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9월22일 산티아의 성 이냐시오 사제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12-04-06 ㅣ No.2067



축일 9월22일
산티아의 성 이냐시오 사제 O.F.M.cap.
Sant' Ignazio da Santhià Sacerdote cappuccino
Santhià, Vercelli, 5 giugno 1686 - Torino, 22 settembre 1770
Saint Ignatius of Santhia
Born : 5 June 1686 in Santhià, Vercelli, Italy as Maurice Belvisotti
Died ; 22 September 1770 of natural causes in Turin, Italy
Venerated ; 19 March 1827 by Pope Leo XII (decree of heroic virtues)
Beatified ;  17 April 1966 by Pope Paul VI at Rome, Italy
Canonized ; 19 May 2002 by Pope John Paul II at Rome, Italy 




놀라운 성소이야기
1716년 5월 초, 전도가 유망한 교구 사제 라우렌시오 마우리치오 벨비소티(Belvisotti) 신부가 카푸친 작은 형제들의 집 대문을 두드리며 수련자로 입회시켜 달라고 했을 때, 그 소식을 들은 모든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이미 그는 피정 설교가로서 너무나 잘 알려진 사람이고, 교구에서도 아주 촉망 받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의 가족들은 그동안 그에게 지원되었던 양질의 모든 교육들이 쓸모없게 되어버렸다며 몹시 화를 내었고, 교구 내 신자들도 이토록 좋은 목자를 다른 곳에 보내야 한다는 것에 적잖이 언짢아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이 벨비소티 신부를 그토록 사로잡았기에, 이토록 그를 움직이게 만들었을까? 카푸친 관구봉사자 역시 이 질문을 벨비소티 신부에게 했고, 벨비소티 신부는 수도회에 입회할 마음을 털어놓음으로서 그 질문에 대한 답을 했다. “저는 이제까지 제 뜻을 이루어 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제 안의 목소리는, 제가 주님의 뜻을 이루고자 한다면 순종의 길을 따라야 한다고 알려줍니다.” 그리하여 1716년 5월 25일, 명문 출신 벨비소티 신부는 거친 카푸친 수련자의 시련복을 입게 되었고, 그 이후로는 ‘산티아(Santhià)의 이냐시오 형제’라는 새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벨비소티 신부
산티아의 성 이냐시오의 세례명은 라우렌시오 마우리치오였다. 그는 1686년 6월 5일, 북 이탈리아, 베르첼리(Vercelli) 지방의 산티아에서 태어났다. 상류층인 ‘베드로 바오로 벨비소티’와 그 부인 ‘마이라 엘리사벳 발로코(Balocco)’ 사이에서 태어안 6명의 자녀 중 넷째였다. 그가 만 7살 되던 해에 아버지를 잃자 그의 어머니는 학식 있고 독실한 사제이자 친척인, ‘바르톨로메오 괄료(Quallio)’에게 아들의 교육을 맡겼다. 교회 성직자의 삶에 매력을 느꼈던 라우렌시오 마우리치오는 초등교육의 과정을 밟은 후, 철학과 신학을 배우기 위해 베르첼리로 떠났다. 사제서품을 받은 1710년, 그는 베르첼리에 머물면서 아보가드로(Avogadro) 가문의 집안 사제로, 그리고 가정교사로 활동했다. 또 사제직의 초기 시절, 그는 예수회의 사도직, 특히 예수회 대중 선교에 참여하여 그들을 도와주었다. 그러다가 그의 영성지도자가 될 예수회의 카챠말라(Cacciamala) 신부를 알게 되었다.



