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1.06.08)

스크랩 인쇄

김중애 [ji5321] 쪽지 캡슐

2021-06-08 ㅣ No.147421

 

너희는 세상의 빛이다(정미연)

2021년 6월 8일

연중 제10주간 화요일

복음 마태 5,13-16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13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그러나 소금이 제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다시 짜게 할 수 있겠느냐?

아무 쓸모가 없으니 밖에 버려져

사람들에게 짓밟힐 따름이다.

14 너희는 세상의 빛이다.

산 위에 자리 잡은 고을은

감추어질 수 없다.

15 등불은 켜서 함지 속이 아니라

등경 위에 놓는다그렇게 하여

집 안에 있는 모든 사람을 비춘다.

16 이와 같이 너희의 빛이

사람들 앞을 비추어그들이

너희의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를 찬양하게 하여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가

틀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특히 사랑하는 관계였는데,

그 관계가 틀어져 오히려 원수가 되는

경우도 참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랑할 때와 미워할 때를

비교해보면 왜 그런지 알 수 있습니다.

사랑할 때는 무엇인가를 계속 주고

싶습니다받는 것이 아닌 주는 것에서

행복을 느낍니다그리고 남의 말을

잘 듣지 않습니다믿음과 신뢰로

상대방을 대하고 있습니다.

미워할 때는 억울함에서 시작됩니다.

나만 주고 상대는 받기만 하는 것 같습니다.

내가 받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상대방에게 나는 호구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런 마음이 생기면 남과의 비교도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남의 말에

더 귀 기울이게 됩니다.

사랑은 공평하게 배분되지 않습니다.

내 사랑이 ‘1’이니상대방도

‘1’의 사랑을 줘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사랑의 크기를 정확하게 잴 수 있는

도구는 세상에 없습니다.

주고 받는 사랑의 크기가 같기를 바라지만

그런 일은 절대로 없습니다.

부모 자식간의 사랑도 똑같지 않습니다.

그래서 편애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점을 인정해야 사랑에,

특히 주는 사랑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이 주님께서 말씀하셨던 사랑이었고,

사도 바오로가 말한 주는 것이 많아

행복한’ 사랑입니다.

주님의 자녀는 바로 주님처럼

사랑에 집중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오늘 복음에서 소금과 빛의

존재가 되어야 한다고 하지요.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아무 쓸모가

없는 것처럼또 빛을 함지 속에 가둬

놓아서는 아무런 역할을 할 수 없는 것처럼,

우리의 사랑을 내어 줄 수 있어야

의미 있는 삶이 된다는 것입니다.

소금이 짠맛을 잃을 수 있을까요?

아마 없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에서는 짠맛을 잃기도 합니다.

사해에서 생산되는 소금에는 불순물이

많이 섞여 있습니다그런데 비가 내려

습도가 올라가면 염분이 가시고

불순물만 남게 됩니다.

이것이 짠맛을 잃은 소금입니다.

신앙인이 되었다고 해서 모두가

주님 사랑이 뜨거워서 절대로 죄를

짓지 않으며 살아갈까요그렇지 않지요.

이스라엘의 사해 소금처럼 짠맛을 잃어

주님의 뜻을 전혀 실천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습니다또 환하게 비출 수 있는

빛을 함지 속에 가둬 놓아서 밝게 빛나는

세상이 되지 못하게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죄를 멀리하고 선을 실천하는 삶,

즉 사랑의 삶만이 세상의 소금이

될 수 있으며 세상의 빛이 될 수 있습니다.

주는 것이 많아 행복한 세상을

체험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행복하세요

잘 경청하라당신의 귀는

당신을 곤란에 빠뜨리지 않을 것이다.

(프랭크 타이거)

아내의 말을 무조건 들어주세요.

어느 형제님이 본당 신부님을

찾아와 상담을 합니다.

신부님아내가 갑자기

이혼하자고 합니다우리 부부는

이제까지 아무런 문제가 없었는데

왜 그런 말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돈도 잘 벌어다 주고집안일도

잘해주는데 도대체 왜 그럴까요?”

신부님께서는 혹시 아내의 건강상

문제는 없나요?”라고 묻자,

형제님은 제가 술을 많이

마시는 것도 아니고외박 한번

해 본 적도 없는데 왜 이혼하자고 하는지

이해를 못 하겠어요.”라고 말합니다.

다신 신부님은 혹시 부인의 친정에

안 좋은 일이 생기지는 않았을까요?”

라고 묻자형제님은 흥분하며

아내에게 다른 남자가 생긴 것일까요?

맞아다른 남자가 생긴 것이

분명합니다.”라고 말합니다.

이 형제님을 향해 신부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지금 당장 집에 가서 아내의 말을

듣기만 하세요절대로 먼저 말을

꺼내서는 안 됩니다그렇게 하고도

문제가 있으면 다시 오십시오.”

어떻게 되었을까요이 형제님은

다시 신부님을 찾아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아내의 말을 듣지 않는 이 형제님의

모습이 문제였던 것이었습니다.

상대방의 말을 잘 듣지 않는 우리의 모습을

한 번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우리는 세상의 빛과 소금)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4,882 1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