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28일 (일)
(녹) 연중 제26주일(세계 이주민과 난민의 날) 너는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초를 겪는 것이다.

영화ㅣ음악 이야기 영화이야기ㅣ음악이야기 통합게시판 입니다.

클라라 주미 강 : 브람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77 (J.Brahms,Violin Concerto Op.77) Vn.Clara Jumi Kang MBC210920

스크랩 인쇄

강태원 [lion77] 쪽지 캡슐

2021-10-28 ㅣ No.31837



 


album,comment
 

어렸을 때의 기억은, 연주할 때 행복했어요.

다섯 살부터 협연을 했고, 독일에서 방송도 많이 타고,

분더킨트라는 타이틀로 큰 주목을 받았죠.

아버지는 유럽에서 유명하셨으니까 그 딸이 바이올린을 잘 켠다더라 하면서

 

유명세를 탔어요(강주미는 1987년 독일 만하임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바그너 전문가수로 유럽에서 활약했던 현 서울대 음대 교수인 베이스 강병운,

 

어머니는 소프라노 한민희 씨다).

다만 싫었던 건, 가족 전체가 다 음악을 하는 점. 저는 언니ㆍ오빠 밑에 셋째로 태어났고,

제 아래로 나이차가 나는 남동생이 있어요.

언니는 첫째라서, 오빠는 남자라서, 동생은 아기라서 더 챙김을 받는 것 같았고,

 

그래서 ‘난 바이올린밖에 없어’라는 생각을 했어요.

사실, 부모님의 음악적 끼를 가장 많이 물려받은 건 저고,

아버지가 서울대에서 가르치게 됐을 때 나머지 가족이 미국, 줄리아드 근처로

이사를 가게 된 것도 저 때문이었는데 말이에요.

 

음악을 하니까 또래랑 놀지 못하는 것도 싫었지만, 너무 많은 코멘트가 있다는 게 제일 싫었어요.

어머니 아버지는 성악을 하셔서 그림이 크세요.

표정부터 제스처까지, 무대 위 모든 것에 대해 ‘좋은 잔소리’가 많으셨죠. 

 

사실 주미 씨에게 가장 궁금했던 점은 ‘여름의 마지막 장미’에 관해서였습니다.

2011년 5월, 호암아트홀 리사이틀에서 처음으로 이 곡을 선보였을 때,

연주를 지켜보면서 제가 한 생각은 ‘더 이상 이 곡은 안 했으면 좋겠다’였어요.


그런데 반 년 후인 11월, ‘여름의 마지막 장미’를 음반으로 내놓았죠

(녹음은 그해 9월에 이뤄졌다). 음반을 내놓은 후에는 자주,


아니 언제 어디서든 ‘장미’를 꺼내 드는 것 같았어요.

처음엔 왜 저러지 싶었는데 갈수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오기든 집착이든, 뭔가 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372 4

추천 반대(0) 신고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