함하고 있다. 이 청원 기도는 숭고한 상징에 대한 아름다운 표현으로 끝맺는다. 부활절 밀랍 초의 빛은, 성찬례 경축에서 솟아오르는 밝은 샛별(morning-star)인 그리스도에 다음과 같이 비교되고 있다: 준성사 및 성사, 성스러운 상징과 상징된 성스러운 대상(object)은 ‘샛별’의 솟아오름이라는, 혹은 솟아오르는 태양이라는 자연의 상징과 연결되어진다. 은총의 순서(지위,질서)(the order of grace)에 대한 상징으로서의 자연의 순서(지위,질서)(the order of nature), 신약 성경의 전형들로서의 구약 성경 예식들, 지상 전례와 천상 전례, 이들 모두가 다음과 같이 전체 작품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합쳐서 엮어져 있다(are interwoven): “이 샛별이 자신의 불길이 계속 타오름을 보게 하소서 - 지기(setting)를 전혀 알지 못하는 바로 그 샛별이여(May the morning-star find its flame alight - that morning-star which knows no setting)”(cf. 루카 복음서 10,8).
 
-----
18) 번역자 주: 이에 해당하는 표현은 오늘날 사용 중인 미사 통상문 중의 ‘감사기도 제1양식(The Roman Canon)’에서, ‘기념과 봉헌’에 이어지는, ‘성령 청원: 일치 청원’ 부분에 있다.
-----
 

INTERCESSORY PRAYER
전구 기도
 
In the , as in the Antiochene Liturgy, the great intercession follows the postconsecratory invocation. (There was only one intercessory prayer in the ancient anaphora: the division into a preconsecratory and postconsecratory invocation was introduced into the Roman rite sometime between the fifth and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The prayer is offered for the celebrant and the assistants, for the entire clergy, for all the faithful in union with pope and bishop. It begs for quiet and peace during Eastertime, for divine protection and guidance. (At the time of the Holy Roman Empire, a special petition for emperor and empire was added, asking for peace and heavenly victory for ruler and people.)
 
(등불의 감사)에 있어, 안티오키아 전례(the ANtiochene Liturgy)에서처럼, 커다란 전구 기도가 축성 후 청원 기도(the postconsecratory invocation)를 뒤따른다. [고대 미사 전문(anaphora, 감사 기도)에는 오로지 한 개의 전구 기도뿐이었다: 축성 전 및 축성 후 청원 기도로의 나눔은 5세기와 6세기 말 사이의 어느 시기에 로마 예식(Roman rite)에 도입되었다]. 이 기도는 집전 사제와 보조자들을 위하여, 전체 성직자들을 위하여, 교황과 주교와 일치에 있는 모든 열심 신자들을 위하여 봉헌된다. 이 기도는 부활시기 동안 고요(quiet)와 평화를, 하느님의 보호와 인도를 간청한다(begs for). [신성 로마 제국(Holy Roman Empire) 시기에, 황제와 제국을 위한, 통치자와 백성을 위한 평화와 천상 승리를 청원하는, 특별한 청원이 추가되었다].
 
 
EFFICACY AND EFFECTS
효능과 효과들
 
The is a most solemn sacramental. As symbol of the eucharistic Sacrifice, it too, analogously to the Eucharist, is "unto the glory of God and the sanctification of the Church-" Its supernatural and temporal effects upon the faithful am produced "" through the power of the Church's prayer. Since the effect of a sacramental is dependent upon the intention of the Church as expressed in the solemnity of the rite and in the terms of the prayers, the is without doubt a very great sacramental, productive of an abundance of spiritual and temporal graces. It is a sacramental preparation and a disposing for a happy celebration of Easter, which is to climax in the Easter Eucharist, the resurrection of the souls-with Christ. "The sacraments of the New Law, though they take effect , nevertheless produce a "mater effect in proportion as the dispositions of the recipient are better; therefore, care is to be taken that , and followed by a suitable thanksgiving (Pius X, , Dec. 20, 1905).
 
(용약하라)는 한 개의 가장 장엄한 준성사이다. 성찬례 희생 제사의 상징으로서, 성찬례에 유사하게, 이것은 또한 ‘하느님의 영광 및 교회의 성화를 위하여(unto) - ’ 존재한다. 이 준성사의 초자연적 및 세속적 효과들은, 교회의 기도의 힘을 통하여 , 산출된다. 어떤 준성사의 효과는, 예식의 장엄함 및 기도들의 용어들에 있어 표현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교회의 지향(the intention of the Church)에 달려있기에, (용약하라)는 의심의 여지없이, 영적 및 세속적 은총들의 풍부를 산출하는, 매우 커다란 준성사이다. 이 준성사는 성사를 위한 하나의 준비이며 그리고, 부활절 성찬례에서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영혼들의 부활을 절정에 이르게 하는, 행복한 부활절 경축을 위한 하나의 준비(a disposing)이다. “새 율법의 성사들은, 비록 효력을 발휘하나 ,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여자들의 성향들이 더 나음에 비례하여 ‘하나의 어머니 효과(a mater effect)’를 산출하기에, 따라서, <거룩한 영성체가 진지한 준비(serious preparation)에 뒤따르도록>, 그리고 어떤 적절한 감사(a suitable thanksgiving)가 뒤따르도록, 보살핌(care)이 취해져야 한다.” [비오 10세 교황(Pius X, 재위기간: 1903-1914년), , Dec. 20, 1905].
 
