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5일 (화)
(백)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 남북통일 기원 미사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다.

"성경 속에는 어떤 동물, 어떤 식물이 나올까?"

스크랩 인쇄

서울대교구문화홍보국 [commu] 쪽지 캡슐

2009-11-26 ㅣ No.549





"성경 속에는 어떤 동물, 어떤 식물이 나올까?"

[신간] 성경 속 동물과 식물

허영엽 신부 지음(평화방송·평화신문/신국판/280쪽/값 12,000원)

 

 

평화방송·평화신문 www.pbc.co.kr ☎2266-1591

 

3천 쪽에 달하는 신구약 성경(한국천주교주교회의 발행, 2005) 속에는 인명, 지명뿐만 아니라 수많은 동물과 식물이 등장한다. 우리 인간의 삶과 깊은 연관을 갖는 동식물들이 성경시대에는 어떤 의미를 갖고 있었을까?

서울대교구 문화홍보국장과 대변인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허영엽 신부가 그런 궁금증을 풀어줄 책을 냈다.

 

2006년 5월부터 2008년 4월까지 90여 차례에 걸쳐 평화신문에 연재한 글들을 모아 ‘성경 속 동물과 식물’(평화방송·평화신문)을 펴낸 것. 허 신부의 글은 연재 당시에도 높은 열독률로 유명했다.

 

성경 속 동물과 식물

허영엽 신부 지음/신국판/280쪽/값 12,000원


 

성경에서 혐오스러운 동물로 구분됐던 갈매기를 비롯한 48가지 동물, 하느님 나라를 설명하는데 비유로 등장했던 가라지를 비롯한 40가지 식물을 자세한 예화와 성경 구절을 덧붙여 소개하고 있다. 동식물의 생태에서 인간이 본받아야 할 교훈도 엿볼 수 있도록 친절하게 이끌어준다. 펜으로 그린 다양한 삽화도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추천사(정진석 추기경)

과거보다 분명히 외적인 풍요를 누리고 있으면서도 내적인 공허감이 현대인의 마음속에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또한 현실입니다. 이럴 때일수록 우리 삶의 진정한 행복을 위해 하느님의 말씀을 더 가까이하고 인생의 근본으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 교구의 허영엽 신부님이 평화신문에 수년간 기고했던 ‘성경속 동식물’을 한권의 책으로 엮는다니 애독자의 한사람으로서 기쁩니다. 이 책이 부디 삶의 허기와 갈증을 느끼는 이들에게 생명의 책인 성경을 가까이 하는 작은 도구가 되기를 바랍니다(정진석 추기경).

 

발간사(오지영 신부)

성경의 세계는 참으로 풍요롭습니다만 낯설기도 합니다. 성경의 언어와 시대와 장소, 그리고 무엇보다도 성경의 민족인 히브리 백성의 사고방식과 생활양식 등 문화가 우리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의 세계에 더 가까이 다가가고 하느님 말씀을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길잡이들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성경 입문서와 해설서들이 그런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허영엽 신부님의 「성경 속 동물과 식물」은 조금 특별한 길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 나오는 동식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동식물 중에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것들도 있지만 설명해 주지 않으면 알 수 없는 것들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기에 성경 속 동식물에 대해 알고 나면 성결 말씀을 더 쉽고 생생하게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오지영 신부·평화방송 평화신문 사장).

 

여는글(허영엽 신부)

창세기는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 해와 달, 동물과 식물 등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만드신 후 흙으로 사람을 빚으셨다고 전합니다. 이처럼 동식물은 우리 인간의 삶과 깊은 연관을 갖습니다. 하느님의 창조 질서에 충실히 살아가는 동식물의 생태를 주의 깊게 살펴보면 배울점은 또 얼마나 많은지요.

성경 말씀을 잘 이해하기 위해 성경에 나오는 동ㆍ식물을 하나씩 찾아 정리하던 것이 평화신문에 연재를 시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햇수로 3년 동안 매주 새로운 동식물을 알아가고 그 안에 깃들인 하느님의 섭리를 깨달아가는 과정들은 그야말로 ‘꿀송이보다 달콤한’(집회서 24장 20절) 시간이었습니다(허영엽 신부).

