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90 |
교리산책: 미사 때 촛불을 켜는 의미는?
|
|
2017-04-18 |
주호식 |
4,660 | 0 |
| 1789 |
펀펀 사회교리: 선거와 공동선
|
|
2017-04-17 |
주호식 |
2,988 | 0 |
| 1788 |
[교리용어] 영성 신학에 있어 영성(靈性)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 ...
|
|
2017-04-17 |
소순태 |
3,087 | 0 |
| 1787 |
[교리용어] 번역 용어인 영성(靈性) 은 영혼을 그 형상으로 가지는 인간의 ...
|
|
2017-04-17 |
소순태 |
3,079 | 0 |
| 1786 |
[교리용어] 번역 용어들인 명오(明悟) 와 영명(靈明) 의 정의(defin ...
|
|
2017-04-17 |
소순태 |
3,061 | 0 |
| 1785 |
[교리용어] 사추덕(四樞德) 이라는 용어의 최초 출처는 구탁일초 권6, 제 ...
|
|
2017-04-17 |
소순태 |
3,169 | 0 |
| 1784 |
[교리용어] [법리새]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19,7에서 口法口利口賽 라는 ...
|
|
2017-04-17 |
소순태 |
3,049 | 0 |
| 1783 |
[교리용어][가성직제도] 비사파(?斯坡)라는 음역 용어의 최초 출처는 16 ...
|
|
2017-04-17 |
소순태 |
3,074 | 0 |
| 1782 |
[교리용어] 성교절요의 십계명 제1계에 대한 월권의 자의적 해설들이 한문문 ...
|
|
2017-04-17 |
소순태 |
3,163 | 0 |
| 1781 |
[교리용어] [교요해략] 이벽 성조의 성교요지 17,7-8에서 일부 용어들 ...
|
|
2017-04-17 |
소순태 |
3,097 | 0 |
| 1780 |
[교리용어] 마태오 리치가 이해한 음양(陰陽)의 의미
|
|
2017-04-17 |
소순태 |
3,240 | 0 |
| 1779 |
사회교리 아카데미: 부활, 그것은 세월호 희생자들의 염원에 연대하는 것입니 ...
|
|
2017-04-17 |
주호식 |
3,152 | 0 |
| 1778 |
[교리용어] 혼백(魂魄) 에서 마태오 리치가 이해한 혼(魂) 과 백(魄) ...
|
|
2017-04-17 |
소순태 |
3,012 | 0 |
| 1777 |
[교리용어] 성교(聖敎) 와 공교(公敎) 어느 것도 교회(敎會)를 말하는 ...
|
|
2017-04-17 |
소순태 |
2,988 | 0 |
| 1776 |
[교리용어] 신상(神像), 우상(偶像) 등의 번역 용어들의 출처와 기원
|
|
2017-04-17 |
소순태 |
2,862 | 0 |
| 1775 |
[교리용어] 천주교, 천주교인, 천주교회 등의 번역 용어들의 최초 출처
|
|
2017-04-17 |
소순태 |
3,018 | 0 |
| 1774 |
[교리용어] 교당(敎堂) 이라는 번역 용어의 최초 출처는?
|
|
2017-04-17 |
소순태 |
3,091 | 0 |
| 1773 |
[교리용어] 성교(性敎), 서교/경교(經敎), 은교/총교(寵敎) 용어들의 ...
|
|
2017-04-17 |
소순태 |
3,307 | 0 |
| 1772 |
신앙의 재발견: 전례력과 전례주년
|
|
2017-04-10 |
주호식 |
9,030 | 0 |
| 1771 |
가톨릭 사회교리서 두캣(Ducat) 유일하고 무한한 가치, 제3장 인간의 ...
|
|
2017-04-10 |
주호식 |
3,561 | 0 |
| 1770 |
교리산책: 성주간의 의미
|
|
2017-04-10 |
주호식 |
4,228 | 0 |
| 1769 |
펀펀 사회교리: 발전과 빈곤
|
|
2017-04-10 |
주호식 |
2,939 | 0 |
| 1768 |
사회교리 아카데미: 박근혜와 세월호
|
|
2017-04-10 |
주호식 |
3,100 | 0 |
| 1767 |
신앙교리: 구원, 사랑의 하느님과의 만남
|
|
2017-04-04 |
주호식 |
4,383 | 0 |
| 1766 |
간추린 사회교리 제2장 교회의 사명과 사회교리를 중심으로: 인간과 인권을 ...
|
|
2017-04-03 |
주호식 |
4,40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