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6일 (일)
(녹) 연중 제11주일 어떤 씨앗보다도 작으나 어떤 풀보다도 커진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4.03.07)

스크랩 인쇄

김중애 [ji5321] 쪽지 캡슐

2024-03-07 ㅣ No.170377

 

2024년 3월 7일

사순 제3주간 목요일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잘 아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상상을 해 보십시오.

아인슈타인이 지금 이 자리에

강의하러 온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과연 그 강의를 듣겠습니까?

또 이 강의를 듣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올까요?

지금이야 워낙 유명한 분이라서

많은 사람이 강의를 듣기 위해

올 것이라고 예상할 것입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이 살아 있을 때는

교수로서 그렇게 인기가

많지 않았다고 합니다.

아인슈타인은 너무 많은 것을 알고 있고,

그의 강의를 듣는 학생들은 너무 아는 것이

없어서 아인슈타인의 강의를

이해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당시 물리학계의 주목받는 샛별이었지만,

수강 신청자는 겨우 세 명이었고 다음

학기에는 신청자가 아예 없어서

그 강좌가 폐지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일을 통해 프린스턴 대학 총장은

아인슈타인의 교수 기량이 부족하다면서

정교수 직위를 주지 않으려고도 했습니다.

잘 알지 못하는 사람이 더 잘 가르친다는

말이 있습니다. 즉, 자기 역량을

드러내는 분야가 있는 법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실력 없음’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아인슈타인처럼

실력은 뛰어나지만, 단지 가르치는 것만

못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판단은 늘 이런 식입니다.

하나의 모습으로 전체를 평가하는,

그래서 더 중요하고 큰 것을 보지 못합니다.

하느님 일 역시도 전체를 보지 못하기에

잘 깨닫지 못하는 것이 아닐까요?

예수님 시대에 바로 그런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벙어리 마귀를 쫓아내십니다.

마귀가 나가고 이제 말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문제는 군중 중의 몇 사람이

이상한 말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마귀 우두머리 베엘제불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낸다.”

이 말을 듣고서 사람들은 하늘에서

내려오는 표징을 요구합니다.

이런 표징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베엘제불의 힘을 빌려서 마귀들을

쫓아내는 것으로 알겠다는 것이지요.

사실 예수님께서 보여주신 표징은

한둘이 아니었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벙어리 마귀를 쫓아내시는 것도

하느님의 커다란 표징입니다.

당시에 벙어리 마귀는 하느님만이

쫓아낼 수 있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못 하게 하는

벙어리 마귀이기에 하느님만이 쫓아내서

당신 말씀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같은 편을 망하게 하지 않습니다.

마귀가 마귀를 쫓아내는 어리석은

행동들을 할 이유가 전혀 없는 것이지요.

그러나 이 단순한 진리를 보지 못하는 이유는

예수님에 관한 부정적인 마음 때문입니다.

이제 주님의 편에 서야 합니다.

주님의 반대편에 서서 반대하고

흩어 버리는 어리석은 자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오늘의 명언

일상이 바뀌어야

미래의 내가 바뀐다.

(김시현)

사진설명:

내 편에 서지 않는 자는 

나를 반대하는 자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90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