카푸친 성소
벨비소티 신부의 고향 산티아는 어느새 유명해진 그를 차지하기 위해 그곳의 유명한 대성당의 주임의전사제로 임명했다. 하지만 아보가드로 가문 또한 카사노바 엘보(Casanova Elvo) 본당의 관리 권한을 가진 이유로 그 본당의 주임 신부로 그를 지명했다. 이제 서른에 들어서는 벨비소티 신부, 하지만 그는 뭔가 다른 것을 찾고 있었다. 1716년 5월 25일, 그는 양측의 제안을 모두 사양한 뒤, 후일 외방선교를 하려는 마음으로 토리노 키에리(Chieri) 수련원에서 카푸친 작은 형제회에 입회하였다. 그는 그곳에서 ‘이냐시오’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완덕을 향한 그의 굳센 의지와 카푸친 생활양식에 대한 그의 온전한, 기쁘고 자발적인 실행은 수련원의 가장 나이든 형제들의 감탄마저 이끌어 내었다. 그는 살루쪼(Saluzzo)와 키에리, 그리고 토리노 내의 ‘몬테 데이 카푸치니(카푸친들의 산, Monte dei Cappuccini)’에서 몇 년간 카푸친 양성기를 보낸 후, 1731년 8월 31일, 관구의회(관구총회) 결정에 따라 모도비(Mondovi)로 보내져 수련자들의 스승(수련장)으로 임명되었다.



수련자들을 사랑한 수련장
수련자들의 스승, 이냐시오 형제는 회칙과 회헌 준수에 대한 열정을 젊은 제자들에게 불어넣는 방법을 알았다. 특히 양성장으로서 생활양식의 수많은 실질적인 면을 한가지의 원칙, 즉 사랑의 원칙으로 축소하는 그의 능력에서 그 천재성이 빛났다. 그러나 그 사랑에는 엄격함이 내포되어 있었다. 또한 자기포기의 원칙을 따르는 일에 있어서 그의 가르침은 확고부동했다. 이런 점에 있어서 양성자로서 그의 재능은 뛰어난 것이었다. 그는 젊은 형제들에게 덕행과 고행에 대한 열정을 쉽게 불붙일 줄 알았고, 보속의 행위를 시킬 때에도 그것이 사랑하는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야 하는 것임을 가르쳤다. 극도의 신중함과 어머니다운 부드러움으로 마음을 사로잡는 그의 교육법은, 젊은 수련자 형제들을 저항할 수 없게 만들었다. 13년 동안, 수련장의 책무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그는 그만의 가르침과 본보기로 페에몬테(Piemonte)의 카푸친 관구에 121명의 신입 형제들을 준비시켜 주었고, 이들 중 몇몇은 매우 성스러운 삶을 살아갔다.

마치 ‘잔꽃송이’와 같은, 애정 어린 여러 추억들과 이야기들을 통해서도 우리는 그의 섬세한 교육방법을 포착할 수 있다.
불볕더위에 한 수련자가 그에게 “수련장 형제님, 분수에 가서 물 한 모금 마셔도 될까요?”하고 부탁했는데, 이냐시오 형제는 “오늘 누구의 축일입니까?”하고 물었다. 이에 수련자는 “성 라우렌시오(석쇠에서 구워져 순교했던) 순교자 축일입니다.” 라고 대답하자 그는 “아아! 그분이 석쇠에 누었을 때에 분명 목이 말랐을 거예요.” 라고 말했다. 이 말의 뜻을 알아챈 수련자는 자신의 목마름을 참기로 했다.

그 시절, 새 수련자들은 입회할 때에 삭발을 해야 했다. 세속에서 머리 모양에 신경 쓰던 신입회원들이라면 흔히들 이 삭발식에 충격을 받는다. 삭발하기 전, 이냐시오 형제가 한 수련자에게 “멋진 머리카락을 잃으면 괜찮겠어요?”라고 묻자 그 수련자는 문제 없다고 대답했다. 이에 이냐시오 형제는 “나가서 이것에 대해 좀 더 기도하세요.” 라고 말했다. 그 후 이냐시오 형제는 그 수련자에게 똑같은 질문을 두 번 더 했고, 두 번 다 똑 같은 대답을 듣게 되자, 또다시 재차 그 수련자에게 다시 생각해보고 기도하라며 밖으로 내보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수련자들에게 중요한 결정을 할 때에 ‘주님의 의견을 구함’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두 수련자가 기도 시간에 불성실한 태도로 서있는 모습을 본 이냐시오 형제는 그들에게 차라리 앉아서 기도하라고 지시했다.

