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교부(敎父)들은 누구를 말하는지요? 외 [교리용어] [교회역사] [아버지] [교부]

인쇄

. [218.55.90.*]

2014-02-13 ㅣ No.1521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등의 교회 문헌들을 읽다보면, "교부들"라는 용어를 더러 접하게 되는데, 이들은 누구를 말하는지요?

 

예를 들어, "예수님의 열두 사도들과 사도 바오로의 제자들"을 말하는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용어들 중의 하나인 "교부(敎父, the Father of the Church)"에 대한 질문이군요.

 

만약에 "예수님의 열두 사도들과 사도 바오로의 제자들"이 모두 "교부"로 불린다면,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모두가 이 분들의 제자들이므로,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자들 중에 "교부"가 아닌 분이 있는지요? 그런데, 이 글을 읽고 계신 가톨릭 신자님, 본인이 교회의 교부라고 생각하십니까???

 

그래서, 그러한 주장은 당연히 어불성설이며, 따라서, 가톨릭 그리스도교에서 누구를 전통적으로 "교부(敎父, the Father of the Church)"라고 불러왔는지에 대하여, 개인적으로 추측 혹은 추정하는 행위 그 자체가 바로 무지의 소치일 것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3월 24일]

1-2. 다음은 New Catholic Dictionary 1910에 주어진 "father(아버지)"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saints.sqpn.com/ncd03228.htm

(발췌 시작)
A title originally given to bishops, and later to priests as the ministers of the Sacrament of Penance, because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creates a paternal relationship. Today it is the form of address given to priest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왜냐하면 성사(sacraments)들의 집행이 어떤 부모의 관계를 설정하기(create) 때문에, 고해성사의 집전자들로서 애초에 주교(bishops)들에게 주어졌던, 그리고 이후에 사제(priests)들에게 주어졌던 한 개의 칭호(a title)를 말합니다. 오늘날 이것은 영어를 말하는 나라들에 있어 사제들에게 주어지는 호칭(address)의 형태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1-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ather(아버지)"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27.htm

(발췌 시작)

FATHER

 

Theologically, a father is the principal one who produces of his own substance another person like himself. There is, consequently, a Father within the Trinity, who begets God the Son. But the triune God is himself spoken of as a Father, with respect to the rational beings whom he made to share in his own possession of knowledge and love. Among human beings a father is the male parent of his own children and, ultimately, the ancestor of all his progeny. In Church usage the term is applied to the early spokesmen and defenders of Christianity, bishops who attend regional and especially ecumenical councils, and priests in general or specific priests in their role as confessors or spiritual counselors of the faithful.

 

아버지(father)

 

신학적으로, 한 아버지(a father)는 자신 고유의 본체(substance)로 부터, 자기 자신과 비슷한, 또다른 인격(another person)을 산출하는 주된 자(the principal one)를 말합니다. 그 결과, 성삼위 안쪽에, 성자 하느님(God the Son)을 낳는(beget)(*) 분이신, 한 분의 아버지(성부, the Father)께서 계십니다. 그러나 삼위일체의 하느님께서는 한 분의 아버지(성부)로서, 지식(knowlege)사랑(love)이라는 당신 고유의 소유물에 함께 하도록(share in) 만들어진 자들인 [천사들 및 사람들과 같은] 이성이 있는 있음(rational beings)들에 관하여, 스스로 말씀하시는 분이십니다. 인간들 사이에서 한 아버지는 그 고유의 자녀들의 남성 부모를 그리고, 궁극적으로, 자신의 자손 모두의 조상을 말합니다. 교회의 사용에 있어 이 용어는 그리스도교의 초기 대변인(spokesmen)들 및 용호자(defenders)들에게(**), 지역 그리고 특별히 세계 공의회들에 참석한 주교(bishops)들에게(***), 그리고, 열심 신자들의 고해 신부들 혹은 영적 상담자들로서 자신들의 역할에 임하고 있는, 일반직인 사제(priests)들에게 혹은 특정 사제들에게 적용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3월 24일]

-----

(*) 번역자 주: "발출(procession)"의 한 형태인 여기서 말하는 "낳다(beget, 생성하다)"라는 대단히 중요한 그리스도교 신학적 용어의 의미는 다음의 글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43.htm <----- 필독 권고


(**) 번역자 주: 이 경우에는 교부(敎父)라고 불린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제2항제3항을 읽도록 하라.

