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도서ㅣ출판물 ※ 이미지 업로드 시 파일찾기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에서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가톨릭출판사] 역설들 - 앙리 드 뤼박 |
---|
역설들
앙리 드 뤼박, ‘역설’이라는 열쇠로 그리스도교의 핵심을 풀다!
역설이라는 모순이 진리가 될 수 있을까? 20세기의 대표적인 신학자 중 한 사람인 앙리 드 뤼박 추기경(1896~1991)은 ‘역설은 신앙의 본질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라고 말한다.
“복음이 역설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생각하자. 인간 자체가 살아 있는 역설이고, 교회 교부들에 따르면, 육화야말로 최고의 역설이다.”
‘역설’을 통해 신앙 진리를 탐구한 드 뤼박은 자신이 통찰한 역설들을 모아 《역설들Paradoxes》(1946), 《새로운 역설들Nouveaux paradoxes》(1955), 《다른 역설들Autres Paradoxes》(1994)이라는 작품으로 출간했다. 이번에 출간되는 《역설들》은 이 세 작품을 하나로 엮으며 저자의 사상을 잘 알 수 있는 자료,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관련 미간행 자료까지 추가해 더욱 가치를 높인 작품이다. ‘드 뤼박의 역설 완전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작품은 드 뤼박이 가장 아끼는 제자들이자, 드 뤼박 신학의 연구자(조르주 샹트렌 신부, 미셸 살 신부)가 편집해 신학 사상과 방법, 내용을 고스란히 전하고 있다.
전통을 원천으로, 그리고 그 한계를 넘어서
앙리 드 뤼박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대부분을 작업한 인물이다. 이는 그리스도교의 원천을 통해 교회를 쇄신하려고 한 그의 사상이 인정받았음을 보여 준다. 《역설들》에서는 그리스도교의 원천을 바탕으로 신학을 깊이 연구하며 본질을 탐구하는 이러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제1장 역설들’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성경이나 교부들의 전통에서 원천을 찾으려는 그의 모습을 엿볼 수 있고, ‘제2장 새로운 역설들’에서는 교회로부터 침묵을 강요받은 1950년 이후 생각과 진리, 인간, 복음과 세상, 인간관계, 고통, 영적인 삶, 신앙과 관련된 통찰을, ‘제3장 다른 역설들’에서는 복음과 신앙, 공의회와 관련된 내용을 통해 그 시대 상황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잘 보여 준다.
신학은 역설을 신앙의 근본적 특성으로 인식하고 수용한다. 그리스도교 신앙 자체가 역설이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역설은 그리스도 신앙 이해의 열쇠다. 드 뤼박은 신학의 일반적 정의로 알려진 ‘신앙의 이해intelligence de la foi’를 넘어 ‘신앙을 통한 이해 intelligence par la foi’를 더 강조한다. 신앙을 통한 이해를 더 강조한 것은 신앙 진리가 내포한 역설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고 그 역설적 진리의 깊이를 탐구하여 그 안에 담긴 심오한 의미를 파헤치기 때문이다. ─ ‘이 책을 시작하며’ 중에서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0 155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