항상 도시로 외출하려고 수를 쓰는 한 수련자에게는 같이 동행할 선배 형제가 있으니 정문 앞에서 기다리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그 수련자는 몇 시간을 기다려도 동행인을 만날 수가 없었다. 

죽음에 대한 병적인 공포에 빠진 한 수련자에게는 돌아가신 형제들의 무덤이 있는 지하성당으로 가서 기도하도록 지시했다. 이유를 물어본 제자에게 이냐시오 형제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우리가 여기에 온 이유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배우기 위함일 뿐만 아니라, 어떻게 죽어야 하는지도 배우기 위해서입니다.”  



승화된 외방선교에 대한 그의 성소
1744년, 이냐시오 형제는 콩고로 외방 선교를 떠난 자신의 수련자였던 ‘베짜 다스티(Vezza d‘Asti )의 베르나르디노 이냐시오’ 형제가 심한 눈병에 걸려 더 이상 선교할 수 없을 정도의 위험에 빠져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기도해달라는 부탁을 듣고, 그는 성체감실 앞에 엎드려 이렇게 기도했다. “나의 주님, 병일랑은 당신의 좋은 일꾼에게서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저에게 옮아가기를, 그럴 뜻이 있으시면, 당신 뜻대로 하시옵소서. 당신의 더 큰 영광을 위하여 저는 이를 기꺼이 받아들이옵니다.” 그러자 그 선교사의 눈병은 나았고, 즉시 사도직을 다시 시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슷한 시간에 이냐시오 형제의 눈은 흐려졌고, 제대로 회복하지 못했기에 그는 수련장의 임무를 그만두어야 했다.



애정 어린 군목
수도회 봉사자(장상)들에게 기꺼운 순종으로, 산티아의 이냐시오 형제는 1745년부터 1746년까지 프랑스-에스파냐 연합군과 전쟁을 벌이는 사르데냐의 국왕 ‘카롤로 임마누엘 3세’의 군사들을 위한 군목지도 사목을 맡게 되었다. 그는 아스티(Asti)와 알레산드리아(Alessandria), 비노보(Vinovo)의 군병원에서 부상병과 전염병에 걸린 사병들을 돌보았다.  당시 그곳의 상황은 참으로 심각하여 찢겨진 병사들이 병동에 무더기로 쌓여있을 정도였다.  이 끔찍한 고통의 세계 한가운데에서 이냐시오 형제는 위로의 천사처럼 보였다. 그의 봉사에 대해 묘사했던 한 증인은 자신의 서류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그는 지칠 줄 모르는 사랑에 휘몰려 이 병동에서 저 병동으로, 이 병상에서 저 병상으로 뛰어 다녔습니다.”



“몬테의 작은 성인”
전쟁이 끝난 1747년, 그는 ‘몬테 데이 카푸치니’ 형제회에 다시 들어가 여생을 그곳에서 보냈다. 이냐시오 형제는 무한한 너그러움과 커다란 겸손, 강렬한 사랑으로 형제회 안에서든, 도시 안에서든 자신의 사목에 충실했다. 자신의 병에는 아랑곳 하지 않고 설교했고, 자신의 위로와 축복을 고대하는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위해서 형제회가 위치한 높은 언덕을 내려가 도시의 골목을 거닐며 집집마다 방문했다.

침묵 속에서 묵상 하며, 오랜 시간 성체감실 앞에서 밤늦게까지 기도하기를 매우 좋아했던 그였지만, 한편으로는 형제회 내의 병자들이나 어려운 형제들을 섬기기 위해 소매를 걷어 붙였다. 그는 여러 번 이런 말을 하곤 했다. “천국은 게으름뱅이들을 위한 곳이 아닙니다! 그러니 일이나 합시다.” 이 시절, 많은 기적들이 그에게 일어나서 사람들은 그를 ‘산의 작은 성인(Santino del Monte)’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그와 동시에 왕실은 물론이고, 세례자 요한 로에로(Roero) 토리노의 대주교, 빅토리오 델렐란체(Delle Lanze) 추기경과 산타 비토리아(Santa Vittoria)의 카롤로 카이소티(Caisotti) 대법관 등과 같은 피에몬테의 저명인사들에게도 존경을 받았다.
      
