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묻고답하기 천주교 ㅣ 성경 ㅣ 7성사 통합게시판입니다.

q [사설] ‘사회적 새로운 복음화’를 향한 쇄신-----가톨릭 신문(2014-6-29)

인쇄

유타한인성당 [kccu] 쪽지 캡슐

2014-07-05 ㅣ No.10427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사설] ‘사회적 새로운 복음화’를 향한 쇄신


발행일 : 2014-06-29 [제2901호, 23면]

교황 방한 일정이 최종 확정됨에 따라, 한국교회는 본격화된 교황 방한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됐다. 그 일환으로 마련된 ‘프란치스코 교황 시대 한국 천주교회의 응답’ 심포지엄에 참석, 기조강연을 한 교황청 정의평화평의회 사무총장 마리오 토소 주교는 ‘사회의 새로운 복음화’를 증진하는데 큰 힘이 되는 교황권고 ‘복음의 기쁨’을 토대로 사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영성에 매몰되기 쉬운 신앙 생활을 경계하고, 이러한 닫힌 신앙은 사랑의 요구, 강생의 논리에 반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미 교황 프란치스코의 언행과 문헌들을 통해서 명백하게 나타나는 것이지만,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이 개인주의적인 사적 신심에 닫혀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간 한국교회 안에서는 종교와 신앙이 사회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언급하고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 종교와 신앙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이라는 오해가 만연해 있던 것이 사실이다.

토소 주교는 강연과 별도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더욱 분명하게 적시했다. 그는 회견에서 정치생활에 대한 참여가 ‘그리스도인들의 소명이자 도덕적 의무’라며 이를 정치 간섭이라고 비난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지적했다. 가난한 이웃에 대한 사랑, 하느님의 정의와 평화에 바탕한 식별을 통해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정치와 사회 문제에 참여하는 것이 마땅하고 정당한 의무라는 것이다.

토소 주교의 이러한 설명은 교황이 가르친 바 “교회의 사목자들은 인간 생활과 관련되는 모든 것에 대한 의견을 개진할 권리가 있다”는 권고, 그리고 평신도의 의무와 관련해 “정의를 위한 투쟁에서 비켜서 있을 수 없으며 그래서도 안된다”는 지적과도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이다. 신앙이 사회와 갖는 깊은 관련성과 거기에서 나오는 참여의 의무에 대해 다시 한 번 주의를 환기할 필요가 있다.



666 0댓글쓰기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