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8일 (일)
(녹) 연중 제26주일(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 너는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초를 겪는 것이다.

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정상 경험

스크랩 인쇄

김중애 [ji5321] 쪽지 캡슐

2021-10-17 ㅣ No.150397

 

 

정상 경험

정상 경험의 한 가지 관점은

우리가 완전히 혼자라는 것이다.

다비드 슈타인들 리스트는

'혼자'allein라는 단어를 모든 것과

하나all-sein가 되고 또 자기 자신과

완전히 하나가 되는 것이라고 풀이한다.

이것은 초기 수도승 생활에서는

중요한 경험이었다.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Dionysius Areopagita

(6세기 초 저술가)

'수도승'monachos이라는

단어를 '하나'monos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석한다.

수도승은 자기 자신과 하나인 동시에

모든 사람 그리고 모든 것과

하나인 사람, 즉 완전히

'하나'인 사람이다.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는

기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수도승은 모든 사람과 떨어져 있지만,

모든 사람과 하나로 결합된 인간이다.

수도승은 그들이 자신과

하나라는 사실을 안다.

왜냐하면 그는 늘 모든 인간에게서

하느님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수도승은 온 우주와 하나임을 느낀다.

베네딕도 성인은 한 줄기 햇빛 속에서

온 세상을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이 묵상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온 세상과 하나가 된다는 말은

내가 모든 것을 순서대로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모든 것이 하나로

결합되어 있는 심연을 바라본다.

이 심연에서 나는 창조와 하나이고,

하느님과 하나이고,

공간 및 시간과 하나이다.

이러한 묵상 안에서 나는 공간과

시간이 멈추는 것을 경험한다.

그 순간 나는 영원을 만나게 되고,

영원이 나의 삶으로 들어온다.

Buch der Lebenskunst

「삶의 기술

안셀름 그륀 지음/ 안톤 리히테나우어 엮음

-이온화 옮김/ 분도출판사 펴냄-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1,002 0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