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17일 (월)
(녹) 연중 제11주간 월요일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악인에게 맞서지 마라.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이영근 신부님_2024년 5월 24일 연중 제7주간 금요일

스크랩 인쇄

최원석 [wsjesus] 쪽지 캡슐

2024-05-24 ㅣ No.172683

제1독서

▥ 야고보서의 말씀 5,9-12 

 

9 형제 여러분, 

서로 원망하지 마십시오.
그래야 심판받지 않습니다.
보십시오, 심판자께서 문 앞에 서 계십니다.
10 형제 여러분, 

주님의 이름으로 말한 예언자들을 고난과 끈기의 본보기로 삼으십시오.
11 사실 우리는 끝까지 견디어 낸 이들을 행복하다고 합니다.
여러분은 욥의 인내에 관하여 들었고, 주님께서 마련하신 결말을 알고 있습니다.
과연 주님은 동정심이 크시고 너그러우신 분이십니다.
12 나의 형제 여러분, 

무엇보다도 맹세하지 마십시오.
하늘을 두고도, 땅을 두고도, 그 밖의 무엇을 두고도 맹세하지 마십시오.
여러분은 “예.” 할 것은 “예.” 하고 “아니요.” 할 것은 “아니요.”라고만 하십시오.
그래야 심판을 받지 않을 것입니다. 

 


복음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 10,1-12 

 

그때에 예수님께서

1 유다 지방과 요르단 건너편으로 가셨다.
그러자 군중이 다시 그분께 모여들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늘 하시던 대로 다시 그들을 가르치셨다.
2 그런데 바리사이들이 와서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남편이 아내를 버려도 됩니까?” 하고 물었다.
3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모세는 너희에게 어떻게 하라고 명령하였느냐?” 하고 되물으시니,
4 그들이 “‘이혼장을 써 주고 아내를 버리는 것’을 모세는 허락하였습니다.” 하고 대답하였다.
5 그러자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너희 마음이 완고하기 때문에 모세가 그런 계명을 기록하여 너희에게 남긴 것이다.
창조 때부터 ‘하느님께서는 사람들을 남자와 여자로 만드셨다.
그러므로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

둘이 한 몸이 될 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이제 둘이 아니라 한 몸이다.
하느님께서 맺어 주신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 된다.”
10 집에 들어갔을 때에 제자들이 그 일에 관하여 다시 묻자,
11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누구든지 아내를 버리고 다른 여자와 혼인하면, 그 아내를 두고 간음하는 것이다.
12 또한 아내가 남편을 버리고 다른 남자와 혼인하여도 간음하는 것이다.”

 

 

 

 

<“너희 마음이 완고하기 때문에 모세가 그런 계명을 기록하여 너희에게 남긴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가파르나움을 떠나 유다지방과 요르단 건너편으로 가셨는데, 군중들이 다시 모여들었고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가르치셨습니다. 

그런데 바리사이들이 와서 예수님을 시험하려고 “남편이 아내를 버려도 됩니까?”하고 물었습니다. 

그들의 질문은 결혼에 대한 진정한 깨우침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모세는 너희에게 어떻게 하라고 명령하였느냐?”(10,3)고 되물으시고, 그들이 “이혼장을 써주고 아내를 버리는 것을 모세는 허락하였습니다.”하고 대답하자,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 마음이 완고하기 때문에 모세가 그런 계명을 기록하여 너희에게 남긴 것이다.”

(마르 10,5)

예수님께서는 모세가 이혼을 허락해준 이유가 이혼이 정당하기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이 완고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십니다.

사실 모세가 그렇게 한 것은 여성이 이혼장이라는 서류도 없이 버림을 받게 될 경우, 여성 홀로 살아갈 수 없는 사회에서 다른 남자와 함께 생활하다 붙잡히게 되면 간통죄로 죽임을 당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던 것입니다.

당시의 유대인들은 아내의 사소한 일을 꼬투리로 잡아 이혼하는 일이 많아 사회적 문제꺼리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제 예수님께서는 이혼이 안 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하느님께서 맺어주신 것을 사람이 갈라놓아서는 안 된다.”(10,9)는 창조 때의 이야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여기에서, “하느님께서 맺어주신”이라고 번역한 “짝 지우다”라는 단어의 원래 뜻이 “함께 멍에를 매다”라는 뜻이기에, 결혼은 단순한 결합이 아니라 일치를 향한 공동의 운명을 지니고 함께 협력하는 동반자라는 사실을 가리킵니다.

 

그러니 결혼이란 ‘한 몸’, 곧 일치의 상태에 도달한 것이 아니라, 일치를 이루기 위한 조건적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오늘 우리는 ‘함께 그리스도의 멍에를 매고’ ‘하나 됨’에로 나아가야 할 일입니다. 

또한 예수님께서 인용하신 “남자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나 아내와 결합하여 둘이 한 몸이 될 것이다.”(마르 10,7)는 말씀을 교부들은 단순히 남자와 여자와의 관계를 말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리스도와 교회의 신비로운 관계로, 그리고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로 해석해 왔습니다. 

이러한 관계를 <이사야서>에서는 이렇게 표현합니다.
“정녕, 총각이 처녀와 혼인하듯 너를 지으신 분께서 너와 혼인하고, 
신랑이 신부로 하여 기뻐하듯 너의 하느님께서는 너로 하여 기뻐하시리라.”

(이사 62,5) 

이처럼 ‘하느님’은 영원에서부터 인간의 신랑이시고, ‘인간’은 하느님의 신부라 할 수 있습니다.

곧 하느님과 인간은 한 몸을 이루어나가야 하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입니다.

 

사실 교회의 일원이 되는 ‘세례’는 우리가 그리스도를 남편으로 맞이하는 혼인성사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로 하느님과의 이 깊은 관계가 우리를 가장 품위 있는 존재로 부각시켜줍니다.

 

아멘.

 

<오늘의 말·샘 기도>

 

“이제 둘이 아니라 한 몸이다.”

(마르 10,8)

주님!

받아들여야 살 수 있음은 제가 부족해서만 아니라 당신을 사랑한 까닭입니다.

함께 있어야 살 수 있음은 당신이 필요해서만 아니라 당신이 소중한 까닭입니다.

더불어 한 곳을 바라보게 하소서!

당신이 바라보는 곳을 함께 바라보게 하소서.

당신께 나아가게 하소서.

당신 안에서 하나 되게 하소서!

당신 안에서 모든 것이 되고, 모든 것 안에서 당신을 보게 하소서!

 

아멘.

 

-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97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