-----
19) 번역자 주: 이 언급은 (일곱) 성사들의 사효성(事效性)에 대한 것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자료에 주어진 설명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49.htm
-----
 
The actual graces produced by the are acts of faith in the Resurrection of Christ, and in its re-enactment in the Easter celebration, proclaimed and described in such fervent, glowing colors; acts, moreover, of expectant hope, of reverence and admiration for the Easter mysteries; acts of gratitude for the charity and mercy of God, for so great a Sacrifice, for so great a glory merited for us by the Redeemer (cf. John 17).
 
(용약하라)에 의하여 산출되는 실제 은총들은, 그렇게도 열정적인, 빛나는 색채들, 행위들 안에서, 더구나, 예상 중인 희망 및 부활절 신비들에 대한 공경(reverence)과 감탄(admiration)에 대하여 선포되고 그리고 묘사된, 그리스도의 부활 및 부활절 경축 안에서의 그 재연(re-enactment)에 대한, 믿음에 기인하는 행위(acts of faith in)들이며, 그리고 하느님의 사랑과 자비에 대한, 너무도 위대한 희생 제사에 대한, 구세주에 의하여 우리를 위하여 받을 만하게 된(merited), 너무도 커다란 영광에 대한, 감사에 기인하는(cf. 요한 복음서 제17장) 행위들이다.

The light of the Easter candle "blots out crime, washes away sins, restores innocence," by forgiving venial sins and temporal punishment for sins. It "banishes enmities, produces concord, gives joy to the sorrowful." The prayer for "humbling the haughty" (literally: bring low the power of empires) refers not merely to the haughtiness of civil authorities, but also and primarily to the empire of death, the reign of the prince of this world and his hosts.
 
부활절 밀랍 초의 빛은, 소죄(venial sins)들과 죄들에 대한 잠벌(temporal punishment)을 용서함으로써 ‘범죄(crime)를 괴멸하고(blots out), 죄(sin)를 씻어 없애며, 죄 없음(innocence)을 회복하게 한다.’ 이 빛은 ‘적대감(enmities)들을 쫓아내고, 우호(concord)를 산출하며, 슬픈 이들에게 기쁨을 제공한다.’ ‘거만한 이들을 겸허하게 하기 위한 기도(글자 그대로: 제국들의 힘을 쇠퇴하게 하다)는 단지 행정 당국자(civil authorities)들의 거만함에 대한 언급이 아니라, 또한 그리고 주로, 죽음의 제국인, 이 세상의 군주와 그의 후원자(hosts)들의 통치에 대한 언급이다. 
 
The has also an abundance of temporal effects, partly implied already in the seven effects enumerated, partly suggested in the great intercession, e.g. a quiet and peaceful Eastertime, free from disturbances of all kind, so that Christians may in complete tranquillity enjoy the holy season. When the Church asks God in so solemn a manner on behalf of the faithful that He may "ever rule and guide and keep them" in His "devoted protection," then this special protection of their ways and lives, of their health and happiness is assured. The is both wish and prayer, congratulation and impetration of a blessed, glorious, joyful, jubilant Easter.
 
(용약하라)는 또한 세속적 효과(temporal effects)들의 넉넉함을 가지고 있는데, 이 넉넉함은 이미 헤아려졌던 일곱 개의 효과들에서 부분적으로 암시되었고, 커다란 전구(intercession) 안에서, 예를 들면, 모든 종류의 소란들로부터 자유로운, 조용하고 평화로운 부활시기 안에서, 부분적으로 제시되었기에, 그 결과로 그리스도인들은 완전한 고요함 안에서 이 거룩한 시기를 향유한다(enjoy). 교회가 열심 신자들을 대신하여 매우 장엄한 방식으로 하느님께 당신의 ‘헌신적인 보호(devoted protection)’ 안에서 ‘항상(ever) 그들을 다스리고 인도하며 그리고 머무르게’ 해 달라고 요청하는 한(when), 그들의 방식(ways)들과 삶(lives)들에 대한, 그들의 건강과 행복에 대한, 이러한 특별한 보호는 보증된다(is assured). (용약하라)는 복된(blessed), 영광의, 기쁨에 찬, 환희에 넘지는 부활절에 대한 소망(wish)과 기도, 축하와 간원(懇願, impetration), 둘 다이다.
 
