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창세기에서 우리 라는 복수로 언급된 하느님 [성경용어_우리]

779 [218.236.113.*] 2007-12-17

 
주신 질문:
 
창세기 1장26절에서 우리의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었다고 했는데 여기서 우리 란 복수로써 하느님이 한분이 아니란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부분에 대한 설명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답글:
 
창세기 1:26. And he said: Let us make man to our image and likeness: and let him have dominion over the fishes of the sea, and the fowls of the air, and the beasts, and the whole earth, and every creeping creature that moveth upon the earth.
(라틴어) Et ait faciamus hominem ad imaginem et similitudinem nostram et praesit piscibus maris et volatilibus caeli et bestiis universaeque terrae omnique reptili quod movetur in terra 
 
창세기 1,26  하느님께서 말씀하셨다.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 그래서 그가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과 땅을 기어 다니는 온갖 것을 다스리게 하자.”   
 
---------------------------------------
 
 
1. 다음은 위 구절에 대한 DRB 성경의 주석(영문)입니다:
 
Let us make man to our image... This image of God in man, is not in the body, but in the soul; which is a spiritual substance, endued with understanding and free will. God speaketh here in the plural number, to insinuate the plurality of persons in the Deity.
 
 
창세기 1,26 구절에 대한 위의 DRB의 영문 주석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 사람 안에 계신 이 하느님의 모습은, 우리의 신체(body)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영혼(soul) 안에 있으며, 그리고 이 영혼은 이해력(understanding)[즉, 지성(intellect)]과 자유의지(free will)가 부여된 어떤 영적인 본체(spiritual substance)이다. 하느님께서는, 신격 안에 있는 위격들의 복수성(複數性)(plurality of persons in the Deity)을 넌지시 비치기 위하여, 여기서 복수로 말씀하신다.
 
게시자 주: "신적 존재에 있어 복수의 위격"이라 함은, 다름 아닌,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거룩한 삼위일체의 제2 위격이신, 성자(Son), 새 아담(New Adam)만이 성부(Father)와 꼭 같은 완전한 모습을 가지고 계시고, 피조물인 우리들 모두는 아담과 하와가 범하였던 원죄로 인하여 죄의 얼룩(stain of sin)을 가지고 태어납니다(bear).
 
-------------------------------------
 
 
[추가일: 2010년 11월 12일]
 
2. 다음은,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프랑스어 공동번역 성경인 TOB의 창세기 1,26에 대한 주석 중의 일부입니다:
 
Le pluriel surprend ici. Il s'explique peut-être par l'idée d'une cour céleste, au sein de laquelle Dieu, tel un roi, s'adresse à ses ministres. ...
 
(영어 번역)
The plural is surprising here. It is explained perhaps by the idea of a celestial courtyard, within which God, such a king, contacts his ministers. ...
 
(우리말 번역)
여기서 복수는 놀랍습니다. 이것은 아마도, 그 안쪽에서 하느님께서, 그러하신 임금으로서, 당신의 각료(ministers)들을 접견하시는, 천상 어전(celestial courtyard)이라는 개념에 의하여 설명될 것입니다. ...
 
--------------------
 
 
3. 다음은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1986년 4월 9일자로 주신 일반 알현(General Audience) 교리 교육 강론 말씀 (제목: Man is created in the image of God)에서 발췌한 구절로서, 위의 영문 주석과 일치하는 내용입니다. 파란색 우리말 문장은 필자의 번역입니다.
 
...
 
In Genesis 1:26 we read that on the sixth day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after our likeness; and let them have dominion over the fish of the sea, and over the birds of the air, and over the cattle, and over all the earth, and over every creeping thing that creeps upon the earth."
 
창세기 1,26에서 우리는 여섯 번째 되는 날에 하느님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던 것을 읽는다: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 모습으로 사람을 만들자. 그래서 그가 바다의 물고기와 하늘의 새와 집짐승과 온갖 들짐승과 땅을 기어 다니는 온갖 것을 다스리게 하자.” 
 
It is significant that the creation of man is preceded by this kind of statement in which God expresses the intention to create man in his image, rather "in our image," in the plural (in harmony with the verb "let us make"). According to some interpretations, the plural would indicate the divine "we" of the one Creator. This would be, in some way, a first distant trinitarian indication
 
하느님께서, 당신의 모습대로, 더 정확하게 말하면 ["만들자(let us make)" 동사와 일치하는] 복수로 "우리의 모습대로", 사람을 창조하시겠다는 의도를 표현한 이런 종류의 말씀(statement)이 사람의 창조보다 우선하고 있다는 점이 의미 심장해 보인다. 어떤 해석들에 따르면, 이 복수의 표현은 유일한 창조주(one Creator)이신 거룩한 "우리"를 뜻할 것이다. 이것은, 어떤 면에서, 먼 곳에 위치한 첫 번째 삼위일체적 암시(trinitarian indication)일 것이다.
...
 
 
------------------------------
 
4. 한가지 더 보충하면, sons of God(하느님의 아들들)은 루카 복음서 20, 35-36에 예수님에 의하여 언급되고 있는, 천상 거주의 어떤 영적인 있음(beings)들 혹은 지성(intelligences)들을 말한다고 합니다. 
 
