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일강론

부활 제4주일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성소 주일 담화(다해) 요한 10,27-30; ’22/05/08

인쇄

심흥보 [peters1] 쪽지 캡슐

2022-05-03 ㅣ No.5013

부활 제4주일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성소 주일 담화(다해) 요한 10,27-30; ’22/05/08

여러분도 그들 가운데에서 부르심을 받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었습니다.”(로마 1,6)

인류 가족을 이루라는 부르심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는 선의를 지닌 모든 이와 더불어 인류 가족을 이루고 인류 가족의 상처를 치유하며 더 나은 미래로 이끄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59차 성소 주일을 맞이하여 저는 시노드 정신을 살아가는 교회, 곧 하느님과 세상에 귀 기울이는 교회라는 맥락 안에서 성소의 더 넓은 의미를 여러분과 함께 성찰하고자 합니다.

 

모든 이가 교회 사명의 주체가 되라는 부르심

함께하는 여정인 시노달리타스(synodalitas)는 교회의 본질적인 성소입니다. 우리는, 교회가 복음을 전하고 자기 바깥으로 나가며 역사 안에 복음의 씨앗을 뿌리기 위하여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제는 주체이고 평신도는 실행자라는 사고방식을 경계하며, 평신도와 사목자가 하느님의 한 백성으로 그리스도의 사명을 함께 이어나가야만 합니다. 교회 전체는 복음을 전하는 공동체입니다.

 

서로의 보호자 그리고 피조물의 보호자가 되라는 부르심

성소라는 단어를 특별한 축성 생활을 통해서 주님을 따르는 이들을 지칭하는 단어로 한정을 지어서는 안 됩니다. 모든 이는, 심지어 그리스도를 만나고 그리스도 신앙을 받아들이기도 전에 생명이라는 선물과 함께 근본적인 부름을 받습니다. 우리는 저마다 하느님께서 바라시고 사랑하셔서 창조된 피조물입니다. 우리는 피조물의 눈부시게 훌륭한 공동의 집에서, 그 구성 요소들의 조화로운 다양성 안에서 단 하나의 가족이 되라고 부름받았습니다. 이러한 넓은 의미에서 개개인들뿐만 아니라 민족, 공동체, 다양한 분야의 단체들도 성소를 가집니다.

하느님 눈길을 환대하라는 부르심

하느님께서는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을 특별히 부르십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 사랑으로 우리 삶을 어루만지시며 우리의 최종 목적, 곧 죽음의 문턱을 뛰어넘는 충만으로 이끄십니다.

 

하느님 사랑의 눈길은 늘 우리에게 닿아 있고 우리를 어루만지며, 우리를 해방시키고 변화시켜 우리가 새사람이 되게 합니다. 우리를 부르시는 하느님의 눈길을 우리는 받고 있습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맡겨주시는 성소에 더욱더 마음이 열리도록 하느님 말씀에 귀 기울입시다! 또한 믿음 안의 형제자매들에게 경청하는 법을 배웁시다.

 

하느님 눈길에 응답하라는 부르심

사랑과 창조의 하느님 눈길은 예수님을 통하여 독자적인 방식으로 우리에게 닿습니다. 사랑이 넘치는 예수님의 눈길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머뭅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예수님의 이러한 눈길에 마음을 움직여 우리 자신에게서 벗어나 그분의 이끄심에 내어 맡깁시다!

 

우리의 삶은 이러한 눈길을 환대할 때 변화합니다. 모든 것이 우리 자신과 주님 그리고 우리 자신과 다른 이들이 나누는 성소의 대화가 됩니다. 깊이 있는 대화는 우리가 더욱더 본연의 모습이 되게 만듭니다. 다른 이들과 세상을 하느님의 눈으로 바라보라고 우리를 부르는 모든 교회 성소와 직무 안에서 말과 행동을 통하여 선에 봉사하고 사랑을 널리 전하게 됩니다.

 

형제적 세상을 이루라는 부르심

우리는 함께 부름받았습니다. 각각 그 자체로도 사랑스럽지만 모두 함께 모여 있을 때만 하나의 그림을 이룹니다. 이러한 까닭에 교회는 더욱더 시노드 정신을 살아갑니다. 이것은 하느님의 꿈을 실현하는 것이며, 예수님께서 품으셨던 형제애의 위대한 전망을 실현하는 것입니다. 교회 안에서 그리고 더 넓게는 사회 안에서 각 성소는 공동의 목적에 이바지합니다. 성령께서만 이루실 수 있는 다양한 은총의 조화를 모든 이 가운데 널리 알리려는 목적입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역사의 비극적인 사건들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에서 하느님 백성이 이러한 부르심에 더욱 잘 응답하도록 기도합시다. 우리가 모두 이 위대한 하느님 계획안에서 우리 자신의 고유한 자리를 찾고 최선을 다하도록 성령의 빛을 청합시다!

 

로마 성 요한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프란치스코

 

전문 https://cbck.or.kr/Notice/20220369?gb=K1200

 

 

------------------------------------------------------------

 

 

 

 

 

 

아울러 오늘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불자들에게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에서 희망찬 회복을 위하여 함께하는 불자들과 그리스도인들이라는 주제로 경축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친애하는 벗들인 불자 여러분

1. 부처님의 탄생과 열반과 깨달음을 기념하는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는 전 세계 불자 여러분의 공동체에 진심 어린 인사를 전합니다

 

2. 3년째 계속해서 전 세계 사람들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비롯한 생태 위기와 관련된 잦은 자연재해는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시민인 우리의 나약함을 드러내 보여 주고 있습니다.

 

3. 물질적 부를 추구하며 영적 가치들을 저버리는 일은 사회에 전반적인 도덕적 쇠퇴를 가져왔습니다. 자기 종교의 고결한 원칙들에서 힘을 얻는 종교인들은 작은 등불일지언정 희망의 등불이 되도록 아낌없는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4. 부처님과 예수 그리스도님께서는 비록 각자 다른 길을 통해서지만, 당신들을 따르는 이들을 초월적 가치로 이끌어주십니다. 부처님의 고결한 진리는 고통의 기원과 이유를 설명하며 고통을 멈추는 팔정도(八正道)를 제시합니다. 그 가르침은 탐욕과 권력 행사로 이어지는 끊임없는 욕심에 대한 치유책이 됩니다.

 

5. 우리는 우리의 영적 전통 안에 숨은 보물들을 드러내어 인류가 회복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불자들은 팔정도를 통하여 사회 문제에 참여하고자 연민과 지혜를 함양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은 그 보물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6. 우리는 희망이 우리를 절망에서 구해 준다고 확신합니다. () 팃낙한 스님은, “희망이 현재의 순간을 감내하는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내일 더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다면, 오늘 우리는 고난을 견디어 낼 수 있습니다라고 하셨습니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하여 우리 함께 일합시다!

 

7. 친애하는 벗 여러분, 여러분의 부처님 오신 날 경축이 끊임없이 희망을 살아 있게 하고 현재의 위기로 발생한 역경을 달게 받아들이고 그에 응답하는 행동을 이끌어내기를 바랍니다

 

 교황청 종교간대화평의회 의장 미겔 앙헬 아유소 기소 추기경

사무총장 인두닐 자나카라타나 코디투와꾸 칸카남라게 몬시뇰

 

전문: https://cbck.or.kr/Notice/20220366?gb=K1200

 

-------------------------------------------

 

부활 제4주일 꽃꽂이

https://bbs.catholic.or.kr/home/bbs_view.asp?num=13&id=186806&Page=2&menu=frpeterspds2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2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