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3-04-29 ㅣ No.6236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는 근대 시민계급의 이념을 담은 자연스럽고 근대적인 육감을 드러내는 인체미를 강조했다. 당시 코르셋은 육체를 억압하면서 자기 훈련을 통해 이상적 신체를 만들기 위한 도구로 이용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탈 코르셋 운동은 코르셋으로 자신의 몸을 혹사하던 당대의 관행에 맞서며 여성들도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권리를 얻기 위한 운동이었다.

탈 코르셋 운동은 오늘날 패션계에 불어오는 신체 긍정주의,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운동의 일환이다. 여성을 외모로 판단하는 풍조와 사업장의 불필요한 외모 규정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안경을 쓴 아나운서가 생겼고, 스튜어디스의 용모 규정이 바뀌면서 사회적 인식이 변화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사회가 부여한 이상적인 미적 기준에서 벗어나 나를 보이는 그대로 사랑하자는 운동을 가리켜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라고 한다.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운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거세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핀터레스트(pinterest)는 신체 긍정주의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체중 감량 관련 광고를 전면 금지했고, 신체에 수치심을 줄 수 있는 문구를 인용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975 1

추천 반대(0) 신고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