 

(***) 번역자 주: 이 경우에도 또한 교부(敎父)라고 불린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제2항제3항을 읽도록 하라.

 

(****) 번역자 주: 이 적용은, 아래의 제1-3항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듯이, 가톨릭 교회 교도권(Magisterium)에 의한 교계 제도라는(*****) 구체적인 한정/제한 조치 안에서, 그리하여 가톨릭 그리스도교의 윤리덕(a moral virtue)인 겸손(humility)을 근본적으로 요구하는 대단히 한정적인 범위 내에서, 사용되고 있음에 주목하라. 

 

(*****) 번역자 주:

(1) 예를 들어, 다음의, "교회 교역 조직의 창립자이신 예수님 -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 교리 교육 1988.06.22." 제목의 복자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교리 교육용 일반 알현 강론 말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86.htm

 

(2) 그리고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가해 연중 제17주일 복음 말씀(마태오 13,44-52)제52절에서 예수님께서 사용하신 "율법 학자" 라는 단어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주어진 해설 전문이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ot_17.htm

(발췌 시작)

52. "Scribe": among the Jews a scribe was a religious teacher, a specialist in sacred Scripture and its application to life. Our Lord here uses this word to refer to the Apostles, who will have the role of teachers in His Church. Thus, the Apostles and their successors, the Bishops, are the "Ecclesia docens", the teaching Church; they have the authority and the mission to teach. The Pope and the Bishops exercise this authority directly and are also helped in this by priests. The other members of the Church form the "Ecclesia discens", the learning Church. However, every disciple of Christ, every Christian who has received Christ's teaching, has
a duty to pass this teaching on to others, in language they can understand; therefore, he should make sure he has a good grasp of Christian doctrine. The treasure of Revelation is so rich that it can provide teaching which applies to all times and situations. It is for the word of God to enlighten all ages and situations--not the other way around. Therefore, the Church and its pastors preach, not new things, but a single unchanging truth contained in the treasure of Revelation: for the past two thousand years the Gospel has always been "good news".

 

52. "율법 학자": 유다인들 사이에서 율법 학자는, 성스러운 성경 본문과 삶으로의 이 본문의 적용에 있어 전문가인, 종교에 대하여 가르치는 자(종교적 선생, a religious teacher)였습니다. 우리의 주님께서는 여기서 당신의 교회 안에서 선생/교사(teachers in His Church)들의 역할을 장차 할, 사도(the Apostles)들에 대하여 언급하시고자 바로 이 단어를 사용하십니다. 따라서, 사도들과 그들의 계승자들인 주교들은 "Ecclesia docens", 가르치는 교회(the teaching Church)이며, 그리고 그들은 가르치는 권위와 임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교황과 주교들은 이 권위를 직접적으로 행사하며 그리고 이러한 행사에 있어 사제들에 의하여 도움을 또한 받고 있습니다. 교회의 또다른 구성원들은 "Ecclesia discens", 배우는 교회(the learning Church)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제자들 모두, 즉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이미 받아들인 그리스도 사람 각각은, 자신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이러한 가르침을 다른 이들에게 전달해주어야 하는 의무를 지니고 있으며, 그러므로, 그는 자신이 그리스도교 교리를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실히 하여야만 합니다. 거룩한 계시(Revelation)라는 보물은 너무도 풍성하여 그 결과 이 보물은 모든 시기들과 여건들에 적용되는 가르침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모든 시대들과 여건들을 교화하는(enlighten) 것은 하느님의 말씀(the word of God, 로고스, 즉 예수 그리스도)(*)이 하시는 것이지, 거꾸로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교회와 그 사목자들은, 새로운 것들이 아니라, 거룩한 계시라는 보물 안에 포함되어 있는 단 하나의 불변의 진리를 설교합니다: 지난 2,000년 동안 이 복음(the Gospel, 즉 그리스도의 복음)(**)은 항상 "좋은 소식(good news)"이었습니다.