 

지은이 소개

허영엽(마티아)는 1984년에 사제품을 받은 서울대교구 소속 사제이다. 수유동, 반포 보좌신부를 거쳐 독일 유학을 다녀와 구파발, 가좌동 주임신부, 성서못자리 전담신부로 사목 했다. 현재는 천주교 서울대교구 문화홍보국장 겸 교구의 공식 입장을 전하는 대변인으로 일하고 있다. 서울대교구 매스컴위원회 부위원장, 영성심리상담교육원 사무국장등 왕성한 사목 활동과 함께 틈틈이 일간지, 교계 신문, 잡지 등에 기고하고 있다.

지난 10여 년 동안 성서에 관한 이야기들을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주제별로 평화신문에 연재하고 있다.

저서로는 ‘지혜로운 삶을 위한 묵상’, ‘말씀을 따라서(신약편, 구약편)’, ‘복음서는 어떻게 기록되었나’ ‘성서의 인물(구약편, 신약편)’ ‘성서의 풍속’ ‘신부님, 손수건 한 장 주실래요?’등이 있다.

2008년 4월부터는 매주 평화신문에 ‘성경 속 상징’을 연재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정진석 추기경)

발간사(오지영 신부·평화방송 평화신문 사장)

여는글(허영엽 신부) - 성경 속 동식물을 찾아서!

 

제1부 동물

겨울 철새 갈매기

이방인에 비유된

하느님의 재앙인 개구리

지혜의 상징인 개미

해충잡는 거미

황폐의 상징인 고슴도치

힘을 상징하는

행운의 새 공작

가을을 부르는 곤충 귀뚜라미

하느님의 봉사자가 된 까마귀

성실한 사람들의 상징 꿀벌

겸손과 봉사의 상징 나귀

신비한 동물 낙타

느리지만 근면한 달팽이

해방과 강함의 상징 독수리

유다인에게 생소했던 돌고래

이방인을 상징한 돼지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들소

용맹스럽고 신성한

혐오스런 새

재앙을 상징하는 메뚜기

하느님이 마련하신 메추라기

하느님의 재앙으로 쓰인 모기

초대교회 믿음의 상징 물고기

날아다니는 포유류 박쥐

죽음과 생명을 동시에 상징하는

작고 미소한 존재의 상징인 벼룩

사랑과 평화의 상징 비둘기

고고하고 점잖은 사슴

정의로 심판하는 하느님을 상징하는 사자

가족과도 같은

회개의 상징인 수탉

힘과 권력의 상징인 악어

하느님의 어린양

교활한 동물 여우

유다인의 삶과 밀접한 염소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오디새

상상의 동물

거짓 예언자를 상징한 이리

이단과 악마의 상징인 전갈

귀소성이 강한 제비

부정한 동물

온순하고 영리한 코끼리

미련하고 어리석은 타조

재빠르고 날쌘 표범

하찮은 것 상징하는 하루살이

결속력 강한 하이에나

귀하고 친밀한 황새

 

제2부 식물

유독식물 가라지

가시 면류관을 만든 가시나무

하느님 자비를 드러내는 갈대

하느님 나라에 비유된 겨자씨

약초로 사용한 고수풀

이방인의 축제 때 사용한 담쟁이덩굴

향기로운 도금양나무

자캐오가 오른 돌무화과나무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갈망했던 마늘

인간의 영원한 삶을 상징한 몰약

평화와 안정의 무화과나무

축복의 근원이 된

인류의 역사화 함께 한 박하

생명력의 상징 버드나무

가난한 사람들의 식량인 보리

신성한 상수리나무

귀하고 비싼 샤프란

아름다움과 거룩함을 상징하는 석류

부기와 열을 가라앉히는 수박

행복과 기쁨의 꽃 수선화

그늘을 만들어주는 싸리나무

인간에게 귀찮지만 긴요한 쐐기풀

신이 축복한 식물 아마

거룩한 나무 아카시아

늘 푸른 에셀나무

가난한 이들의 양식 오이

승리와 평화의 상징인 올리브나무

은총의 풀 운향

거룩한 향료 유향

전설 속의 나무 은백양

중요한 식량인 잠두

힘과 능력의 상징인 잣나무

가난한 이들의 식량 쥐엄나무 열매

영양가 높은 불콩

부활을 상징하는 편도나무

평화와 축복의 상징 포도

사랑의 묘약 합환채

강인하고 아름다운 향백나무

사랑의 꽃 헤나

생명과 불멸의 상징 호두나무

 

 

 

서울대교구 문화홍보국 언론홍보팀 마영주

 

 



1,34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