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제임스-랑케 효과(James-Range effect)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16-11-30 ㅣ No.3911

 


제임스-랑케 효과(James-Range effect)



신체적 변화와 감정적 변화는 서로 어떤 관계에 있을까? 자극이 오면 마음 곧 감정적 변화가 먼저 발생하고 나중에 신체적 변화가 생겨나는 것일까? 아니면 먼저 신체적 변화의 느낌이 있고 감정적 변화가 나타날까?

의기소침 할 때 활력있게 행동하고, 자신감 없어 위축될 때 자신 있는 것처럼 행동하고, 우울할 땐 오히려 웃으며 명랑하게 행동하라는 이론이 제임스-랑케 이론(James-Range effect)이다. 슬프니까 울고 기쁘니까 웃는 것이 아니라, 우니까 슬퍼지고 웃으니까 즐거워진다는 이론으로 제임스-랑케 효과(James-Range effect)라고도 한다.


19세기 미국의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와 독일의 랑케(Karl Range 1834-1900)는 정서 때문이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 신체적 변화가 먼저 오고, 그 변화를 지각하기에 특정 정서를 느끼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신체적 변화가 감정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으로 인간 행동의 기본 양식이 되고 있다. 19세기 후반 미국과 독일에서 동시에 발표되었기에 두 사람의 이름을 따서 제임스-랑케 이론(James-Range effect)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522 0

추천 반대(0) 신고

제임스-랑케 효과(James-Range effect),제임스-랑케 이론(James-Range effect),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