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곡성당 자유게시판

성모성월 유래와 의미

인쇄

권태익 [sysmax62] 쪽지 캡슐

2013-05-14 ㅣ No.11099

배경음악 - La Novia(나노비아)



5월과 성모를 처음으로 연결시킨 사람은 카스티야(스페인의 중부 옛 왕국)의 왕 알폰소 10세(1221 - 1284).

그는 5월이 주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성모가 우리에게 주는 영적 풍요로움을 연결 5월 한달간 특별히 마리아에게 기도하자고 권고했다.

이때부터 5월을 성모의 달로 기념하는 전통이 서방교회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성모성월이 구체화한 것은 17세기말. 1677년 피렌체 부근의 도미니코 수도회 수련원에 성모를 특별히 공경하는 단체가 생겨 5월 중에 성모께 봉헌하는 축제를 마련 성모호칭기도 를 바치고 마리아에게 장미 화관을 봉헌하는 등 성모신심을 고취시켰다.

이같은 행사는 그 뒤 유럽교회 전역으로 퍼져 나갔고 여러 신학자들이 성모성월 이라는 책을 내놓으면서 이를 정착시키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황 비오 9세가 1854년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를 선포한 후 성모신심은 절정에 달했으며 성모성월 행사는 공적으로 거행되기 시작했다.

교회가 성모성월을 제정한 것은 인간 구원을 위해 끊임없이 간구하고 있는 성모님의 은혜에 감사하기 위해서다. 또 성모 마리아가 보여준 하느님께 대한 순명과 사랑을 본받기 위해서다.

그리스도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고 평생을 하느님의 뜻에 순종했고 하늘나라에 불려 올라간 성모는 하느님과 얼굴을 마주뵙기를 염원하는 모든 그리스도인의 모범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전통적으로 성모를 하느님의 어머니 평생 동정이신 마리아 원죄없이 잉태되신분 신앙인의 모범 등으로 부르며 공경한다.교회가 성모를 하느님의 모친으로 공경하는 것은 성령으로 하느님이신 말씀을 낳았기 때문이다.

또 성모는 하느님의 아들 예수의 어머니이자 예수를 주님으로 모시는 모든 그리스도인의 어머니도 된다.예수가 죽음과 부활로 우리를 하느님을 아버지 로 부르는 자녀로 만들어 주셨기 때문이다.

교회는 또 성모를 평생 동정녀라고 고백한다. 이는 하느님이 하고자 하면 얼마든지 처녀에게서 인간을 잉태할 수 있다 는 믿음의 표현이다. 또 예수가 참 하느님이며 참 인간 이라는 신앙 고백의 의미도 있다.

예수가 단순한 인간이라면 성모는 동정일 수 없지만 예수는 참 하느님이기에 출산 후에도 평생 동정녀라는 것이다.

교회는 나아가 복되신 동정녀 마리아는 잉태된 첫 순간부터 인류의 구세주이신 예수의 공로와 전능하신 하느님의 유일무이한 특전으로 말미암아 원죄에 물들지 않고 순수하게 보존되었다 고 고백한다.

마리아는 여느 인간들과 똑같은 인간이지만 하느님 아들을 잉태하는 거처가 되기 위해서는 완전한 순결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논리적 귀결에 따른 신앙 고백이다.

하느님의 선택을 받아 원죄없이 태어났고 하느님의 어머니가 될 정도로 완전함을 간직했던 성모는 세상 삶을 마친 다음 육신과 영혼이 함께 하늘로 승천했다고 교회는 가르친다.
 
그리스도와 완전한 일치를 이루면서 평생을 하느님 뜻에 순종했고 하늘나라에 불려 올라간 성모는 하느님과 얼굴을 마주뵙고 천상영광과 영원한 생명을 염원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모범이다.

 La Novia(나노비아)(색소폰연주)



6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