 

-----
(*) 번역자 주: "하느님의 말씀"이 곧 강생하신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 당신 자신이심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을 필독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43.htm 

(**) 번역자 주: "이 복음(the Gospel)"은 그리스도의 복음, 즉 "하늘 나라의 도래(the 
coming of the Kingdom of Heaven)"를 말한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들은 다음의 
주소에 있으며, 필독을 권고한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KH_JohnPaul_II.htm 
-----

(이상, 발췌 끝)

-----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1-4. presbyter(priest)는 통상적으로 사제(司祭)로 번역되는데, presbyter(priest)의 또 하나의 차용(借用) 번역 용어인 신부(神父, presbyter, Father)에 대한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제공의 천주교용어자료집에 주어진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4989

(발췌 시작)

신부(神父, presbyter, Father)

 

사제품을 받은 성직자.

신부라고 부르는 이유는 사람들에게 영적 생명을 베풀어 주며, 아버지처럼 신자들의 영혼을 지도하고 인도하기 때문이다.

(이상, 발췌 끝)

 

1-5. presbyter(priest, 사제)의 또 하나의 차용(借用) 번역 용어신부(神父) 라는 용어의 원 한자 단어의 자구적 의미 등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29.htm <----- 또한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2.

2-1.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용어집"에 주어진 "Fathers of the Church"에 대한 설명이며, 괄호 안의 번호들은, 더 자세한 설명이 주어지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의 해당 항들의 번호들입니다:

 

출처: http://www.usccb.org/beliefs-and-teachings/what-we-believe/catechism/
catechism-of-the-catholic-church/epub/index.cfm#glossF

(발췌 시작)

FATHERS OF THE CHURCH: Church teachers and writers of the early centuries whose teachings are a witness to the Tradition of the Church (78, 688).

 

교회의 교부(敎父)들(Fathers of the Church): 그들의 가르침들이 교회의 성전(the Tradition of the Church)(*)에 대한 증거인 초기 세기들의 교회의 선생들과 저술가들을 말합니다(CCC 78, 688).

 

-----

(*) 번역자 주: 성전(Tradition), 즉 사도전승(Apostolic Tradition)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54.htm <-----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1: 위의 설명은 너무 간단하다는 생각입니다.

 

2-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athers of the Church(교회의 교부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아래에 나열된 명단을 잘 들여다 보시면, 예를 들어, 동방 교부인 오리제네스(Grigenes, Origen, 184-254년)와 서방 교부인 테르툴리아노(Tertullian, 160-223년)처럼 초기 교회 시절의 교부들 중에는 성인[Satint, (2023-12-17) 즉,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그 경축일를 가지는 분, 즉, 성품 반열에 들어간 분(入列聖品, 성년광익)]이라고 불리지 않는 분들도 있고, 또 서방 교부인 성 예로니모(St. Jerome, 343-420년)처럼 주교(Bishop)가 아닌 분들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2: 필요성에 의하여, 이들 교부들을 가능한 한 영면한 해에 따라 연대순으로 나열하였으며, 그리고 보통 수준의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교부들의 경우에는 이 분들의 성인전 혹은 생애를 요약한 글들 읽을 수 있도록 링크들을 설정하였습니다. 파란 색칠을 한 이름들을 클릭하면, 해당 분에 대한 굿뉴스 서버 제공의 성인전 혹은 생애를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28.htm

(발췌 시작)

FATHERS OF THE CHURCH.

교회의 교부(敎父)들

 

Saintly writers of the early centuries whom the Church recognizes as her special witnesses of the faith. Antiquity, orthodoxy, sanctity, and approval by the Church are their four main prerogatives. They are commonly divided into the Greek and Latin fathers. It is now generally held that the last of the Western Fathers (Latin) closed with St. Isidore of Seville (560–636), and the last of the Eastern Fathers (Greek) was St John Damascene (675-749).

