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8일 (목)
(백) 부활 제3주간 목요일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이다.

따뜻한이야기 신앙생활과 영성생활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글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리스도論/교회론 40 회

스크랩 인쇄

김근식 [alkim5533] 쪽지 캡슐

2011-05-23 ㅣ No.61402

         그리스도論 / 교회론  40 회
 
 * 그리스도論
    그리스도 논쟁
    이단  이설
    이단  이설,  이교
    공의회
    삼위일체론
    마리아론
 
    교회론                             (승전)
 
    


두 번째 단계 : 교회를 대상화하여 성찰하는 신학의 독립된

고유 분야로 교회론이 등장하는 과정이다. 교부들은 교회가

그 자체로 세상 속에서 구원의 성사적 현존이기에 총체적인

구세사적 관점에서 다루었을 뿐, 보편적(universalis) 조직체

로서 교회의 구조(교회의 가시적이고 외적인 형상)를 본 것

은 드물었다. 그러나 교회가 맞게 되었던 안팎의 여러 상황

들 - 동서교회의 분열, 재일치를 위한 687년의 니체아 공의

회, 그레고리오 교황의 대개혁이후 교회와 국가 사이에 야기

된 대립의 첨예화 등 -교회로 하여금 보편 교회 (Ecclesia

universalis) 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게 하였

다. 보편 교회는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와 연결되고, 로마의

교회가 전체 교회를 대변한다는 것이다. 이런 서술들 가운데

교황은 자연스럽게 그리스도의 대리자(Vicarius Christi) 로

부각되었다. 즉 구세사적 견지에서 교회는 종말론적 구원의

현존보다는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인 교황의 통치 아래에 있

는 조직화된 공동체가 된다. 이러한 교회의 구조적이고 가견

적인 요소들이 15세기에 신학적으로 주제화도있고 ‘교회론’

이라는 독립된 과목 (De Ecclesia Catholica Romana) 으로

등장하였다. 즉 세속적인 영향과 황제의 권한에서 해방되고

독립하기 위해 교황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면서 ‘완전한 사회’

(Societas perfecta, 제1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에 대한 정

의)인 교회에 대한 신학적 숙고가 이때 이미 시작된 것이다.

이로써 교회를 구세사적 구원론적으로만 서술할 것이 아니라

보편적 교회의 일치와 전통성을 위해 구조적. 제도적인 면모

를 설명해야 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한편 교회를 대상화시켜 독립 학문 분야로 탐구하는데는

교회의 구조와 그 직무의 초자연적 규정에 대한 외부의 거센

비판이 한몫을 차지했다. 이미 12세기에 영성주의자(spiritualist)

들과 이원론을 주장하는 이단들은 교회의 구조나 제도 등 교회

의 시공성이나 가시적 요소를 부정했다. 이 주장은 이후 종교개혁

과 이성주의 (rationalismus)에서 더욱 발전 심화되어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그리고 교회에 대한 거세 외적 비판은 교회로 하여금

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대한 이론적 성찰을 더욱 깊이 하도록 하

였다. 종교 개혁자인 후스(Hus) 나 위클리프(Wyclef) 등 영성주의

자들은 아오구스티노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해석하여 교회를 영적

으로만 파악하였다(Ecclesia praedestinatorum). 그리하여 그리

스도교의 교회적이며 사회적인 실제의 의미를 축소하거나 거부하

려 했다.


이런 주장에서부터 교회의 구성원 문제가 첨예하게 등장하였고,

그에 대응하여 교회의 구성원은 반드시 가시적이요 역사적인 교회

의 유기적 구조 (organismus) 에 속해야 함을 신학적으로 강조하

였다. 이와 같은 교회의 가시적 구조와 제도를 통한 구원의 중재

에 대한 밖으로부터의 거센 비판은 결국 신학에서 교회를 정의할

때 은총의 실재로 파악하기보다는 법적이요 가시적인 실재를 더

강조하도록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과정에서 교회론이 다루는 주

제들은 양적으로 점점 늘어났다. 그러나 질적으로는 교부들이나

중세 초기의  구세 경륜적 사고에 비해 매우 미약해졌다. 이로써

당시의 교회론은 교황의 교도권과 교계 제도를 설명하는 정도로

축소된 인상을 지을 수 없게 하였다.


참고 : 한국가톨릭대사전 제2권 1995년판

 

                                 - 계  속 -



889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