겸손이야말로 이냐시오 형제를 따라갈 사람이 없었다. 겸손은 그의 마음속 깊이 아로새겨져 있었고, 그의 행동과 말투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지극히 사랑하는 나의 주님, 당신은 누구십니까? 그리고 지극히 비천한 벌레요, 당신의 쓸모없는 종이 아니라면 저는 또 누구란 말입니까?” 라고 기도했던 아씨시의 프란치스코처럼, 산티아의 이냐시오 형제 또한 참된 겸손이란, 주님과 자기 자신에 대한 ‘올바른 앎’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는 자신의 작음에 대한 인식을 더욱 깊이 인지하기 위해, 하느님의 선하심과 위대하심을 배우며 찬미했고, 또 그것을 놓치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인생의 말기까지 그는 형제적 생활 안에서 가장 비천한 일에 하루하루를 헌신했다.



성 이냐시오와 그의 선하신 엄마
산티아의 성 이냐시오는 가끔 손에 묵주를 든 채로 그려져 있는데, 실제로도 그는 성모님께 대한 깊은 신심을 품은 채 묵주 기도를 자주 바치곤 했다. 그는 마리아 성모님에 대해 말할 때, 그분을 자기 엄마나 모후, 자신의 변호인, 영감을 주시는 분으로 묘사하곤 했다. 그럴 때 그는 유창했으며 활력이 넘쳤고, 환희와 다정함이 품어져 나왔다. 성모님의 추종자들에게는 무익한 감상주의를 초월하여 성모님의 덕을 본뜨도록 권고하곤 했다. 1750년, 로레토의 성모성지를 순례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성모신심을 충족시킬 수 있었는데, 거기서 자기 자신과 형제들과 하느님의 모든 백성이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기도를 성모님께 바쳤다. 충고나 축복을 구하러 그에게 달려온 이들에게 그는 “성모님께 가십시오! 그분께 자기 자신을 내맡기고 그분의 모범을 따르시며 묵주기도를 바치십시오!.. 그분께서는 여러분을 위로해주실 것이며 여러분을 구원하실 것입니다.” 라고 권고하곤 했다.



고통과 기쁨의 인생말기
이냐시오 형제는 인생의 말기를 지역형제회의 요양원에서 보냈다. 그곳에서도 자신을 찾아오는 사람들을 강복하고 고해성사를 봐주며,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에 대한 관상과 복음 읽기에 사로잡혀 하느님에 대한 열망을 열렬히 불태웠다.

그러던 중, 그의 온 삶을 통해 끊임없이 응시했던 십자고상 안에서 변모되었던 듯 해, 죽음을 한 달 남긴 1770년 8월의 어느 때, 요양원 경당 제단 위 십자고상 앞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이냐시오 형제를 어떤 형제가 우연히 목격했다. 그의 팔은 십자가에 매달린 것처럼 벌려져 있었고, 그의 몸은 꼼짝도 하지 않은 채 땅바닥에서 들어 올려져있었다. 하지만 이냐시오 형제를 잘 아는 이들에게 이것은 크게 놀랄만한 일이 아니었다. 그토록 자주 기도하며 관상에 빠진 그를 수련자들이나 다른 형제들이 흔들어 깨우며 정신을 차리게 한 일이 한두 번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천상적 대화와 고행생활로 맺혀진 그 열매의 특성 중 하나는 바로 마음속 깊이 우러나오는 함박웃음, 그것으로 드러나는 기쁨이었다. 그를 본 사람들은 하나같이 “그 형제의 얼굴은 천상적 기쁨으로 빛났습니다.”라고 말해야만 했다. 이냐시오 형제에게서의 수련을 받았던 ‘피네롤로(Pinerolo)의 히아신토 형제’는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극진히 사랑해온 분을 위해 그는 그토록 기꺼이 고통을 겪어, 그로서는 이 눈물의 골짜기가 기쁨의 동산으로 바뀌어버린 듯 했습니다.”