 
[내용 추가일: 2011년 1월 15일]
 
여기를 클릭하면, NAB 및 새 번역 성경에 있어, (구약 성경에서의 표현인) "히느님의 아들들(sons of God)" 및 (신약 성경에서의 표현인) "하느님의 자녀들(children of God)"의 차이점에 대하여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5. [추가일: 2009년 2월 12일]
다음은 2000년 대희년에 즈음하여 발행된 영어본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창세기 1,26에 대한 해설입니다. 첫 번째 단락을 잘 읽어 보도록 하십시요: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5_tue.htm

참고 사항: 매년 동일한 부활 성야 제1독서는 창세기 1,1-2,2이며, 여기를 클릭하면 이 제1독서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1:26. The sacred text emphasizes the special significance of this moment: God seems to stop to reflect and plan every detail of his next creation--man. Ancient Jewish interpretation (followed also by some Christian writers) saw the use of the plural "Let us make..." as meaning that God deliberated with his heavenly court, that is, with the angels (implying that God had created them at the very start, when he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But the use of the plural should rather be taken as reflecting the greatness and power of God. A considerable part of Christian tradition has seen the "Let us make" as reflecting the Holy Trinity, for New Testament revelation has made the Christian reader more aware of the
unfathomable greatness of the divine mystery.
 
1.26. 이 성스러운 본문(text)은 다음과 같은 바로 이 순간의 특별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다음 창조물인 사람에 대한 모든 상세 항목을 성찰하시고자(reflect) 그리고 계획하시고자 멈추신 듯 하다. (또한 약간의 그리스도교 저술가들도 따랐던) 고대 유다교의 해석(ancient Jewish interpretation)은 "Let us make..."라는 복수 인칭의 사용을 하느님께서 당신의 천상 어전(heavenly court)과 함께, 즉 천사들과 함께, 숙고하셨음(deliverate)을 뜻한다고 이해하였다. (이것은 하느님께서 "하늘들과 땅을 창조하셨을" 때인, 바로 그 한 처음에 천사들을 창조하셨음을 뜻한다). 그러나 이 복수 인칭의 사용은 이것보다는 오히려 하느님 권능의 위대하심을 반향하고 있는(reflecting)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그리스도교 전통의 상당한 부분(a considerable part of Christian tradition)은 이 "Let us make"를 성삼위(Holy Trinity)를 반향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 왔는데, 이는 신약 성경의 계시가 그리스도인 독자들로 하여금 하느님 신비의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위대함에 대하여 더 많이 알아차리게끔 해 왔기 때문이다.
 
"Man" here has a collective meaning: every human being, by his or her very nature, is in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The human being is intelligible not by reference to other created beings in the universe but by reference to God. The likeness between God and man is not a physical one, for God has no body; it is a spiritual likeness, lying in the human being's capacity for interiority. The Second Vatican Council teaches that man is not deceived when he regards himself as superior to bodily things and as more than just a speck of nature or a nameless unit in the city of man. For by his power to know himself in the depths of his being he rises above the whole universe of mere objects. When he is drawn to think about his real self, he turns to those deep recesses of his being where God who probes the heart (1 Kings 1.6:7; Jer 17:10) awaits him, and where he himself decides his own destiny in the sight of God. So when he recognizes in himself a spiritual and
immortal soul, he is not being led astray by false imaginings that are due to merely physical or social causes. On the contrary, he grasps what is profoundly true in this matter" ("Gaudium Et Spes", 14).
 
The fact that God creates man in own image and likeness "means not only rationality and freedom as constitutive properties of human nature, but also from the very beginning, the capacity of having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s 'I' and 'you' and therefore the capacity "of having a covenant", which will take place in God's salvific communication with man" (John Paul II, "Dominun Et Vivificantem", 34). In the light of this communication,
brought about in all its fullness by Jesus Christ, the Fathers the Church read the words "image and likeness" as meaning, on the one hand man's spiritual condition, and, on the other, his sharing in the divine nature through sanctifying grace. Even after the fall, man is still in the "image" of God; through sin, however, he lost his "likeness" but this was restored
through Christ's redemption.
 
It is part of God's design that human beings should have dominion over other created things (represented here by the animals). This dominion makes man God's representative (everything really belongs to God) in the created world. Therefore, although man is going to be the lord of creation, he needs to recognize that God alone is the Creator; man has to respect and look after creation; he is responsible for it.
 
These words of Scripture show that "man is the only creature that God has loved for itself alone, because all others were created to be at the service of man. Here we can see, too, the basic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For the Church, this equality, which has its roots in man's very being, takes on the very special dimension of brotherhood through the Incarnation of the Son of God. [...] Therefore, discrimination of any type [...] is absolutely
unacceptable" (John Paul II, Address, 7 July 1984).
 
----------
 
 
작성자 및 우리말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0 2,723 4

추천  0

TAG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로그인후 등록 가능합니다.

0 / 500

이미지첨부 등록

더보기
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