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6일 (일)
(녹) 연중 제11주일 어떤 씨앗보다도 작으나 어떤 풀보다도 커진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페르세포네 콤플렉스(Persephone Complex)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07-26 ㅣ No.5961

                                                                        페르세포네 콤플렉스(Persephone Complex)




인간은 어떤 관계에서는 최소한의 심리적 거리감을 필요로 한다. 건강한 심리적 거리감은 한 개인의 독립된 존재로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을 마련해주기 때문이다. 페르세포네 신화는 모녀의 이야기이자 분리와 재결함의 이야기이다. 어머니는 소녀들에게는 탄생 이후부터 보살핌을 받아온 가장 의지하는 대상이나 또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이나 역할을 모델링하는 대상이므로 어떤 관계보다도 분리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어머니 데메테르의 과도한 보호와 집착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딸 페르세포네의 심리적 경향을 가리켜 페르세포네 콤플렉스(Persephone Complex)라고 한다. 자식에게 집착하는 부모는 자신의 헌신과 희생을 볼모로 자녀를 조종하려 하고, 자신의 영향력 아래 가둬 두려고 한다. 그리고 자녀에게는 바깥세상의 위험 때문에 그러는 것이라고 설득한다. 딸의 입장에서 이것은 은연 중에 어머니에 대한 죄책감을 심어주고 또 이로 인해 세상에 대한 두려움을 내재화하게 된다. 따라서 부모와의 철저한 단절, 그로 인한 상실감을 겪어야 주체적인 자신만의 삶을 설계할 수 있다. 이 개념을 어머니 데메테르의 입장에서 반대로 뒤집어보면, 딸에게 지나치게 집착해서 딸을 놓아주기 힘들어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경향은 데메테르 콤플렉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페르세포네 콤플렉스(Persephone Complex)는 대지의 어머니이자 곡물의 수호신 데메테르와 그녀의 딸 페르세포네의 신화에서 유래했다. 페르세포네는 데메테르와 제우스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어머니인 데메테르가 애지중지하는 아름다운 소녀였는데, 어느 날 들판을 산책하다 지하의 신 하데스의 눈에 띄어 지하세계로 납치된다. 이에 어머니 데메테르는 어떤 위험이 딸의 인생을 파괴할지 몰라 전전긍긍하며 백방으로 딸을 찾아다니고 그녀의 분노와 고통이 지상의 기근과 가뭄으로 이어지자 제우스가 전령 헤르메스를 통해 페르세포네를 돌려줄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페르세포네는 지하세계의 석류를 먹은 후였기에 그 세계를 완전히 떠날 수는 없게 되었고 결국은 한 해의 1/3은 지하세계의 여왕으로 하데스와 함께 하고 나머지 기간은 지상세계에서 어머니와 함께 지내는 걸로 타협하게 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832 1

추천 반대(0) 신고

페르세포네 콤플렉스(Persephone Complex),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