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7일 (목)
(녹) 연중 제12주간 목요일 반석 위에 지은 집과 모래 위에 지은 집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요셉 신부님의 매일 복음 묵상 - 기도하고 예물을 바쳐도 정말 아무 쓸모 없는 경우

스크랩 인쇄

김백봉7 [gloria7] 쪽지 캡슐

2024-06-13 ㅣ No.173257

 

 

 

 

 

  

 

 

2024년 나해 연중 제10주간 목요일 

 

 

 

<기도하고 예물을 바쳐도 정말 아무 쓸모 없는 경우>

 

 

 

복음: 마태오 5,20ㄴ-26

 

 

 


LORENZETTI, Pietro 작, (1325)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그러므로 네가 제단에 예물을 바치려고 하다가, 거기에서 형제가 너에게 원망을 품고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예물을 거기 제단 앞에 놓아두고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그런 다음에 돌아와서 예물을 바쳐라.”하고 말씀하십니다. 

 

 

    오늘 복음의 주제는 ‘의로움’입니다. 의로움은 타인 앞에 나타날 수 있는 자격입니다. 빚이 없다란 뜻입니다. 내가 부모 때문에 의롭게 되었는데, 형제를 괴롭히고 부모에게 찾아와서 예물을 바친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타인에게 원망을 품게 해서는 안 됩니다. 

 

 

    책 [앵무새 죽이기]는 1930년대 미국 남부의 작은 마을 메이콤을 배경으로, 인종차별과 사회적 불의에 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주인공은 어린 소녀 스카웃 핀치와 그녀의 오빠 젬 핀치이며, 그들의 아버지 아티커스 핀치는 마을의 변호사입니다.

    스카웃과 젬은 동네에서 이상하다고 소문난 부 래들리의 집 앞에서 노는 걸 좋아합니다. 부 래들리는 일체 마을 사람들의 일에 관여하지 않고 집 밖으로 나오지 않는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들이 자신에게 관심을 두는 것에 고마워 그들이 노는 나무 앞에 간식을 놓아두곤 하였습니다. 

 

 

    그들의 아버지 아티커스는 도덕적 용기와 정의를 중요시하는 인물로, 아이들에게 항상 올바른 길을 가르치고자 노력합니다. 아티커스는 흑인 남성 톰 로빈슨의 변호를 맡으면서 인종차별이 심한 메이콤 마을에서 용기를 보여줍니다. 톰은 백인 여자 메엘라를 강간 하려고 했다는 것으로 재판을 받습니다. 그러나 사실은 메일라가 톰을 끌어들인 것이고 그녀의 아버지 밥이 그것을 보고는 메엘라를 구타하고 톰을 강간범으로 몰아버린 것입니다. 

 

 

    아티커스는 스카웃과 젬에게 항상 타인을 이해하고, 편견을 갖지 말며, 모든 사람을 공평하게 대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주변 친구들과 마을 사람들로부터 아버지가 톰 로빈슨을 변호한다는 이유로 놀림과 비난을 받습니다. 젬은 이러한 상황에서 화가 나고, 때로는 폭력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티커스는 그들에게 인내와 용서를 가르치며, 타인의 시선에 흔들리지 않는 법을 알려줍니다.

 

 

    아티커스는 젬에게 총을 선물해 주면서 다른 새는 다 잡아도 되지만, 앵무새는 쏘면 안 된다고 말합니다. 앵무새는 아티커스가 변호하는 죄 없는 톰과 같은 사람들을 상징합니다. 

    “앵무새들은 인간을 위해 노래를 불러줄 뿐이지. 사람들의 채소 밭에서 무엇을 따먹지도 않고 옥수수 창고에 둥지를 틀지도 않고 우리를 위해 마음을 열어 놓고 노래를 부르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하는 게 없지. 그래서 앵무새를 죽이는 건 죄가 되는 거야.”

 

 

    사실 밥이 못된 인간이고 자기 딸의 잘못을 톰에게 뒤집어씌운 것을 밝혀내기는 했지만, 배심원들이 다 백인이었기 때문에 톰은 유죄 판결을 받습니다. 그런데도 밥은 여전히 판사의 집을 습격하고 애티커스의 자녀들을 위협합니다. 짐도 밥에게 팔이 부러지는 공격을 당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집 밖으로 안 나오던 부 래들리가 나와 밥과 싸워주었고 밥은 칼에 찔려 사망합니다. 다행히 보안관은 이 모든 것을 알고 있었고 그냥 자기 혼자 넘어져 그렇게 된 것으로 목격 증언해 주겠다고 하고 마무리됩니다. 

 

 

    [앵무새 죽이기]는 아버지 아티커스 핀치의 도덕적 가르침과 용기를 통해 스카웃과 젬이 세상의 편견과 불의를 극복하고, 타인과 화해하며 조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아버지의 역할은 이 책에서 형제 간의 관계 회복과 성장을 끌어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정말 주님 앞에 예물을 들고나와도 소용없는 사람은 타인에게 원망을 일으킨 사람입니다. 앵무새를 죽인 사람입니다. 성경에는 ‘바리사이와 세리의 기도’ 비유가 나옵니다. 그런데 [하.사.시.]에는 이것이 조금 더 자세하게 나옵니다. 

바리사이는 돈을 받아내기 위해 가난한 이들의 사정을 봐주지 않는 존재였고, 세리는 죄인이기는 하였지만 가난한 이들을 위해 바리사이에게 자기가 할 수 있는 대로 돈을 대신 갚아주는 사람이었습니다. 바리사이는 많은 돈을 바쳤고 세리는 감히 나서지도 못했지만, 누가 의롭게 되어 돌아갔는지는 우리가 잘 압니다. 

 

 

    우리가 기도나 미사를 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양심 성찰이 이것입니다. ‘나 때문에 마음이 상한 사람은 없는가?’ 앵무새를 살리려고 목숨을 거는 아버지에게 앵무새를 죽이고 와서 죽은 앵무새 고기를 바쳐야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68 2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