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설 과일 어떻게 보관하면 좋을까

스크랩 인쇄

이장성 [jslee9742] 쪽지 캡슐

2010-02-13 ㅣ No.592

oaxoax님이 촬영한 Fall Fruit.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설 제수용으로 구입했거나 선물로 받은 과일의 맛과 선도 및 안전관리를 위해 소비자가 알아두어야 할 과일의 보관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과일은 종류에 따라 같이 보관해서는 안되는 과일이 있고, 이 외에도 보관온도 및 보관방법도 다르므로, 사과의 경우 사과에서 나오는 ‘에틸렌’ 이라는 가스 때문에 다른 과일과 따로 보관해야 한다.

이 에틸렌 가스는 식물 호르몬의 일종으로 씨앗의 싹을 돋게 하기도 하고, 잎을 떨어뜨리거나 열매를 잘 익게 하는 역할을 한다.

포도처럼 알갱이가 있는 과일은 알갱이가 빨리 떨어지게 되고, 배, 참외, 감 등의 딱딱한 과일들은 금방 물러져 따로 보관해야 한다. 다만, 수확 후 바로 먹는 과일이 아닌 일정기간동안 숙성과정을 거친 후 먹는 바나나, 키위, 토마토, 멜론, 파인애플 등의 과일을 단기간에 맛있게 섭취하길 원한다면 같이 보관할 수도 있다.

제수용 과일로 주로 사용되는 사과, 배, 단감 등의 적정보관온도는 대개 0~2도이나, 이 외 바나나, 토마토, 파인애플 등은 낮은 온도에서는 품질이 현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저온보관은 피해야 하며, 과일 건조를 막기 위해서 비닐팩 등에 싸서 보관할 경우에는 완전히 밀폐시키기 보다는 비닐팩에 2-3개의 구멍을 뚫어 산소를 공급해야 과일이 시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과일을 상자채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는 그늘지고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곳에 두도록 한다.

토마토와 딸기, 파인애플 등 꼭지가 있는 과일들은 씻거나 꼭지를 제거해 보관하면 금방 물러지기 때문에 먹기 직전에 세척하거나 꼭지를 제거하도록 하며, 파인애플은 밑 부분을 위로가게 해서 세워두면 밑부분에 몰린 당분이 전체적으로 퍼지게 되어 맛을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손상된 과일은 손상부위에 곰팡이가 피기 쉬우므로 다른 과일과 같이 보관해서는 안된다.

식약청은 명절 남은 과일들을 그 특성에 맞게 올바르게 보관해 맛과 영양이 유지된 과일을 섭취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584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