 

교회가 신앙(faith)에 대한 교회의 특별한 증거자들로서 인정하는 거룩한(saintly) 저술가들을 말합니다. 고대성(antiquity), 정통성(orthdoxy), 성성(sanctity), 그리고 교회에 의한 승인(approval)은 그들의 네 개의 주된 특권(特權, prerogatives)들입니다. 그들은 통상적으로 그리스 교부들(Greek Fathers) 및 라틴 교부들(Latin Fathers)로 나누어집니다. 서방 교부들 (the Western Fathers, 라틴 교부들)의 마지막은 세비야의 성 시도로(St. Isidore of Seville, 560-636년)와 함께 끝났고(closed), 그리고 동방 교부들 (the Eastern Fathers, 그리스 교부들)의 마지막은 다마스쿠스의 성 요한(St. John Damascene, 675-749년)이었음이 일반적으로 견지되고 있습니다(is held).

 

LATIN FATHERS OF THE CHURCH

교회의 라틴 교부(敎父)들

 

St. Irenaeus, Bishop of Lyons (130-200) [번역자 주: "총괄복귀(recapitulatio)" 개념에 의거
                                                        하여 
삼위일체 교의가 정식화되기 훨씬 이전이었던

                                                        시기에 영지주의 이단 등을 대단히 효과적으로 
                                                        격파한 대단히 중요한 일을 
하였음. 여기를 클릭

                                                        후에 제5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특히 성직자 및 
                                                        수도자들께서 읽으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Minucius Felix, apologist (second or third century)

 

Tertullian, apologist, founder of Latin theology (160-223)

St. Cornelius, Pope (d. 253)

St. Cyprian, Bishop of Carthage (d. 258)

Novatian, the Schismatic (200-262)

St. Dionysius, Pope (d. 268)

 

St. Pamphilus, priest (240-309)

Lactantius Firminanus, apologist (240-320)

Arnobius, apologist (d. 327)

St. Hilary, Bishop of Poitiers (315-368)

St. Damasus I, Pope (d. 384)

St. Gregory of Elvira (died after 392)

St. Phoebadius, Bishop of Agen (d. 395)

St. Ambrose, Bishop of Milan (340-397)

St. Siricius, Pope (334-99)

Marius Victorinus, Roman rhetorician (fourth century)

St. Pacian, Bishop of Barcelona (fourth century)

St. Optatus, Bishop of Mileve (late fourth century)

 

Marius Mercator, Latin polemicist (early fifth century)

Rufinus, Latin translator of Greek theology (345-410)

St. Innocent I, Pope (d. 417)

St. Jerome, priest, exegete, translator of the Vulgate (343-420)

St. Augustine, Bishop of Hippo (354-430)

St. Paulinus, Bishop of Nola (353-431)

St. Celestine I, Pope (d. 432)

St. John Cassian, abbot, ascetical writer (360-435)

St. Eucherius, Bishop of Lyons (d. 449)

St. Vincent of Lérins, priest and monk (d.450)

St. Peter Chrysologus, Archbishop of Ravenna (400-450)

St. Leo the Great, Pope (390-461)

St. Prosper of Aquitaine, theologian (390-463) [번역자 주: 히포의 아구구스티노의 제자]

Salvian, priest (400-480)

 

St. Ennodius, Bishop of Pavia (473-521)

St. Fulgentius, Bishop of Ruspe (468-533)

St. Caesarius, Archbishop of Arles (470-542)

St. Benedict, father of Western monasticism (480-546)

 

St. Gregory (I) the Great, Pope (540-604)

St. Isidore, Archbishop of Seville (560-636)

 

GREEK FATHERS OF THE CHURCH

교회의 그리스 교부(敎父)들

 

St. Clement I of Rome, Pope (30-101)

St. Ignatius, Bishop of Antioch (35-107)

St. Polycarp, Bishop of Smyrna (69-155)

St. Justin Martyr, apologist (100-165)

Tatian the Assyrian, apologist and theologian (120-180)

St. Melito, Bishop of Sardis (d. 190)

Athenagoras, apologist (second century)

Hermas, author of The Shepherd (second century)

St. Theophilus, Bishop of Antioch (late second century)

 

St. Clement of Alexandria, theologian (150-215)

St. Hippolytus, martyr (170-236) [번역자 주: 리옹의 성 이레네오의 제자]

Origen, head of the Catechetical School of Alexandria (184-254)

