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묵상ㅣ체험 우리들의 묵상 ㅣ 신앙체험 ㅣ 묵주기도 통합게시판 입니다.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3.28) |
---|
2025년 3월 28일 사순 제3주간 금요일 어떤 분으로부터 이런 말을 들었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모든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기에, ‘부탁드려요.’와 ‘고마워요’ 라는 말을 절대 하지 않아요.” ‘정말 그런가?’라고 생각해 봅니다. 그리고 정말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사실 어른들이 이런 모습을 보이지 않기에 아이들도 따라 하는 것이 아닐까요? 조금이라도 불편하면 항의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자기가 누리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서 감사의 말을 잘 못하는 모습을 어른들이 먼저 보이고 있었습니다.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자기의 기도를 살펴보면 간단합니다. 평소에 겸손된 마음으로 청원의 기도를 바치고, 또 감사의 기도를 바치고 있는지를 말입니다. 자기에게 주어진 좋은 것들은 모두 자기 노력으로 얻은 것으로 당연하고, 나쁜 것들은 모두 주님께 대한 원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참으로 많습니다. 이 모습을 보고 배운 아이들 역시 당연히 그런 모습을 따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사랑하는 연인을 보면 상대에 대해 감사함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감사함이 줄어드는 순간 사랑도 식어가지요. 결국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상관없이 사랑하면 감사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주님께 대한 사랑을 키워야 합니다. 사랑이 커질수록 감사함도 커질 것입니다. 좋은 것만 감사할 것이 아니라, 나쁜 상황에서도 함께해 주심에 감사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 감사의 마음이 자기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듭니다. 그래서 감사의 마음을 간직할 수 있게 하는 사랑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율법 학자 한 사람이 “모든 계명 가운데에서 첫째가는 계명은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을 합니다. 율법 학자들은 모세 법에서 수를 세어, 248개의 명령과 365개의 금지를 정해놓았습니다. 바로 이 613개의 계명 중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를 물었던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신명기를 인용하시어 가장 큰 계명은 하느님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대답하시고, 이웃을 사랑하는 둘째 계명을 덧붙이십니다. 그 세부 조항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계명의 핵심이 중요했습니다. 그 핵심은 바로 사랑입니다. 그 사랑을 통해 하느님께 감사의 마음을 간직할 수 있고, 그 감사의 마음이 지금을 더욱 기쁘게 살 수 있게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사랑보다 다른 것에 더 큰 관심이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고 슬기롭게 대답하는 율법 학자에게 “너는 하느님의 나라에서 멀리 있지 않다.” 하고 이르셨습니다. 우리는 과연 하느님 나라에 가까이 있을까요? ♡오늘의 명언♡ 아침에 마지못해 일어난다면 이 점을 명심하라. 나는 인간으로서 할 일을 하기 위해 일어난다. (아우렐리우스) 사진설명: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신 주님이시니, 그분을 사랑해야 한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