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4-28 ㅣ No.6235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




아도 무카 스바나사나(Adho Mukha Svanasana)는 산스크리트어로 Adho는 아래로, Mukha는 얼굴, Svanasana는 개로 해석되어 얼굴을 아래로 향한 개 자세라는 뜻이다.

개가 기지개를 켜는 모습을 형상화한 자세를 가리켜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 또는 아도 무카 스바나사나(Adho Mukha Svanasana 엎드린 개 또는 다운독 자세) 혹은 견상자세라고 한다.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는 엉덩이를 들어 올리고 팔과 다리를 쭉 편 자세로 가장 효과적인 전신 스트레칭 운동 중 하나이다.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는 전신의 유연성과 근력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운동으로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여러 근육을 자극해 지친 우리 몸에 활기를 불어넣어 준다.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앞으로 엎드린 테이블 자세로 준비한다. 무릎은 엉덩이 아래, 손은 어깨 아래 위치하도록 한다. ②다리를 펴면서 뒤꿈치를 바닥에 붙이고 힙을 높이 들어 올린다. 이때 허리라인이 일자가 되도록 어깨를 눌러준다. 머리는 어깨 사이에 편안하게 두고 시선은 발끝 쪽에 둔다. ③2-3회 깊고 편안한 호홉과 함께 자세[를 유지한 후 원래 차례로 돌아가 동작을 2-3회 반복한다.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 효과는 둔부, 햄스트링, 종아리를 강하게 스트레칭하는 효과가 있다. ②구부정한 어깨와 등을 바르게 펴줄 뿐만 아니라 팔, 어깨의 근력을 강화한다. ③혈액순환을 촉진해 체내 노폐물을 제거하고 에너지를 공급해 우리 몸에 활력을 전달한다. ④머리가 아래로 향하고 여려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⑤발목을 유연하게 하고 발을 연결하는 족저근막을 포함한 발바닥 주변의 작은 인대와 근육을 스트레칭하고 강화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042 1

추천 반대(0) 신고

다운독 자세(Adho Mukha Svanasana),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