더욱이, 이냐시오 형제는 지나치게 슬퍼하거나 세심으로 괴로워하는 이들에게 진정한 프란치스칸다운 기쁨의 정신을 불어 넣어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권고를 해주곤 했다.  “기뻐하며 선행하세요(Laetare et benefacere).. 그리고 참새(즉, 세심?)들은 제 마음대로 짹짹거리게 그냥 놔두세요!”



죽기까지 순종한 이냐시오
임종의 고통 중에서도 그는 충만한 기쁨이 가득하였다. 그것에 대해 그는 수호자 형제에게 다음과 같은 걱정을 털어놓았다. “수호자 아버지, 죽음을 맞는 어떤 성인들도 두려움에 떤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토록 고요히 느끼다니, 저의 신뢰가 너무 지나친 것은 아닌지 두렵습니다. 제발 형제님의 사랑으로 저에게 조언을 해주십시오.” 1770년 9월 22일 밤, 이냐시오 형제에게 죽음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들은 수호자는 형제들에게 “서두를 필요 없습니다. 평생 순종으로 살아온 사람이니 순종의 허락 없이 감히 떠나지는 않을 거예요.” 라고 말하고는 황소걸음으로 천천히 길을 나섰다. 12시 자정이 되자, 하느님의 이름으로 이냐시오 형제를 위로하는 목소리가 들렸다. “오, 그리스도의 영혼이여, 이제 떠나세요.. 아멘.” 기도가 끝난 후, 수호자 형제는 그에게 “좋은 여행 되십시오.” 라며 마지막 인사를 했고, 산티아의 이냐시오 형제는 그제야 고요히 자신의 영혼을 주님께 맡겨드렸다.



사망 소식이 빠르게 퍼지자 그의 마지막 모습 앞에 이별을 고하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이 무척 많았다. 이에 수호자는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까봐 장례식을 지정된 시간보다 더 일찍 서둘러 진행해야만 했다. 이냐시오 형제의 성덕의 명성과 그의 중재로 일어난 수많은 기적들 덕분에 그의 시성 운동은 신속히 진행되었다. 이 시성운동은 1782년에 시작되었으나, 프랑스 혁명과 그 후에 벌어진 수도회들의 폐쇄 때문에 사실상 오래 시간이 소요됐다. 1966년 4월 17일, 180여년이 지나고서야 바오로 6세 교황에 의해 시복되었고, 2002년 5월 19일,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고통을 받지 않으려는 지나친 걱정은 엄격한 회칙을 서약한 사람들에게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고통을 받는 일이 주님을 사랑하는 이에게 온전히 맞은 특성이기 때문입니다. 교황성하(Sommo Pontefice)께서 우리에게 성 십자가의 작은 조각을 로마에서 보내주었다면, 우리는 그것을 큰 존경과 신심으로 받아 안고, 우리에게 주신 그 큰 영광과 은혜에 교황님께 감사를 드렸겠지요. 그러니 대사제(Sommo Pontifice)이신 예수 그리스도님께서 하늘로부터 우리에게 보내주신 당신 십자가의 일부를, 그분께 대한 사랑으로 짊어지고 인내심으로 견디며, 이토록 크나큰 은혜에 감사를 드립시다." - 산티아의 성 이냐시오
(카푸친 작은형제회홈에서)








 
 
















 

 

 

 

 

 

 

 

 

Sant' Ignazio da Santhià Sacerdote cappuccino
22 settembre 
Santhià, Vercelli, 5 giugno 1686 - Torino, 22 settembre 1770