St. Dionysius the Great, Archbishop of Alexandria (190-264)

St. Firmillian, Bishop of Caesarea (d. 268)

St. Gregory Thaumaturgus, Bishop of Neocaesarea (213-270) [번역자 주: 오리제네스의 제자]

St. Archelaus, Bishop of Cascar (d. 282)

 

Aphraates, Syriac monk (early fourth century)

St. Methodius, Bishop of Olympus (d. 311)

Eusebius, Bishop of Caesarea (260-340)

St. Julius I, Pope (d. 352)

St. Serapion, Bishop of Thmuis (died after 362)

St. Caesarius of Nazianzus (330-369)

St. Athanasius, Archbishop of Alexandria (c. 297-373)

St. Basil the Great, Archbishop of Caesarea (329-379)

St. Cyril, Bishop of Jerusalem (315-386)

St. Macarius the Great, monk (300-390)

St. Gregory of Nazianzus, Bishop of Sasima (329-390)

Diodore, Bishop of Tarsus (d. 392)

St. Gregory of Nyssa (330-395)

Didymus the Blind, theologian (313-398)

St. Eustathius, Bishop of Antioch (fourth century)

 

St. Epiphanius, Bishop of Salamis (315-403)

St. John Chrysostom, Patriarch of Constantinople (347-407)

Theodore, Bishop of Mopsuestia (350-428)

St. Nilus the Elder, priest and monk (d. 430)

St. Cyril, Patriarch of Alexandria (376-444)

St. Proclus, Patriarch of Constantinople (d. 446) [번역자 주: 네스토리우스주의 반대자]

St. Isidore of Pelusium, abbot (360-c. 450) [번역자 주: 네스토리우스주의의 단성설 반대자]

Theodoret, Bishop of Cyrrhus (393-458)

Gennadius I, Patriarch of Constantinople (d. 471)

Dionysius the Pseudo-Areopagite, mystical theologian (late fifth century)

 

St. Leontius of Byzantium, theologian (sixth century)

 

St. Sophronius, Patriarch of Jerusalem (560-638) [번역자 주: 단성설 단죄]

St. John Climacus, monk (579-649) [번역자 주: 천국의 사다리 저자]

St. Maximus, abbot and confessor (580-662) [번역자 주: 단성설 단죄]

 

St. Anastasius Sinaita, apologist, monk (d. 700) [번역자 주: 네스토리우스 주의, 단성설, 단의설 반대자]

St. Germanus, Patriarch of Constantinople (634-733) [번역자 주: 단의설 단죄]

St. Andrew of Crete, Archbishop of Gortyna (660-740)

St. John Damascene, defender of sacred images (675-749)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3. 다음은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에서 발취한 것입니다.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이 너무 간단하고 그리고 다음의 제2항에 안내해드린 영어 가톨릭 대사전의 설명은, 설사 우리말로 번역이 된다고 하더라도, 국내의 보통 수준의 가톨릭 신자들에게 그 설명이 너무 길다는 생각에, 전달해드립니다. 아래의 발췌문의 첫 단락은 위의 제2-2항에 전달해드린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athers of the Church"를 우리말로 편역하였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306