----------
번역자 주: 이하는 이 논문의 본문에 포함되나, 위의 각각의 세부 해설들에서 구분하여 주어지고 있는 설명들 그 자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우리말로 번역을 하지 않음.
----------
 

TEXT AND EUCHARISTIC STRUCTURE OF THE EXSULTET
‘용약하라’의 본문과 성찬례적 구조
 
 
FRATRES . . . INVOCATE (ORATE FRATRES)
 
Let the angelic choirs of heaven now rejoice; let the divine Mysteries rejoice; and let the trumpet of salvation sound for the victory of so great a King.
 
Let the earth also rejoice, made radiant by such splendor; and, enlightened with the brightness of the eternal King, let it know that the whole world's darkness is scattered.
 
Let mother Church, too, rejoice, adorned with the brightness of so great a light; and may this temple resound with the loud voices of the people.
 
Wherefore, I beseech you, most dear , who are here present in the wonderful brightness of this holy light, to with me the mercy of almighty God. That He who has vouchsafed to number me among His levites without any merit of mine would pour forth His brightness to perfect the praise of this light. Through Jesus, our Lord ....
 
 
PREFACE
 
It is truly meet and right to proclaim with all affection of heart and mind and by the service of our voice the God invisible, the Father everlasting, and His only-begotten Son, our Lord Jesus Christ, who for us repaid to His eternal Father the debt of Adam, and by the pitiful shedding of His blood cancelled our ancient bond of sin.
(1) For this is the festival of the Pasch, in which is slain that true Lamb by whose blood the doorposts of the faithful are hallowed.
 
(2) This is the night in which Thou didst first bring out of Egypt our fathers, the children of Israel, and lead them dry-foot through the Red Sea.
 
(3) This, then, is the night which cleansed the darkness of sin by the light of the pillar.
 
(4) This is the night which at this season throughout the whole world restores to grace and yokes to holiness those that believe in Christ, detaching them from worldly vice and the foulness of sin.
 
(5) This is the night in which Christ, having burst the bonds of death, cloth rise victorious from hell. For it would have been no boon to be born had we not the boon of being redeemed.
 
How wonderful the condescension of Thy mercy towards us! How incomparable the predilection of Thy love! That Thou mightest ransom Thy slave, Thou gayest up Thine own Son!
 
Oh, truly necessary was Adam's sin, that was blotted out by the death of Christ! O happy fault, that was worthy of such and so great a Redeemer!
 
(6) Oh, how blessed is this night, which alone was worthy to know the season and hour in which Christ rose again from hell!
 
(7) This is the night of which it is written: "And the night shall be enlightened as the day: and the night is light for my joy."
 
Therefore does the holiness of this night banish crime, wash away sin, restore innocence to those who have fallen and give gladness to those who are sad, drive forth hate, bring peace, and humble haughtiness.
 
():
 
 
PRECONSECRATORY INVOCATION
 
In the grace of this night, then, O Father, receive for an evening sacrifice this burning light, which holy Church renders unto Thee at the hand of her ministers in the solemn offering of this candle of wax, wrought by bees. Now we know the glory of this column which God's bright flame kindles.
 
(THE ACT OF OBLATION: )
Though divided into parts, yet it suffers no loss from the light which it imparts. For it is fed from the melted wax which the mother bee wrought for the substance of this precious lamp.
 
()
 
 
ANAMNESIS
 
O truly blessed is the night which despoiled the Egyptians and enriches the Hebrews! The night in which things of heaven are joined to those of earth, things of God to those of man!
 
 
POSTCONSECRATORY INVOCATION
 
We therefore pray Thee, O Lord, that this candle, which is hallowed in honor of Thy name; may avail and fail not to scatter the darkness of this night. May it be received as a sweet: savor and be mingled with the lights of heaven. May the morning-star find its flame alight: that morning-star which knows no setting, which came back from hell and shed its benevolent light upon mankind.
 
 
INTERCESSORY PRAYER
 
We therefore beseech Thee, O Lord, grant a season of peace at this time of Easter, grant gladness to us Thy servants, and to all the clergy, to Thy devout people, and especially to our most blessed Pope Pius and to our Bishop; deign ever to rule and guide and keep them under Thy devoted protection ....
 
 
DOXOLOGY
 
Through the same Lord Jesus Christ Thy Son, who with Thee and the Holy Ghost liveth and reigneth one God; for ever and ever.
 
R. Amen.
 

ENDNOTES
 
1 Cf. Dom Gueranger. (1897) pp. 558-566; Cardinal Schuster, , Vol. II (London. 1925), pp. 243-255, 290-295.
 
2 "" One of the reasons why St. Augustine has been credited with the authorship of the Exultet is because of his parallel exclamation (In Joan.. tr. 26. n. 13) :""-coupled with an implicit quotation from I Tim. 3:16.
 
(Taken from the March 23, 1947 issue of "Orate Fratres", published by "The Liturgical Press.)
 
----------
 
번역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총 시간: 약 60시간
 
 
 


2,84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