Lorenzo Maurizio Belvisotti, nato a Santhià (Vercelli) nel 1686, viene ordinato prete nel 1710. Entra in contatto con i Gesuiti, ma nel 1716 entra nei Cappuccini di Chieri con l'intenzione di partire missionario. Dopo un servizio di 13 anni come maestro dei novizi a Mondovì e un periodo al convento di Torino, Ignazio, questo il suo nome da religioso, viene mandato dai superiori a confortare i militari dell'esercito sabaudo feriti dai franco-spagnoli negli ospedali di Asti, Alessandria e Vinovo. Finita la guerra, il convento del Monte dei Cappuccini di Torino lo accoglie nuovamente per l'ultimo lungo periodo della sua vita (1747-1770). Qui spenderà 23 anni confortando spiritualmente sia poveri che personaggi in vista del Regno. Muore il 22 settembre 1770, festa di san Maurizio, patrono dei Cappuccini piemontesi. È stato canonizzato il 19 maggio 2002 da Giovanni Paolo II. (Avvenire)

Martirologio Romano: A Torino, sant’Ignazio da Santhià (Lorenzo Maurizio) Belvisotti, sacerdote dell’Ordine dei Frati Minori Cappuccini, assiduo nell’ascolto dei penitenti e nell’assistenza ai malati.

 

 

 

Padre Ignazio da Santhià fu, probabilmente, uno dei "Santi" torinesi più amati dal popolo sebbene sia oggi una delle figure religiose meno "mediatiche". È, infatti, tra i Santi meno noti che Papa Giovanni Paolo II ha deciso di canonizzare. Eppure alla sua morte, avvenuta nel 1770, la folla accorsa a rendergli omaggio blocca il Monte dei Cappuccini tanto da spingere le autorità religiose a celebrare i funerali all’alba, per tutelarne le spoglie già oggetto di culto.
Ma chi fu e quali segni ha lasciato questo frate modesto così significativo per l’Ordine piemontese? Lorenzo Maurizio Belvisotti nasce a Santhià nel 1686. Di famiglia benestante, orfano di padre all’età di 8 anni, sceglie la vita religiosa, frequenta il seminario e prende i voti con il benestare di madre e fratelli. Ordinato prete, a 30 anni è precettore presso i Conti Avogadro di Casanova, a Vercelli. Tra la rendita personale e l’attività alla corte della nobile famiglia potrebbe condurre un alto tenore di vita, ma il corso della sua esistenza è messo alla prova nel 1715 da due eventi: la morte della madre e la controversia che si accende sulla parrocchia che gli viene assegnata in Santhià.
Nel maggio del 1716 Don Lorenzo è al Monte dei Cappuccini, a colloquio con il Padre Provinciale per cercare la propria via. Il 10 giugno 1616, rinuncia ufficialmente alla parrocchia assegnatagli e, il 24 dello stesso mese, entra in convento a Chieri, preceduto dalla fama conquistata con l’abito talare. Scegliendo la strada di Francesco comincia il suo percorso religioso da zero, prendendo il nome di Ignazio dal tanto ammirato Ignazio di Lojola. La professione solenne dei voti avviene il 24 maggio 1717.
Da questo momento la sua vita registra un pellegrinaggio ininterrotto nei conventi di Torino e provincia, dove ricopre diversi ruoli, da Chieri a Biella, Pinerolo, Avigliana, Chivasso e Carrù. Ma è il compito di maestro di novizi a Mondovì che, in questo fase, segna un passaggio fondamentale.
Dal 1750 alla morte è stabile al Monte di Torino ed è in questi 20 anni che la sua fama, cresce, sul passa parola di malati e bisognosi. Per loro Ignazio diventa presto una figura di riferimento, che ogni giorno scende in città a portare conforto. Dialoga con i poveri e con i potenti e la sua figura si circonda di un alone di venerazione che lui sfugge con modestia. Quando, superati gli 80 anni, il fisico gli impedisce di percorrere lo scosceso sentiero verso il centro città, è la sua gente a cercarlo. Muore il 21 settembre 1770 allo scoccare della mezzanotte e la voce "È morto il Santino del Monte" percorre Torino.
Una dei più autorevoli seguaci è il Cottolengo, che ne dispensa le immaginette e invita i malati della Piccola casa della Divina Provvidenza a pregare il "Santo" per ottenere la guarigione.
La causa di beatificazione è immediata. Subito si apre il processo e i cappuccini solleciti raccolgono testimonianze e relazioni sulla sua vita, sulle virtù e sui fatti straordinari a lui attribuiti. La documentazione è consegnata a Torino l’11 settembre 1777 e a Roma il 2 settembre 1780. È Papa Leone XII il 19 marzo 1827, dopo un lungo periodo di silenzio, a emanare il decreto sulla "Eroicità delle virtù del venerabile Ignazio da Santhià". Ma una nuova attesa avvolge la causa. Le ragioni dei sostenitori del Santo si arricchiscono di 2 guarigioni miracolose, entrambe in provincia di Cuneo: la prima registrata nel 1946 a Busca e la seconda nel 1955 a Revello.
Paolo VI ne decreta la beatificazione nel 1966. Il 19 maggio 2002 Papa Giovanni Paolo II lo fa Santo.