(발췌 시작)
일반적으로 신앙이나 교회생활면에 중대한 영향을 준 분을 가리키나, 가톨릭 신학에서는 다음 네 가지의 조건을 갖춘 분을 의미한다. 첫째 그 가르침이 사도들의 설교에 부합하는 정통성을 지녀야 하고, 둘째 사도들의 교회에 시기적으로 가까운 분들, 즉 고대성(古代性)이 있어야 하고, 셋째 그 생활이 모범적이어서 그 시대 사람들에게 존경받을 수 있었던 분이라야 하며, 넷째 교회가 전통적으로 교부라고 인정해 온 분이어야 한다. 교부들은 일반적으로 라틴문화권의 교부 즉 라틴교부와 그리스 문화권의 교부 즉 그리스교부로 구분된다. 이를 '고대성'이라는 조건에 비추어 볼 때 라틴교부들은 대 그레고리오 성인(St. Gregorius Magnus, 540~604)이나 세빌리아의 이시도로 성인(St. Isidorus, 560~636)에서 끝나고, 그리스교부들은 요한 다마세노 성인 (St. Joannes Damascenus, 676~749)으로 끝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교부라는 단어는 초세기 교회에 사목하는 주교들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 사이에 성립되는 부자(父子) 관계를 적용한데서 비롯되었다. 4세기부터 이 단어는 그 특수성을 갖게 되고 사도들의 설교와 구별되는 교부들의 전통이라는 표현이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사도들의 설교 내용과 다른 교부들의 전통이 아니라, 사도들의 설교내용을 가르치고 증거한다는 의미에서 교부들은 교리에 밝은 학자들뿐 아니라 사도들로부터 전해 받은 신앙의 증거자로 여겨지게 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교리가 등장헸을 때 그것이 교부들의 가르침인지 비교해 보았고 이에 위배(違背)되는 사항이 있으면 배척되는 이유가 되었다. 공의회에 참석한 주교들을 교부고 부르는 오늘날의 관습 역시 4~5세기에 삼위일체론, 그리스도론, 은총론 등 교의사상(敎義史上) 결정적 역할을 한 공의회를 치르면서 비롯되었다. 원칙적으로 교부라고 하면 주교들이었으나 아우구스티노는 신부(神父)인 예로니모를 교부라 부르기도 하였다. 교부들은 교회사 안에 특권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도들의 설교가 그리스, 라틴문화권에 침투하게 되자 인간적 사색과 추리를 필요로 하였고, 이것이 교부들의 연설이나 저술로 표현되었는데 여기서 신학이 탄생하였다. 그뿐 아니라 복음이 다른 사상체계와 접촉하는 데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설(異設)에 직면하여, 교부들은 사도전래의 신앙유산을 그 시대의 문화와 언어로 정확히 표현하였기에 교의의 창시자라고 불린다.

(이상, 발췌 끝)

 

2-4.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Fathers of the Church(교회의 교부들)"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위의 제2-2항에 나열된 교부들 중에서 특정 분들의 역할, 업적, 그리고 특징 등을 또한 간략하게 언급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6001a.htm

 

2-5. 그리고 이들 교부들의 영어본 저술들의 목록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fathers/

 

3. 또한 참고하십시오.

3-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postolic Fathers(사도 교부들)"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a/a356.htm

(발췌 시작)

APOSTOLIC FATHERS 

 

Christian writers of the first centuries thought to have had personal relations with the Apostles or been directly influenced by their writings. Sts. Clement of Rome, Ignatius of Antioch, and Polycarp of Smyrna were the most important of these fathers. Their writings covered the last twenty years of the first century to mid second century, and were concerned mostly with the guidance of individuals or local churches in some pressing need.

 

사도 교부(敎父)들(Apostolic Fathers)

 

사도들과 개별적 관계들을 가졌을 것으로 혹은 그들의 저술들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되는 첫 세기들의 그리스도교 저술가들을 말합니다. 로마의 성 클레멘트(St. Clement of Rome),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St. Ignatius of Antioch), 그리고 스미르나의 성 폴리카르프(St Polycarp of Smyrna)는 이들 교부들 중의 가장 중요한 자들입니다. 그들의 저술들은 첫 번째 세기의 마지막 20년부터 두 번째 세기의 중반까지 포합하였으며, 그리고 어떤 급박한 필요에 있는 개인들 혹은 지역 교회들에 대한 지도(guidance)와 대부분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2. 그리고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사도 교부(使徒敎父, Apostolic Fathers)" 라는 용어의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1368

 

3-3.

3-3-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교황청 소속의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을 위한 홈페이지(http://www.clerus.org) 제공의 이들 교부들(사도 교부들 포함)의 문헌들을 또한 쉽게 찾아서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66z.htm#a0

 

3-3-2. 그리고 강론 혹은 훈화 준비시에, 성경 본문들에 대한 이들의 해석들을 찾아 볼 때에는, 위의 제2-5항과 다음의 사이트들 제공의 정보들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index.htm

성 토마스 아퀴나스 저술들
http://org.catholic.or.kr/conservatory/frames/mp34todayreading.shtml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7시간

 



1,869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