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건강ㅣ생활ㅣ시사용어 건강상식ㅣ생활상식ㅣ시사용어 통합게시판입니다.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과 생명보수주의(bioconservatism)

스크랩 인쇄

박남량 [narcciso] 쪽지 캡슐

2022-02-22 ㅣ No.5804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과 생명보수주의(bioconservatism)




오늘날 새로운 담론이 출현해 인류를 생물학적 육체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전통적 휴머니즘을 연장하거나 계승하겠다고 주장하는데 이것이 바로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이다. 트랜스휴머니즘은 감각, 지능, 수명 같은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넘어서려는 첨단 과학기술 운동이다.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은 과학 기술을 사용하여 인간의 정신적 및 육체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총칭하는 말이다. 이것은 장애, 고통, 질병, 노화, 죽음과 같은 인간의 조건들을 바람직하지 않고 불필요한 것으로 규정한다.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에 거부감을 나타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거나 생물학적 본성을 변형하는 데 과학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반대하는 입장을 가리켜 생명보수주의(bioconservatism)라고 한다.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1957년 영국의 진화생물학자인 줄리언 헉슬리(Julian Huxley 1887-1975)가 펴낸 <계시 없는 종교(religion without revelation)> 개정판에 처음으로 등장한 용어이다. 트랜스휴머니즘을 최초로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인물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미래학자인 맥스 모어(Max More)이다. 1990년 발표된 엑스트로피 원칙(principles of extropy)에서 트랜스휴머니즘은 인간을 포스트휴먼 상태로 이끄는 방법을 모색하는 철학의 일종이라고 정의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463 1

추천 반대(0) 신고

트랜스휴머니즘(transhumanism),생명보수주의(bioconservatism),시사용어,시사상식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