Autore: Cristina Siccardi

 


--------------------------------------------------------------------------------

 

Lorenzo Maurizio – così il suo nome di battesimo – nasce il 5 giugno 1686 a Santhià (Vercelli), quarto tra i sei figli dell’agiata famiglia di Pier Paolo Belvisotti e Maria Elisabetta Balocco. Rimasto orfano del padre a sette anni, la madre provvede alla sua formazione affidandolo al pio e dotto sacerdote don Bartolomeo Quallio, suo parente. Sentendosi chiamato alla vita ecclesiastica, dopo le scuole primarie nella città natale, nel 1706 Lorenzo Maurizio passa a Vercelli per gli studi filosofici e teologici. Ordinato sacerdote nell’autunno del 1710, resta nel capoluogo come cappellano-istruttore della nobile famiglia Avogadro. In questi primi anni di sacerdozio non rinuncia ad associarsi all’apostolato dei Gesuiti, particolarmente nella predicazione delle missioni al popolo. Conoscerà così il suo futuro direttore spirituale, il padre gesuita Cacciamala.

La natia Santhià, desiderando avere il suo concittadino, lo elegge canonico rettore dell’insigne collegiata di Santhià. A loro volta gli Avogadro lo eleggono parroco della parrocchia di Casanova Elvo di cui godevano il giuspatronato. Tuttavia il quasi trentenne don Belvisotti non va in cerca di gloria: ha maturato ben altre mete. Rinunciato alle due nomine e ai benefici loro connessi, il 24 maggio 1716 entra nel convento-noviziato dei Cappuccini di Chieri (Torino) e assume il nome di fr. Ignazio da Santhià con l’intenzione di partire in futuro per le missioni estere. La sua fermezza nel tendere alla perfezione, l’osservanza piena, premurosa, spontanea e gioiosa della vita cappuccina, gli attirano l’ammirazione anche dei più anziani religiosi del noviziato. Dopo gli anni della formazione cappuccina (trascorsi a Saluzzo, a Chieri e a Torino, sul Monte dei Cappuccini), nel Capitolo Provinciale del 31 agosto 1731 viene nominato maestro di noviziato nel convento di Mondovì (Cuneo). In tredici anni di magistero e testimonianza, Ignazio offre alla Provincia monastica del Piemonte ben 121 nuovi frati, alcuni dei quali moriranno in fama di santità. In seguito ad un atto eroico (essendosi addossato la grave oftalmia e le sofferenze del suo ex-novizio Bernardino Ignazio dalla Vezza, impedito di continuare nell’attività missionaria in Congo), nel 1744 deve rinunciare all’incarico e ritirarsi per cure nel convento-infermeria di Torino-Monte.

L’obbedienza ai superiori (alla quale mai si sottrasse), lo inducono a seguire, come cappellano-capo, l’esercito del re di Sardegna Carlo Emanuele III, in guerra contro le armate franco-spagnole(1745-1746), per assistere i militari feriti o contagiati negli ospedali di Asti, Alessandria e Vinovo.

