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29일 (토)
(홍)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사도 대축일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스크랩 인쇄

이미경 [ayo98060] 쪽지 캡슐

2012-05-08 ㅣ No.72936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12년 5월 8일 부활 제5주간 화요일




Peace I leave with you; my peace I give to you.
Not as the world gives do I give it to you.
Do not let your hearts be troubled or afraid.
(Jn.14,27)



제1독서 사도행전 14,19-28
복음 요한 14,27-31ㄱ



한 학생이 본당신부님을 찾아가 물었답니다.

“신부님! 이번에 아주 우연히 무료로 해외에 유학을 갈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그런데 저희 집에는 나이 많으신 부모님이 계십니다. 유학을 가는 것이 주님의 뜻일까요? 아니면 그냥 한국에서 졸업하는 것이 주님의 뜻일까요?”

신부님께서 이 청년과 이야기를 해보니, 자기 자신에게 유리한 삶을 추구하기 보다는 주님의 뜻을 추구하고 싶은 마음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대답하셨답니다.

“자네가 유학 가는 것도 주님의 뜻이고, 한국에 남아 공부하는 것도 주님의 뜻이네.”

결국 그는 유학 가는 길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탄탄대로였지요. 유학을 마치면서 학위를 받게 되었고, 나중에 한국에 돌아와 후학들을 가르치는 훌륭한 교수님이 되셨습니다. 여기서 만약 유학을 가지 않고 한국에 남아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잘못된 길로 간 것이기에 길이 막혀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면서 후회하고 있을까요?

아닐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청년은 철저하게 주님의 뜻을 추구하고 싶은 마음이 컸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주님의 뜻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사람은 삶을 두려워하지 않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기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님의 뜻을 추구하며 살아간다는 것은 이렇게 중요합니다. 어떠한 삶 안에서도 평화를 간직하며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많은 경우는 자신의 뜻만을 추구하며 살아가려 합니다. 그러다보니 갖은 욕심과 이기심을 내세우게 되고, 기쁨도 행복도 내 것으로 만들 수가 없게 되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제자들을 향해 말씀하시지요.

“나는 너희에게 평화를 남기고 간다. 내 평화를 너희에게 준다.”

이 평화는 세상이 주는 평화와 같지 않다고 하십니다. 절대로 마음이 산란해지는 일도, 겁을 내는 일도 없는 평화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평화는 자신의 뜻을 추구하는 사람이 얻는 것이 아니라, 바로 주님의 뜻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사람만이 얻을 수 있는 평화라는 것이지요. 실제로 자신의 뜻을 추구하는 사람은 순간의 만족만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님의 뜻을 추구하는 사람은 어떻습니까? 순간의 만족은 얻을 수 없을지는 몰라도 점점 더 커다란 만족 안에서 기쁨과 참 행복을 간직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금 우리가 추구하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요? 내가 어떤 길을 선택하느냐는 상관없지만, 그 안에 주님의 뜻이 들어있지 않다면 평화와 행복을 차지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부모의 나이는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으로는 오래 사신 것을 기뻐하고 또 한편으로는 나이 많은 것을 걱정해야 한다(논어).


어제 산책을 갔던 자유공원의 야경입니다.



어버이날에...
 

오늘은 어버이날입니다. 부모님의 은혜에 대해 감사하는 날이지요. 그런데 어제 우연히 인터넷에서 가족이 해체되고 있다는 뉴스 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가족 안에 대화가 사라져서 같은 지붕 아래 살고 있어도 서로 남처럼 말 한 마디 하지 않고 살고 있는 것입니다. 저렇게 살면서 어떻게 가족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많은 부모님들은 자식이 행복하게 살기를 원하십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편하게 살 수 있도록 통장의 잔고를 늘려서 물려주려고 노력하시지요. 그런데 자녀들이 정말로 행복하기를 원한다면 통장의 잔고가 아니라, 행복 자체를 물려주는데 노력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자기 스스로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자녀들에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주님께서도 우리들에게 돈벼락을 내려주시지 않습니다. 또한 높은 지위를 허락하지도 않습니다. 단지 우리가 행복할 수 있는 길을 가르쳐주시고 인도해주실 뿐인 것이지요. 그리고 우리들은 이 주님의 길을 바라보며 행복해하고 기뻐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행복을 전해줄 수 있는 부모가 된다면, 더 이상 가족이 해체되는 일은 없지 않을까요?

 
 


974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