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일 (월)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소작인들은 주인의 사랑하는 아들을 붙잡아 죽이고는 포도밭 밖으로 던져 버렸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노자의 섭생 1

스크랩 인쇄

민극기 [min9399] 쪽지 캡슐

2022-12-01 ㅣ No.2290

노자의 섭생

 

대추나무에 대추를 많이 열리게 하려면 염소를 매어 놓는다고 합니다.

묶여있는 염소는 특성상 잠시도 그냥 있지 않고 고삐를 당기며 나무를

흔들어 괴롭힙니다.

그러면 대추나무가 잔뜩 긴장하면서 본능적으로 대추를 많이 열도록 하여

열매를 번식시키려는 필사적 노력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식물들이 위기를 느끼면 씨앗 번식에 전력을 다하는 것은 생명에 위기를

느낀 소나무가 솔방울을 많이 만드는 예에서도 볼수 있는 현상입니다.

 

우리 몸도 그냥 편히 두면 급속히 쇠퇴하고 질병과 노화에 취약해 집니다.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고 굽혔다 펴기도 하고 흔들어 주고 문질러 주고

비틀어 주기도 하여야 생기가 살아나고 더욱 발랄해집니다.

 

노자는 이러한 논리를 귀생(貴生)과 섭생(攝生)으로 설명했습니다.

 

*귀생(貴生):

자신의 생을 너무 귀하게 여기면 오히려 생이 위태롭게 될 수 있고,

 

*섭생(攝生):

자신의 생을 적당히 불편하게 억누르면 생이 오히려 더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가르침입니다.

 

선섭생자, 이기무사지(善攝生者, 以基無死地)

섭생(攝生)을 잘 하는 사람은 죽음의 땅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내 몸을 적당히 고생시키는 '섭생''건강'한 생을 산다는 것을 설파한 노자의 지혜가 오늘날에 더욱 돋보입니다.

 

기분이 우울하면 걸어라.

그래도 여전히 우울하면 다시 걸어라.

(히포크라테스 명언 )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691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