Finita la guerra, il convento del Monte dei Cappuccini di Torino lo accoglie nuovamente per l’ultimo lungo periodo della sua vita (1747-1770). Con una generosità senza misura e con umile e intensa carica spirituale, Ignazio divide la sua attività pastorale tra il convento e la città di Torino: predica settimanalmente agli altri confratelli, attende al ministero della riconciliazione e, nonostante la non più giovane età e le gravi malattie, scende l’erta collina su cui sorge il convento per percorrere le vie della città e incontrare di casa in casa poveri e ammalati, che attendono il conforto della sua parola e della sua ormai celebre benedizione. Intanto si vanno moltiplicando i prodigi e il popolo lo ribattezza “il Santo del Monte”; contemporaneamente su di lui si accentra anche la venerazione dei più distinti personaggi del Piemonte: dai regnanti all’arcivescovo di Torino, Giovanni Battista Roero, al primo vescovo di corte, il cardinale Vittorio Delle Lanze; dal gran cancelliere Carlo Luigi Caisotti di Santa Vittoria, al sindaco della città.

Ignazio da Santhià trascorre gli ultimi due anni nell’infermeria del suo convento, continuando a benedire, a confessare, a consigliare quanti a lui ricorressero. La sua vita appare ormai assorbita e trasformata in quel Crocifisso che egli non sa allontanare dal suo sguardo.

Il 22 settembre 1770, festa di s. Maurizio, patrono suo e della provincia cappuccina del Piemonte, fr. Ignazio muore serenamente nella sua cella, all’età di 84 anni.

La fama della sua santità e i numerosi prodigi attribuiti alla sua intercessione inducono ad avviarne immediatamente il processo di canonizzazione. Dopo la causa ordinaria, nel 1782 viene introdotto il processo apostolico che, a motivo delle vicissitudini della Rivoluzione Francese e delle ricorrenti soppressioni che colpiscono gli Ordini religiosi nell’Ottocento, subisce continui rallentamenti e interruzioni. E se fin dal 19 marzo 1827 Leone XII ne riconosce l’eroicità delle virtù di fr. Ignazio da Santhià, solo il 17 aprile 1966 (dopo oltre un secolo di quasi totale silenzio e dopo la valutazione positiva di due miracoli ottenuti per sua intercessione negli anni precedenti) Paolo VI può procedere alla sua solenne beatificazione.

Giovanni Paolo II ne ha proclamato la santità il 19 maggio 2002, domenica di Pentecoste. Le reliquie di Ignazio da Santhià sono venerate nella chiesa del Monte dei Cappuccini in Torino.

Autore: Padre Mario Durando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11-12-28

 

 

 

 


Saint Ignatius of Santhia
Also known as
Ignazio da Santhia
Lawrence Belvisotti
Lorenzo Maurizio Belvisotti
Maurice Belvisotti

Memorial
22 September

Profile
Ordained in 1710 in the diocese of Vercelli, Italy. Parish priest for six years. He was offered a position of authority in the diocese, but declined, and on 24 May 1716 he became a novice in the Capuchins of Turin, Italy, taking the name Ignatius, and beginning 54 years of service in the Order.

He was under the direction of a novice half his age, which Father Ignatius accepted with humility. In 1717 he was assigned to the convent at Saluzzo, Italy, and served as sacristan. Novice master at Chieri, Italy. Sacristan at Capuchin Hill, Turin in 1723, a convent with 87 priests. Novice master at Mondovi from 1731 to 1744. An eye illness forced him to give up the position for nearly two years.

When he recovered he became head chaplain of the armies of the King of Piedmont who were fighting invading Franco-Hispanic forces. He was noted for his work in the field as minister, and with the injured. After the war he returned to life at Capuchin Hill where he served as confessor and religious instructor to lay brothers. In his later years he spent his days visiting the sick and the poor of Turin, and ministering to the thousands that came daily to Capuchin Hill for his blessing.

Born
5 June 1686 in Santhià, Vercelli, Italy as Maurice Belvisotti

Died
22 September 1770 of natural causes in Turin, Italy

Venerated
19 March 1827 by Pope Leo XII (decree of heroic virtues)

Beatified
17 April 1966 by Pope Paul VI at Rome, Italy

Canonized
19 May 2002 by Pope John Paul II at Rome, Italy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Hagiography Circle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MLA Citation



 



676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