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7.3."저의 주님, 저의 하느님!" - 파주 올리베따노 이영근 신부.

스크랩 인쇄

송문숙 [moon6388] 쪽지 캡슐

2017-07-03 ㅣ No.113001

 

요한 20,24-29(성 토마스 사도 축일)

 

 토마스는 예수님께서 오셨을 때에 그들과 함께 있지 않았습니다마치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이 사도들과 함께 있지 않았던 것처럼 말입니다.그러나 주님께서는 비록 제자들이 당신을 떠나가도당신은 결코 제자들을 떠나지 않으셨습니다.

 

 엠마오의 제자들이 빵 쪼개는 만찬을 보고서 예수님을 알아 본 것처럼,토마스는 예수님의 옆구리의 상처를 보고서 예수님을 알아보게 됩니다그것은 당신을 내어주시는 성찬이었습니다그것은 바로 쪼개지고 찢어지고 구멍 뚫린 당신의 몸이요,성찬의 모습이었습니다그들은 그때서야 비로소 눈이 열리고 마음이 열렸던 것입니다.

 토마스는 우리는 주님을 보았다라는 동료들의 말을 믿지 않았습니다.사실은 예수님을 본 동료들도 그러했습니다.

 <루카복음>에 따르면예수님께서 사도들에게 나타나셨을 때그들은 너무나 무섭고 두려워 유령을 보는 줄로 생각하였습니다.”(루카 24,37).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를 만져 보아라유령은 살과 뼈가 없지만,

나는 너희가 보다시피 살과 뼈가 있다(루카 24,39)

 

 그처럼사도들은 예수님께서 돌아가신 것은 믿었지만부활하신 것은 믿지 않았던 것입니다토마스 역시 사람들이 예수님께서 창에 찔렸다고 했을 때는 자기 눈으로 보지 않았지만 믿었습니다그러나 부활에 관한 말은 믿지 않았습니다.

 사실그가 부활을 믿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함은 동료들이 뵌 주님을 자신은 뵙지 못한 슬픔 때문이기도 했습니다동료들 중 자신만 주님을 뵙지 못한 것이 마치 자신만이 부활하신 주님을 뵐 자격이 없는 자로 여겨졌던 것입니다.

 그렇기에오히려 부활하신 예수님 뵙기를 더더욱 원했고 고대했을 것입니다그래서 주님의 부활을 확인하고 싶었고주님의 사랑을 확인하고 싶었을 것입니다그러니 그가 주님을 다시 보는 일은 곧 주님의 사랑을 보는 일이었을 것입니다부활은 곧 주님의 끝나지 않은 사랑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 마음을 보시고 예수님께서는 다시 찾아와 주셨습니다이제 토마스는 돌아가신 예수님을 뵌 것이 아니라그분의 사랑을 뵌 것입니다비로소 그 사랑 앞에서 모든 의혹과 자책이 녹아내린 것입니다.

 그렇습니다그 사랑에 치유를 입은 것입니다손대지 않아도보기만 해도치유를 입은 것입니다.

 그런데 주님께서는 말씀하십니다.

네 손가락을 여기 대보고 내 손을 보아라.

네 손을 뻗어 내 옆구리에 넣어 보아라.”(요한 20,27) 

 

 상처는 당신이 그리스도이심을 보여주는 표시임과 동시에그분 사랑의 표시입니다상처는 당신을 남김없이 쏟아 부은 그분의 사랑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비로소토마스는 눈에 보이는 상처를 통에눈에 보이지 않는 주님의 사랑을 본 것입니다믿음은 보이지 않는 것을 확증해줍니다이로써그는 믿음에 대한 확신으로 굳건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몸을 만지는 것을 허락하시고당신의 찢어진 몸을 내어주십니다그리고 엠마오의 제자들에게 성체의 성찬을 베푼 것처럼토마스에게도 성혈의 성찬을 베푸십니다그 순간 토마스의 마음이 열리고 믿음의 눈이 뜨인 것입니다.

 참으로복된 성찬입니다이 성찬을 통하여마침내토마스는 고백합니다.

저의 주님저의 하느님!”(마태 20,28)

 

 오늘 우리도 당신의 사랑을 베푸시는 성찬을 통해우리의 주님우리의 하느님을 고백합니다.

 신비로운 것은 상처를 만지면 상처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상처를 만지는 이가 치유를 받게 된다는 사실입니다그렇습니다우리는 그리스도의 상처를 통해 다시 살아난 사람들입니다이토록그분의 상처는 보기만 해도 치유를 입습니다그 상처는 당신의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너는 나를 보고서야 믿느냐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요한20,29)

 

 사실보이는 것들은 믿음의 대상이 아니라 인식의 대상입니다그러나 믿음은 <히브리서>에서 말씀해주듯이보이지 않는 실체들의 확증입니다(히브 11,1). 그러니토마스가 본 것은 상처였지만믿은 것은 주님의 사랑이었습니다.

 그는 보고서 믿었던 것입니다그는 보지 않고는 믿지 못했지만 보고서는 믿었습니다그러나 보고도 믿지 않는 이는 불행합니다사실우리는 오늘도 보고 또 보고 보지만여전히 그분의 사랑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 스스로를 불행하다고 여깁니다.

 그러니보고 믿는 사람은 행복합니다히브리인들이 모세를 따라 홍해를 건너왔지만 그들이 보지 못해서 못 믿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보아도 믿지 않았던 것입니다보고도 목이 뻣뻣해져 하느님을 믿지 않았던 것입니다.

 우리 역시 그럴지 모르겠습니다매일 매일의 삶에서 벌어지는 기적들을 보고도특히 성체성사를 매일 보면서도 여전히 예수님의 사랑을 아직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면 말입니다.

 그래서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는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모든 고뇌는 예수님께서 얼마나 우리 가까이 계신지를 깨닫지 못하는 데서 생깁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마음을 열어주십니다당신의 찢어진 가슴을 열고 사랑을 부어주십니다그 지고한 사랑을 말입니다.

 그렇습니다우리는 사랑입니다그러기에 오늘 우리가 증거 해야 할 것도 역시 사랑입니다아멘.

 

댓글알림 설정

댓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4,955 2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