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30일 (일)
(녹) 연중 제13주일(교황 주일) 소녀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5.17."내 안에 머물러라" - 파주 올리베따노 이영근 신부.

스크랩 인쇄

송문숙 [moon6388] 쪽지 캡슐

2017-05-17 ㅣ No.112070

요한 15,1-8(부활 5주 수)

 

오늘 <복음>은 단지 포도나무와 가지에 대한 비유가 아닙니다참 포도나무와 가지에 대한 비유입니다.그러기에 우리는 오늘 우리 공동체는 단순히 공동체임을 넘어서참된 공동체인가라는 질문을 받게 됩니다.

 

<구약성경>에서 포도나무는 이스라엘 백성을 지칭합니다그런데 여기에 이라는 형용사가 붙어서예수님의 진리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참된 진리는 참 포도나무와 가지와의 관계곧 참된 진리이신 예수님과 제자들의 관계를 통해서 드러납니다.

오늘 <복음>에서는 이 관계를 붙어있다머물다열매맺다라는 동사로 표현하고 있습니다특히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여덟 번이나 반복되고 있는 머물다라는 단어입니다.

그렇다면머물다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그것은 오늘 <복음>에서는 우선적으로 붙어있음을 말합니다곧 포도나무에 붙어있어서다른 데서가 아닌 바로 그 포도나무로부터 수액을 받아먹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기에단순히 포도나무에 붙어있다는 사실만으로는 결코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없다왜냐하면 나뭇가지가 나무에 붙어 있다하더라도 열매를 맺지 않는 가지는 잘려져 불에 태워져버리기 때문입니다.

결국붙어있되열매를 맺는 이라야 머물러 있는 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머물다는 말의 의미는 단지 그분께 붙어있음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그분이 열매 맺으실 수 있도록 자신을 비워드림이요그분의 말씀의 권능이 자신 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허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하여 그분의 참 생명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요그분과 결합하여 있는 것입니다.

이를 두고 사도 바오로 <코린토인들에게 보내는 둘째 편지>에서이렇게 말합니다.

주님과 결합하는 이는 그 분과 한 영이 된다.”(1코린 6,17)

 

그러기에머물다는 말의 진정한 의미는 뗄레야 뗄 수 없는 상호 불가분의 긴밀한 관계로 붙어있음말합니다곧 상호내주 혹은 상호공유의 관계를 말합니다.

상호 내주 혹은 공유는 상호 안에 단순히 머물러 있음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이는 하느님과 인간이 함께 벌리는 역동적인 활동이 벌어지는 상호 친교상호교제,상호 교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토록 예수님께서는 <사도 베드로가 그의 둘째 편지>에서 밝히듯우리를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게 하셨습니다.”(2베드 1,4).

 

참으로 예수님께서는 신비로운 방식으로 우리 안에 계시며 활동하십니다참으로 우리는 참 포도나무이신 그분과 이토록 신비롭게 결합되어 있습니다이러한 신비로운 공동본성(Connaturality) 결합을 두고천사적 박사라 불렸던 토마스 아퀴나스는 경탄하여 이렇게 탄성을 질렀습니다.

우리가 하나라는 걸 그토록 모르는가?”

 

바로 이 공동본성이 우리에게 신적 진리참된 진리를 가능케 하는 자리라 할 수 있습니다바로 이 자리가 신적 진리로써 사랑이 피어나는 곳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하늘스런 참 사랑하늘스런 참 생명이 피어나는 곳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가리켜토마스 아퀴나스는 공동본성에서 오는 사랑의 지혜하느님 사랑으로 주어지는 신적 지혜 혹은 관상이라고 일컫기도 합니다.

그렇다면우리는 어떻게 해야 이 신적 진리참된 진리에 참으로 머물러 있고,

많은 열매를 맺을 수가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을 오늘 <복음>에서 찾아본다면너희는 나 없이 아무 것도 하지 못한다.”(요한 15,5)라는 말씀에서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곧 가지는 나무에 속해 있을 뿐 스스로는 열매를 맺을 수 없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것은 가지가 나무를 지탱시키는 것이 아니라나무가 가지를 존속시킨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그리하여 열매를 맺으실 수 있는 그분께 승복하여 그분의 사랑을 받아들일 때라야참된 사랑의 열매를 풍성히 맺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그러기에우리는 단지 붙어있어야 할뿐만 아니라좀 더 적극적으로 머물러 있어야 할 일입니다이미 우리 안에 내주하신 그분의 수액을 받아 마시며말씀 안에 머물고사귀고,교제하면서당신께서 열매를 맺으시도록 해 드려야할 일입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사도 바오로처럼,이제는 내가 사는 것이 아니라그리스도께서 내 안에 사시는 것입니다(갈라 2,20)라고 고백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5,305 1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